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231B1 -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231B1
KR102154231B1 KR1020180064253A KR20180064253A KR102154231B1 KR 102154231 B1 KR102154231 B1 KR 102154231B1 KR 1020180064253 A KR1020180064253 A KR 1020180064253A KR 20180064253 A KR20180064253 A KR 20180064253A KR 102154231 B1 KR102154231 B1 KR 10215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lunger
check valve
blood
tens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722A (ko
Inventor
토시히코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9000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 F16K15/04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spring-loaded by a spring other than a helicoidal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간소한 구성으로, 메인터넌스의 작업 효율을 향상하고, 게다가, 씰 기능 및 체크 밸브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하는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플런저(20) 또는 하우징(30)이, 체크 밸브(50)를 배치하는 밸브 설치혈부와, 밸브 설치혈부에 배치된 체크 밸브(50)의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밸브 이동 규제부를 갖고, 코일 용수철(40)이, 소경부(41)와, 소경부(41)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체크 밸브(50)에 당접해서 배치되는 대경부(42)를 갖고, 체크 밸브(50)를 오일 공급로 측을 향하여 부세하도록 배치되고, 대경부(42)의 최대 지름은, 밸브 설치혈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텐셔너(10)이다.

Description

텐셔너{TENSIONER}
본 발명은, 주행하는 체인이나 벨트 등에 적정 장력을 부여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텐셔너를 이용하는 것이 관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엔진 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켓(sprocket) 간에 무단현 설정된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텐셔너 레버에 의해서 접동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서,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기 위해서 텐셔너에 의해서 텐셔너 레버를 부세하는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 특허문헌 1의 텐셔너(510)는, 도 5A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521)을 갖는 플런저(520)와, 플런저(520)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을 갖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과, 플런저(520) 및 플런저 수용혈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511)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플런저(5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540)과, 하우징의 외부에서 압유실(511) 내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로와, 오일 공급로 측에서 압유실(511) 측으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압유실(511) 측에서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5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텐셔너(510)는, 도 5A에 나타내듯이, 플런저혈(521)의 내주벽에 형성된 단차부(521c)에 의해서, 체크 밸브(550)의 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로, 코일 용수철(540)에 의해서 체크 밸브(550)를 전방 측으로 부세하는 것에 의해서, 체크 밸브(550)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6-10253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 기재의 텐셔너(510)에서는, 코일 용수철(540)의 부세력에 의해서 체크 밸브(550)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하고 있으므로, 하우징에서 플런저(520)를 뽑아내 텐셔너(510)를 메인터넌스 할 때에는, 도 5B에 나타내듯이, 체크 밸브(550)가 플런저혈(521) 내에서 기울거나, 체크 밸브(550)가 플런저혈(521) 내에서 탈락할 수 있고, 그 결과, 메인터넌스의 작업 효율의 저하나 체크 밸브(550)의 분실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러한 텐셔너(510)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듯이, 코일 용수철(540)에 의해서, 체크 밸브(550)의 시트 부재(551)를 단차부(521c)에 가압함으로써, 시트 부재(551) 및 단차부(521c)의 사이를 씰(seal)하고 있다. 그런데, 도 5C에 나타내듯이, 지름 방향에서 플런저혈(521)과 체크 밸브(550)의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경우이며, 플런저(520)에 대해서 체크 밸브(550)가 지름 방향으로 편이를 일으켰을 경우, 시트 부재(551) 및 단차부(521c)의 사이의 접촉면이 둘레 방향으로 불균등하게 되어, 씰 기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체크 밸브(550)의 형태에 따라서는, 텐셔너(510)의 조립 시에, 코일 용수철(540)의 선단부(540a)가, 체크 밸브(550)의 일부(도 6의 예에서는, 체크 밸브(550)의 리테이너(553)에 형성된 슬릿(553a))에 걸리고, 코일 용수철(540)이나 체크 밸브(550)에 변형 등의 결함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코일 용수철(540)의 선단부(540a)가 체크 밸브(550)에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체크 밸브(550)를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고, 체크 밸브(550)의 설계 자유도가 제한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거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메인터넌스의 작업 효율을 향상하고, 더불어, 씰 기능 및 체크 밸브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하는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압유실 내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로와, 상기 오일 공급로 측에서 상기 압유실 측으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압유실 측에서 상기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텐셔너며이며, 상기 플런저 또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크 밸브를 배치하는 밸브 설치혈부와, 상기 밸브 설치혈부에 배치된 상기 체크 밸브의 상기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밸브 이동 규제부를 갖고, 상기 코일 용수철은,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크 밸브에 당접해서 배치되는 대경부를 갖고, 상기 체크 밸브를 상기 오일 공급로 측을 향하여 부세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밸브 설치혈부 내에 배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대경부의 최대 지름은, 상기 밸브 설치혈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코일 용수철이, 소경부와, 체크 밸브에 당접해서 배치되는 측에 형성된 대경부를 갖고, 밸브 설치혈부 내에 배치되는 부분에서의 대경부의 최대 지름이, 밸브 설치혈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밸브 설치혈부에 코일 용수철을 조립한 상태로, 밸브 설치혈부 내에서 코일 용수철의 대경부를 축경하도록 탄성변형 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밸브 설치혈부가 형성된 플런저 또는 하우징에 대해서, 체크 밸브 및 코일 용수철을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에서 플런저를 뽑아내 텐셔너를 메인터넌스 할 때에, 체크 밸브의 자세에 기울기가 생기거나, 체크 밸브의 탈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터넌스의 작업 효율의 저하나 체크 밸브의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플런저 또는 하우징에 대해서, 체크 밸브 및 코일 용수철을 고정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텐셔너의 조립 작업이나 반송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 설비를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체크 밸브 및 밸브 이동 규제부의 접촉면 간의 씰 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체크 밸브에 당접해서 배치되는 측에 대경부를 형성함으로써, 체크 밸브에 대한 코일 용수철의 선단부의 걸림을 회피하면서, 지름 방향에서 밸브 설치혈부와 체크 밸브와의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경우에도, 코일 용수철에 의해서 밸브 설치혈부 내에서의 체크 밸브의 위치를 중앙으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크 밸브와 밸브 이동 규제부를 둘레 방향으로 균등하게 접촉시키고, 체크 밸브 및 밸브 이동 규제부의 접촉면 간의 씰 기능을 양호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 대경부의 최대 지름이 밸브 설치혈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코일 용수철의 대경부와 밸브 설치혈부와의 사이에는 틈새가 없고, 밸브 설치혈부 내에서 코일 용수철이 지름 방향으로 엇갈림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에 의해서 밸브 설치혈부 내에서의 체크 밸브의 위치를 중앙으로 확실히 보낼 수 있다.
또, 체크 밸브에 당접해서 배치되는 측에 대경부를 형성하고, 체크 밸브에 대한 코일 용수철의 선단부의 걸림을 회피함으로써, 체크 밸브에 대한 코일 용수철의 선단부의 걸림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체크 밸브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대경부가, 소경부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확경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므로, 지름 방향에서 밸브 설치혈부와 체크 밸브와의 사이에 틈새가 있는 경우에도, 코일 용수철에 의해서 밸브 설치혈부 내에서의 체크 밸브의 위치를 중앙으로 원활히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소경부의 일부가, 체크 밸브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소경부에 의해서, 밸브 설치혈부 내에서의 체크 밸브의 위치를 중앙으로 확실히 보낼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코일 용수철이나 체크 밸브를 중심으로 나타내 보이는 설명도.
[도 4]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관련 기술의 텐셔너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B] 관련 기술의 텐셔너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C] 관련 기술의 텐셔너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 관련 기술의 텐셔너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텐셔너(1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자동차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체인 전동장치에 짜넣어지는 것으로, 엔진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복수의 스프로켓(sprocket)(S1~S3)에 걸어 돌려진 전동 체인(CH)의 이완 측에 텐셔너 레버(G)를 개입시켜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고, 주행 시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텐셔너(1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원통형의 플런저혈(21)을 갖는 플런저(20)와, 플런저(20)를 수용하는 플런저 수용혈(31)을 갖는 하우징(30)과, 플런저 수용혈(31)과 플런저(20)의 후단 측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11)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플런저(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40)과, 하우징(30)의 외부에서 압유실(11) 내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로와, 오일 공급로 측에서 압유실(11) 측으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압유실(11) 측에서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5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 및 플런저(20)의 사이에 형성된 내측 공간은, 플런저혈(21) 내에 설치된 체크 밸브(50)에 의해서, 후방 측의 압유실(11) 및 전방 측의 저유실(12)로 구획되고 있다.
이하에, 텐셔너(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플런저(20)는, 철 등의 금속으로 유저(有底)의 원통상(円筒狀)으로 형성되고, 도 2에 나타내듯이, 플런저 수용혈(31) 내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고 있다.
플런저(20)의 플런저혈(21)은, 도 2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의 대경혈(21a)과, 대경혈(21a)의 전방 측에 연속하여 동축 상에 형성된 전방 측의 소경혈(21b)과, 이들 대경혈(21a) 및 소경혈(21b)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21c)를 가지고 있다.
플런저혈(21)의 내벽에 형성된 단차부(21c)는, 도 2에 나타내듯이, 밸브 설치혈부에 배치된 체크 밸브(50)의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밸브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또, 플런저혈(21)의 일부인 대경혈(21a)의 전방 측 부분은, 체크 밸브(50)(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밸브 설치혈부로서 기능한다.
또, 플런저(2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연통 조정구(22)와, 연통 조정구(22)에서 소경혈(21b)(저유실(12)) 내로 오일을 공급하는 플런저유 공급공(23)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30)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하우징(3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관통하고, 연통 조정구(22)에 오일을 공급하는 하우징유 공급공(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저유실(12), 연통 조정구(22), 플런저유 공급공(23), 및, 하우징유 공급공(도시하지 않음)은, 하우징(30)의 외부에서 압유실(11)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공급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술한 연통 조정구(22)는, 플런저(20)의 외주면 또는 플런저 수용혈(3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하면 좋다.
코일 용수철(40)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그 일단(전단)을 체크 밸브(50)(리테이너(53)의 플랜지부(53c))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그 타단(후단)을 플런저 수용혈(31)의 저부에 당접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40)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플런저(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함과 동시에, 체크 밸브(50)(리테이너(53)의 플랜지부(53c) 및 시트 부재(51))를 밸브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단차부(21c)에 가압하고, 체크 밸브(50)를 밸브 설치혈부로서 기능하는 대경혈(21a) 내에서 고정하고 있다.
코일 용수철(40)은,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의 소경부(41)와, 소경부(41)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체크 밸브(50)(리테이너(53)의 플랜지부(53c))에 당접해서 배치되는 전방 측의 대경부(42)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42) 및 소경부(41)의 일부는, 체크 밸브(50)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다.
밸브 설치혈부 내에 배치되는 부분에서의 대경부(42)의 최대 지름은, 밸브 설치혈부로서 기능하는 대경혈(21a)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이것에 의해, 대경혈(21a) 내에 배치된 대경부(42)는, 축경하도록 내주 측으로 탄성변형 한다.
또, 대경부(42)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소경부(41)에서 멀어짐(선단 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확경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체크 밸브(50)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시트 부재(51)와, 구상(球狀)의 밸브 부재(52)와, 밸브 부재(52)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테이너(53)와, 밸브 부재(52)와 리테이너(53)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밸브 부재(52)를 시트 부재(51)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것이지만,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필수의 구성이 아니고,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 체크 밸브(50)의 각 구성 부재는, 금속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시트 부재(51)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상의 기초부(51a)와, 기초부(51a)의 관통공의 가장자리에서 돌출하는 원통형의 시트부(51b)를 가지고 있다.
밸브 부재(52)는, 구상으로 형성되고, 시트부(51b)의 선단부에, 밀착한 상태로 착석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53)는, 밸브 부재(52)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대략 원판상의 정부(頂部)(53a)와, 정부(53a)의 주연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수하하고, 시트부(51b)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스커트부(53b)와, 스커트부(53b)의 전단으로부터 외주 측으로 퍼지는 플랜지부(53c)를 가지고 있다.
또, 스커트부(53b) 및 플랜지부(53c)에는, 스커트부(53b)의 후단으로부터 플랜지부(53c)의 외주연까지 연장되는 슬릿부(도시하지 않음)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있다.
또, 시트부(51b) 및 스커트부(53b)는, 후방 측에서 전방 측을 향하여 축경하고, 시트부(51b)의 외주 측에 스커트부(53b)가 감합하고 있다.
체크 밸브(50)와 밸브 설치혈부와 대경부(42)는, 밸브 설치혈부 내에 체크 밸브(50)를 배치한 상태로, 밸브 설치혈부 내에 코일 용수철(40)을 삽입했을 때에, 대경부(42)의 선단부가 체크 밸브(50)에 접촉하지 않는 치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 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 구성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제2 실시 형태의 플런저(20)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연통 조정구(22) 및 플런저유 공급공(23)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제2 실시 형태의 하우징(30)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하우징유 공급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2 실시 형태의 하우징(30)에는, 플런저 수용혈(31)과, 플런저 수용혈(31)의 후방 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플런저 수용혈(31)보다 소경인 원통형의 설치혈(32)과, 설치혈(32)의 후방 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설치혈(32)보다 소경인 원통형의 소경혈(33)과, 하우징(30)의 후방 저부에 관통 형성되어, 하우징(30)의 외부와 플런저 수용혈(31)을 연통시키는 하우징공(34)이 형성되고 있다.
이 하우징공(34)은, 하우징(30)의 외부에서 압유실(11)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로로서 기능한다.
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30) 및 플런저(20)의 사이에 형성된 내측 공간이, 체크 밸브(50)에 의해서, 후방 측의 압유실(11) 및 전방 측의 저유실(12)로 구획되고 있었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저유실(12)이 설치되지 않았다.
또, 제2 실시 형태의 체크 밸브(50)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하우징(30)의 설치혈(32) 내에, 시트 부재(51)를 후방으로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30)의 설치혈(32)이, 체크 밸브(50)(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밸브 설치혈부로서 기능한다.
또, 제2 실시 형태의 체크 밸브(50)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설치혈(32)의 저면에 의해서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설치혈(32)의 저면이 밸브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또, 제2 실시 형태의 코일 용수철(40)은, 도 4에 나타내듯이, 대경부(42)를 후방 측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고, 그 일단인 대경부(42)를 체크 밸브(50)(리테이너(53)의 플랜지부(53c))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그 타단을 플런저혈(21)의 저부(플런저(20)의 전방 측 부분)에 당접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대경부(42)(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설치혈부로서 기능하는 설치혈(32) 내에 삽입되어, 설치혈(32) 내에서 축경하도록 내주 측으로 탄성변형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복수의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텐셔너를 구성해도 아무 상관없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가 자동차 엔진용의 타이밍 시스템에 짜넣어지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텐셔너의 구체적 용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가 텐셔너 레버를 개입시켜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플런저의 선단에 직접적으로 전동 체인의 접동 안내를 실시하고,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동 체인에 의한 전동 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의 유사한 전동 기구에 적용되어도 좋고, 장척물(長尺物)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는 용도이면, 여러 가지의 산업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엔진 블록 등에 장착되는 소위 텐셔너 바디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우징의 구체적 태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텐셔너 바디에 형성된 바디공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소위 슬리브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용수철이, 소경부와, 소경부의 일단 측에 형성되는 대경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코일 용수철의 구체적 태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경부의 일단 측 및 타단 측에 각각 대경부를 형성해도 좋고, 이 경우, 텐셔너의 조립 시에, 코일 용수철의 설치의 방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대경부가, 소경부에서 멀어짐(선단 측을 향함)에 따라서 확경하도록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대경부의 구체적 태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소경부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확경한 후에 축경하도록, 대경부가 형성되고 있어도 좋다.
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대경부의 전체가, 밸브 설치혈부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대경부의 일부만을, 밸브 설치혈부 내에 배치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름 방향에서 밸브 설치혈부와 체크 밸브(시트 부재)와의 사이에 대부분 틈새가 생기지 않는 치수 관계로, 밸브 설치혈부 및 체크 밸브를 설계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밸브 설치혈부와 체크 밸브와의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틈새가 생기도록, 밸브 설치혈부 및 체크 밸브를 설계해도 좋다.
10···텐셔너
11···압유실
12···저유실(오일 공급로)
20···플런저
21···플런저혈
21a···대경혈(밸브 설치혈부)
21b···소경혈
21c···단차부(밸브 이동 규제부)
22···연통 조정도랑(오일 공급로)
23···플런저유 공급공(오일 공급로)
30···하우징
31···플런저 수용혈
32···설치혈(밸브 설치혈부)
33···소경혈
34···하우징공(오일 공급로)
40···코일 용수철
41···소경부
42···대경부
50···체크 밸브
51···시트 부재
51a···기초부
51b···시트부
52···밸브 부재
53···리테이너
53a···정부
53b···스커트부
53c···플랜지부
CH···전동 체인
G···텐셔너 레버
S1~S3···스프로켓

Claims (5)

  1.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혈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혈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압유실 내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로와, 상기 오일 공급로 측에서 상기 압유실 측으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압유실 측에서 상기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텐셔너이며,
    상기 플런저 또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크 밸브를 배치하는 밸브 설치혈부와, 상기 밸브 설치혈부에 배치된 상기 체크 밸브의 상기 오일 공급로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밸브 이동 규제부를 갖고,
    상기 코일 용수철은,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체크 밸브에 당접한 상태에서 상기 체크 밸브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대경부를 갖고, 상기 체크 밸브를 상기 오일 공급로 측을 향하여 부세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밸브 설치혈부 내에 배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대경부의 최대 지름은, 상기 밸브 설치혈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코일 용수철의 상기 대경부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축경하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로 상기 밸브 설치혈부 안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밸브 설치혈부에 대하여 고정된 상기 대경부와,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밸브 설치혈부 안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상기 소경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확경되도록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의 일부는, 상기 체크 밸브의 외주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설치혈부와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는, 상기 하우징이 아닌 상기 플런저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설치혈부는, 상기 플런저혈의 일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는, 상기 플런저혈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 용수철은, 그 일단인 상기 대경부가 상기 체크 밸브에 당접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저부에 당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설치혈부와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는, 상기 하우징이 아닌 상기 플런저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설치혈부 및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는, 상기 플런저 수용혈의 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코일 용수철은, 그 일단인 상기 대경부가 상기 체크 밸브에 당접함과 동시에, 그 타단이 상기 플런저혈의 저부에 당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KR1020180064253A 2017-07-07 2018-06-04 텐셔너 KR102154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3976 2017-07-07
JP2017133976A JP6882680B2 (ja) 2017-07-07 2017-07-07 テンショ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22A KR20190005722A (ko) 2019-01-16
KR102154231B1 true KR102154231B1 (ko) 2020-09-09

Family

ID=6466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253A KR102154231B1 (ko) 2017-07-07 2018-06-04 텐셔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81894B2 (ko)
JP (1) JP6882680B2 (ko)
KR (1) KR102154231B1 (ko)
CN (1) CN109210158B (ko)
DE (1) DE10201821077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2484A (zh) * 2021-03-15 2021-04-20 上海捷勃特机器人有限公司 一种同步带张紧防松装置及张紧防松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642A (ko) * 2018-02-26 2020-10-07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내부 리저버 기술 일차 보어를 갖는 가변력 텐셔너
JP2020101279A (ja) * 2018-12-21 2020-07-0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内部チェックバルブを含むピストンが備えられたテンショナ
JP7348484B2 (ja) * 2019-07-12 2023-09-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RU202873U1 (ru) * 2020-10-07 2021-03-11 Денис Сергеевич Новиков Натяжитель цепи двигателя автомобиля
JP2023005479A (ja) * 2021-06-29 2023-01-18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3634B2 (ja) * 2004-03-08 2007-06-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6919A1 (de) * 1986-10-30 1988-05-05 Schaeffler Waelzlager Kg Kettenspanner
FR2610685B1 (fr) * 1987-02-09 1991-01-25 Sedis Transmissions Mec Tendeur a commande hydraulique, notamment pour chaine
JPH068361Y2 (ja) * 1987-09-07 1994-03-02 日鍛バルブ株式会社 液圧式テンシヨナ
JPH0454356Y2 (ko) * 1988-07-14 1992-12-21
US4997411A (en) * 1990-01-29 1991-03-05 Eaton Corporation Cage and retainer combination for check valves and slack adjusters using same
JPH04357341A (ja) * 1991-05-31 1992-12-10 Koyama Tekkosho:Kk コイルバネ付挾着具並びにそのコイルバネ
JPH0637628U (ja) * 1992-10-20 1994-05-20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トルクリミッタ
JPH0645141U (ja) * 1992-11-27 1994-06-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オイルリザーバ付きチェーン用テンショナ
US5304099A (en) * 1993-03-12 1994-04-19 Eaton Corporation Hydraulic chain tensioner
DE4415960A1 (de) * 1994-05-06 1995-11-09 Schaeffler Waelzlager Kg Transportsicherung bei einem Kettenspanner
JP3054068B2 (ja) * 1995-10-27 2000-06-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装置
JP3712477B2 (ja) * 1996-10-21 2005-11-02 Ntn株式会社 オートテンショナ
JP3897317B2 (ja) * 1997-03-31 2007-03-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緩衝機構付テンショナ
JP3670464B2 (ja) * 1997-10-23 2005-07-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126563A (en) * 1998-09-21 2000-10-03 Borgwarner Inc. Quick purge tensioner with internal piston spring
FR2787540B1 (fr) * 1998-12-22 2005-10-07 Sachs Automotive France Sa Tendeur hydraulique pour chaine ou lien sans fin pour l'equip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10005073A1 (de) * 2000-02-04 2001-09-20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einrichtung für Zugmittel wie Riemen und Ketten
JP3580424B2 (ja) * 2002-02-26 2004-10-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JP4169576B2 (ja) * 2002-10-28 2008-10-22 Ntn株式会社 油圧式テンショナ
JP4180487B2 (ja) * 2003-10-28 2008-11-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JP2005180537A (ja) * 2003-12-18 2005-07-07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3642527B1 (ja) * 2004-05-31 2005-04-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JP4327209B2 (ja) * 2007-03-06 2009-09-0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俯角設置可能な油圧式テンショナ
JP4357549B2 (ja) * 2007-06-19 2009-11-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俯角設置可能な油圧式テンショナ
JP4376278B2 (ja) * 2007-06-25 2009-12-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JP5173290B2 (ja) * 2007-07-09 2013-04-03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5205070B2 (ja) * 2008-01-31 2013-06-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端伝動帯用テンショナ
JP4611394B2 (ja) * 2008-02-18 2011-01-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DE102010012918A1 (de) * 2010-03-26 2011-09-2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 Endlostriebmittel mit einem Kombinationsventil
DE102011005193A1 (de) * 2010-04-23 2011-11-24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aulischer Spanner
DE102011002761B4 (de) * 2011-01-17 2020-01-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Zugmittelspannvorrichtung mit Sicherungselement sowie Verbrennungskraftmaschine mit einer solchen Zugmittelspannvorrichtung
US8939856B2 (en) * 2012-04-26 2015-01-27 Tsubakimoto Chain Co. Hydraulic tensioner
JP5848269B2 (ja) * 2013-01-11 2016-01-2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307319B2 (ja) * 2014-03-24 2018-04-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267045B2 (ja) * 2014-04-11 2018-01-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415276B2 (ja) * 2014-11-28 2018-10-3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6386978B2 (ja) * 2015-07-31 2018-09-0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2017044235A (ja) * 2015-08-25 2017-03-0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CN205278266U (zh) * 2015-12-30 2016-06-01 玉环宏坤机械有限公司 一种带步进组件的张紧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3634B2 (ja) * 2004-03-08 2007-06-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2484A (zh) * 2021-03-15 2021-04-20 上海捷勃特机器人有限公司 一种同步带张紧防松装置及张紧防松方法
CN112682484B (zh) * 2021-03-15 2021-07-06 上海捷勃特机器人有限公司 一种同步带张紧防松装置及张紧防松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81894B2 (en) 2020-09-22
JP2019015362A (ja) 2019-01-31
DE102018210772A1 (de) 2019-01-10
JP6882680B2 (ja) 2021-06-02
KR20190005722A (ko) 2019-01-16
DE102018210772B4 (de) 2021-04-29
CN109210158B (zh) 2021-10-29
CN109210158A (zh) 2019-01-15
US20190011022A1 (en) 2019-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231B1 (ko) 텐셔너
JP6263150B2 (ja) テンショナ
US10767740B2 (en) Tensioner
KR102630267B1 (ko) 텐셔너
US10683913B2 (en) Tensioner
US10030744B2 (en) Tensioner
KR101895671B1 (ko) 텐셔너
KR101922298B1 (ko) 텐셔너
KR20190099134A (ko) 체인 텐셔너
JP2019070393A (ja) テンショナ
JP7064138B2 (ja) テンショナ
US11320027B2 (en) Tensioner
KR102185533B1 (ko) 텐셔너
JP2018076878A (ja) テンショナ
US20170108093A1 (en) Tensioner
KR102156056B1 (ko) 텐셔너
US10851876B2 (en) Tensioner
JP2019015360A (ja) 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