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711B1 -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711B1
KR102543711B1 KR1020210098003A KR20210098003A KR102543711B1 KR 102543711 B1 KR102543711 B1 KR 102543711B1 KR 1020210098003 A KR1020210098003 A KR 1020210098003A KR 20210098003 A KR20210098003 A KR 20210098003A KR 102543711 B1 KR102543711 B1 KR 10254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user
communication means
battery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469A (ko
Inventor
김동우
김하빈
정혜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7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은 전기를 동력으로 주행가능한 개인형 이동 장치;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에 장착되는 제1통신 수단;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의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헬멧; 상기 헬멧에 장착되며, 상기 제1통신 수단과 통신가능한 제2통신 수단; 상기 헬멧에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는, 이동 바디; 상기 이동 바디에 장착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이동 바디에 장착된 휠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제1통신 수단과 상기 제2통신 수단 간의 신호의 송수신 여부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Safety control system for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은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헬멧을 정상 착용한 경우에만 개인형 이동 장치의 구동이 가능한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미래 육상교통의 비전을 신속, 편리, 안전한 인간 중심 친환경적인 육상교통체계를 실현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대중교통정책을 5대 핵심정책의 하나로 선정하여 추진 중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교통수단이 확충되고 교통시스템이 개편되면서 간편하고 경제적인 중·단거리 교통수단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신속하고 기동성 있는 개인형 이동 수단(Personal mobility)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차량 위주의 교통법규, 미비한 안전대책, 부실한 등록제도 운영 등으로 인하여 개인형 이동 수단의 교통사고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치사율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인형 이동 수단은 기능이나 구조가 일반 승용차에 비해 매우 취약하다. 특히, 운전자의 신체가 외부에 대부분 노출되기 때문에, 사고시 신체에 직접적 충격이 가해져 치사율이 굉장히 높다.
경찰청 교통사고 조사자료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 수단 사고의 연평균 증가율은 전체사고의 연평균 증가율 대비 4.2배 높으며, 10만대 당 사고건수는 승용차에 비해 2.4배로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헬멧 미 착용시 머리중상 가능성은 98.9%이지만, 헬멧 착용 시 24.2%로 현저히 낮아진다. 이러한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개인형 이동 수단 사고대상자 7,886명 중 헬멧 착용자의 비율은 31%에 그치는 게 현실이다.
즉, 헬멧만 제대로 착용하고 있어도 개인형 이동 수단의 운전자의 중상과 사망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헬멧을 착용하지 않을 경우 시동을 걸 수 없게 만드는 안전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헬멧을 정상 착용하고, 개인형 이동 장치에 정상 탑승한 경우에만 개인형 이동 장치의 구동이 가능한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은 전기를 동력으로 주행가능한 개인형 이동 장치;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에 장착되는 제1통신 수단;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의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헬멧; 상기 헬멧에 장착되며, 상기 제1통신 수단과 통신가능한 제2통신 수단; 상기 헬멧에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는, 이동 바디; 상기 이동 바디에 장착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이동 바디에 장착된 휠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제1통신 수단과 상기 제2통신 수단 간의 신호의 송수신 여부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헬멧에 장착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헬멧의 기울기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 수단과 상기 제2통신 수단 간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로부터 상기 제1통신 수단과 상기 제2통신 수단 간의 사이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사이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은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 제공되는 충격 흡수층; 및 상기 충격 흡수층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피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내피에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는 복수 개 제공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머리의 관자 놀이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는 상기 머리의 정수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은, 상기 압력 센서가 장착된 지점에서 상기 충격 흡수층과 상기 내피 사이에 제공되며, 공기 주입으로 팽창가능한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에는 상기 내피에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는 복수 개 제공되며, 상기 머리의 서로 다른 영역들에 대응하는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에서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동시에 측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은 제1통신 수단과 제2통신 수단 간에 통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헬멧에 부착된 센서 모듈에서 측정되는 기울기 신호 및 압력 신호 모두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 배터리로부터 모터로 전력이 공급되므로, 사용자가 헬멧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고, 개인형 이동 장치에 정상 탑승하지 않는 경우, 개인형 이동 장치의 운행이 제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압력 센서가 제공된 위치를 나타내는 헬멧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압력 센서가 제공된 위치를 나타내는 우측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헬멧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헬멧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은 도 1의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10)은 사용자가 헬멧(200)을 정상 착용한 경우에만 개인형 이동 장치(100)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개인형 이동 장치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10)은 개인형 이동 장치(100), 제1통신 수단(210), 디스플레이(220), 헬멧(230), 제2통신 수단(240), 그리고 센서 모듈(250, 260)을 포함한다.
개인형 이동 장치(100)는 전기를 동력으로 주행가능한 개인형 이동 수단으로,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전기 스케이트 보드, 전동 휠, 그리고 전동 스쿠터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개인형 이동 장치(100)는 이동 바디(110), 배터리(120), 휠(130), 모터(140), 그리고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이동 바디(110)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개인형 이동 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120)는 이동 바디(110)에 장착되며, 외부 전력으로부터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축적한다.
횔(130)은 이동 바디(110)에 장착되며, 지면을 따라 굴러 이동 바디(110)를 이동시킨다.
모터(140)는 횔(130)과 결합하며, 배터리(120)에서 공급된 전력으로 동력을 발생시켜 휠(130)을 회전시킨다.
제어부(150)는 제1통신 수단(210)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120)에서 모터(14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제1통신 수단(210)은 이동 바디(110)에 장착되며, 제2통신 수단(240)과 통신 가능하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1통신 수단(210)은 비콘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로 제2통신 수단(240)과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이동 바디(110)에 장착되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개인형 이동 장치(100)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헬멧(230)은 개인형 이동 장치(100)와 분리되어 제공되며, 사용자의 머리 보호를 위해 착용 가능하다. 헬멧(230)은 외피(231), 충격 흡수층(232), 그리고 내피(233)로 구성된다. 충격 흡수층(232)은 외피(231)의 내측에 제공되고, 내피(233)는 충격 흡수층(232)의 내측에 제공된다.
제2통신 수단(240)은 헬멧(230)에 장착되며, 제1통신 수단(210)과 통신 가능하다.
센서 모듈(250, 260)은 헬멧(230)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였는지를 감지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센서 모듈(250, 260)은 자이로 센서(250)와 압력 센서(260)를 포함한다.
자이로 센서(250)는 헬멧(230)에 장착되고, 헬멧(250)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사용자가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고 주행하는 경우, 자이로 센서(250)에서 측정되는 헬멧(230)의 기울기는 일정 범위를 갖는다. 자이로 센서(250)에서 이러한 기울기 범위를 초과하여 헬멧(230)의 기울기가 측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압력 센서(260)는 헬멧(230)의 내피(233)에 장착되며, 헬멧(230)의 착용 시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 센서(260)는 복수 개 제공되며, 내피(233)의 기 설정된 지점에 위치한다.
도 3은 압력 센서가 제공된 위치를 나타내는 헬멧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압력 센서가 제공된 위치를 나타내는 우측면이다.
압력 센서(2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261, 262)는 머리(20)의 관자 놀이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두 개의 압력 센서(261, 262)가 머리(20)의 양측 관자 놀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압력 센서(260)들 중 적어도 다른 어느 하나(264)는 머리(20)의 정수리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압력 센서(263 내지 265)들이 머리(20)의 이마 중앙으로부터 정수리를 거쳐 뒤통수로 이어지는 라인상에 서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압력 센서(260)들은 각각의 위치에서, 머리(2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 센서(260)들은 사용자가 헬멧(230)을 착용 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력 센서(261 내지 265)들이 동시에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자이로 센서(250)에서 측정된 기울기 신호와 압력 센서(260)들에서 측정된 압력 신호는 제2통신 수단(240)과 제1통신 수단(210)을 순차적으로 거쳐 제어부(150)에 전달된다.
제어부(150)는 제1통신 수단(210)과 제2통신 수단(240)간에 통신되는 신호의 세기, 기울기 신호와 압력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개인형 이동 장치(100)에 안정적으로 탑승하였는지, 그리고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통신 수단(210)과 제2통신 수단(240)간에 통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개인형 이동 장치(100)에 안정적으로 탑승하였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개인형 이동 장치(100)에 탑승 시, 사용자의 머리와 개인형 이동 장치(100)의 상대 거리는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한다. 때문에, 사용자가 개인형 이동 장치(100)에 탑승하지 않거나, 운행 중 이탈할 경우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통신 수단(210)과 제2통신 수단(240)간의 신호 세기가 약해진다.
제어부(140)는 기울기 신호와 압력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였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기울기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해당하고, 동시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력 센서(260)에서 측정되는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였다고 판단한다. 하나의 압력 센서(260)에서 측정되는 압력으로 헬멧(230)의 정상 착용여부를 판단할 경우, 사용자가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예컨대 손으로 압력 센서(260)를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압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력 센서(260)에서 동시에 측정되는 압력 신호로 헬멧의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제1통신 수단(210)과 제2통신 수단(240)간에 통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기울기 신호, 그리고 압력 신호가 모두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120)로부터 모터(14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헬멧 착용의 불편함으로,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지 않고 개인형 이동 장치(100)의 운행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230)을 손에 쥐거나, 헬멧(230)을 개인형 이동 장치(100)의 손잡이에 거치하거나, 헬멧(230)을 머리(20)에 푹 눌러 씌지 않고 탑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사고 발생 시 사용자는 큰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개인형 이동 장치(100)의 작동을 제한해야 한다.
상술한 이유에서, 제어부(150)는 제1통신 수단(210)과 제2통신 수단(240)간에 통신되는 신호의 세기, 자이로 센서(250)에서 측정되는 헬멧(230)의 기울기 값, 그리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압력 센서(260)에서 동시에 측정되는 압력 값이 모두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 개인형 이동 장치(1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위 조건들이 만족되지 못하여, 개인형 이동 장치가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 그 이유를 디스플레이(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압력 센서(260)들에서의 신호에 의해 헬멧(230) 미착용으로 판단되는 경우, '헬멧을 착용해 주세요'라고 표시할 수 있고, 개인형 이동 장치(100)와 헬멧(230)간의 이격 거리 초과로 판단되는 경우 '가까이 와주세요'로 표시하고, 헬멧(230) 미착용 및 이격 거리 초과로 판단되는 경우 '헬멧 착용 후 가까이 와주세요'라고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위 조건들이 모두 만족되어 개인형 이동 장치의 운행이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위 조건들의 만족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운행 중 위 조건들이 만족하지 않을 경우, 개인형 이동 장치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헬멧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헬멧(230)은 튜브(235)를 더 포함한다. 튜브(235)는 충격 흡수층(232)과 내피(233) 사이에서, 압력 센서(263 내지 265)가 위치하는 지점 각각에 제공된다. 튜브(235)는 공기 주입으로 팽창 가능하다. 튜브(235)의 팽창으로 압력 센서(263 내지 265)가 헬멧(23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공유형 개인형 이동 장치(100)의 보급으로, 많은 사람들이 개인형 이동 장치(100)를 이용하고 있다. 공유형 이동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머리는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데, 머리 사이즈별로 헬멧(230)을 모두 구비해두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때문에, 헬멧(230)을 정상 착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머리의 사이즈로 인해 두 개 이상의 압력 센서(263 내지 265)에서 압력이 동시에 측정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에 의해 개인형 이동 장치(100)가 작동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튜브(235)에 공기를 주입하여 압력 센서(265)를 자신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튜브(235)의 주입부(235a)에 공기를 주입하면 튜브(235)가 팽창하면서 압력 센서(265)가 머리(20)에 가까이 이동하고 머리(20)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압력 센서(265)에서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헬멧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튜브(235)의 주입부(235a)는 충격 흡수층(232)을 지나, 외피(231) 측으로 제공된다. 주입부(235a)는 캡(235b)에 의해 입구가 차단된다. 사용자는 캡(235b)을 개방한 상태에서, 주입부(235a)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고, 튜브(235)가 팽창된 상태에서 캡(235b)을 다시 막아 압력 센서(265)가 머리(20)를 가압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헬멧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압력 센서(264)들에는 벨크로 테이프(268)가 부착된다. 벨크로 테이프(268)로 인해, 압력 센서(264)는 내피(233)에 탈부착 가능하다. 사용자는 자신의 머리 사이즈에 따라 압력 센서(264)가 머리(20)에 밀착될 수 있는 지점으로 압력 센서(265)를 이동시켜 부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100: 개인형 이동 장치
210: 제1통신 수단
220: 디스플레이
230: 헬멧
240: 제2통신 수단
250, 260: 센서 모듈
250: 자이로 센서
260: 압력 센서

Claims (8)

  1. 전기를 동력으로 주행가능한 개인형 이동 장치;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에 장착되는 제1통신 수단;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의 사용자가 착용가능한 헬멧;
    상기 헬멧에 장착되며, 상기 제1통신 수단과 통신가능한 제2통신 수단;
    상기 헬멧에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개인형 이동 장치는,
    이동 바디;
    상기 이동 바디에 장착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며, 상기 이동 바디에 장착된 휠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제1통신 수단과 상기 제2통신 수단 간의 신호의 송수신 여부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헬멧을 착용한 사용자 머리의 양측 관자 놀이와 정수리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복수 개가 내피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시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헬멧은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 제공되는 충격 흡수층;
    상기 충격 흡수층의 내측에 제공되는 내피;
    상기 압력 센서들 각각이 장착된 지점에서 상기 충격 흡수층과 상기 내피 사이에 제공되며, 공기 주입을 위한 주입부가 상기 충격 흡수층을 지나 상기 외피 측으로 제공되며, 상기 주입부를 통한 공기 주입으로 팽창가능한 튜브; 및
    상기 주입부를 차단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에서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이 동시에 측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헬멧을 착용하였다고 판단하는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헬멧에 장착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에서 측정되는 상기 헬멧의 기울기 신호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 수단과 상기 제2통신 수단 간의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로부터 상기 제1통신 수단과 상기 제2통신 수단 간의 사이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사이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모터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에는 상기 내피에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8. 삭제
KR1020210098003A 2021-07-26 2021-07-26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10254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03A KR102543711B1 (ko) 2021-07-26 2021-07-26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03A KR102543711B1 (ko) 2021-07-26 2021-07-26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69A KR20230016469A (ko) 2023-02-02
KR102543711B1 true KR102543711B1 (ko) 2023-06-13

Family

ID=8522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003A KR102543711B1 (ko) 2021-07-26 2021-07-26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7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543B1 (ko) * 2020-08-14 2021-06-09 주식회사 케이에스티인텔리전스 지능형 전동 킥보드 안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0458A (ko) * 2008-11-27 2010-06-07 탁승호 다기능 헬멧
KR101062394B1 (ko) * 2009-04-16 2011-09-06 주식회사 휴메이트 안전모 착용 인식 센서모듈 및 그 정상 착용 여부 판단 방법
KR101794131B1 (ko) * 2016-02-11 2017-11-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멧이 착용된 상태에서만 오토바이의 시동이 걸리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7800B1 (ko) * 2019-07-16 2021-10-27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543B1 (ko) * 2020-08-14 2021-06-09 주식회사 케이에스티인텔리전스 지능형 전동 킥보드 안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69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5020B2 (en) Helmet with incorporated communication system
KR101945262B1 (ko) 자전거의 안전운전장치
US7509691B1 (en) Head support system
KR101064145B1 (ko)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CN110809413A (zh) 包含具有与一外部装置通信的一可充气的头盔的一气囊系统的保护系统
BR0112562A (pt) Colete inflável automático
IT202000002998A1 (it) Casco protettivo con airbag
CN105620471A (zh) 车辆控制方法、车辆控制装置和终端
KR102543711B1 (ko) 개인형 이동 장치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200474020Y1 (ko) 헬멧 안전장치
KR20120114558A (ko) 장애물 감지장치, 이를 채용한 안전 자전거 및 안전 모자
KR20180075219A (ko)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KR101054350B1 (ko) 이륜차 운전자 보호복
KR102585289B1 (ko) 스마트 에어 헬멧
KR102660582B1 (ko) 헬맷을 이용해 차량의 시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
ES2718767T3 (es) Sistema de seguridad para una motocicleta
KR20180129689A (ko) 안전 관리 방법
CN214016220U (zh) 一种智能监管安全帽装置
WO2022040833A1 (zh) 一种带有行车记录的智能头盔
GB2465214A (en) Collision warning system for use on roads and railways
KR20090124333A (ko) 자동차 운행형태 및 속도에 대응하는 졸음운전 경고방법 및장치
KR101924904B1 (ko) 오토바이용 안전슈트
CN107585129A (zh) 汽车座位占用、安全带系扣识别装置、系统及方法
CN111528571A (zh) 一种自动报警式安全头盔
CN220343762U (zh) 一种多功能头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