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517B1 -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 Google Patents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517B1
KR102153517B1 KR1020200020870A KR20200020870A KR102153517B1 KR 102153517 B1 KR102153517 B1 KR 102153517B1 KR 1020200020870 A KR1020200020870 A KR 1020200020870A KR 20200020870 A KR20200020870 A KR 20200020870A KR 102153517 B1 KR102153517 B1 KR 10215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connector
magnet
tim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면
Original Assignee
장호면
(주)엠케이리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면, (주)엠케이리더스 filed Critical 장호면
Priority to KR102020002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6Means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제1 커넥터(100)를 선단에 구비한 제1 턱끈(10)과 제2 커넥터(200)를 선단에 구비한 제2 턱끈(20)을 포함하는 안전모(1)가 개시된다. 안전모(1)는 상기 제1 커넥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마그넷 센서(320)가 구비된 경보기(300); 및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가 접속될 때 상기 마그넷 센서(320)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을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300)는, 메인스위치(340)와, 상기 메인스위치(340)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400)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3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safety cap with alarm device mounted on chin straps}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턱끈에 경보기가 장착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안전모는, 산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단단한 모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산업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산업 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안전모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 모체와, 상기 모체 내에 설치된 착장체와, 충격 흡수를 위해 상기 착장체와 상기 모체 사이에 개재된 충격흡수재(또는, 흡수라이너)와, 머리에 착용된 안전모 고정을 위해 결속되는 턱끈, 즉, 제1 및 제2 턱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착장체는 머리받침끈, 머리고정대, 머리받침고리를 포함한다.
현장에서 불편하거나 답답하다는 이유로 안전모 착용을 기피하는 작업자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안전모를 착용하더라도, 턱끈을 고정하지 않거나 제대로 결속하지 않으면, 안전모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안전모의 턱끈을 결속하지 않아, 안전모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비래하는 물건 또는 낙하하는 물건에 의해, 작업자 머리에 심각한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종래에 안전모 미착용시 위험을 경고하는 경보 장치를 안전모에 설치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구조가 복잡하고, 비싸며, 경보 장치의 고장이나 불량시, 안전모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전모의 턱끈이 제대로 결속되지 않았을 경우, 경보기를 통해 경보음을 발산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고, 작업자의 안전 의식을 높일 수도 있고, 경보기 고장이나 작동 부조시, 경보기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전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안전모(1)는, 제1 커넥터(100)를 선단에 구비한 제1 턱끈(10)과, 제2 커넥터(200)를 선단에 구비한 제2 턱끈(20)과, 상기 제1 커넥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마그넷 센서(320)가 구비된 경보기(3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가 접속될 때 상기 마그넷 센서(320)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을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300)는, 메인스위치(340)와, 상기 메인스위치(340)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400)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3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안전모(1)는 제1 커넥터(100)를 선단에 구비한 제1 턱끈(10)과, 제2 커넥터(200)를 선단에 구비한 제2 턱끈(20)과, 상기 제1 커넥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경보기(3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을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300)는, 외부 송신기(800)의 온 신호에 의해 상기 경보기(300)를 온(ON) 시키는 메인스위치(340)와,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는 마그넷 센서(300)와, 상기 메인스위치(340)에 의해 상기 경보기(300)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지 못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352)와, 상기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턱끈 결속 대기 시간 T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51)와, 상기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턱끈 결속 대기 시간 T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1)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3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안전모(1)는, 제1 커넥터(100)를 선단에 구비한 제1 턱끈(10)과, 제2 커넥터(200)를 선단에 구비한 제2 턱끈(20)과, 상기 제1 커넥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경보기(300)과,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을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300)는, 외부 송신기(800)의 온 신호에 의해 상기 경보기(300)를 온(ON) 시키는 메인스위치(340)와,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는 마그넷 센서(300)와, 상기 메인스위치(340)에 의해 상기 경보기(300)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지 못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 타이머(352)와, 상기 메인스위치(340)가 온(ON)된 후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타이머(353)와, 상기 제1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턱끈 결속 대기 시간 T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51)와, 상기 제1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턱끈 결속 대기 시간 T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1)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39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이머(353)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작업시간 T2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스위치(340)가 오프(OFF)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는 ,안전모의 턱끈이 제대로 결속되지 않았을 경우, 경보기를 통해 경보음을 발산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고, 작업자의 안전 의식을 높일 수도 있고, 경보기 고장이나 작동 부조시, 경보기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모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의 경보기에 구비된 마그넷 센서의 마그넷 감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안전모의 제1 턱끈에 구비된 제1 커넥터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경보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이다.
도 5는 안전모의 제1 턱끈에 장착된 경보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경보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본 발명의 안전모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1)는 모체(2)와 상기 모체(2) 내에 설치된 착장체(미도시됨)와 충격 흡수를 위해 상기 착장체와 상기 모체(2)의 내부면 사이에 개재된 충격흡수재(미도시됨)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는, 안전모(1)를 작업자의 머리에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제1 커넥터(100)를 선단에 구비한 제1 턱끈(10)과 제2 커넥터(200)를 선단에 구비한 제2 턱끈(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00)는 전방면에 삽입홀(101)을 갖는 암(female) 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200)는 상기 삽입홀(101)에 삽입되는 삽입체(201)를 전방에 갖는 수(male) 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체(201)가 상기 삽입홀(101)에 원터치 방식으로 삽입 고정된다. 삽입홀을 갖는 커넥터와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체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턱끈 결속 방식은 기존에 공지된 구성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1)는 상기 제1 커넥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면에 마그넷 센서(320)가 구비된 경보기(3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가 접속될 때 상기 마그넷 센서(320)에 근접하도록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경보기(300)의 메인스위치(340)가 온(ON)인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보기(300)가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않지만, 상기 제1 커넥터(100)와 상기 제2 커넥터(200)의 접속이 해제되고, 상기 마그넷(400)이 상기 마그넷 센서(320)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경보기(300)는 일정 시간 후에 경보음을 발생시켜, 턱끈 결속 해제를 경고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양 측면에는 전방단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딩 홈(110, 110)이 형성되고, 상기 경보기(30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돌부(310, 31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돌부(310, 310)가 상기 슬라이딩 홈(110, 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경보기(300)가 상기 제1 커넥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경보기(3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경보기(300)에 고장 또는 작동 부조가 발생한 경우, 경보기(300)를 안전모(1)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경보기로 교체하거나 또는 수리 후 다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경보기(300)는 안전모(1)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에 의해 임의의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경보기(3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 사이에는 상기 경보기(300)의 분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슬라이딩홈(110)의 내면에 상기 내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마그넷부(105)와 상기 슬라이딩 돌부(310)의 일면에 그 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마그넷 감지부(315)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기(300)가 상기 제1 커넥터(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마그넷 감지부(315)가 상기 마그넷부(105)의 자기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경보기(300)의 경보 발생부(390)는 즉시 경보음를 발생할 수 있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보기(300)는 외부 송신기(800)의 온 신호에 의해 경보기(300)를 온(ON) 시키는 메인스위치(340)와,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는 마그넷 센서(300)와, 상기 메인스위치(340)에 의해 경보기(300)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지 못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 타이머(3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보기(300)는 제어부(351)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51)는, 상기 메인스위치(340)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타이머(352)가 카운트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턱끈 결속 대기 시간(T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경보 발생부(390)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 송신기(800)는, 전파, 적외선 신호 또는 자기장 등의 신호를 내보내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현장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통과하는 통로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모(1)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기(300)는 상기 외부 송신기(800)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예컨대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부일 수 있는 수신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기(300)는 상기 메인스위치(340)가 온(ON)된 후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타이머(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1)는 상기 제2 타이머(352)가 카운트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작업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스위치(340)를 자동으로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한다. 이 구성은 작업이 끝나는 시간(예컨대, 퇴근시간이나 점심시간)이 되면, 경보기(300)의 메인스위치(340)를 오프로시켜, 경보기(300)의 전원을 끊는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경보기(3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고 있거나 또는 현장 진입로에 설치된 외부 송신기(800)가 상기 경보기(100)의 메인스위치(340)를 온(ON)시키는 신호를 보내며, 이에 의해, 메인스위치(340)가 온(ON)된다(S1). 메인스위치(340)가 온(ON)된 상태에서는 제2 타이머(353)에 의해 메인스위치(340)가 온(ON)된 이후의 시간이 카운트된다. 또한, 제1 턱끈의 제1 커넥터에 설치된 마그넷 센서(340)가 제2 턱끈의 제2 커넥터에 설치된 마그넷의 근접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 턱끈 결속 여부가 판단된다(S2). 제1 턱끈의 제1 커넥터에 설치된 마그넷 센서(320)가 제2 턱끈의 제2 커넥터에 설치된 마그넷의 근접을 감지하는 경우, 턱끈이 결속된 것으로 판단되고,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턱끈이 결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메인스위치가(340)가 온된 상태에서 턱끈이 결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타이머(352)에 의해 마그넷 센서(320)가 마그넷 근접을 감지하지 못하는 시간, 즉, 턱끈 비결속 시간이 카운트된다. 그리고, 제1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비결속 시간(즉, 비결속 허용 시간) T1을 초과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 제1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비결속 시간 T1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 발생부(390)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된다(S4). 또한, 제2 타이머(353)에 의해 연속적으로 카운트 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작업시간 T2를 초과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5). 만일 제2 타이머(353)에 의해 카운트 된 시간이 작업시간 T2를 초과하면 메인스위치(340)를 오프시킨다(S6). 메인스위치(340)의 오프(OFF)에 의해, 턱끈 결속을 풀고 안전모를 벗어도 더 이상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경보기 작동에 필요한 전력도 더 소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관리자가 구비하거나 또는 현장 입구에 설치된 외부 송신기에 의해 메인스위치(340O)가 온된 이후에는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 및 턱끈 결속 여부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보기(300)의 고장시 제1 턱끈의 제1 커넥터에 장착된 경보기(300)만을 분리하여 다른 경보기(300)로 교체하거나 또는 수리하여 다시 장착하면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제공한다.
1...........................안전모
10..........................제1 턱끈
20..........................제2 턱끈
100.........................제1 커넥터
200.........................제2 커넥터
300.........................경보기
320.........................마그넷 센서

Claims (3)

  1. 삭제
  2. 제1 커넥터(100)를 선단에 구비한 제1 턱끈(10)과 제2 커넥터(200)를 선단에 구비한 제2 턱끈(20)을 포함하는 안전모(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경보기(300); 및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을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300)는,
    현장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거나 작업자가 통과하는 통로 일측에 설치된 외부 송신기(800)의 온/오프(ON/OFF) 신호에 의해서 상기 경보기(300)를 온/오프(ON/OFF) 시키는 메인스위치(340)와,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는 마그넷 센서(320)와,
    상기 메인스위치(340)에 의해 상기 경보기(300)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지 못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352)와,
    상기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턱끈 결속 대기 시간 T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51)와,
    상기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턱끈 결속 대기 시간 T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1)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39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양 측면에는 전방단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딩 홈(110, 110)이 형성되고,
    상기 경보기(30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돌부(310, 310)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3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 사이에는 상기 경보기(300)의 분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슬라이딩홈(110)의 내면에 상기 내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마그넷부(105)와, 상기 슬라이딩 돌부(310)의 일면에 그 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마그넷 감지부(3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3. 제1 커넥터(100)를 선단에 구비한 제1 턱끈(10)과 제2 커넥터(200)를 선단에 구비한 제2 턱끈(20)을 포함하는 안전모(1)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경보기(300); 및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을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300)는,
    현장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거나 작업자가 통과하는 통로 일측에 설치된 외부 송신기(800)의 온/오프(ON/OFF) 신호에 의해서 상기 경보기(300)를 온/오프(ON/OFF) 시키는 메인스위치(340)와,
    상기 제2 커넥터(200)에 설치된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는 마그넷 센서(320)와,
    상기 메인스위치(340)에 의해 상기 경보기(300)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 센서(320)가 상기 마그넷(400)의 근접을 감지하지 못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 타이머(352)와,
    상기 메인스위치(340)가 온(ON)된 후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타이머(353)와,
    상기 제1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턱끈 결속 대기 시간 T1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51)와,
    상기 제1 타이머(352)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턱끈 결속 대기 시간 T1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51)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발생부(39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타이머(353)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작업시간 T2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스위치(340)가 오프(OFF)되며,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양 측면에는 전방단에서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슬라이딩 홈(110, 110)이 형성되고,
    상기 경보기(300)는 상기 슬라이딩 홈(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돌부(310, 310)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기(300)와 상기 제1 커넥터(100) 사이에는 상기 경보기(300)의 분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제1 커넥터(100)의 슬라이딩홈(110)의 내면에 상기 내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마그넷부(105)와, 상기 슬라이딩 돌부(310)의 일면에 그 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마그넷 감지부(3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KR1020200020870A 2020-02-20 2020-02-20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KR10215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870A KR102153517B1 (ko) 2020-02-20 2020-02-20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870A KR102153517B1 (ko) 2020-02-20 2020-02-20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517B1 true KR102153517B1 (ko) 2020-09-10

Family

ID=7246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870A KR102153517B1 (ko) 2020-02-20 2020-02-20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5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19A (ko) * 2020-12-08 2022-06-15 (주)이브이패스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KR102473116B1 (ko) 2022-05-26 2022-12-01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턱끈 체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안전모
KR102671035B1 (ko) 2022-05-23 2024-05-30 주식회사 이안하이텍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78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수현테크 가스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귀마개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 전달 시스템
KR102052548B1 (ko) * 2019-03-08 2019-12-06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065976B1 (ko) * 2019-05-03 2020-01-14 (주)영신디엔씨 안전모 및 턱끈 정상착용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78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수현테크 가스 감지 센서를 갖는 스마트 귀마개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메시지 전달 시스템
KR102052548B1 (ko) * 2019-03-08 2019-12-06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065976B1 (ko) * 2019-05-03 2020-01-14 (주)영신디엔씨 안전모 및 턱끈 정상착용 관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119A (ko) * 2020-12-08 2022-06-15 (주)이브이패스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KR102452883B1 (ko) * 2020-12-08 2022-10-14 (주)이브이패스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KR102671035B1 (ko) 2022-05-23 2024-05-30 주식회사 이안하이텍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KR102473116B1 (ko) 2022-05-26 2022-12-01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턱끈 체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517B1 (ko)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US8710979B2 (en) Personal alarm device for headwear for proximity detection
KR102065976B1 (ko) 안전모 및 턱끈 정상착용 관리장치
US20140259252A1 (en) Mask removable type automatic shading goggles
RU2476937C2 (ru) Система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JP6077803B2 (ja) 作業機械の安全装置
KR102061561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945262B1 (ko) 자전거의 안전운전장치
CN106788527B (zh) 具有监控功能的安全帽及其监控方法
JP2009167587A (ja) 警報機能付きヘルメット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US10514672B1 (en) Machinery accident prevention system
CN206025327U (zh) 一种预报警式安全帽
KR20180075219A (ko)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US20180328538A1 (en) Tool safety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473116B1 (ko) 턱끈 체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안전모
KR20140006663A (ko) 안전모의 충돌 방지 장치
EP3445158B1 (en) Improved tree felling wedge giving tree felling alert
KR20180082856A (ko)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JP2007247097A (ja) 警報機能付きヘルメット
KR20180129689A (ko) 안전 관리 방법
KR102563007B1 (ko) 안전모
KR200442656Y1 (ko) 안전모
KR102497677B1 (ko)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