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032B1 -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032B1
KR102155032B1 KR1020190178447A KR20190178447A KR102155032B1 KR 102155032 B1 KR102155032 B1 KR 102155032B1 KR 1020190178447 A KR1020190178447 A KR 1020190178447A KR 20190178447 A KR20190178447 A KR 20190178447A KR 102155032 B1 KR102155032 B1 KR 102155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 sauce
salt
container body
salt extra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상
Original Assignee
이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상 filed Critical 이유상
Priority to KR102019017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에 있어서, 상기 간장은 메주를 쑤어 자연발효시키고 이를 해수에 담가 숙성시켜 완성되며, 상기 소금은 NaCl, Al, B, Ba, Ca, Fe, K, Mg, Si을 포함하는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ALT EXTRACTED FROM SOY SAUCE}
본 발명은 소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맛의 미각 중 짠맛을 대표하는 중요한 맛으로, 조미·염장 등의 식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국이나 반찬 등의 음식에 간을 맞춰 그 맛을 더욱 돋구는 구실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금의 종래 제조방법은 천연으로 산출되는 염화나트륨의 결정인 암염을 직접 채굴하거나, 염전에서 천일 제염법으로 만들거나, 바닷물을 농축하고 끓이거나, 식염천 등에서 해수을 가져와 끓이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소득향상에 따른 식생활의 개선으로 인해 천연 자연식품과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 즉 음식에 맛을 내는 조미료에 대한 관심 또한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천연조미료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쑥, 해초, 마늘, 황토, 오가피 등을 이용한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6-000678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은 간장의 독특한 색상과 맛을 구비함으로써 소비자의 식욕을 자극하도록 하는 소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은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간장은 메주를 쑤어 자연발효시키고 이를 해수에 담가 숙성시켜 완성되며, 상기 소금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상기 간장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용기 내부의 간장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된 소금 추출모듈을 가열 및 회전시켜서 상기 간장을 유동시키는 단계; 상기 소금 추출모듈의 상면에 소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소금 추출모듈을 진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소금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용기는, 상기 간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상발열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용기 본체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는 소금 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재는,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상기 유기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내열성 광확산 렌즈, 상기 덮개판의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덮개지지부; 및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금 추출모듈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 맞닿고,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소금 추출판; 상기 소금 추출판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소금 추출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회전모듈; 및 상기 소금 추출판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소금 추출판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금 추출판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형성된 원형 평판부; 상기 원형 평판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면상 발열부; 상기 원형 평판부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소금 추출판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직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금 추출판의 회전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는 상기 면상발열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용기 본체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는 소금 추출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은 일반적인 소금과는 다르게 간장의 색상을 띄고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장의 고유의 맛과 향을 구비함으로써 요리에 적용될 경우 풍부한 맛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위생적인 환경 하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화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4는 소금제조를 위하여 적용되는 용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화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금은 간장을 준비하는 단계와, 준비된 간장을 끓이는 단계와, 간장의 수분을 없앤 후 고형물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소금을 이루게 되는 고형물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간장을 준비하는 단계는 보다 상세하게는 메주를 쑤어 이를 해수에 담가 이루어지는 기초 간장을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주는 쑤어 자연 발효시킨 후 이를 해수에 담가 숙성시키게 된다.
상기 간장을 만드는 방법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방식인 재래식 방법을 따르도록 하게 되며 간략이 설명하면 겨울철 콩으로 메주를 쑤어 자연발효시킨 후, 다음 해 봄에 해수에 자연발효시킨 메주를 담가 1~2개월 숙성시켜 간장을 제조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메주를 해수에 담근 후 대략 3일이 지나면 간장의 군냄새를 없애고 세균의 번식을 막기 위해 숯과 붉은 통고추를 넣는 단계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래식 이외의 방법인 개략식 방법으로도 간장을 제조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간장의 고유한 맛과 독특한 색상을 내기 위해서는 재래식에 의한 간장 제조 방법으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장은 보통 18~25% 정도의 염분을 함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준비된 간장은 가마솥에 넣어 끓이게 된다. 즉, 가열방식도 전통적인 방식으로 끓이는 방법이 적용된다.
상기 가마솥에 넣어 끓이는 가열단계에 의하여 대부분의 수분이 증발되게 되며 바닥에는 간장을 이루는 주요 성분이 고체화된 고형물이 추출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준비된 간장을 가마솥에 넣고 5시간 정도 장작의 약한 불 또는 중간 불로 끓이게 되는데, 이때 간장에 함유되었던 독성 물질들은 간장의 발효균과 끓이는 과정에 의하여 1차적으로 제거되어 진다.
또한, 간장에 포함되었던 수분은 50~70 중량% 증발되고 일정 형태의 고형물이 추출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추출된 고형물을 외부로 빼낸 후 고형물을 분쇄하여 작은 가루나 덩어리 형태가 되도록 한 후에는 다시 별도의 가마솥에 넣고 1시간 30분 내지 2시간 정도 장작의 불에서 서서히 약한 불로 변화를 주면서 볶게 되는데, 이때 처음에는 고형물이 젖어 있는 상태이므로 중간불에 볶아 말린 후 서서히 약한 불로 가열하면서 소금 고형물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추가 볶는 과정에서 간장에 함유된 독성물질은 완전히 제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을 이루는 고형물은 도 2 내지 3의 시험성적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성분을 구비하게 된다.
즉, NaCl, Al, B, Ba, Ca, Fe, K, Mg, Si, 수분을 시험성적서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소금이 수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소금 제조방법에는 가마솥 이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를 이용한 제조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용기 본체(100), 면상발열체(210, 220, 230), 수위센서(300), 소금 추출모듈(400), 덮개부재(500)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00)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간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면상발열체(210, 220, 230)는 용기 본체(100)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용기 본체(10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 제어모듈에 의하여 On/Off 제어되며, 용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간장에 열을 인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간장의 수위에 기초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300)는 용기 본체(100)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용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간장의 수위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검출한 간장의 수위에 기초하여 면상발열체(200) 및 소금 추출모듈(400)의 구동이 결정된다.
상기 소금 추출모듈(400)은 용기 본체(100)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소금 추출판(410), 회전모듈(420), 제1 초음파 진동자(430) 및 제2 초음파 진동자(4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소금 추출판(410)은 용기 본체(100)의 내주면과 맞닿고 용기 본체(100)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소금 추출판(410)은 원형 평판부(411), 면상 발열부(412), 수직부(413) 및 돌출부(414)를 포함한다.
원형 평판부(411)는 용기 본체(100)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형성된 구성으로,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이 최종적으로 안착되는 구성이다.
면상 발열부(412)는 원형 평판부(411)의 하단에 배치되어 원형 평판부(411)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직부(413)는 원형 평판부(411)의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며, 돌출부(414)는 수직부(413)의 상단으로부터 소금 추출판(410)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이러한 돌출부(414)는 수직부(413)를 기준으로 소금 추출판(410)의 회전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원형 평판부(411)의 회전에 의하여 소금 추출모듈(400) 내에 수용된 간장이 소금 추출모듈(40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모듈(420)은 소금 추출판(410) 및 용기 본체(100)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소금 추출판(4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모듈(420)에 의하여 원형 평판부(411)가 회전할 경우 얼마 남지 않은 간장을 유동시킴으로써 간장에서 소금이 과도하게 뭉쳐서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초음파 진동자(430) 및 제2 초음파 진동자(440)는 소금 추출판(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소금 추출판(100) 상부에 붙은 소금을 소금 추출판(100)으로부터 떼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1 초음파 진동자(430) 및 제2 초음파 진동자(440)는 소금 추출판(41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균일한 초음파 진동을 소금 추출판(10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덮개부재(500)는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용기 본체(100) 내부에 수용된 간장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덮개부재(500)는 구체적으로 덮개판(510), 유기발광 다이오드(520), 확산 렌즈(530), 덮개지지부(540) 및 통기공(5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덮개판(51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를 덮기 위한 구성이며, 유기발광 다이오드(520)는 덮개판(510)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며, 내열성 확산 렌즈(530)는 유기발광 다이오드(520)에서 발산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덮개부재(500)에 의하여 용기 본체(100) 상부를 덮을 경우, 태양광이 용기 본체(100) 내에 들어오는 것이 차단되며, 이를 통하여 빛에 의한 간장 자체의 발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유기발광 다이오드(520) 및 내열성 확산 렌즈(5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지지부(540)는 덮개판(510)의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며, 통기공(550)은 덮개지지부(540)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용기 본체(100) 내부 및 외부 사이를 통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통기공(550)을 통하여 용기 본체(100)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제어모듈은 상술한 면상발열체(200), 소금 추출모듈(400) 및 덮개부재(5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모듈에 의한 용기(10)의 각 구성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해보면, 먼저 용기 본체(100)에 간장을 유입한 후 덮개부재(500)를 덮개되면 제어모듈은 면상발열체(200)를 구동시켜 용기 본체(100) 내부의 간장을 가열하는 동시에 덮개부재(500)의 유기발광 다이오드(520)를 구동시킨다.
아울러 제어모듈은 수위센서(300)로부터 용기 본체(100) 내부의 간장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전달받으며, 이때 제어모듈이 수위센서(300)로부터 전달받은 간장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낮다고 판단할 경우, 제어모듈은 면상발열체(200)를 오프(Off)시키는 동시에 소금 추출모듈(400)을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은 소금 추출모듈(400)의 면상 발열부(412) 및 회전모듈(420), 제1 초음파 진동자 및 제2 초음파 진동자를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원형 평판부(411)를 가열시키는 동시에 회전시키며, 이를 통하여 간장으로부터 소금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평판부(411) 상측으로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중량부(30)와, 상기 중량부(30) 상측으로 오목거울부(33)가 구비되어 간장이 기 설정 높이까지 증발되어 수위가 낮아지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모듈에 의한 용기(10)의 각 구성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해보면, 먼저 용기 본체(100)에 간장을 유입한 후 덮개부재(500)를 덮개되면 제어모듈은 제1, 제2 및 제3 면상발열체(210, 220, 230)를 모두 구동시켜 용기 본체(100) 내부의 간장을 가열하는 동시에 덮개부재(500)의 유기발광 다이오드(520)를 구동시킨다.
아울러 제어모듈은 수위센서(300)로부터 용기 본체(100) 내부의 간장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전달받으며, 이때 제어모듈이 수위센서(300)로부터 전달받은 간장의 수위에 기초하여 제1 면상발열체(210), 제2 면상발열체(220) 및 제3 면상발열체(230)를 순차적으로 오프(Off) 시킨다.
아울러 제3 면상발열체(230)를 오프(Off)시킨 이후에 제어모듈은 소금 추출모듈(400)을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시키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용기
100: 용기 본체
210, 220, 230: 면상 발열체
300: 수위센서
400: 소금 추출모듈
500: 덮개부재

Claims (3)

  1. 항아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간장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면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용기 본체를 감싸는 형태로 상하로 복수 개 배치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수위센서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는 소금추출판과,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금추출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과, 상기 용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금추출판을 초음파 진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를 포함하는 용기에 메주를 쑤어 자연발효시키고 이를 해수에 담가 숙성시켜 완성된 간장을 수용시키고,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간장의 수위에 따라서 대응되는 위치의 면상발열체를 가열시키고,
    상기 용기 내부의 간장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소금추출판을 회전시키고,
    상기 소금추출판을 진동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추출되도록 제조되는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소금은 NaCl, Al, B, Ba, Ca, Fe, K, Mg, Si을 포함하는,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3. 삭제
KR1020190178447A 2019-12-30 2019-12-30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KR102155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47A KR102155032B1 (ko) 2019-12-30 2019-12-30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47A KR102155032B1 (ko) 2019-12-30 2019-12-30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032B1 true KR102155032B1 (ko) 2020-09-11

Family

ID=7247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447A KR102155032B1 (ko) 2019-12-30 2019-12-30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0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374B1 (ko) * 2021-05-13 2021-11-22 백은영 간장소금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2358684B1 (ko) * 2021-05-13 2022-02-08 백은영 간장소금을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87A (ko) 1994-08-17 1996-03-22 김충식 해초(海草) 저염(低鹽) 맛소금의 제조방법
KR20070083158A (ko) * 2006-07-13 2007-08-23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과 간장을 제조하는방법
KR20080024099A (ko) * 2006-09-12 2008-03-17 최청 기능성이 향상된 간장의 제조방법
KR100913286B1 (ko) * 2009-03-20 2009-08-21 김소영 간장을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KR20180010353A (ko) * 2016-07-20 2018-01-31 주식회사 에이치앤씨후아이엠 백금성분이 포함된 기능성 천연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87A (ko) 1994-08-17 1996-03-22 김충식 해초(海草) 저염(低鹽) 맛소금의 제조방법
KR20070083158A (ko) * 2006-07-13 2007-08-23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과 간장을 제조하는방법
KR20080024099A (ko) * 2006-09-12 2008-03-17 최청 기능성이 향상된 간장의 제조방법
KR100913286B1 (ko) * 2009-03-20 2009-08-21 김소영 간장을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KR20180010353A (ko) * 2016-07-20 2018-01-31 주식회사 에이치앤씨후아이엠 백금성분이 포함된 기능성 천연소금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374B1 (ko) * 2021-05-13 2021-11-22 백은영 간장소금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2358684B1 (ko) * 2021-05-13 2022-02-08 백은영 간장소금을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032B1 (ko) 간장으로부터 추출된 소금 제조 방법
CN102429266A (zh) 一种开口带壳澳洲坚果的加工方法
KR101898300B1 (ko) 천연자원 기능성 물질의 발효숙성액을 이용한 기능성 천일염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금
CN102379432A (zh) 鱼肉松的制作方法
KR101232471B1 (ko) 한방 오리 백숙 및 누룽지탕의 조리방법
CN1846537A (zh) 一种用海胆牡蛎香菇制备的海鲜调味品及其工艺方法
JP4502275B2 (ja) 乾燥キムチの製造方法、乾燥キムチ粉末の製造方法、乾燥キムチ及び乾燥キムチ粉末
JP2001220134A (ja) 天日塩とそ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ならびに酵素入り天日塩とその製造方法
KR100634056B1 (ko) 전복의 포장방법
KR20060098497A (ko) 청국장의 제조방법
Lee Primitive Pottery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KR102431580B1 (ko) 액젓 분말 조미료 제조 방법
KR100437654B1 (ko) 대나무삼계탕을 요리하는 방법
KR19980084809A (ko) 대나무를 이용한 영양식품의 제조방법
KR101988132B1 (ko) 대나무통 숙성 모링가 깍두기와 이의 제조방법
WO2008035902A1 (en) Method of making smoked egg using traditional medicine material and quartz porphyry
KR101269977B1 (ko) 숙성기간을 단축시켜 제공되는 된장의 제조방법
KR20070051984A (ko) 라면국물차
KR20230035865A (ko) 황토 참숯 훈제 항아리와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JP4518456B2 (ja) 味噌の熟成促進剤及び該熟成促進剤を使用した味噌の製造法
KR20190060286A (ko) 대나무통 숙성 모링가 장아찌와 이의 제조방법
JP3816075B2 (ja) 昆布じめ鮨
RU2411837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мпота из груш
RU241698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та из черной смородины
JP2024017111A (ja) 体内を還元させる味噌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