KR102155404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404B1
KR102155404B1 KR1020167030580A KR20167030580A KR102155404B1 KR 102155404 B1 KR102155404 B1 KR 102155404B1 KR 1020167030580 A KR1020167030580 A KR 1020167030580A KR 20167030580 A KR20167030580 A KR 20167030580A KR 102155404 B1 KR102155404 B1 KR 10215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
posts
beam member
bas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789A (ko
Inventor
류우이치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Abstract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코스트 다운의 요청에도 응할 수 있는 작업 차량(1)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1)은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캐빈(7)의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 중 적어도 한 개의 프레임 부재(304, 305)를 단면 C자상으로 형성하고, 프레임 부재(304, 3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304a, 305a)을 프레임 부재(304, 305)의 개구부에 용접 고정하고, 프레임 부재(304,305)의 적어도 길이 중도부를 중공상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원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작업용의 휠 로더라고 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업용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은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등 참조). 특허문헌 1의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캐빈 프레임의 상단측에 배치한 덮개체를 갖고 있다. 캐빈 프레임은 지주(필러)나 빔부재(빔)을 조합시킨 소위 프레임 구조가 되어 있어, 지주 및 빔부재에 의해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676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4-345367호 공보
이 종류의 작업 차량에서는 지주나 빔부재를 각 파이프재로 구성함으로써 이들 강도 확보를 하고 있기 때문에, 캐빈 프레임의 강성 향상을 도모하고 동시에 비용의 상승도 초래한다. 이 때문에, 최근 높아지고 있는 코스트 다운의 요청에 어울리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재의 상태를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을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 중 적어도 한 개의 프레임 부재를 단면 C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을 상기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길이 중도부를 중공상으로 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 중 하부측에서 맞대어지는 2개의 프레임 부재의 맞댐부에 방진 부재 부착용의 베이스 브래킷을 부착하고 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래킷은 상기 맞댐부에 겹치는 보강판편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판편에는 상기 맞댐부에 면하는 개구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상기 맞댐부에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 브래킷을 부착하고, 상기 주행기체의 미션 케이스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는 후방 차축 케이스 상의 지지대에 방진 부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브래킷을 연결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와, 상기 전방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빔부재와, 상기 후방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방 지주와 상기 후방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주 및 상기 각 빔부재를 상기 캐빈의 측변부에 위치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원발명에 의하면,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을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 중 적어도 한 개의 프레임 부재를 단면 C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을 상기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길이 중도부를 중공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와 같은 고비용의 각 파이프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 부재 나아가서는 캐빈 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 중 하부측에서 맞대어지는 2개의 프레임 부재의 맞댐부에 방진 부재 부착용의 베이스 브래킷을 부착하고 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브래킷은 상기 맞댐부에 겹치는 보강판편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판편에는 상기 맞댐부에 면하는 개구 구멍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일방의 프레임 부재에 상기 보강판 부착의 베이스 브래킷을 미리 부착하여 유닛화한 후에 상기 일방의 프레임 부재에 타방의 프레임 부재를 후장착으로 용접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일방의 프레임 부재에 상기 타방의 프레임 부재를 용접 고정함에 있어서, 상기 개구 구멍의 존재에 의해 상기 맞댐부 중 상기 보강판편이 덮이는 부분의 용접 길이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 프레임 부재의 접합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으면서, 상기 양 프레임 부재의 접합 강도 향상, 나아가서는 상기 캐빈 프레임의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상기 맞댐부에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 브래킷을 부착하고, 상기 주행기체의 미션 케이스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는 후방 차축 케이스 상의 지지 대에 방진 부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브래킷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 프레임의 후방 하부측을 그것보다 좌우 외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캐빈 프레임의 후방 하부측을 상기 주행기체에 대하여 방진적 또한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와, 상기 전방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빔부재와, 상기 후방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방 지주와 상기 후방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주 및 상기 각 빔부재를 상기 캐빈의 측변부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후 좌우 측면에 시계를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확보하는 것과, 상기 캐빈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을 양립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트랙터를 우측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주행기체의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주행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주행기체를 좌측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기체의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주행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주행기체를 우측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캐빈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캐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캐빈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캐빈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캐빈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캐빈 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캐빈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캐빈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캐빈 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캐빈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캐빈 프레임을 좌측으로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캐빈 프레임을 좌측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좌측으로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우측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우측 전방 지주 및 전방 빔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우측 후방 지주 및 후방 빔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8은 덮개체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이너 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의 (a)는 전방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b)는 후방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c)은 우측방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d)은 좌측방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1의 (a)는 전방 빔부재, 좌측방 빔부재 및 우측 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전방 빔부재, 우측방 빔부재 및 우측 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의 (a)는 후방 빔부재, 좌측방 빔부재 및 좌측 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후방 빔부재, 우측방 빔부재 및 우측 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3의 (a)는 베이스 브래킷의 측면도, (b)는 베이스 브래킷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원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예로 들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트랙터(1)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전차륜(3)과 동일한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레일식의 디젤엔진(5)(이하, 간단히 엔진이라고 함)으로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어져 있다. 주행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향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원형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좌우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저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기체(2)는 전범퍼(12) 및 전방 차축 케이스(13)을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 단측으로부터 외향으로 전방 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 단측에 전방 차축(16)을 통하여 전차륜(3)을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당하게 변속하여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외향으로 돌출한 저면에서 볼 때에 직사각형 프레임판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두개로 나눠져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눠서 탑재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방 차축 케이스(19)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방 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방 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방 차축(20)을 통하여 후차륜(4)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라고 하는 작업기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 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 쌍의 로어 링크(23) 및 톱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이 후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엔진(5)의 후측면으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하는 엔진 출력축(도시생략)에는 플라이 휠(26)을 직결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양 단에 자재 축 이음쇠를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통하여 플라이 휠(26)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전면측에서 전향으로 돌출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도 1, 도 7 및 도 10 참조).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부 변속 기어 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하여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에 전달되어,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 적당히 변속된다. 그리고, 해당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통하여 좌우의 후차륜(4)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의 전면 하부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통하여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도시생략)를 내장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13)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전달축(도시생략)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으로부터 전방 차축 케이스(13) 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경유하고, 좌우의 전차륜(3)에 전달된다.
이어서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캐빈(7) 내부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스티어링 컬럼(32)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은 캐빈(7) 내부의 전면측에 배치한 대시보드(33)의 배면측에 매설하는 것 같은 상태에서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핸들축의 상단측에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원형의 조종 핸들(9)을 부착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우측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를 최상승 위치나 최하강 위치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원터치 승강 레버(34)와, 주행기체(2)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패달(35)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좌측에는 주행기체(2)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리버스 레버)와, 동력 계단용의 클러치(도시생략)를 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패달(37)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좌측에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의 하방에로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에 따라서 연장되는 오조작 방지체(38)(리버스 가드)를 배치하고 있다. 접촉 방지구인 오조작 방지체(38)를 전후진 스위칭 레버(36)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트랙터(1)에 승강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대시보드(33)의 배면 상부측에는 액정 패널을 내장한 조작 표시판(39)을 설치하고 있다.
캐빈(7) 내에 있는 조종 좌석(8) 전방의 바닥판(40)에 있어서 스티어링 컬럼(32)의 우측에는 엔진(5)의 회전속도 또는 차속을 제어하는 액셀 패달(41)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40) 상면의 대략 전체는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 컬럼(42)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좌사이드 컬럼(42) 사이에는 좌우 양 후차륜(4)을 제동 상태로 유지하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와, 트랙터(1)의 주행속도(차속)를 강제적으로 대폭 저감시키는 초저속 레버(44)(크리프 레버)와, 미션 케이스(17) 내의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의 출력 범위를 스위칭하기 위한 부변속 레버(45)와, PTO축(25)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PTO 변속 레버(46)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하방에는 좌우 양 후차륜(4)의 차동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디프 락 패달(47)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후방 좌측에는 PTO축(25)을 역전 구동시키는 조작을 실행하는 역전 PTO 레버(48)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좌사이드 컬럼(42) 사이에는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팔꿈치를 두기 위한 암레스트(49)를 설치하고 있다. 암레스트(49)는 조종 좌석(8)과는 별개로 구성함과 아울러, 트랙터(1)의 주행속도를 증감속시키는 주변속 레버(50)와, 로터리 경운기라고 하는 작업기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는 다이얼식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51)(승강 다이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암레스트(49)는 후단 하부를 지점으로서 복수 단계로 상승시키는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사이드 컬럼(42)에는 전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엔진(5)의 회전속도를 설정 유지하는 스로틀 레버(52)와, PTO축(25)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 조작하는 PTO 클러치 스위치(53)와, 미션 케이스(17)의 상면측에 배치하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서브 컨트롤 밸브, 도시생략)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조작 레버(54)(SCV 레버)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유압 외부 인출 밸브는 트랙터(1)에 후장착으로 프론트 로더라고 하는 별도의 작업기에 작동유를 공급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의 수(4련)에 따라서 유압 조작 레버(54)를 4개 배치하고 있다.
이어서, 도 11∼도 27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은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301)와, 조종 좌석(8)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302)와,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빔부재(303)와,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부재(304)와, 전후로 늘어선 전방 지주(301)와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한 대략 박스 프레임상의 것이다.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 즉 전방 빔부재(303), 후방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로 구성한 직사각형 프레임 상에는 덮개체(30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각 전방 지주(301)의 하단측에는 좌우 내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외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좌우 양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내단측에 대시보드(33)를 고정 지지하는 세로 길이의 보드 지지판(308)을 연결하고, 좌우 양 전방 지주(301) 사이에 보드 지지판(308)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한편, 좌우 양 후방 지주(302)의 하단부 사이에는 후방 빔부재(304)와 평행상으로 연장되는 후방 중간 빔부재(309)을 연결하고 있다. 후방 중간 빔부재(309)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상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전후로 늘어선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과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하단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저부 프레임(311)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각 후방 지주(302)의 하단측에는 리어 펜더(21)의 형상을 따라서 측면에서 볼 때에 전방 또한 상방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한 펜더 프레임(312)의 후단 상부측을 연결하고 있다. 각 펜더 프레임(312)의 전단 하부측은 대응하는 전방 지주(301)의 하부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사이드 프레임(313)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각 사이드 프레임(313)에는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외단측도 연결되어 있다. 각 펜더 프레임(312)의 좌우 외면측 및 이것에 대응하는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좌우 외면측에 좌우의 리어 펜더(21)를 부착하고 있다.
후 중간 빔부재(309)와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에는 후방 중간 빔부재(309) 및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을 덮는 후방 커버판(314)을 부착하고 있다. 후방 커버판(314)의 하단측과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에는 측면에서 볼 때에 L자 판상의 좌석 지지판(315)을 부착하고 있다. 좌석 지지판(315) 상에 조종 좌석(8)이 배치된다.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 후방 하부 프레임(310) 및 저부 프레임(311)에는 후차륜(4)의 전방부 내면측에 따른 팽출 형상의 펜터 내판(316)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펜터 내판(316) 상에 사이드 컬럼(42)이 배치된다. 좌우의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 저부 프레임(311)의 전방부측, 사이드 프레임(313) 및 좌석 지지판(315)의 전단측에 바닥판 지지 플레이트(317)를 부착하여 지지하고 있다. 좌우의 바닥판 지지 플레이트(317) 상에 바닥판(40)이 배치된다.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의 전단 하부측과 이것에 대응하는 저부 프레임(311)의 전후 중도부는 좌우 가로 길이의 보조 프레임(318)으로 연결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전면측, 즉 좌우 전방 지주(301), 전방 빔부재(303) 및 좌우의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는 앞유리(321)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후면측, 즉 좌우의 후방 지주(302), 후방 빔부재(304) 및 후방 중간 빔부재(309)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는 리어 유리(322)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좌우 측면측, 즉 전후로 배열된 전방 지주(301) 및 후방 지주(302), 측방 빔부재(305), 펜더 프레임(312) 및 사이드 프레임(313)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는 투명한 유리로 구성된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각 사이드 도어(323)는 대응하는 후방 지주(302)에 상하 한 쌍의 힌지(324)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앞유리(321), 리어 유리(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의 배치 구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지주(301, 302) 및 각 빔부재(303, 304, 305)는 캐빈(7)(캐빈 프레임(300))의 측변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 측면에 창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 측면에 앞유리(321), 리어 유리(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투명한 유리 제품)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확보하는 것과,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을 양립하고 있다.
도 22∼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전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전방부측은 방진 부재로서의 전방 방진 고무체(98)를 통하여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부착한 전방부 지지대(9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부(맞댐부)에는 좌우 외향으로 돌출된 베이스 브래킷(327)을 설치하고 있다. 좌우의 베이스 브래킷(327)은 방진 부재로서의 후방 방진 고무체(99)를 통하여 좌우의 후방 차축 케이스(19) 상에 부착된 후방부 지지대(9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기체(2)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98, 99)를 통하여 캐빈(7)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
도 11∼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300)에는 등구 부재 부착용의 각종 지지 스테이(331, 335, 338, 343)를 설치하고 있다. 즉, 전방 빔부재(303)의 길이 중도부에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를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는 전방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된 박판상의 것이다. 각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에는 전방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방 부착편(332)을 통하여 등구 부재의 일례인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전방 상단 작업등(333)은 트랙터(1)의 전방을 비추는 것이다. 좌우의 전방 상단 작업등(333)은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정면에서 볼 때에 전방 빔부재(303)와 겹치도록 위치되어 있다. 덮개체(306)의 전방부측에는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끼워지도록 상향으로 패인 오목부(334)(팽출부라고도 할 수 있음)를 형성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덮개체(306)를 부착할 때는 전방부측의 각 오목부(334)에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들어가기 때문에, 덮개체(306)와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간섭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좌우의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는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후방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방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향의 후방으로 돌출한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기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선단측에 후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착편(336)을 통하여 등구 부재의 일례인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방 상단 작업등(337)은 트랙터(1)의 후방(작업기 등)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후방 빔부재(304)가 아니라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좌우의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덮개체(306)의 후방부측의 배치 스페이스(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는 후방부 커버(36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좌우 전방 지주(301)의 상하 중도부에는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기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선단측에 등구 부재의 일례인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있다. 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는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전방 빔부재(303)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방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향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길이 중도부로부터 전향으로 연장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전방 복합등(339)은 트랙터(1)의 전방에 있는 차나 사람에 대하여 트랙터(1)의 차폭 및 좌우 회동 등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고, 실시형태 전방 복합등(339)은 방향지시 등과 차폭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전방 중단 작업등(340)은 트랙터(1)의 전방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선단측에 상하 길이의 부착 브래킷(341)을 설치하고, 부착 브래킷(341)의 전면측에 전방 복합등(339)을 부착하고 있다. 부착 브래킷(341)의 상단측에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좌우 전방 지주(301)에 있어서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보다 상방에는 미러 스테이(341)를 통하여 사이드미러(342)를 부착하고 있다. 미러 스테이(341)도,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전방 빔부재(303)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방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향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 지주(302)의 하부에는 상하 길이의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전면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후면측에, 등구 부재의 일례인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다.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는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이 오퍼레이터의 후방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면에서 볼 때에 좌우의 후방 지주(302)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방 복합등(344)은 트랙터(1)의 후방에 있는 차나 사람에 대하여 트랙터(1)의 감속, 정지, 후퇴 및 좌우 회동 등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고, 실시형태의 후방 복합등(344)은 미등과 제동등과 후퇴등과 방향 지시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후방 하단 작업등(345)은 트랙터(1)의 좌우 측방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전면측에 후방 복합등(344)을 부착하고 있다.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상단측에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다. 전방 복합등(339)과 후방 복합등은 거의 동일한 정도의 상하 높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을 중공상로 형성하고, 해당 중공상의 내부를 케이블류 삽입통과용의 배선 통로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지주(301, 302), 빔부재(303, 304) 및 지지 스테이에 형성한 노치 구멍(도시생략)으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하고, 해당 케이블을 각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에 접속하고 있다.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덮개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를 부착한 지지 스테이(331, 335, 338, 343)를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상기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를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여 코스트 다운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방 지주(301)와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전방 지주(301)의 상하 중도부에 설치한 상기 지지 스테이(338)에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하부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43)에는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각 전방 지주(301)측의 지지 스테이(338)에는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통합하여 부착할 수 있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측의 지지 스테이(343)에는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통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지지 스테이(338, 343)를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339, 340, 344, 345)에 대한 지지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어 부품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339, 340, 344, 345)에 대한 케이블류의 감기도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캐빈(7)내로부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의 확보도 용이하다.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덮개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방 지주(301)와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빔부재(303)의 길이 중도부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지지 스테이(331)에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각각 부착하는 한편,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는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방 빔부재(303)에 상기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직접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방 빔부재(304)에 상기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여 코스트 다운을 도모한다. 이 때문에, 상기 덮개체(306)에 상기 각 상단 작업등(333, 337)을 부착하거나 케이블류를 감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대한 상기덮개체(306)의 조립 작업도 간소화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도 제조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전방 빔부재(303)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상기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가릴 우려를 각별히 저감시킬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도 23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좌우 하부에 설치한 스텝(1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로 배열된 전차륜(3)과 후차륜(4) 사이에서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을 매달아 설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실시형태에서는 2단)와, 이들 발판 단차부(351)에 연결하는 전후의 측판부(352, 35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는 하단으로 갈수록 후차륜(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쪽이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보다 전방으로 어긋난 위치에 있다.
이 경우, 전방 측판부(352)는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L자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전방 측판부(352)에 있어서의 세로 길이부(354)의 상단측은 각 전방 지주(301)의 하단측에 용접 고정한 브래킷편(355)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전방 측판부(352)에 있어서의 세로 길이부(354)의 상하 중도 개소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방 측판부(352)의 하단 수평부(356)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방 측판부(352)의 하단 수평부(356)는 세로 길이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후 측판부(353)의 상단측은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과 저부 프레임(311)을 연결시키는 보조 프레임(318)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후방 측판부(353)의 상하 중도부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후방 측판부(353)의 하단측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후방 측판부(353)는 전방으로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하고 있어 상하 중도부 부근에서 더욱 전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캐빈(7)에 승차하는 오퍼레이터의 이동 방향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후방 비스듬히 상향으로 향하기 쉬워진다(각 발판 단차부(351)의 어긋남 배치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동선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 따라서,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도 19,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측판부(353)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방 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오퍼레이터가 각 발판 단차부(351)에 발을 위치시킬 때에 전방 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후방 측판부(353)이 폭이 넓기 때문에, 후방 측판부(353)의 존재에 의해 후차륜(4)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엔진(5)을 탑재한 주행기체(2)와, 상기 주행기체(2)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전차륜(3) 및 후차륜(4)과, 상기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과, 상기 캐빈(7) 내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10)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차륜(3)과 상기 후차륜(4) 사이에서 상기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 상기 스텝(10)을 매달아 설치한 구조이고, 상기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와, 이들 발판 단차부(351)에 연결하는 전후의 측판부(352, 353)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후차륜(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7) 내외를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동선에 따라 상기 각 발판 단차부(351)를 위치시키는 것이 되어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측판부(353)의 좌우 방향의 폭을 상기 전방 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상기 각 발판 단차부(351)에 발을 위치시킬 때에 상기 전방 측판부(352)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후방 측판부(353)가 폭이 넓기 때문에, 상기 후방 측판부(353)의 존재에 의해 상기 후차륜(4)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도 2, 도 11, 도 14,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서, 덮개체(306) 내외의 공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부착한 덮개체(306)는 외장인 아우터 루프(361)와, 캐빈(7)의 천장을 구성하는 이너 루프(362)와, 후방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후방부 커버(363)를 구비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 및 후방부 커버(363)를 아우터 루프(361)로 상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덮개체(306) 내부를 중공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아우터 루프(361)의 후방부측도 후방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끼워지는 오목부(334)(팽출부)는 아우터 루프(361)의 전방부측에 형성하고 있다.
덮개체(306) 내부는 이너 루프(362)와 후방부 커버(363)에 의하여 전후 2실로 구획되어 있다. 이너 루프(362)측의 공간이 전실에 상당하고, 후방부 커버(363)측의 공간이 후실에 해당하다. 덮개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에는 캐빈(7) 내의 공조를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364)는 엔진(5)의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이나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컴프레서, 콘덴서 및 에바포레이터 등을 이용한 냉방에 의해 캐빈(7) 내의 공조(실내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364)를 후방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후방부 커버(363)측에 배치함으로써, 캐빈(7)의 전고가 필요 이상으로 높게 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특히 실시형태에서는 후방 빔부재(304)가 아니라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좌우의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덮개체(306)의 후방부측의 배치 스페이스(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는 후방부 커버(36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363)는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빔부재(30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부 커버(363) 및 공기 조화기(364)는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빔부재(304)로 지지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363)의 가장자리부에는 시일재(365)를 부착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 및 후방부 커버(363) 상에 아우터 루프(361)를 씌워서 부착한 상태에서는 아우터 루프(361)의 내면측에 시일재(365)가 밀착하고, 덮개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이 밀폐상이 된다.
아우터 루프(361)의 좌우 측부는 좌우 내측을 향하는 비스듬히 하향으로 잘라낸 것 같이 경사하고 있다. 아우터 루프(361)의 좌우측부 중 엔진(5)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229)(도 1∼도 10 참조)와 반대측의 측부에는 덮개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테일 파이프(229)는 캐빈(7)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우측 전방 지주(301)에 따라 연장되고 있음). 이에 대하여 외기 도입구(366)는 아우터 루프(361) 좌측부의 후방부측(후방부 커버(363)와 대응하는 개소)에 형성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66)는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도시생략)를 통하여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에 좌측방으로부터 임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66)에는 격자상의 통기 프레임체(367)를 장착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에는 제진 필터를 부착하고 있다. 한편,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후두부에 대치하는 이너 루프(362)의 후방부측에는 후방부 커버(363) 내와 캐빈(7) 내를 연통시키는 내기 도입구(368)를 형성하고 있다. 내기 도입구(368)에는 격자상의 통기 프레임체(369)를 장착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363) 내에는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를 개폐하는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배치하고 있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은 액츄에이터(371)의 구동에 의해 개폐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개방 이동시키면, 후방부 커버(363)의 연통구가 개방되어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의 구동에 의해 외기 도입구(366)로부터 연통구를 통하여 후방부 커버(363) 내에 외부 공기가 인도된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폐지 이동시키면, 후방부 커버(363)의 연통구가 폐지되어 외기 도입구(366)로부터 외부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되고, 공기 조화기(364)의 구동에 의해 내기 도입구(368)로부터 후방부 커버(363) 내에 캐빈(7) 내의 공기가 인도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의 개도(개폐정도)에 의해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에 인도되는 외기와 내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364)의 전면측에 형성한 조정 공기 방출구(372)에는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으로부터 전실측(이너 루프(362)측)에 조정 공기를 안내하는 평면에서 볼 때에 두 갈래상의 공조 덕트(373)의 상류측을 접속하고 있다. 공조 덕트(373)의 상류측은 내기 도입구(368)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후방부 커버(363)의 전면측과 이너 루프(362)의 후면측을 관통하고 나서 좌우로 두 갈래상으로 분기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두 갈래상의 덕트부(374)는 전방 빔부재(303), 후방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로 구성한 직사각형 프레임에 따라 평면에서 볼 때에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각 덕트부(374)의 중도 부분에는 이너 루프(362)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한 냉난방용 분출구(375)와 덕트부(374)의 연통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셔터판(37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의 조절 셔터판(376)은 액츄에이터(377) 및 푸쉬 풀 와이어(378)에 의해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각 덕트부(374)의 하류측은 이너 루프(362)의 전방부에 설치한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에 연통하고 있다. 각 분출구(375, 379)에는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이나 풍향을 변경 조절하는 핀(도시생략)을 설치하고 있다.
좌우 양 조절 셔터판(376)에 의해 각 덕트부(374)의 하류측으로의 흐름(각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로의 흐름)을 막으면,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는 좌우의 냉난방용 분출구(375)만으로부터 캐빈(7) 내에 분출한다. 좌우 양 조절 셔터판(376)에 의해 좌우의 냉난방용 분출구(375)로의 흐름을 막으면,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는 좌우의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만으로부터 캐빈(7) 내에 분출한다. 좌우 양 조절 셔터판(376)의 회동 각도에 따라 냉난방용 분출구(375)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과,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재 및 도 1, 도 2, 도 11, 도 14, 도 28 및 도 2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덮개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2)에 탑재한 엔진(5)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135)를 상기 주행기체(2)의 좌우 일방에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306)의 내부를 전후 2실로 구획하고, 후실(363)측에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상기 덮개체(306)의 좌우 측부 중 상기 테일 파이프(229)와 반대측에 상기 후실(363)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테일 파이프(229)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상기 외기 도입구(366)에 도입할 우려를 각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방 지주(301)와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체(306)의 후실(363)을 상기 후방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후실(363)을 상기 후방 빔부재(304)로 지지하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7)의 전고를 높게 하는 경우 없이 상기 덮개체(306) 내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364)를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306)의 전실(362)에 상기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제한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덮개체(306)의 후실(363)측의 배치 스페이스를 상기 양 후방 상단 작업등(337)용의 상기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0(a)∼(d),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서, 빔부재(303, 304, 305)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체(306)를 지지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은 전방 빔부재(303), 후방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빔부재(303), 후방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30(a)이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빔부재(303)는 중공상(단면 직사각형상)의 각 파이프재로 이루어지고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도 31(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빔부재(303)의 좌우 각 끝면은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후방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모두 단면 C자상(홈 형상)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있다. 후방 빔부재(304)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후방 빔부재(304) 및 각측방 빔부재(305)의 개구부에는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304a, 305a)을 끼워넣어 용접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방 빔부재(304) 및 각 측방 빔부재(305) 중 적어도 길이 중도부는 각 파이프와 같은 중공상(단면 직사각형상)이 되어 있다.
도 3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빔부재(304)의 좌우 각 끝면은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도 31(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측방 빔부재(305)의 전방 끝면은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에는 전방 빔부재(303)의 좌우 어느 하나의 끝면과, 좌우 어느 하나의 측방 빔부재(305)의 전방 끝면이 맞대어 있다. 전방 빔부재(303)과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내측에는 비스듬한상의 보강 브래킷(319)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보강 브래킷(319)의 존재에 의해 전방 빔부재(303)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와 전방 지주(301)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도 3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측방 빔부재(305)의 후단 끝면은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는 후방 빔부재(304)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끝면과,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측방 빔부재(305)의 후단 끝면이 맞대어 있다. 후방 빔부재(304)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내측에도 비스듬한상의 보강 브래킷(319)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보강 브래킷(319)의 존재에 의해, 후방 빔부재(304)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와 후방 지주(302)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상기 기재 및 도 30∼도 3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 중 적어도 한 개의 프레임 부재(304, 305)를 단면 C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304a, 305a)을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의 개구부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 중 적어도 길이 중도부를 중공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와 같은 고비용의 각 파이프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 부재(304, 305) 나아가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2∼도 25 및 도 33(a), (b)을 참조하면서, 캐빈(7) 후방 하부측의 방진 지지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맞댐부에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 브래킷(327)을 부착하고 있다. 이 경우, 도 22∼도 25 및 도 33(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부(맞댐부)에 좌우 외향으로 돌출한 베이스 브래킷(327)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기체(2)의 미션 케이스(17)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는 후방 차축 케이스(19) 상의 후방부 지지대(97)에 방진 부재인 후방 방진 고무체(99)를 통하여 베이스 브래킷(327)을 연결시키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 상면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하단면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측에 베이스 브래킷(327)을 미리 용접에 의해 부착하여 유닛화하고 있다.
베이스 브래킷(327)은 후방 방진 고무체(99)가 매달리는 기판 플레이트(328)와, 기판 플레이트(328)와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 강도를 보완하는 전후 한 쌍의 버팀목편(329) 및 보강판편(330)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 플레이트(328)는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 하면측에 대하여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용접 고정하고 있다. 전후 한 쌍의 버팀목편(329)은 기판 플레이트(328)의 상면과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후방 버팀목편(329)은 중공상(단면 직사각형상)의 각 파이프재인 저부 프레임(311)의 후방 개구 단면을 막고 있다. 전방 버팀목편(329)은 보강판편(330)을 통하여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 측면을 지지하고 있다. 보강판편(330)은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맞댐부에 측방으로부터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강판편(330)에는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맞댐부에 임하는 개구 구멍(330a)을 형성하고 있다. 개구 구멍(330a)의 존재에 의해,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맞댐부 중 보강판편(330)이 덮이는 부분과, 보강판편(330)을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저부 프레임(311)에 보강판편(330) 부착 베이스 브래킷(327)을 미리 부착하여 유닛화한 후에, 저부 프레임(311)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을 후장착으로 용접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저부 프레임(311)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을 용접 고정함에 있어서, 개구 구멍(330a)의 존재에 의해 저부 프레임(311)과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맞댐부 중 보강판편(330)이 덮이는 부분의 용접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저부 프레임(311) 및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접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저부 프레임(311) 및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접합 강도 향상, 나아가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맞댐부에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 브래킷(327)을 부착하고, 주행기체(2)의 미션 케이스(17)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는 후방 차축 케이스(19) 상의 지지대(97)에 방진 부재(99)를 통하여 베이스 브래킷(327)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을 그것보다 좌우 외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고,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을 주행기체(2)에 대하여 방진적 또한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트랙터 2 주행기체
3 전차륜 4 후차륜
7 캐빈 8 조종 좌석
300 캐빈 프레임 301 전방 지주
302 후방 지주 303 전방 빔부재
304 후방 빔부재 304a, 305a 보강판
305 측방 빔부재 327 베이스 브래킷
330 보강판편 330a 개구 구멍

Claims (4)

  1.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을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 중 적어도 한 개의 프레임 부재를 단면 C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을 상기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적어도 길이 중도부를 중공상으로 구성하고 있고,
    상기 캐빈 프레임 중 하부측에서 맞대어지는 2개의 프레임 부재의 맞댐부에 방진 부재 부착용의 베이스 브래킷을 부착하고,
    상기 베이스 브래킷은 상기 맞댐부에 겹치는 보강판편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판편에는 상기 맞댐부에 면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 구멍은, 상기 맞댐부와 상기 보강판편을 용접하기 위해 형성된 것인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상기 맞댐부에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베이스 브래킷을 부착하고, 상기 주행기체의 미션 케이스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돌출하는 후방 차축 케이스 상의 지지대에 방진 부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브래킷을 연결하고 있는 작업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은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와, 상기 전방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빔부재와, 상기 후방 지주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부재와, 전후로 배열된 상기 전방 지주와 상기 후방 지주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주 및 상기 각 빔부재를 상기 캐빈의 측변부에 위치시키고 있는 작업 차량.
  4. 삭제
KR1020167030580A 2014-06-26 2015-06-19 작업 차량 KR102155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1853A JP2016008029A (ja) 2014-06-26 2014-06-26 作業車両
JPJP-P-2014-131853 2014-06-26
PCT/JP2015/067784 WO2015199000A1 (ja) 2014-06-26 2015-06-19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89A KR20170023789A (ko) 2017-03-06
KR102155404B1 true KR102155404B1 (ko) 2020-09-11

Family

ID=5493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580A KR102155404B1 (ko) 2014-06-26 2015-06-19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01134A1 (ko)
EP (1) EP3162669A4 (ko)
JP (1) JP2016008029A (ko)
KR (1) KR102155404B1 (ko)
CN (1) CN106458265B (ko)
WO (1) WO2015199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3028618B1 (pt) * 2013-11-06 2020-03-10 Marchesan Implementos E Máquinas Agrícolas Tatú S/A Estrutura tubular aplicada em colheitadeira de cana-de-açúcar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451805B1 (ja) * 2017-08-22 2019-01-16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保温構造
WO2019082829A1 (ja) * 2017-10-23 2019-05-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6903557B2 (ja) * 2017-11-30 2021-07-14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JP7264091B2 (ja) * 2020-03-06 2023-04-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US11878734B2 (en) 2021-12-23 2024-01-23 Cnh Industrial America Llc Roof assembly for a work vehicle
USD1002490S1 (en) 2021-12-23 2023-10-24 Cnh Industrial America Llc Roof panel for a roof assembly of a work vehicle
USD1002489S1 (en) 2021-12-23 2023-10-24 Cnh Industrial America Llc Grab rail assembly for a roof assembly of a work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6286A (ja) * 2005-10-14 2007-04-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キャブ
JP2010162977A (ja) * 2009-01-14 2010-07-29 Yanmar Co Ltd キャビン付き作業車輌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448Y1 (ko) * 1994-03-03 1996-07-25 현대정공 주식회사 철도차량 프레임과 외판의 결합구조
JP3637266B2 (ja) * 2000-06-21 2005-04-13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
JP4499897B2 (ja) 2000-09-04 2010-07-07 ヤンマー株式会社 空気調和機を取り付けるキャビンの構造
JP4201126B2 (ja) * 2003-04-10 2008-12-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キャブ
JP2004345367A (ja) 2003-05-20 2004-12-09 Yanmar Co Ltd 農作業車
GB2418897B (en) * 2004-10-06 2008-02-06 Agco Gmbh & Co Utility vehicle with suspended driver's cab
CN101553629B (zh) * 2006-11-30 2012-08-15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工作机械的驾驶员驾驶室支承装置
US20090162138A1 (en) * 2007-12-19 2009-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ongitudinal member assembly with joint
US20100314908A1 (en) * 2009-06-10 2010-12-16 Wood Jr Robert Lee Cab frame beltline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6286A (ja) * 2005-10-14 2007-04-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キャブ
JP2010162977A (ja) * 2009-01-14 2010-07-29 Yanmar Co Ltd キャビン付き作業車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8265A (zh) 2017-02-22
KR20170023789A (ko) 2017-03-06
CN106458265B (zh) 2019-09-03
JP2016008029A (ja) 2016-01-18
EP3162669A4 (en) 2018-03-21
US20170101134A1 (en) 2017-04-13
EP3162669A1 (en) 2017-05-03
WO2015199000A1 (ja)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404B1 (ko) 작업 차량
KR102140360B1 (ko) 작업 차량
KR102140429B1 (ko) 작업 차량
JP6216281B2 (ja) トラクタ
JP6309363B2 (ja) 作業車両
JP6258796B2 (ja) 作業車両
WO2015147231A1 (ja) 作業車両
JP2015189450A (ja) 作業車両
JP6177176B2 (ja) 作業車両
JP2015193306A (ja) 作業車両
JP2015189449A (ja) 作業車両
JP6275568B2 (ja) 作業車両
JP2016008027A (ja) 作業車両
WO2015198999A1 (ja) 作業車両
JP2016010990A (ja) 作業車両
JP4681522B2 (ja) 作業車
JP2016008036A (ja) 作業車両
JP2016008035A (ja) 作業車両
JP2016145038A (ja) 作業車
JP2016008030A (ja) 作業車両
JP2016008032A (ja) 作業車両
JP2013126876A (ja) 作業車
KR20210129039A (ko) 건설 기계
JP2011046380A (ja) 作業車
JP2013126875A (ja) 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