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689A - 안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689A
KR20180129689A KR1020180059833A KR20180059833A KR20180129689A KR 20180129689 A KR20180129689 A KR 20180129689A KR 1020180059833 A KR1020180059833 A KR 1020180059833A KR 20180059833 A KR20180059833 A KR 20180059833A KR 20180129689 A KR20180129689 A KR 20180129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ving means
safety
protective device
safe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071B1 (ko
Inventor
최훈성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밸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밸류 filed Critical (주)초이스밸류
Publication of KR2018012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6Means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장치를 착용함에 따라 산업 재해로부터 사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전 관리 방법은 작업 공간 내 사용자가 착용한 보호 장치의 잠금 장치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 및 사용자가 안전 보조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Description

안전 관리 방법{SAFETY MANAGEMENT METHOD}
아래의 설명은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설 산업에서 발생하는 안전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는 개인의 안전과 보건상의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 요소들이 곳곳에 위치하며, 작업자는 이러한 위험 요소들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보호 장구를 착용한다. 일반적으로, 보호 장구는 필수적인 안전모를 포함하며, 청력 장해를 유발하는 소음 차단용 귀마개, 유독물질의 흡입을 차단하는 산업용 방독/방진 마스크, 보안경, 안전화, 안전 장갑, 안전 복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 장구는 작업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것으로, 사용자는 작업 시 불편하다는 이유로 안전 장구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최근에는 사업 현장에서의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필요 조치를 이행하지 않는 사업주와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는 근로자를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안전모 미착용 / 안전고리 미체결한 작업자는 산업 현장에서 퇴출하는 등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책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안전대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거나 안전모의 턱끈을 매지 않았을 때에 안전모가 제대로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한 인명 사고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을 시에 안전모의 안전 활용범위는 단순히 작업자의 머리보호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으로의 확장이 가능함에 따라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모 착용은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산업 현장 내 특정 작업시 발생되는 산업재해 요소에 대한 산업환경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호장구를 착용하도록 유도하는 기능 및 보호장구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모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 안전모는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거나 각종 센서류를 안전모에 부착하여 현장의 위험요소를 감지할 뿐, 산업 현장에서의 착용 여부를 파악하는데는 다소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안전모의 착용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었으나, 근로자가 스마트 안전모를 팔꿈치나 허벅지 등에 결박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기본적인 안전모 착용에 대한 해결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산업 환경에서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장착되었는지에 대한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자가 사용자에 대해 실시간으로 보호 장치의 착용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전 승인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 또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보호 장치에 대한 이동 수단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이동 수단의 운행 권을 부여함으로써, 이동 수단의 운행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가 수행하는 안전 관리 방법은 작업 공간 내 사용자가 착용한 보호 장치의 잠금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장치에 대한 착용자의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기 위한 가해진 터치 여부 및 잠금 장치의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터치 감도로부터 잠금 장치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에 의한 터치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1차적으로 터치 여부를 감지한 이후,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자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의 결합에 의해 착용자로부터 보호 장치가 미 착용되었는지 또는, 착용되었는지에 대한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가 수행하는 안전 관리 방법은 착용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보호 장치를 미착용한 착용자에게 보호 장치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착용 권고 알림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안전 관리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수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감도를 감지하고, 잠금 장치의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보호 장치에 대한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1)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터치 감도로부터 잠금 장치와 사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2)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잠금 장치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잠금 장치의 결합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불허에 따른 이동 수단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상태에 따라 1)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보다 감속되도록 제동시키거나, 또는 2) 이동 수단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안전 관리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이 이동 수단과의 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의 개인 식별 번호(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이용하여 이동 수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이 통신 가능 거리를 이탈한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불허에 따른 이동 수단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개인 식별 번호에 따른 사전에 승인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인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허용에 따른 이동 수단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상태에 따라 1)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보다 감속되도록 제동시키거나, 또는 2) 이동 수단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방법은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장착되었는지에 대한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관리자가 사용자에 대해 실시간으로 보호 장치의 착용 및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방법은 사전 승인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 또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보호 장치에 대한 이동 수단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이동 수단의 운행 권을 부여함으로써, 이동 수단의 운행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 및 안전 보조 장치에 관한 사용자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에 관한 착용 정보 및 안전 보조 장치에 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안전 보조 장치를 미착용한 사용자에게 착용 권고 알림을 전달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이동 수단의 운행을 허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와 연동하여 이동 수단의 운행을 허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 간 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안전 관리 장치 간 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와 안전 관리 장치 간 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 및 안전 보조 장치에 관한 사용자의 착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03)은 작업 공간 내 사용자가 착용한 보호 장치(101)에 포함된 잠금 장치(10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 공간은 사용자가 근무하는 산업 현장으로, 자연적, 재해적 재해 등 안전 수요에 대응하여 경제주체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유형 또는 무형의 재화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써, 소방, 방배, 위생, 보안, 제조업, 건설업, 광업, 농업 등이 이루어지는 공간일 수 있다.
보호 장치(101)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고, 보호 장치(101)에 포함된 잠금 장치(102)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보호 장치(101)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갑작스런 사고로 인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해주는 보호 장구일 수 있다. 일례로, 보호 장치(101)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헬맷, 산업용 안전모 등 일 수 있다.
잠금 장치(102)는 보호 장치(101)가 사용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 장치(101)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턱끈 형태의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일례로, 잠금 장치(102)는 인체 공학적 구조로 설계된 버클일 수 있다. 즉, 잠금 장치(102)는 보호 장치(101)의 무게 규격에 부합되는 조건으로 설계되어, 기존의 보호 장치(101)에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장치(102)는 사용자의 턱에 잘 맞도록 인체 공학 설계를 통해 보호 장치(101)의 착용을 불편해하는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최소화하였으며, 내부에 방수 기능이 구비되어 전자 제어의 오작동을 봉쇄하고, 사용자 단말(103)과의 통신을 위한 저전력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잠금 장치(102)로부터 보호 장치(101)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잠금 장치(102)는 사용자에 의한 보호 장치에 가해진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장치(102)는 터치 여부를 확인한 이후,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잠금 장치(102)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3)은 착용 정보를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로 전달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은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사용자의 보호 장치에 관한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는 착용 정보 이외에 착용 정보에 관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착용 정보를 매핑함으로써, 착용 정보를 전달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은 작업 공간 내 사용자에게 보호 장치(102)가 미 착용되었는지 또는, 착용되었는지에 대한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은 착용 상태에 따른 보호 장치(101) 또는 안전 보조 장치(104)를 미착용한 사용자에게 보호 장치(101)에 관한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착용 권고 알림을 사용자 단말(103)로 전달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은 작업 공간 내 존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자들이 현재 보호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공간을 관리하는 담당자는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를 통해 보호 장치에 관한 사용자들의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보호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사용자들에 대한 관리-감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보호 장치 이외에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안전 보조 장치에 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하게, 보호 장치의 잠금 장치가 보호 장치에 관한 착용 여부를 감지한 이후, 사용자는 작업 공간에서 수행되는 업무에 따른 공사 종류에 적절한 안전 보조 장치(104)를 추가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머리 보호를 우선으로 하면서, 공사 종류에 따라 부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안전 보조 장치(104)를 신체에 추가 착용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개인의 안전과 보건상의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최소한의 피해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보조 장치(104)는 작업 공간 내 미세먼지로부터 시력을 보호하는 보안경, 청력장애를 유발하는 소음 차단용 귀마개, 유독물질의 흡입을 차단하는 산업용 방독/방직 마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부가 장치의 잠금 장치와 별개로 안전 보조 장치(104)에 포함된 센서를 통해 안전 보조 장치(104)의 착용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즉, 안전 보조 장치(104)는 착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열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포함된 센서로부터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안전 보조 장치(104)에 대한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에 전달하고,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는 보조 장치에 관한 착용 여부뿐만 아니라, 안전 보조 장치(104)에 관한 착용 여부를 더 확인함으로써, 작업 공간 내 사용자의 안정수준을 높여 관리-감독할 수 있다.
또한,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는 이때, 본 발명은 작업 공간별, 공정 종류별 착용되어야 하는 안전 보조 장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 업무, 업무의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착용 권고 알림을 전달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산업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보호 장치를 착용해야 하며, 보호 장치 이외에도 개인의 안전과 보건상의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산업 현장의 특정 작업 수행에 따른 청력, 시력, 호흡기 질환 등을 통해 유발되는 산업 재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귀마개, 산업용 방독/방진 마스크, 보안경 등의 다양한 안전 장구를 추가로 착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안전 장구는 산업 현장 내 사용자의 업무에 따라 한 개에서 복수 개까지 다양하게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산업재해로부터 사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작업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가 잠금 장치(102)를 이용해 보호 장치(101)를 정확하게 착용하였는지를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보호 장치(101)의 착용 여부에 따라 안전 보조 장치(104)의 착용 여부를 추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 공간을 관리하는 담당자는 실시간으로 작업 공간에서 근무하는 사용자들의 보호 장치(101)의 착용 여부 및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산업 재해에 관한 사전 예방 및 관리-감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보호 장치에 관한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잠재되어 있는 산업 재해의 발생에 대한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에 관한 착용 정보 및 안전 보조 장치에 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를 살펴보면, 보호 장치(201)에 포함된 잠금 장치(202)는 보호 장치(201)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 장치(202)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201)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터치 여부 및 결합 여부를 복합적으로 감지함으로써, 보호 장치에 관한 착용 여부를 보다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1) 터치 여부
잠금 장치(202)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직접 터치 이외에도 터치 감도를 조절하여 터치 여부의 감지가 가능하여 산업 현장 등 먼지가 많은 장소에서 센싱이 가능한 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장치(202)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통해 작업 공간 내 작업을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보호 장치(201)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터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잠금 장치(202)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터치 감도로부터 잠금 장치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에 의한 터치 여부를 1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2) 결합 여부
잠금 장치(202)는 1차적으로 잠금 장치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에 의한 터치 여부를 확인한 이후, 사용자(205)로부터 보호 장치(20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잠금 장치(202)는 보호 장치의 양쪽에서 자기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홀 센서는 비접촉식으로 구현되며, 어느 정도의 이물질이 있더라도 구동이 가능한 센서일 수 있다. 잠금 장치(202)는 사용자의 머리에 보호 장치가 씌워지고, 보호 장치의 양쪽에서 각각 위치한 턱끈이 한쌍으로 체결되면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 장치(202)는 센서에 의해 보호 장치의 양쪽에 위치한 잠금 장치(202)가 서로 맞물려지면서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고, 자기장의 세기에 의한 전압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잠금 장치(202)의 결합 여부를 2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결국, 잠금 장치(202)는 터치 여부 및 결합 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호 장치가 정상적인 체결이 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잠금 장치(202)는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는 잠금 장치(202)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204)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착용 정보(204)는 잠금 장치(202)에 의해 사용자가 보호 장치(201)를 머리에 정확하게 착용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착용 정보(204)는 착용일자, 착용시간, 사용자의 작업공간, 사용자의 공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 일자는 사용자가 작업 공간에서 근무하거나 또는 작업을 수행한 일자를 의미하고, 착용 시간은 잠금 장치(202)가 결합됨에 따라 보호 장치(201)가 사용자(205)의 머리에 고정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작업공간은 착용일자에 따른 사용자의 업무가 수행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사용자의 공종은 사용자가 작업공간에서 수행하는 공사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살펴보면, 안전 보조 장치(206)는 보호 장치(201)가 사용자에게 정확히 장착된 이후, 또는, 보호 장치(201)의 착용 여부와 별개로 사용자가 수행하는 공사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산업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다.
안전 보조 장치(206)는 사용자(205)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204)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보호 장치를 착용한 이후, 글라인딩 작업에 적절한 안전 보조 장치로 보안경을 착용할 경우, 안전 보조 장치는 보안경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변화되는 습도 또는 열을 센싱하여 사용자로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보조 장치는 안전 보조 장치(206)가 사용자(205)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가 정보(207)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부가 정보(207)는 안전 보조 장치(206)의 착용 여부를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부가 정보(207)는 사용자의 공종, 사용자의 안전 보조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공종은 사용자가 작업공간에서 수행하는 공사 종류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안전 보조 장치는 공사 종류에 따른 산업 재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 장구로, 사용자의 착용 여부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작업 공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대상일 수 있다. 작업 공간은 실내 공간 또는 실외 공간일 수 있으며, 특정 작업에 의한 산업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공간을 포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업 공간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이전에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보호 장치에 포함된 잠금 장치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기 위한 동작으로부터 터치 감도 및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하게, 보호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모로써, 작업 공간으로 진입하기 이전에 필수적으로 착용되어야 하는 안전 장구일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장치는 작업 공간에 출입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장치로 본 발명은 보다 안전한 작업 공간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조 장치의 착용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호 장치에 포함된 잠금 장치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터치 감도로부터 잠금 장치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에 의한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센서에 의해 보호 장치의 양쪽에 위치한 잠금 장치가 서로 맞물려지면서 자기장의 세기가 변하고, 자기장의 세기에 의한 전압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잠금 장치의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작업 공간 내 사용자의 위치를 추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단순히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을 목적으로써, 작업 공간 내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위험 여부를 고려하여, 보호 장치의 착용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은 보호 장치의 착용 여부 이외에도 안전 보조 장치의 착용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안전 보조 장치는 보호 장치와 별개로 작업 공간 내 사용자의 공사 종류에 따라 부가적으로 착용되어야 하는 안전 장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각 공종별로 필요로 하는 안전 보조 장치가 정상적으로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행해야하는 공사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한 공사 종류에 따라 적절한 안전 보조 장치가 정상적으로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 공간의 Ⅰ 영역은 페인트를 믹스하는 업무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작업 공간의 Ⅱ 영역은 나무를 절단하는 업무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작업 공간의 Ⅲ 영역은 절단된 나무에 페인트를 칠하는 업무가 이루어지는 공간일 수 있다. 이때, 작업 공간의 각 영역은 수행되는 업무에 따라 부가적으로 착용되어야 하는 안전 보조 장치가 상이할 수 있으며, 안전 보조 장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작업 공간의 Ⅰ 영역은 페인트를 믹스하는 장소로, 페인트에 의한 유독 가스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공간의 Ⅰ 영역은 보호 장치 이외에 사용자에게 산업용 방재 마스크가 필수적으로 착용되어야 한다.
작업 공간의 Ⅱ 영역은 나무를 절단하는 장소로 나무가 절단되면서 발생하는 톱밥들 및 전기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공간의 Ⅱ 영역은 보호 장치 이외에 사용자에게 귀마개, 산업용 방독/방진 마스크, 보안경이 필수적으로 착용되어야 한다.
작업 공간의 Ⅲ 영역은 페인트를 나무에 칠하는 곳으로 페인트에 의한 유독 가스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공간의 Ⅲ 영역은 보호 장치 이외에 사용자에게 산업용 방재 마스크 또는 보안경이 필수적으로 착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각자의 공사 종류에 따라 적절한 안전 보조 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다양한 작업 공간의 상황을 고려하여 산업 재해에 의한 사용자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안전 보조 장치를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장치에 포함된 잠금 장치는 보호 장치 및 안전 보조 장치에 관한 착용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사용자 단말(301)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은 작업 공간에서 업무를 진행하거나 진행할 예정인 사용자에 대응하여 보호 장치 및 안전 보조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착용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301)은 착용 정보 및 부가 정보 그리고, 사용자 정보를 함께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302)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안전 보조 장치를 미착용한 사용자에게 착용 권고 알림을 전달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401)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착용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401)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착용 정보를 매핑함으로써, 착용 정보를 전달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401)는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미 착용되었는지 또는, 착용되었는지에 대한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401)는 공사 종류와 무관하게 산업 재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보호 장치의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작업 공간 내 보호 장치의 착용을 필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401)는 작업 공간 내 사용자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위치 및 사용자가 수행하는 공정을 고려하여 작업 공간의 현장 상황을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401)는 작업 공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 즉 작업 수행, 휴식 시간 등을 고려하여 보호 장치에 관한 사용자의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401)는 착용 상태에 따른 보호 장치를 미착용한 사용자가 존재하면, 미착용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404)에게 보호 장치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착용 권고 알림(405)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이동 수단의 운행을 허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안전 관리 장치(501)는 이동 수단(503)의 프레임에 탈부착이 가능한 장치로, 이동 수단(503)의 운행에 관한 권한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관리 장치(501)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502)과의 보다 효율적인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수단(503)의 핸들에 위치될 수 있으며, 안전 관리 장치(501)는 상황에 따라 이동 수단(503)을 이루는 프레임 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501)는 이동 수단(503)에 관한 운행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502)이 이동 수단(503)과의 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502)로부터 사용자 단말(502)의 개인 식별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수단(503)은 사용자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장치로 사용자의 신체 운동을 요구하는 교통 수단일 수 있다. 또는, 이동 수단(503)은 장치에 포함된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교통 수단일 수 있다. 일례로, 이동 수단(503)은 자전거, 오토바이, 전기 자전거, 전동 스쿠터 등의 교통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이동 수단(503)인 경우, 이동 수단(503)은 이동 수단(503)에 포함된 바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동력 장치는 이동 수단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생성하거나 또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 장치는 이동 수단(503)에 포함된 바퀴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위하여 바퀴와 인접한 프레임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동력 장치 또한, 상황에 따라 이동 수단(503)을 이루는 프레임 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동력 장치는 별도의 배터리와 연동하거나 또는 내부에 삽입된 배터리를 통해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관리 장치(501)와 동력 장치는 개별적으로 설계가 가능하며, 개별 설계된 경우, 독립적인 모듈로 각 장치의 특성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배터리도 하나의 장치로 설계 가능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501)는 사용자 단말(502)로부터 수신한 개인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수단(503)의 운행에 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안전 관리 장치(501)는 사용자 단말(502)의 개인 식별 정보를 이동 수단(503)을 운행할 수 있는 사용자를 사전에 등록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501)는 이동 수단(503)에 관한 운행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502)로부터 개인 식별 번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개인 식별 정보가 기 등록된 개인 식별 정보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동 수단(503)의 운행에 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501)는 이동 수단(503)의 운행에 관한 인증이 완료되면, 이동 수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501)는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 장치(501)는 인증에 따른 동력 장치로 운행 권한을 부여하고, 동력 장치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이동 수단(503)에 포함된 바퀴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관리 장치(501)는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동 수단(503)의 운행 불허에 따른 이동 수단(503)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안전 관리 장치(501)는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이동 수단(503)이 운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502)과의 근거리 통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503)의 운행이 허용된 이후, 이동 수단(503)으로부터 사용자가 이탈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이동 수단(503)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외부 요인 또는, 내부 요인으로 인해 더이상 이동 수단(503)을 운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판단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이동 수단(503)을 운행하는 상황에서 타인, 자동차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한 예상치 못한 접촉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접속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신체적 외상으로 인한 이동 수단(503)의 운행을 중단하게 되고, 이는 이동 수단(503)로부터 사용자가 이탈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 관리 장치(501)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수단(503)을 이용해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이동 수단(503)을 주차 공간에 주차하고, 주차된 이동 수단(503)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를 내부 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이동 수단(503)로부터 사용자가 이탈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502)과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 관리 장치(501)는 내부 요인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502)과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501)는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503)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이동 수단(503)은 동력에 의한 일정 속도로 주행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관리 장치(501)은 이동 수단(503)의 운행을 허용한 사용자의 종류를 고려하여 서로 상이한 속도로 주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종류는 성인과 아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이동 수단(503)은 근거리 및 중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 구동 방식의 개인용 전기 자전거일 수 있으며, 이동 수단(503)은 최고 속도가 30km/h의 속도로 주행될 수 있다. 이 때, 안전 관리 장치(501)는 사용자 단말에 의한 이동 수단(503)의 운행이 허용된 사용자를 성인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 수단(503)은 이동 수단(503)의 최고 속도로 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이동 수단(503)은 안전 관리 장치(501)에 의해 운행이 허용된 사용자가 아동인 경우, 자전거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고 속도를 10km/h으로 하향되어, 주행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리 장치(501)는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503)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동력을 차단하는 경우,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503)의 운행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전 관리 장치(501)는 사용자 단말(502)과의 근거리 통신이 차단되기 직전에 이동 수단의 속도를 판단하고, 이동 수단의 속도에 따라 1)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보다 감속되도록 제동시키거나, 또는 2) 상기 이동 수단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동 수단(503)의 현재 상태 정보를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안전 관리 장치(501)와 사용자 단말(503) 각각은 근거리 통신으로 직접 연결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안전 관리 장치(501)와 근거리 통신하여 안전 관리 장치(501)을 통해 제어 가능한 장치(동력 장치, 배터리 등)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로부터 사용자가 최적화된 성능으로 이동 수단(503)을 주행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503)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중 센서(속도·온도·방향·기울기 등)에서 감지한 이동 수단의 자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안전 관리 장치(501)는 이동 수단의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수단의 동력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긴장감과 피로감을 덜기 위해 균일한 속력으로 주행하며 전력 소모와 효율성의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수단(503)의 급발진을 예방하고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운행할 수 있는 거리를 제어할 수 있어, 운동 효과 및 주행 거리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향후 사고를 예방하는 액티브 세이프티 장치(Active Safety)로, 안전 관리 장치(501) 및 사용자 단말(502)를 제안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502)의 개인 식별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동 수단(503)을 주행하는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와 연동하여 이동 수단의 운행을 허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안전 관리 장치(601)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보호 장치(602)에 부착된 잠금 장치(미도시)로부터 보호 장치(602)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안전 관리 장치(601)은 이동 수단(603)을 기준으로 보호 장치(602)를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 수단(503)과의 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하면, 보호 장치(602)에 부착된 잠금 장치로부터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 정보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머리에 씌운 후, 보호 장치의 양쪽에서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장치가 결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착용 정보는 ① 보호 장치(602)의 착용 여부 및 ② 학습자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보호 장치(602)의 착용 여부는 보호 장치(101)의 내부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과정을 통해 보호 장치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보호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생체 리듬에 따른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는 보호 장치의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사용자의 체온에 의한 보호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를 감지하는 심박 센서 및 광 신호를 이용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의 착용 여부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602)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터치 감도로부터 잠금 장치와 사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60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잠금 장치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잠금 장치는 자기 홀 센서 및 정전식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기 홀 센서 및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잠금 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601)은 보호 장치에 포함된 잠금 장치로부터 수신한 착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보호 장치(602)를 착용한 경우, 사용자 인증을 통한 이동 수단(603)의 운행을 허용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601)는 착용 정보를 통해 이동 수단(603)의 운행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이동 수단(603)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601)는 잠금 장치의 결합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동 수단(603)의 운행 불허에 따른 이동 수단(603)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안전 관리 장치(601)는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이동 수단(603)이 운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보호 장치(602)에 대한 착용 여부 및 보호 장치(602)에 포함된 잠금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 장치(601)는 이동 수단(603)의 운행이 허용된 이후, 사용자가 이동 수단(603)을 이탈한 경우, 또는, 보호 장치(602)의 내부적인 온도 상승으로 인해 보호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를 이탈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상황에서 안전 관리 장치(601)는 사용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이동 수단(603)의 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전 관리 장치(601)는 이동 수단(603)의 운행이 허용되었더라도 보호 장치(602)의 버클을 일정 시간 동안 체크하여 버클이 해제된 경우, 전력 제어를 통해 운행을 정지하여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동 수단(603)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601)는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603)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안전 관리 장치(601)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수단(503)의 운행을 허용한 사용자를 성인과 아동으로 구분하고, 이동 수단(603)은 구분된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속도로 주행될 수 있다.
일례로, 이동 수단(603)은 최고 속도가 30km/h의 속도로 주행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601)는 보호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이동 수단(603)의 운행을 허용할 수 있다. 보호 장치에 의해 이동 수단(603)이 운행된 경우, 본 발명은 이동 수단(603)의 운행이 허용된 사용자가 아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수단(603)은 사용자가 아동으로 판단됨에 따라 자전거 사고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고 속도를 10km/h으로 하향되어, 주행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관리 장치(501)는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503)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동력을 차단하는 경우, 안전 관리 장치(601)는 이동 수단(603)의 운행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601)는 이동 수단(603)이 운행 중인 경우, 이동 수단(603)의 이동 속도보다 감속되도록 제동되도록 이동 수단(603)의 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601)는 이동 수단(603)이 정차 중인 경우, 이동 수단(603)의 동력을 즉시 차단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향후 사고를 예방하는 액티브 세이프티 장치로, 안전 관리 장치(601) 및 보호 장치(602)를 제안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보호 장치(602)의 착용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이동 수단(603)을 주행하는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 간 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701)에서 잠금 장치(102)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보호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턱끈 방식의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장치(102)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터치 감도로부터 잠금 장치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에 의한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장치(102)는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잠금 장치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잠금 장치(102)는 사용자의 머리에 보호 장치가 씌워지고, 보호 장치의 양쪽에서 각각 위치한 턱끈이 한쌍으로 체결되면서 체결 과정에 의한 정상적인 결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잠금 장치(102)는 보호 장치의 양쪽에 위치한 턱끈이 체결되면서 정상적으로 결합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장치(102)는 터치 여부 및 결합 여부에 따른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1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사용자 단말(103)은 작업 공간 내 사용자가 착용한 보호 장치의 잠금 장치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3)은 보호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 작업 공간 내 산업 환경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호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3)은 사용자 정보, 착용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703)에서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은 사용자 단말(103)로부터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은 착용 정보로부터 상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미 착용되었는지 또는, 착용되었는지에 대한 착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704)에서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105)은 착용 상태에 따른 보호 장치를 미착용한 사용자에게 보호 장치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착용 권고 알림을 사용자 단말(103)로 전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산업 환경에서의 사용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보호 장치의 착용 여부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작업해야 하는 업무에 적절한 안전 장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안전 관리 장치 간 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801)에서 안전 관리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하게, 보호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보호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턱끈 방식의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고, 보호 장치에 포함된 잠금 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보호 장치는 보호 장치에 포함된 잠금 장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하게, 잠금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보호 장치가 씌워진 이후,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잠금 장치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잠금 장치의 결합 여부에 따른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안전 관리 장치에 전달하고, 안전 관리 장치는 잠금 장치로부터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관리 장치는 잠금 장치가 이동 수단과의 통신 가능 거리 내에 위치한 경우에 한하여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의 특정 영역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이며, 이동 수단의 운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을 운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동 수단을 타기 위해 접근하였을 때에 한하여 잠금 장치로부터 착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802)에서 안전 관리 장치는 잠금 장치로부터 수신한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수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안전 관리 장치는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수단을 운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접근 여부 및 이동 수단에 대응하여 인증된 사용자에게 운행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보호 장치의 착용 여부를 통해 이동 수단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이동 수단의 운행을 허용함으로써, 이동 수단의 도난을 사전에 차단시킬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는 착용 정보를 통해 이동 수단의 운행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안전 관리 장치는 잠금 장치의 결합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불허에 따른 이동 수단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안전 관리 장치는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이동 수단이 운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보호 장치에 대한 착용 여부 및 보호 장치에 포함된 잠금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의 운행이 허용된 이후, 사용자가 이동 수단을 이탈한 경우, 또는, 보호 장치의 내부적인 온도 상승으로 인해 보호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를 이탈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상황에서 안전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이동 수단의 운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 수단은 사용자의 신체 활동에 따라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이로 인한 안전 사고가 유발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호 장치가 필수적으로 착용되기는 권장화되고 있다. 이에 예상치 못한 사고에 의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여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어린이 및 청소년의 경우에는 보호 장치의 안전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에 따라 부모가 확인하지 못할 경우, 보호 장치를 미착용한 채로 차가 이동하는 도로 또는 건널목 등을 위험하게 다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예상치 못한 사고에 따른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고, 단순 물질 사고에서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의 운행이 허용되었더라도 다양한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동 수단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안전 관리 장치는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동력을 차단하는 경우,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의 운행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이 운행 중인 경우,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보다 감속되도록 제동되도록 이동 수단의 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이 정차 중인 경우, 이동 수단의 동력을 즉시 차단시킬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와 안전 관리 장치 간 안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901)에서 안전 관리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이 이동 수단과의 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을 운행할 수 있는 사전에 승인된 사용자 단말이 이동 수단과의 통신 가능 거리 내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 수단에 접근 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개인 식별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전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개인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수단의 운행이 허용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수단의 운행이 허용된 경우,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안전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불허에 따른 이동 수단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안전 관리 장치는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이동 수단이 운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의 운행이 허용된 이후, 사용자가 이동 수단을 이탈한 경우, 사용자가 위험 상황 또는 이동 수단이 주차된 것으로 판단하고,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902)에서 안전 관리 장치는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동력을 차단하는 경우, 안전 관리 장치는 이동 수단의 운행 상태를 파악하여 적절하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전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이 차단되기 직전에 이동 수단의 속도를 판단하고, 이동 수단의 속도에 따라 1)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보다 감속되도록 제동시키거나, 또는 2) 상기 이동 수단의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보호 장치
102: 잠금 장치
103: 사용자 단말
104: 안전 보조 장치
105: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

Claims (12)

  1. 산업 안전 모니터링 서버가 수행하는 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작업 공간 내 사용자가 착용한 보호 장치의 잠금 장치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장치에 대한 착용자의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기 위한 가해진 터치 여부 및 잠금 장치의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터치 감도로부터 잠금 장치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에 의한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터치 여부를 감지한 이후,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의 결합에 의해 착용자로부터 보호 장치가 미 착용되었는지 또는, 착용되었는지에 대한 착용 상태를 판단하는 보호 장치 착용 판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보호 장치를 미착용한 착용자에게 보호 장치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한 착용 권고 알림을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전 관리 방법.
  6. 안전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로부터 보호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착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착용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수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감도를 감지하고, 잠금 장치의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보호 장치에 대한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에 부착된 잠금 장치는,
    1) 사용자가 보호 장치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한 터치 감도로부터 잠금 장치와 사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2) 상기 사용자로부터 보호 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 과정에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잠금 장치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장치의 결합되지 않고,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불허에 따른 이동 수단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안전 관리 방법.
  9. 제8항에 이어서,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상태에 따라 1)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보다 감속되도록 제동시키거나, 또는 2) 상기 이동 수단의 동력을 차단하는 안전 관리 방법.
  10. 안전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안전 관리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이 이동 수단과의 통신 가능 거리에 위치하면, 사용자 단말의 개인 식별 번호(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를 이용하여 이동 수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명령에 따라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신 가능 거리를 이탈한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불허에 따른 이동 수단으로 유입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안전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식별 번호에 따른 사전에 승인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인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허용에 따른 이동 수단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안전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이어서,
    상기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는 경우, 이동 수단의 운행 상태에 따라 1) 이동 수단의 이동 속도보다 감속되도록 제동시키거나, 또는 2) 상기 이동 수단의 동력을 차단하는 안전 관리 방법.
KR1020180059833A 2017-05-26 2018-05-25 안전 관리 방법 KR102037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5450 2017-05-26
KR1020170065450 2017-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689A true KR20180129689A (ko) 2018-12-05
KR102037071B1 KR102037071B1 (ko) 2019-11-26

Family

ID=6474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33A KR102037071B1 (ko) 2017-05-26 2018-05-25 안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18B1 (ko) * 2020-12-30 2022-04-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이동 수단의 사용자 인증 및 도난 감지 방법
KR102548565B1 (ko) * 2022-12-05 2023-06-28 류혜림 퍼스널 모빌리티의 헬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946A (ko) * 2011-01-19 2012-07-27 (주)영우산업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101699817B1 (ko) * 2015-07-23 2017-01-25 (주)초이스밸류 보호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전 장치의 잠금 상태 제어 방법
KR20170034644A (ko) * 2015-09-21 2017-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946A (ko) * 2011-01-19 2012-07-27 (주)영우산업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101699817B1 (ko) * 2015-07-23 2017-01-25 (주)초이스밸류 보호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전 장치의 잠금 상태 제어 방법
KR20170034644A (ko) * 2015-09-21 2017-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18B1 (ko) * 2020-12-30 2022-04-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이동 수단의 사용자 인증 및 도난 감지 방법
WO2022145817A1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이동 수단의 사용자 인증 및 도난 감지 방법
KR102548565B1 (ko) * 2022-12-05 2023-06-28 류혜림 퍼스널 모빌리티의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071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071B1 (ko) 안전 관리 방법
KR20170102417A (ko) 브레이크 자동감지 및 방향 지시 기능을 가진 사이클링 헬멧
KR20200082908A (ko) 전동 킥보드 안전 장치
US20190008228A1 (en) Integrated non-conflicting headgear platform system and method
KR20180036870A (ko) 자전거의 안전운전장치
KR101699817B1 (ko) 보호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안전 장치의 잠금 상태 제어 방법
KR20170012510A (ko) 자전거
CN101638079A (zh) 触觉提醒方式的汽车安全预警系统
JP7055193B2 (ja) ヘルメット装着用緊急避難警報装置および緊急避難警報システム
KR20180082856A (ko)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KR20170012511A (ko) 이동 수단 잠금 상태 제어 방법
CN213074650U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自然场景下安全帽佩戴实时监控设备
WO2020153589A2 (ko) 커넥티드 차량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차량의 안전운행 관리장치 및 차량의 안전운행 방법
KR102627939B1 (ko) 산업현장용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의 표면처리방법
CN202508186U (zh) 智能安全校车
KR102543711B1 (ko)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101924904B1 (ko) 오토바이용 안전슈트
KR101613244B1 (ko) 오토바이 안전장치
KR20170012509A (ko) 보호 장치
CN210299689U (zh) 一种安全电动车头盔
CN105216740B (zh) 一种按摩式汽车安全带
CN102907809A (zh) 一种保护颈椎的头颈胸护盔
CN203713793U (zh) 客车快速破窗逃生装置
RU277299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воздушной подуш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KR20220167350A (ko) 전동킥보드 헬멧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