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219A -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219A
KR20180075219A KR1020160179309A KR20160179309A KR20180075219A KR 20180075219 A KR20180075219 A KR 20180075219A KR 1020160179309 A KR1020160179309 A KR 1020160179309A KR 20160179309 A KR20160179309 A KR 20160179309A KR 20180075219 A KR20180075219 A KR 20180075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helmet
unit
wearer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기
주동균
함경헌
김기현
이성윤
신현준
이이강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9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219A/ko
Publication of KR20180075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5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impa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은 헬멧; 상기 헬멧에 설치되며, 상기 헬멧의 착용자의 사고 여부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부; 상기 사고 감지부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사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능동적으로 사고 발생을 인지하고, 별도의 조작 없이 응급 상황을 외부에 알릴수 있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HELMET SYSTEM FOR RECOGNIZING DANGEROUS SITUATION}
본 발명은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사고 발생을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헬멧(Helmet)은 모터사이클을 타고 빠른 속도로 이동하다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모터사이클(이하 오토바이)를 탈 때,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자전거, 스키, 보드 등 운동을 할 때에도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다. 오토바이용 헬멧의 경우 국제/국가 안전규격을 준수하는 시험항목을 검사하여 통과한 제품만을 판매하고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의 경우, 운전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특성상,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므로, 운전자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0458호에는 헬멧에 설치될 수 있는 에어백을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헬멧에 넥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되어, 헬멧에 충격이 가해지면 작동되어 사용자의 목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사고 발생 시에 운전자를 1차적으로 보호하는 것외에 신속한 구호조치가 필요하나, 오토바이의 특성상 사고 발생한 경우에는 중상일 가능성이 높아 사고를 당한 운전자가 직접 도움을 요청하는 응급전화를 걸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능동적으로 사고 발생을 인지하고, 별도의 조작 없이 응급 상황을 외부에 알릴수 있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헬멧; 상기 헬멧에 설치되며, 상기 헬멧의 착용자의 사고 여부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부; 상기 사고 감지부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사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헬멧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는 충격 검출부; 미리 설정된 값과 상기 충격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충격량을 비교하여 상기 착용자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헬멧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미리 설정된 값과 상기 기울기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상기 착용자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충격 검출부 또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상기 착용자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착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알람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중단시키는 중단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사고를 인지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번호로 응급 메시지 보내거나 또는 응급 전화를 걸도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사고를 감지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사고 사실을 운전자의 주위에 빛이나 경고음를 통하여 알리거나, 외부에 메세지나 응급전화를 걸 수 있다.
또한, 헬멧에 가헤지는 충격량 또는 헬멧의 기울기를 감지함으로써 보다 용이하면서 정밀한 사고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충격량 또는 기울기 정보를 모두 판단하거나 어느 하나만 판단하는 방식으로 사고 판단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의 기울기 감지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 흐름도를 설명하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100)은 헬멧(110)을 착용하고 이륜차를 운행하는 착용자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에 이를 인지하고, 응급상황을 외부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으로서, 헬멧(110)과 사고 감지부(120)와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헬멧(110)은 이륜차를 운행하는 운전자의 보호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사고 감지부(120)는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격 검출부(121)와 기울기 감지부(122)와 판단부(123)와 알람부(124)와 중단버튼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 검출부(121)는 헬멧(110)의 외부충격이 가해졌는지를 판단하고 그 충격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헬멧(110) 내부에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의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의 기울기 감지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울기 감지부(122)는 헬멧(1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착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헬멧(110)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울기 감지부(122)는 자이로 센서로 마련되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착용자가 얼굴을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일반적인 운전상황에서의 움직임이므로, 본 실시예의 기울기 감지부(122)는 몸통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각도는 감지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의 기울기 감지부(122)는, 도 3(a)에서와 같이, 위아래 방향의 회전에 의한 기울기와, 도 3(b)에서와 같이, 진행방향을 축으로 하는 회전에 의한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판단부(123)는 상술한 충격 검출부(121) 또는 기울기 감지부(122)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로부터 착용자에게 실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판단부(123)는 충격 검출부(121)로부터 측정된 값이 미리 설정된 충격량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착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123)는 기울기 감지부(122)로부터 감지된 헬멧(110)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기울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착용자가 운행에 적합한 자세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판단부(123)는 충격 검출부(121) 또는 기울기 감지부(122)로부터 측정된 값이 모두 미리 설정된 값을 벗어난 경우를 착용자에게 사고가 난 케이스로 판단할 수도 있고, 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측정된 값이 미리 설정된 값을 벗어난 경우에도 사고 발생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24)는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충격량 또는 기울기 값이 측정되어 판단부(123)가 착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주위에 사고 발생을 물리적으로 경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알람부(124)는 반복적으로 발광하는 LED가 헬멧(110)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헬멧(11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주위 사람에게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단버튼부(125)는 헬멧(110)의 외부에 설치되고, 알람부(1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착용자가 가압 가능한 버튼 형태의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통신부(130)는 판단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착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헬멧(110) 외부의 통신장비와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130)는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와이브리(wibree), UWB(Ultra Wide Band), WLAN(Wireless LAN)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100)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 흐름도를 설명하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에 다해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헬멧(110)을 착용한 사람, 즉, 착용자가 운행하는 차량이 사고를 당하는 경우, 헬멧(110)에 충격이 가해지고, 착용자는 운전석을 이탈하거나 적절한 운전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충격 검출부(121)는 헬멧(11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는 동시에, 기울기 감지부(122)는 헬멧(110)의 기울기를 검출한다.
판단부(123)는 충격 검출부(121) 및 기울기 감지부(1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착용자가 사고를 당했는지를 판단한다. 즉, 판단부(123)는 헬멧(110)에 가해진 충격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 헬멧(110)의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값의 범위를 벗어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123)는 ㉠ 충격량과 기울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착용자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 이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판단부(123)의 사고 판단을 설정에 따라 둔감한 조건(㉠) 또는 상대적으로 민감한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에 따라 판단부(123)가 착용자가 사골르 당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알람부(124)가 반복적으로 발광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켜, 착용자의 주위에 사고 사실을 알린다.
다만, 이러한 동작이 알람부(124)의 오작동인 경우에 착용자는 중단버튼부(125)를 눌러 알람부(124)의 동작을 강제로 중단시킬 수 있다.
실제 착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통신부(130)로부터 착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외부의 통신장비에 이러한 데이터가 송신된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응급 메시지를 보내거나 또는 응급 전화를 걸어, 외부에 착용자의 사고 사실을 알리고, 신속한 사고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헬멧 120 : 사고 감지부
121 : 충격 검출부 122 : 기울기 감지부
123 : 판단부 124 : 알람부
125 : 중단 버튼부 130 : 통신부

Claims (7)

  1. 헬멧;
    상기 헬멧에 설치되며, 상기 헬멧의 착용자의 사고 여부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부;
    상기 사고 감지부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사고 여부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헬멧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검출하는 충격 검출부; 미리 설정된 값과 상기 충격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충격량을 비교하여 상기 착용자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헬멧에 설치되어 상기 헬멧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미리 설정된 값과 상기 기울기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상기 착용자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충격 검출부 또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판단부로부터 상기 착용자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착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알람부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중단시키는 중단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사고를 인지한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번호로 응급 메시지 보내거나 또는 응급 전화를 걸도록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KR1020160179309A 2016-12-26 2016-12-26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KR20180075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309A KR20180075219A (ko) 2016-12-26 2016-12-26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309A KR20180075219A (ko) 2016-12-26 2016-12-26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219A true KR20180075219A (ko) 2018-07-04

Family

ID=6291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309A KR20180075219A (ko) 2016-12-26 2016-12-26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2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063A (ko) * 2020-01-06 2021-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모
KR20210101891A (ko)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WO2021210719A1 (ko) * 2020-04-14 2021-10-21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스마트 헬멧
WO2022108345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고도 접이식 헬멧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063A (ko) * 2020-01-06 2021-07-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모
KR20210101891A (ko) 2020-02-11 2021-08-1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WO2021210719A1 (ko) * 2020-04-14 2021-10-21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스마트 헬멧
WO2022108345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고도 접이식 헬멧
KR20220070878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고도 접이식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5219A (ko)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US20180007994A1 (en) Wearable integration with helmet
US8665097B2 (en) System and method of worker fall detection and remote alarm notification
US9769638B2 (en) Safety helmet and vehicle system, circuit and device
KR101774852B1 (ko) 충격감지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EP2774502A1 (en) Shoe comprising sensors
KR102061561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EP1731048A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a helmet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EP3509047B1 (en) System for detecting and reporting motorcycle accidents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CN110763282A (zh) 头盔、用于头盔监测的方法、头盔检测系统
KR101948768B1 (ko)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EP3745894B1 (en) Garment provided with an inflatable protective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for adjusting operational modes of the inflatable protective device
KR101064145B1 (ko)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KR20180036870A (ko) 자전거의 안전운전장치
KR20180106160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101487752B1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안전모를 이용한 리프트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9911A (ko) 안전모를 이용한 인명 구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04271B1 (ko) IoT 기반 웨어러블 에어백을 이용한 안전사고 관제 시스템
KR20230036242A (ko) 산업현장 근로자의 안전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안전모
KR20170101731A (ko) 헬멧
CN114929051A (zh) 可穿戴保护装置
KR101624114B1 (ko) 이륜차 후방 모니터링 장치
KR102426312B1 (ko) 근접 센서 방식의 턱 끈 착용 감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