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056B1 -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056B1
KR102156056B1 KR1020180077569A KR20180077569A KR102156056B1 KR 102156056 B1 KR102156056 B1 KR 102156056B1 KR 1020180077569 A KR1020180077569 A KR 1020180077569A KR 20180077569 A KR20180077569 A KR 20180077569A KR 102156056 B1 KR102156056 B1 KR 10215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spring
plunger
tensioner
reg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756A (ko
Inventor
토시히코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9000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24Equipment for moun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 F16H2007/0844Mounting elements essentially within boundaries of final output members

Abstract

[과제] 간소한 구성와, 텐셔너를 위한 설치 스페이스의 축소나, 제조 부담의 저감을 실현하는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플런저(20)와, 하우징(30)과, 스프링(50)과, 플런저(20)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을 계지하는 계지 기구(60)를 구비하고, 계지 기구(60)가,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를 갖고, 제1 계지부재(70)가, 스프링(50)의 제1 단부(51)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용수철 가압부(71)와, 피규제부(73)를 갖고, 제2 계지부재(80)가, 스프링(50)의 제2 단부(52)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용수철 가압부(81)와, 피규제부(73)의 제1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85)를 갖고, 피규제부(73) 및 이동 규제부(85)가,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텐셔너(10)이다.

Description

텐셔너{TENSIONER}
본 발명은, 주행하는 체인이나 벨트 등에 적정 장력을 부여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기 위해서 텐셔너를 이용하는 것이 관용 되고, 예를 들면, 엔진 룸 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설치한 스프로켓(procket) 간에 무단현 설정된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텐셔너 레버에 의해서 접동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서,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기 위해서, 텐셔너에 의해서 텐셔너 레버를 부세하는 것이 공지이다.
이러한 체인 가이드 기구에 이용되는 공지의 텐셔너로서, 도 10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을 갖는 플런저(520)와, 플런저(520)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공을 갖는 하우징(530)과, 플런저(520) 및 하우징(5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플런저(5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텐셔너(510)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러한 텐셔너(510)에서는, 체인 등에 대해서 설치하기 전 상태에서는, 플런저(520)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을 계지할 필요가 있어, 플런저(520)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을 계지하는 계지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계지 기구로서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하우징(530)에 지지되는 래칫 핀(561)을 개입시켜 요동 가능한 상태로 하우징(530)에 장착되어, 플런저(520)에 계합 가능한 래칫(562)과, 래칫 핀(561)의 일단에 고정된 스토퍼 레버(563)와, 스토퍼 레버(563) 및 하우징(530)에 삽입되어, 스토퍼 레버(563)의 회동을 저지함으로써 래칫(562)의 요동을 저지하는 스토퍼 핀(564)으로 이루어지는 계지 기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계지 기구의 다른 예로서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하우징(530)에 고정된 지점 핀(支点 pin)(565)에 의해서 축지지 된 돌출 방지 훅(566)을, 플런저(520)에 고정된 계지 핀(567)에 계합시킴으로써, 플런저(520)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을 계지하는 기구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4-44749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3-35343호 공보
그런데, 도 10이나 도 11에 나타내는 텐셔너에서는, 계지 기구의 각 구성 부품을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들 구성 부품과 엔진 블록이나 프론트 케이스 등의 주변물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텐셔너(510)를 위한 설치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도 10이나 도 11에 나타내는 텐셔너에서는, 플런저나 하우징에 추가 부재를 고정하는 등의 가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텐셔너의 제조 부담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거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텐셔너를 위한 설치 스페이스의 축소나, 제조 부담의 저감을 실현하는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공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수용공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을 계지하는 계지 기구를 구비하는 텐셔너이며, 상기 스프링은, 전후 방향에서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전후 방향에서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계지 기구는,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계지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제 1 단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용수철 가압부와, 피규제부를 갖고, 상기 제 2 계지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제 2 단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용수철 가압부와, 상기 피규제부의 제1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갖고, 상기 피규제부 및 상기 이동 규제부는,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하면, 제1 계지부재가, 스프링의 제1 단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용수철 가압부와, 피규제부를 갖고, 제2 계지부재가, 스프링의 제2 단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용수철 가압부와, 피규제부의 제1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갖고, 피규제부 및 이동 규제부가,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가 압유실 내에 설치되고, 텐셔너의 외부에 계지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엔진 블록 등의 주변물과 계지부재와의 간섭을 회피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텐셔너를 위한 설치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압유실 내에 설치함으로써, 플런저나 하우징에 가공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텐셔너의 제조 부담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스프링에 대해서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설치한 다음에는, 이들을 1개의 유닛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텐셔너의 조립 설비의 구조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텐셔너의 조립에 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압유실 내에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압유실 내의 용적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오일량으로 압유실 내의 고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제2 계지부재가, 이동 규제부의 제2 측에 대향하여 형성된 해제용 캠부를 갖고, 해제용 캠부가,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켰을 때에, 이동 규제부에 의해서 계지되지 않는 개방 위치를 향해서, 피규제부를 둘레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런저를 후방 측을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상대적으로 접근시키고, 이동 규제부에 대한 피규제부의 계합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텐셔너의 설치 시에, 텐셔너 레버 등에 의해서 플런저가 후방 측으로 밀리는 것을 이용하여, 플런저의 계지를 간단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플런저의 계지 해제의 잊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이동 규제부가,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가 상대적으로 이간할 때에, 이동 규제부에 의해서 이동 규제되는 규제 위치를 향해서 피규제부를 유도하는 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에 대해서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설치할 때에는, 제1 용수철 가압부 및 제2 용수철 가압부에 의해서 스프링을 끼운 상태로,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접근시켜 이동 규제부에 대해서 피규제부를 계합시킨 후, 스프링의 압축을 해제함으로써,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가 서로 이간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으로, 피규제부를 규제 위치에 확실히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피규제부 및 이동 규제부가, 스프링의 내주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의 내주 측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지름을 크게 확보하면서, 압유실이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제1 계지부재가, 피규제부가 형성된 핀부를 갖고, 제2 계지부재가, 이동 규제부가 형성된 통상부(筒狀部)를 갖고, 핀부가, 통상부 내에 삽입되고 있으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의 상대적인 자세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제2 계지부재의 통상부에 형성된 슬릿부에 의해서, 이동 규제부나 해제용 캠부를 구성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으로, 피규제부 및 제1 계지부재의 움직임을 양호하고 확실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통상부 내의 제2 측에, 체크 밸브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있으므로, 스프링, 제1 계지부재, 제2 계지부재에 가세하여, 체크 밸브 유닛에서도, 1개의 유닛으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텐셔너의 조립에 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를 조입한 타이밍 시스템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 텐셔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 스프링 및 계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스프링 및 계지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계지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6]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스프링 및 계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스프링 및 계지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 체크 밸브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 관련 기술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다른 관련 기술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텐셔너(10)는, 자동차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체인 전동장치에 조입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내듯이, 엔진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복수의 스프로켓(sprocket)(S1~S3)에 걸어 돌려진 전동 체인(CH)의 이완 측에 텐셔너 레버(G)를 개입시켜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주행 시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텐셔너(1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21)을 갖는 플런저(20)와, 플런저(20)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공(31)을 갖는 하우징(30)과, 하우징(30)의 저부(32) 측에 배치되는 체크 밸브 유닛(40)과, 플런저(20) 및 플런저 수용공(31)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11)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플런저(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상(狀)의 스프링(50)과, 플런저(20)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을 일시적으로 계지하는 계지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텐셔너(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플런저(20)는, 철 등의 금속으로 유저(有底)의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되어, 도 2에 나타내듯이, 플런저 수용공(31) 내에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고 있다.
하우징(30)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도 2에 나타내듯이, 전방 측으로 개구된 원통형의 플런저 수용공(31)과, 후방 측에 형성된 저부(32)와, 저부(32)에 형성되어 하우징(30)의 외벽에서 플런저 수용공(31)까지 관통하는 오일 공급공(33)을 가지고 있다.
체크 밸브 유닛(40)은, 오일 공급공(33)을 통해 외부에서 압유실(11)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오일 공급공(33)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체크 밸브 유닛(40)은, 도 2에 나타내듯이, 볼 시트(41)와, 볼 시트(41)에 밀착 가능하게 착석하는 구상(球狀)의 체크 볼(42)과, 체크 볼(42)의 전방에 배치되어 체크 볼(42)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테이너(43)와, 체크 볼(42)을 볼 시트(41)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볼 스프링(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볼 스프링(44)은,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스프링(50)은, 도 2에 나타내듯이, 그 일단이 플런저공(21)의 저부(플런저(20)의 전방 측 부분)의 후방 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외단이 체크 밸브 유닛(40)(리테이너(43))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50)은, 전후 방향에서의 제1 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51)와, 전후 방향에서의 제2 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52)를 가지고 있다.
계지 기구(60)는, 스프링(50)을 전후 방향으로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플런저(20)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을 일시적으로 계지하는 것으로,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계지부재(70)는,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스프링(50)의 제1 단부(51)의 제1 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에 배치되는 원판상(圓板狀)의 제1 용수철 가압부(71)와, 제1 용수철 가압부(71)로부터 제2 측을 향하여 연장된 원주상(圓柱狀)의 핀부(72)와, 핀부(72)의 외주면에 돌기상(狀)으로 형성된 원주상의 피규제부(73)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제1 용수철 가압부(71)는, 플런저공(21)의 저부에 당접해서 배치된다.
제2 계지부재(80)는,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스프링(50)의 제2 단부(52)의 제2 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에 배치되는 원환상(圓環狀)의 제2 용수철 가압부(81)와, 제2 용수철 가압부(81)로부터 제1 측을 향하여 연장된 원통형의 통상부(82)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제2 용수철 가압부(81)는, 체크 밸브 유닛(40)(리테이너(43))에 당접해서 배치된다. 또, 제2 용수철 가압부(81)는, 통상부(82)의 외주면보다 외주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용수철 가압부(81)의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해당 구멍 및 통상부(筒狀部)(82)의 중공부를 통해서, 오일 공급공(33) 및 체크 밸브 유닛(40)을 통해 하우징(30)의 외부에서 공급된 오일이, 압유실(11) 내로 공급된다.
통상부(82)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통상부(82)의 제1 측의 단연(端緣)으로부터 제2 측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과 슬릿부(83)와, 통과 슬릿부(83)에 연속하여 형성된 이동 규제 슬릿부(84)가 형성되고 있다.
통과 슬릿부(83)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통상부(82)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또, 피규제부(73)를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통과 슬릿부(83)의 제1 측의 부분은, 제1 측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상(狀)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동 규제 슬릿부(84)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통과 슬릿부(83)의 제2 측(후방)의 단부로부터, 통과 슬릿부(8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제1 측(전방)에 이르도록, 둘레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있다.
이동 규제 슬릿부(84)는, 통상부(82)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또, 피규제부(73)를 통과 및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한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동 규제 슬릿부(84)의 제1 측의 내연(內緣)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제1 계지부재(70)의 피규제부(73)의 제1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85)로서 기능한다.
이 이동 규제부(85)는,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가 상대적으로 이간할 때에, 이동 규제부(85)에 의해서 이동 규제되는 규제 위치를 향해서 피규제부(73)를 유도하는 캠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규제부(85)는, 도 4에 나타내듯이, 통과 슬릿부(83)에서 멀어짐에 따라 제1 측(전방)에 이르도록, 둘레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이것에 의해, 스프링(50)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가 상대적으로 이간하려고 했을 때에, 피규제부(73)를 이동 규제 슬릿부(84)의 오측(奧側)의 규제 위치를 향해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규제부(73) 및 이동 규제부(85)는,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전후 방향에서 이동 규제부(85)에 대향하는 이동 규제 슬릿부(84)의 제2 측의 내연은, 해제용 캠부(86)로서 기능한다.
이 해제용 캠부(86)는,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켰을 때에, 이동 규제부(85)에 의해서 계지되지 않는 개방 위치를 향해서, 피규제부(73)를 둘레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해제용 캠부(86)는, 통과 슬릿부(83)에서 멀어짐에 따라 제1 측(전방)에 이르도록, 둘레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이것에 의해,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켰을 때에, 피규제부(73)를, 통과 슬릿부(83)의 제2 측의 단부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유도하도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프링(50)에 대한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의 설치 순서를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5(c)에 나타내듯이, 제2 단부(52) 측에서 스프링(50) 내에, 제2 계지부재(80)의 통상부(82)를 삽입함과 동시에, 제1 단부(51) 측에서 스프링(50) 내에, 제1 계지부재(70)의 핀부(72)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제1 계지부재(70)의 제1 용수철 가압부(71) 및 제2 계지부재(80)의 제2 용수철 가압부(81)에 의해서 스프링(50)을 끼운 상태로, 스프링(50)을 압축시키면서,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를 전후 방향으로 접근시키고, 피규제부(73)를 통과 슬릿부(83) 내에 배치시키면서, 핀부(72)를 통상부(82) 내에 제1 측에서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내듯이, 통과 슬릿부(83)의 제2 측의 단부 부근에 피규제부(73)가 올 때까지, 제1 용수철 가압부(71) 및 제2 용수철 가압부(81)를 접근시킨 후,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규제부(73)를 이동 규제 슬릿부(84) 내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스프링(50)의 압축을 해제하면, 스프링(50)이 탄성 복귀하면서 신장되고,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가 상대적으로 이간하여, 도 5(a)에 나타내듯이, 피규제부(73)가 이동 규제부(85)에 의해서 이동 규제 슬릿부(84)의 오측의 규제 위치를 향해서 유도된다. 또, 이 때,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는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다음은, 피규제부(73)와 이동 규제부(85)와의 계합에 의해서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의 전후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고정되기 때문에, 스프링(50)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고, 또, 스프링(50),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를 1개의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지 기구(60)에 의한 플런저(20)의 돌출의 계지의 해제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5(a)에 나타내듯이, 스프링(50)이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50)과 제1 계지부재(70)와 2 계지부재(80)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압유실(11) 내에 배치한 상태로, 도 1에 나타내듯이, 텐셔너(10)를 소정 위치에 설치한다.
이 때, 텐셔너 레버(G)에 의해서 플런저(20)이 후방 측을 향하여 밀리고,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가 상대적으로 접근하여, 피규제부(73)가, 해제용 캠부(86)에 의해서 통과 슬릿부(83)의 제2 측의 단부 위치인 개방 위치로 유도되며, 바꾸어 말하면, 피규제부(73) 및 이동 규제부(85)의 계합이 자동적으로 해제된다. 또, 이 때, 제1 계지부재(70) 및 제2 계지부재(80)는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후방 측으로의 플런저(20)의 밀어 넣기를 멈추면, 스프링(50)이 탄성 복귀하여 신장되고, 플런저(20)가 스프링(50)에 의해서 밀리고, 전방 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또한, 이 스프링(50)의 신장 시에는, 제1 용수철 가압부(71)(제1 계지부재(70))는, 스프링(50)의 제1 단부(51)에 의해서 회전 방향으로의 힘을 받는(본 실시 형태와 같이, 스프링(50)이 왼쪽으로 감긴 경우, 상방에서 보았을 경우에 시계 회전으로 힘을 받는) 일이 있지만, 이 제1 계지부재(70)가 받는 회전 방향의 힘에 의해서 피규제부(73)가 이동 규제 슬릿부(84) 내에 다시 들어가지 않도록, 통과 슬릿부(83)에 대한 이동 규제 슬릿부(84)의 배치가 설정되어 있다(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방에서 보았을 경우에, 이동 규제 슬릿부(84)가, 통과 슬릿부(83)의 시계 회전에서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 6~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일부 구성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제2 계지부재(80)의 통상부(82) 내의 제2 측(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측), 및, 제2 용수철 가압부(8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 내에는, 체크 밸브 유닛(40)의 적어도 일부(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체크 밸브 유닛(40)의 전체)가 수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50), 제1 계지부재(70), 제2 계지부재(80)에 더하여, 체크 밸브 유닛(40)에서도, 1개의 유닛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계지부재(80)에 대해서 체크 밸브 유닛(40)을 고정해도 좋고, 또, 제2 계지부재(80) 내에 체크 밸브 유닛(40)을 수용하는 것만으로, 제2 계지부재(80)에 대해서 체크 밸브 유닛(40)을 고정 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실시 형태나 변형 예의 각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텐셔너를 구성해도 아무 상관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가 자동차 엔진용의 타이밍 시스템에 조입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텐셔너의 구체적 용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가 텐셔너 레버를 개입시켜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플런저의 선단에 직접적으로 전동 체인의 접동 안내를 실시하여,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동 체인에 의한 전동 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의 유사한 전동 기구에 적용되어도 좋고, 장척물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 용도라면, 여러 가지의 산업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엔진 블록 등에 장착되는 소위 텐셔너 바디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우징의 구체적 태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텐셔너 바디에 형성된 바디공 내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소위 슬리브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지부재가 전방 측에 배치되고, 제2 계지부재가 후방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제1 계지부재를 후방 측에 배치하고, 제1 계지부재를 전방 측에 배치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계합시키는 수법으로서, 제1 계지부재의 피규제부, 제2 계지부재의 이동 규제부 및 해제용 캠부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해제 가능하게 계합시키는 수법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지부재가 핀부를 갖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제1 계지부재의 구체적 태양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1 계지부재에, 제1 용수철 가압부로부터 제2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상부를 형성하고, 해당 통상부를 제2 계지부재의 통상부의 내주 측 또는 외주 측에 배치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지부재의 피규제부나 제2 계지부재의 이동 규제부( 및 해제용 캠부)를, 스프링의 내주 측에 배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들 피규제부나 이동 규제부( 및 해제용 캠부)를 스프링의 외주 측에 배치해도 좋다.
10···텐셔너
11···압유실
20···플런저
21···플런저공
30···하우징
31···플런저 수용공
32···저부
33···오일 공급공
40···체크 밸브 유닛
41···볼 시트
42···체크 볼
43···리테이너
44···볼 스프링
50···스프링
51···제1 단부
52···제2 단부
60···계지 기구
70···제1 계지부재
71···제1 용수철 가압부
72···핀부
73···피규제부
80···제2 계지부재
81···제2 용수철 가압부
82···통상부
83···통과 슬릿부
84···이동 규제 슬릿부
85···이동 규제부
86···해제용 캠부
S1~S3···sprocket
CH···전동 체인
G···텐셔너 레버

Claims (7)

  1.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공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 수용공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유실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어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전방 측으로의 돌출을 계지하는 계지 기구를 구비하는 텐셔너이며,
    상기 스프링은, 전후 방향에서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단부와, 전후 방향에서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계지 기구는, 제1 계지부재 및 제2 계지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계지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제 1 단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용수철 가압부와, 피규제부를 갖고,
    상기 제 2 계지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제 2 단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용수철 가압부와, 상기 피규제부의 제1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갖고,
    상기 피규제부 및 상기 이동 규제부는, 해제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규제부 및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스프링의 내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지부재는, 상기 이동 규제부의 제2 측에 대향하여 형성된 해제용 캠부를 갖고,
    상기 해제용 캠부는, 상기 제 1 계지부재 및 상기 제 2 계지부재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켰을 때에,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해서 계지되지 않는 개방 위치를 향해서 상기 피규제부를 둘레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제 1 계지부재 및 상기 제 2 계지부재가 상대적으로 이간할 때, 상기 이동 규제부에 의해서 이동 규제되는 규제 위치를 향해서 상기 피규제부를 유도하는 캠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계지부재는, 상기 제 1 용수철 가압부로부터 제2 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피규제부가 형성된 핀부를 갖고,
    상기 제 2 계지부재는, 상기 제 2 용수철 가압부로부터 제1 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이동 규제부가 형성된 통상부를 갖고,
    상기 핀부는, 상기 통상부 내에 삽입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규제부는,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 돌기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상부는, 상기 통상부의 제1 측의 단연으로부터 제2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통과 슬릿부와, 상기 통과 슬릿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이동 규제 슬릿부를 갖고,
    상기 이동 규제 슬릿부의 제1 측의 내연이, 상기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이동 규제 슬릿부의 제2 측의 내연이, 해제용 캠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부 내의 제2 측에는, 상기 압유실 측으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압유실 측에서의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7. 삭제
KR1020180077569A 2017-07-07 2018-07-04 텐셔너 KR102156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3969 2017-07-07
JP2017133969A JP6882679B2 (ja) 2017-07-07 2017-07-07 テンショ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756A KR20190005756A (ko) 2019-01-16
KR102156056B1 true KR102156056B1 (ko) 2020-09-15

Family

ID=6466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569A KR102156056B1 (ko) 2017-07-07 2018-07-04 텐셔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67739B2 (ko)
JP (1) JP6882679B2 (ko)
KR (1) KR102156056B1 (ko)
CN (1) CN109210159B (ko)
DE (1) DE10201821082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9609B2 (ja) * 1994-12-28 2002-09-30 ボーグ・ワーナー・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テンショナ
JP4527497B2 (ja) * 2004-10-28 2010-08-18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WO2013180145A1 (ja) * 2012-05-30 2013-12-05 日本発條株式会社 テンショナー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9820A (en) * 1992-05-19 1993-11-09 Borg-Warner Automotive Transmission & Engine Components Corporation Hydraulic tensioner having a variable orifice check valve and a double helix internal ratchet
JP2895784B2 (ja) * 1995-10-27 1999-05-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装置
EP0877180B1 (en) * 1997-05-08 2003-01-22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external rack and ratchet
US6120402A (en) * 1998-09-21 2000-09-19 Borgwarner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external rack having backlash restriction
JP2001159454A (ja) * 1999-11-30 2001-06-12 Tsubakimoto Chain Co プランジャストッパピン付きテンショナ
JP3350037B1 (ja) * 2001-07-23 2002-11-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突出防止フック付きテンショナ
JP3883192B2 (ja) 2002-07-15 2007-02-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ラチェット式テンショナの樹脂製プランジャ制止具
JP2004138152A (ja) * 2002-10-17 2004-05-13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BRPI0410064A (pt) * 2003-05-06 2006-05-23 Litens Automotive tracionador linear, e, montagem de tracionador
JP4677291B2 (ja) * 2005-06-13 2011-04-27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テンショナ
EP1748222B1 (en) * 2005-07-25 2010-10-20 Morse Tec Europe S.r.l. Tensioner for a timing chain
JP4120680B2 (ja) * 2006-01-16 2008-07-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P2016306B1 (en) * 2006-05-08 2011-12-14 BorgWarner, Inc. Ratcheting tensioner with a sliding and pivoting pawl
DE102006039743A1 (de) * 2006-08-24 2008-02-28 Schaeffler Kg Spanneinrichtung für ein Zugmittel, insbesondere einen Riemen oder eine Kette
EP2174039B1 (en) * 2007-07-23 2012-08-22 BorgWarner Inc. Modular hydraulic tensioner with ratchet
DE102008020741A1 (de) * 2007-10-26 2009-04-30 Schaeffler Kg Modul für ein Zugmittel-Antriebskonzept
CN101861478B (zh) * 2007-12-10 2013-03-27 谢夫勒科技股份两合公司 用于牵引机构传动装置的机械弹簧件
DE102008011368A1 (de) * 2008-02-27 2009-09-03 Schaeffler Kg Spanner für ein Zugmittel
DE102008059191A1 (de) * 2008-11-27 2010-06-02 Schaeffler Kg Spanneinheit für eine Zugmittelspannvorrichtung
EP2395259B1 (de) * 2010-06-11 2012-11-07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Rastspange
DE102012001074B4 (de) * 2012-01-20 2021-09-23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mit einem einen Rampenbereich aufweisenden Entriegelungselement
JP5686763B2 (ja) * 2012-04-20 2015-03-1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ング式テンショナ
CN106907438A (zh) * 2012-12-21 2017-06-30 博格华纳公司 带有用于解除激活的棘齿的链条或皮带张紧器
US9267579B2 (en) * 2012-12-21 2016-02-23 Borgwarner Inc. Chain or belt tensioner with a ratchet that deactivates
US9394976B2 (en) * 2013-06-07 2016-07-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aulically ratcheted chain tensioner
DE102014008019B4 (de) * 2014-05-27 2021-06-10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Nockenwellen-Nockenwellen-Kettentrieb
JP6190322B2 (ja) * 2014-06-06 2017-08-3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US10452094B2 (en) * 2014-09-08 2019-10-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ensioning device having a transport securing concept
JP6353346B2 (ja) * 2014-11-05 2018-07-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揺動レバー及びテンショナユニット
DE102015002567A1 (de) * 2015-02-27 2016-09-01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Spannschieneneinheit mit Bajonettverschlu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9609B2 (ja) * 1994-12-28 2002-09-30 ボーグ・ワーナー・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テンショナ
JP4527497B2 (ja) * 2004-10-28 2010-08-18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WO2013180145A1 (ja) * 2012-05-30 2013-12-05 日本発條株式会社 テンショナ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67739B2 (en) 2020-09-08
CN109210159B (zh) 2021-07-30
KR20190005756A (ko) 2019-01-16
US20190011021A1 (en) 2019-01-10
JP6882679B2 (ja) 2021-06-02
DE102018210823A1 (de) 2019-01-10
CN109210159A (zh) 2019-01-15
JP2019015361A (ja)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251B1 (ko) 텐셔너
KR102154231B1 (ko) 텐셔너
JP6263150B2 (ja) テンショナ
JP7007575B2 (ja) テンショナ
KR20180106983A (ko) 텐셔너
JP6813780B2 (ja) テンショナ
US10683913B2 (en) Tensioner
KR101895671B1 (ko) 텐셔너
KR20170024536A (ko) 텐셔너
CN108061135B (zh) 张紧装置
KR102156056B1 (ko) 텐셔너
US11339855B2 (en) Tensioner
KR102185533B1 (ko) 텐셔너
CN110686055B (zh) 张紧装置
US20170108093A1 (en) Tensioner
KR102108942B1 (ko) 텐셔너
JP2019015360A (ja) 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