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352B1 -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352B1
KR102155352B1 KR1020140049078A KR20140049078A KR102155352B1 KR 102155352 B1 KR102155352 B1 KR 102155352B1 KR 1020140049078 A KR1020140049078 A KR 1020140049078A KR 20140049078 A KR20140049078 A KR 20140049078A KR 102155352 B1 KR102155352 B1 KR 10215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resin composition
polyolefin resin
mass
poly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7768A (ko
Inventor
노부타카 후지모토
기요시 니시오카
도모키 가와키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POLYOLEFIN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저가이고 가공하기 쉬우며, 견고하고 가벼운 것이나 제조 비용의 저렴함에서, 현재 범용의 폴리머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그 우수한 내열성, 투명성 및 양호한 성형성을 갖는 것에서, 자동차 부품, 전기ㆍ전자 기기 부품, 공업 자재, 가구, 문방구, 일용ㆍ잡화 용품, 용기ㆍ포장 용품, 완구, 레저 용품 및 의료 용품 등, 폭넓은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용의 용도, 분야에서는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이 요구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내광성이나 내열성을 개선하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화제 등의 여러 가지 내후성 향상제를 첨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나 광안정제는 상용하기 어렵고, 성형 가공 시의 플레이트 아웃이나 블리드 아웃, 보존 시의 블리드 아웃 등이 발생하여, 장기에 걸쳐서 품질이 안정된 제품을 얻는 것이 어렵다.
특허 문헌 1에는 트리아진계 화합물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병용에 의해, 특허 문헌 2에는 벤조에이트계 화합물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병용에 의해, 특허 문헌 3에는 2,5-비스[5-t-부틸벤조옥사졸릴(2)]티오펜,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병용에 의해 성형 시의 플레이트 아웃이나 성형 시, 보존 시 및 성형품으로부터의 블리드를 회피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2 및 3에는 내NOX성이 우수한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기계 강도나 신축성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0-13627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2000-15994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2000-191918호 공보
본 발명은 내후성(weather resistance)이 우수한 것과 함께, 기계 강도나 신축성 등이 저하하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해당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해 왔다. 그 결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내후성이 우수한 것과 함께, 기계 강도나 신축성 등이 저하하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더욱 연구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항에 기재된 주제를 포함한다.
항 1.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2.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0.05-75질량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1-20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를 0.01-5질량부 함유하는 항 1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3.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4.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항 3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5.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항 4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6.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시드를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것인 항 1 내지 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7.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인 항 1 내지 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8.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이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인 항 1 내지 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9.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인 항 1 내지 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항 10.
항 1 내지 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성형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추가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내후성이 우수한 것과 함께, 기계 강도나 신축성 등이 유지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특정한 비율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함으로써 내후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는 것과 함께, 기계 강도나 신축성 등도 바람직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추가하여,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특정한 비율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올레핀에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 폴리(4-메틸-1-펜텐)계 수지 등이 예시된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의 "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로서는,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틸산비닐, 초산이소프로페닐, 초산알릴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초산비닐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카르복시산 알케닐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프로필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여기에서의 "다른 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부텐, 펜텐, 헥센, 옥텐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다른 올레핀"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즉,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로 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헥센 공중합체, 프로필렌-옥텐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더욱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과산화물 등의 개시제를 사용하여 올레핀을 래디컬 중합하는 방법,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있어서, 기상법, 용액법 등에 의해 올레핀을 중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촉매로서는, 지글러ㆍ나타 촉매 및 메탈로센 촉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20,000-6,000,000,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6,000,000,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5,000,000의 범위 내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바람직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해당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농도가 0.5질량%인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동일 조건에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주지의 폴리스티렌과 비교함으로써 산출한 값이다. 또한,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 GPC컬럼
(도소 주식회사의 상품명, TSK GEL Multipore HX L -M)
컬럼 온도: 40℃
용출액: 클로로포름
유속: 1mL/min
수지의 유동성은 예를 들면, JIS K 7210: 1999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MFR, 단위: g/10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해당 방법에 의해 온도 230℃, 하중 2.16㎏으로 측정된 값이 바람직하게는 0.5-10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MFR의 값이 0.5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아서,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MFR의 값이 1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킬렌옥시드와 이산화탄소를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알킬렌옥시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1-부텐옥시드, 2-부텐옥시드, 이소부틸렌옥시드, 1-펜텐옥시드, 2-펜텐옥시드, 1-헥센옥시드, 1-옥텐옥시드, 1-데센옥시드, 시클로펜텐옥시드, 시클로헥센옥시드, 스티렌옥시드, 비닐시클로헥센옥시드, 3-페닐프로필렌옥시드, 3, 3, 3-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옥시드, 3-나프틸프로필렌옥시드, 3-페녹시프로필렌옥시드, 3-나프톡시프로필렌옥시드, 부타디엔모노옥시드, 3-페녹시프로필렌옥시드, 3-나프톡시프로필렌옥시드, 부타디엔모노옥시드, 3-비닐옥시프로필렌옥시드 및 3-트리메틸시릴옥시프로필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알킬렌옥시드 중에서도 이산화탄소와의 높은 중합 반응성을 갖는 관점에서,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프로필렌옥시드가 더욱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들의 알킬렌옥시드는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이고, 또, 프로필렌옥시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이다.
상기 금속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촉매, 아연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알킬렌옥시드와 이산화탄소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높은 중합 활성을 갖는 것에서, 아연 촉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아연 촉매 중에서도 유기 아연 촉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유기 아연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초산아연, 디에틸아연, 디부틸아연 등의 유기 아연 촉매; 1급 아민, 2가의 페놀, 2가의 방향족 카르복시산, 방향족 히드록시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 등의 화합물과 아연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유기 아연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유기 아연 촉매 중에서도 보다 높은 중합 활성을 갖는 것에서, 아연 화합물과, 지방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모노카르복시산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유기 아연 촉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중합 반응에 이용되는 상기 금속 촉매의 사용량은 알킬렌옥시드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0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촉매의 사용량이 0.001질량부 이상이면, 중합 반응을 보다 바람직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 금속 촉매의 사용량이 20질량부 이하이면, 사용량에 알맞은 효과가 바람직하게 얻어진다.
상기 중합 반응에 있어서, 알킬렌옥시드와 이산화탄소를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오토클레이브에 상기 알킬렌옥시드, 금속 촉매 및 필요에 따라서 반응 용매를 넣고,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압입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반응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유기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펜탄, 헥산, 옥탄, 데칸,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클로로메탄, 메틸렌디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1-디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에탄, 에틸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에탄, 1-클로로프로판, 2-클로로프로판, 1-클로로부탄, 2-클로로부탄, 1-클로로-2-메틸프로판, 크롤벤젠, 브로모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 용매의 사용량은 반응을 원활하게 하는 관점에서, 알킬렌옥시드 100질량부에 대하여 300-10,0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반응에서 이용되는 이산화탄소의 사용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2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0.1-10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MP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반응에 있어서의 중합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 온도가 30℃ 이상이면, 중합 반응을 보다 단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 중합 반응 온도가 100℃ 이하이면, 부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워서 수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중합 반응 시간은 중합 반응 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통상, 2-4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 종료 후에는 여과 등에 의해 여과 분별하고, 필요에 따라 용매 등으로 세정 후, 건조시킴으로써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0-2,00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1,000,000이고, 20,000-750,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중량 평균 분자량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농도가 0.5질량%인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하고,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값이다.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인 경우,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부터 블리드 아웃하여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또,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0 이하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의 분산성이 보다 향상되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으로서는, 그 하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고, 더한층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상이다. 또, 그 상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5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부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75질량부이고, 0.5-7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0-7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고, 20-60질량부가 더한층 바람직하고, 40-60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유도체 등이고, 그래프트 변성된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인산, 푸말산 및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디카르복시산의 무수물로서는, 무수 말레인산, 무수 푸말산, 무수 이타콘산 등이 예시된다.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유도체로서는, 말레인산 모노에틸에스테르, 말레인산 디에틸에스테르, 푸말산 모노메틸에스테르, 푸말산 디메틸에스테르, 이타콘산 모노에틸에스테르, 이타콘산 디에틸에스테르, 말레인산 모노아미드, 말레인산 디아미드, 푸말산 모노아미드, 푸말산 디아미드, 이타콘산 모노아미드, 이타콘산 디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소 효과가 우수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이 용이해지는 관점에서,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10,000-1,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7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500,000의 범위 내이다.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산 상태가 보다 균일하게 되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바람직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해당 중량 평균 분자량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농도가 0.5질량%인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하고,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값이다.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MFR의 값(JIS K 7210:1999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은 온도 230℃, 하중 2.16㎏ 하에서 1-100(g/10분), 바람직하게는 2-50(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MFR의 값이 1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MFR의 값이 100 이하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산 상태가 보다 균일하게 될 수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으로서는, 그 하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질량부 이상이다. 또, 그 상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질량부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20질량부이고, 0.1-2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2-18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20질량부 이하이면, 사용량에 알맞은 효과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유량이 0.01질량부 이상이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산 상태가 보다 균일하게 될 수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서는, 2-(5-메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 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 3-테트라메틸부틸)-6-(2N-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서는,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2,4-비스-(n-옥틸티오)-6-(4-히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서는, 2-히드록시벤조페논, 4-메톡시-2-히드록시벤조페논, 4-에톡시-2-히드록시벤조페논, 4-프로폭시-2-히드록시벤조페논, 4-부톡시-2-히드록시벤조페논, 4-옥톡시-2-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예로서는, 2,4-디-t-부틸페닐-3', 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히드록시벤조에이트, 4-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4-t-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높은 내후성 개량 효과가 발현되는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으로서는, 그 하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질량부 이상이다. 또, 그 상한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4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3질량부이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5질량부 이하이면, 사용량에 알맞은 효과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0.01질량부 이상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 자외선 흡수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합계 질량을 100질량부로 했을 때, 0.01-2질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1질량부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임의의 순서로 헨셀 믹서, 리본 블렌더, 블렌더 등에 의해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생성시킨 후, 해당 혼합물을 용융 혼련(混練)하는 방법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용매 등에 용해시켜서 혼합한 후,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제조 방법 중에서도 조성물의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균일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용융 혼련하는 방법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자외선 흡수제를 용융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벤트식 2축 압출기, 범버리(bunbury) 믹서, 니더, 혼련 롤 등을 이용하여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형상에 제약은 없고, 스트랜드(strand)상, 시트상, 평판상, 또는 스트랜드를 적당한 길이로 재단한 팰릿상 등의 임의의 형상이 가능하다. 특히, 성형 가공이 용이한 사출 성형에 적용시키기 위해 길이 2-50㎜의 팰릿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첨가제, 예를 들면, 금속 불활성화제, 열안정제, 중화제, 기포 방지제, 난연제, 난연 조제, 분산제, 대전 방지제, 활제, 실리카 등의 안티블로킹제,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 고무, 가소제 등 및 유리 플레이크, 마이카, 유리 가루, 유리 비드, 탤크, 클레이, 알루미나, 카본 블랙, 월스 나이트(walls night) 등의 판상, 분립상의 무기 화합물 또는 위스커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배합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3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성형체이다.
본 발명의 성형체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법, 압축 성형법, 사출 압축 성형법, 가스 주입 사출 성형법, 발포 사출 성형법,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캘린더법, 블로 성형법, 진공 성형, 압공(壓空)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가 필름 또는 시트인 경우, 인플레이션법, T다이법, 캘린더법에 의해 다른 수지와의 다층 구성의 적어도 1층으로서 제막하는 것, 또는 압출 라미네이트법, 열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으로 제막함으로써 다층화할 수 있다. 또, 얻어진 필름 또는 시트를 롤 연신법, 텐터 연신법, 튜블러 연신법 등에 의해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에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를 예를 들면, 전기ㆍ전자 부품, 건축 부품, 자동차 부품, 기계 부품, 일용품, 산업 자재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ㆍ전자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복사기,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전자 악기, 가정용 게임기, 휴대형 게임기 등의 하우징이나 내부 부품 등을 들 수 있고, 건축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커튼 부품, 블라인드 부품, 루프 패널, 단열벽, 어저스터, 플라 스틱 묶음, 천장 지지구 등을 들 수 있고, 자동차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펜더, 오버 펜더, 그릴 가드, 카울 루버, 휠캡, 사이드 프로텍터, 사이드 몰딩, 사이드 로어 스커트, 프론트 그릴, 루프 레일, 리어 스포일러, 범퍼, 인파네로어(inpaneroa), 트림 등을 들 수 있고, 기계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어, 나사, 스프링, 베어링, 레버, 캠, 래치트, 롤러 등을 들 수 있고, 일용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커틀러리, 각종 토일리트리 부품, 카튼 박스, 포장용 필름, 랩 필름, 휴대용 라미네이트 봉투, 프리페이드 카드, 가정용 랩의 톱날, 식품 트레이, 쓰레기 봉투, 라미네이트 봉투, 파우치, 라벨, 서모포밍, 포장 밴드, 직편물(의류ㆍ인테리어), 카펫, 생활 위생 자재, 포장용 필름, 케이스, 식품용 컵 등을 들 수 있고, 산업 자재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의 바인더, 종이의 코팅, 접착제, 산업용 필름, 방적사, 슬릿 얀, 로프, 넷, 필터, 직편물(산업 자재), 콤포스트백, 방수 시트, 토양용 자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얻어지는 기구는 확실치는 않고, 한정적인 해석을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결정 형태와 그 결정화도, 결정 모르폴로지(구정(球晶)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통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비정(非晶))부에 분산한다고 생각된다. 또, 자외선 흡수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분산한 상태로 존재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 존재하고 있다고 추찰된다. 그 결과, 블리드 아웃하지 않고, 경시적으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내로 서방(徐放)되는 것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내후성이 유지되는 것이라고 추찰된다.
실시예
이하에,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제조예에 의해 얻어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및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의 인장 시험 및 촉진 내후성 시험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했다.
(1) 중량 평균 분자량 측정(Mw)
측정 대상 수지의 농도가 0.5질량%인 클로로포름 용액을 조제하고, 고속 액체 크모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동일 조건에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을 주지의 폴리스티렌과 비교함으로써 분자량을 산출했다. 또, 마찬가지로, 수평균 분자량(Mn)을 구하고, 분자량 분포(Mw/Mn)를 산출했다. 또한,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측정기: HLC-8020(도소 주식회사제)
컬럼: GPC컬럼
(도소 주식회사의 상품명, TSK GEL Multipore HXL-M)
컬럼 온도: 40℃
용출액: 클로로포름
유속: 1mL/min
(2) 인장 시험
JIS K 7161:1994에 준거하여 이하의 시험편 및 측정 장치를 이용해서 파단 응력 및 파단 변형을 측정했다. 또한, 파단 응력이 클수록 강도가 우수한, 단단한 재료라고 할 수 있다. 또, 파단 변형이 클수록 신축성이 우수하고, 끈끈한 재료라고 할 수 있다.
시험편: 덤벨상 4호형
측정기: 시마즈 제작소사제 인장 시험기 AUTOGRAPH AGS-J
인장 속도: 50㎜/min
측정 온도: 25℃
(3) 촉진 내후성 시험
JIS A 1415:1999"플라스틱 건축 재료의 촉진 폭로 시험 방법"에 준거하고, 이하의 시험편 및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촉진 내후성 시험을 실시했다.
시험편: 덤벨형(넥(neck)부의 치수: 길이 10㎜ 및 폭 4㎜, 두께 0.2㎜)
측정기: 선샤인 슈퍼롱 라이프웨더미터
(WEL-SUN-HC식)스가 시험기 주식회사
측정 조건: 선샤인 카본 아크 광원, 강우 사이클(주기 120분, 강우 18분)
블랙 패널 온도: 45℃
[제조예 1](유기 아연 촉매의 제조)
혼련기, 질소 가스 도입관, 온도계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300mL용적의 4구 플라스크에 산화아연 8.1g(100밀리몰), 글루타르산 12.7g(96밀리몰), 초산 0.1g(2밀리몰) 및 톨루엔 130g(150mL)을 넣었다. 다음으로, 반응계 내를 질소 분위기로 치환한 후, 55℃까지 승온하고, 동일 온도에서 4시간 혼련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110℃까지 승온하고, 다시 동일 온도에서 4시간 혼련하여 공비 탈수시켜서 수분만을 제거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유기 아연 촉매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이 반응액의 일부를 분취(分取)하고, 여과하여 얻은 유기 아연 촉매에 대하여, 서모 니코레 재팬 주식회사제 장치(상품명: AVATAR360)를 이용하여 IR을 측정한 결과, 카르복시산기에 기초하는 피크는 인정되지 않았다.
[제조예 2](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제조)
혼련기, 가스 도입관 및 온도계를 구비한 1L용적의 오토클레이브의 계내를 미리 질소 분위기로 치환한 후, 제조예 1에 의해 얻어진 유기 아연 촉매를 포함하는 반응액 8.0mL(유기 아연 촉매를 1.0g 포함한다), 헥산 131g(200mL) 및 프로필렌옥시드 46.5g(0.80몰)을 넣었다. 다음으로, 혼련 하, 이산화탄소를 추가하여 반응계 내를 이산화탄소 분위기로 치환하고, 반응계 내가 1.5MPa로 되기까지 이산화탄소를 충전했다. 그 후, 60℃로 승온하고, 반응에 의해 소비되는 이산화탄소를 보급하면서 6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반응 종료 후, 오토클레이브를 냉각하여 탈압하고, 여과한 후, 감압 건조하여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 80.8g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36,000(Mw/Mn=9.02)이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
표 1의 배합에 따라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PP계 공중합체)(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제, 상품명 노브렌AZ564, MFR=30g/10min),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산변성 PP)(미츠이 화학 주식회사제, 상품명 아드머QE800,MFR=9.1g/10min),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PC) 및 자외선 흡수제(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치바ㆍ재팬 주식회사제, 상품명 TINUVIN 120)를 혼련기(주식회사 도요 세이키 제작소제 라보플라스토밀 롤러 믹서R60형)를 이용하여 설정 온도 180℃, 회전수 40rpm으로 5분간 혼련해서 용융 혼합물을 얻었다.
두께 0.6㎜의 알루미제의 형틀(10㎝×10㎝)에 용융 혼합물 약 5g을 재고, 펫 시트, 또한 스테인레스판으로 끼우고, Tg(유리 전이점) 이상으로 가열한 프레스 장치에 넣고, 5.0-10.0MPa의 압력으로 약 2분간 프레스했다. 프레스 후, 여열(余熱)을 제거하기 위해 실온 이하로 냉각된 프레스 장치에 넣고, 0.1-1.0MPa의 압력으로 약 1분간 프레스하는 것으로 인장 시험용 샘플(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을 이용하여 소정 기간(500시간), 촉진 내후성 시험을 실시했다. 촉진 시험 후의 시험편을 이용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파단 응력 및 파단 변형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7-12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 바꾸어서 힌더드아민계 산화 방지제(치바ㆍ재팬 주식회사제, 상품명 CHIMASSORB944 FDL)를 이용한 이외는 비교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편을 제조해서 평가했다.
비교예 13-18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 바꾸어서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제, 상품명 SUMILIZER BHT)를 이용한 이외는 비교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편을 제조해서 평가했다.
또한, 힌더드아민계 산화 방지제 및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수지의 내후성(특히, 빛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수지 첨가제(광안정화제)이다. 따라서, 표 1에서는 이들을 정리하여 "광안정화제"로 기재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배합 처방 (하단: 질량부) 촉진 내후성 시험(Hr) 인장 시험
PP계 공중합체 PPC 산변성 PP 광안정화제 파단 응력(MPa) 파단 변형
(%)
실시예 1 63 30 7 0.1 0 18.0 5.6
실시예 2 63 30 7 0.1 500 17.9 2.6
실시예 3 63 30 7 0.5 0 15.3 3.8
실시예 4 63 30 7 0.5 500 15.2 3.6
비교예 1 63 30 7 0 0 16.2 4.3
비교예 2 63 30 7 0 500 2.7 1.1
비교예 3 100 0 0 0.1 0 22.2 34.0
비교예 4 100 0 0 0.1 500 12.7 1.8
비교예 5 90 0 10 0.1 0 22.0 27.0
비교예 6 90 0 10 0.1 500 (X) (X)
비교예 7 100 0 0 0.1 0 23.0 47.1
비교예 8 100 0 0 0.1 500 (X) (X)
비교예 9 90 0 10 0.1 0 22.0 23.6
비교예 10 90 0 10 0.1 500 9.3 1.8
비교예 11 63 30 7 0.1 0 15.9 7.7
비교예 12 63 30 7 0.1 500 4.3 1.9
비교예 13 100 0 0 0.1 0 23.4 41.9
비교예 14 100 0 0 0.1 500 (X) (X)
비교예 15 90 0 10 0.1 0 22.0 34.6
비교예 16 90 0 10 0.1 500 (X) (X)
비교예 17 63 30 7 0.1 0 15.6 6.7
비교예 18 63 30 7 0.1 500 1.1 1.0
(X): 촉진 시험 후의 샘플에 균열이 인정되어, 인장 시험을 실시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1-4, 비교예 1-18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서는 내후성 시험 후이어도 인장 시험에서의 기계 강도가 유지되고 있으며, 따라서, 내후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0.05~75질량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0.01~20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를 0.01~5질량부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공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이산화탄소와 알킬렌옥시드를 금속 촉매의 존재 하에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것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이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이고,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이고,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이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성형체.
  10. 삭제
KR1020140049078A 2013-04-25 2014-04-24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2155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2241A JP6124666B2 (ja) 2013-04-25 2013-04-25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JP-P-2013-092241 2013-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768A KR20140127768A (ko) 2014-11-04
KR102155352B1 true KR102155352B1 (ko) 2020-09-11

Family

ID=5176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078A KR102155352B1 (ko) 2013-04-25 2014-04-24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24666B2 (ko)
KR (1) KR102155352B1 (ko)
CN (1) CN104119632A (ko)
TW (1) TWI615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6684B (zh) * 2017-09-04 2019-06-21 诚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老化的塑料包装袋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6687A (ja) * 2005-12-14 2007-07-26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10138326A (ja) * 2008-12-12 2010-06-24 Toudai Tlo Ltd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から成形された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270A (ja) 1998-10-30 2000-05-16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2000159945A (ja) 1998-11-30 2000-06-13 Dainippon Ink & Chem Inc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4135041B2 (ja) 1998-12-25 2008-08-20 Dic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PT2627713T (pt) * 2010-10-11 2019-09-27 Novomer Inc Misturas de polímeros campo da invençã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6687A (ja) * 2005-12-14 2007-07-26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10138326A (ja) * 2008-12-12 2010-06-24 Toudai Tlo Ltd ポリ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から成形された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4215A (ja) 2014-11-17
TW201500430A (zh) 2015-01-01
KR20140127768A (ko) 2014-11-04
JP6124666B2 (ja) 2017-05-10
CN104119632A (zh) 2014-10-29
TWI615429B (zh)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032B2 (ja) 相溶化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およびポリ乳酸配合物並びにそれらの製造および使用方法
JP4926062B2 (ja) 紫外線(uv)吸収性化合物およびuv吸収性化合物含有組成物
US20030195282A1 (en) Stabilized gamma irradiated polyolefins
JP6790837B2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系共重合体及び該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20200095410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molding, and polyolefin resin film
KR102128332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2155352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EP3418329B1 (en) Polyolefin-based resin composition and polyolefin-based resin film
KR20100123675A (ko) 폴리프로필렌/폴리이소부틸렌 블렌드와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
CN109476793A (zh) 成核聚烯烃组合物及其方法和用途
JP3714054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6707736B2 (ja) 樹脂組成物、複合材料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538712B1 (ko) 투명성 및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538713B1 (ko) 투명성 및 진공성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CA3229235A1 (en) Dynamically crosslinkable polymeric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JP5538122B2 (ja) 重合体及びそれからなる帯電防止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