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731A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731A
KR20170101731A KR1020160024713A KR20160024713A KR20170101731A KR 20170101731 A KR20170101731 A KR 20170101731A KR 1020160024713 A KR1020160024713 A KR 1020160024713A KR 20160024713 A KR20160024713 A KR 20160024713A KR 20170101731 A KR20170101731 A KR 20170101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lmet
processing unit
laser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대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1731A/ko
Publication of KR2017010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머리를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시야를 확보하는 실드(shield)를 구비한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며,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레이저유닛과, 상기 복수의 레이저유닛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레이저유닛에 의해 방출된 후 주변 사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검출유닛을 구비한 라이다(LADAR: Laser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부, 상기 복수의 검출유닛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계산하고, 상기 거리값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환경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실드에 상기 환경정보에 대응되는 제1 가상화상을 투영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헬멧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헬멧{HELM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이다(LADAR: Laser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부를 이용하여 주변 사물과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Helmet)은 이륜차 등과 같이 운전자의 신체가 노출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사고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이다.
이륜차인 오토바이의 경우,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운전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므로, 운전자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륜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은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가 이동수단으로부터 이탈되어 머리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아 헬멧의 착용이 중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0458호
그러나, 종래의 헬멧은 충돌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운전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만 되어 있을 뿐,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이다 센서부를 이용하여 주변 사물과의 거리를 정확히 감지함으로서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머리를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시야를 확보하는 실드(shield)를 구비한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며,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레이저유닛과, 상기 복수의 레이저유닛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레이저유닛에 의해 방출된 후 주변 사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검출유닛을 구비한 라이다(LADAR: Laser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부, 상기 복수의 검출유닛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계산하고, 상기 거리값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환경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실드에 상기 환경정보에 대응되는 제1 가상화상을 투영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헬멧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다 센서부와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위치, 속도,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센서부 및 상기 라이다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라이다 센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값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거리값을 이용하여 충돌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충돌위험가능성이 있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실드에 경고신호에 대응되는 제2 가상화상을 더 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소리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충돌위험을 알려주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경고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1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5항의 헬멧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연동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헬멧의 상기 경고신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브레이크(brake)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충돌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라이다 센서부를 이용하여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동작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보정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가 얼마인지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라이다 센서부를 이용하여 주변 사물과의 거리값을 정확히 계산하고,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 상황에 대하여 인지시키고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헬멧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헬멧의 처리부에서의 환경정보 생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 및 헬멧을 포함하는 충돌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헬멧의 처리부에서의 환경정보 생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잇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헬멧(1)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은 하우징(100), 라이다 센서부(110), 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헬멧(1)은 동작센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본체(101)와, 본체(101)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실드(shield, 102)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1)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 형상에 맞게 형성된 것으로, 외장재와 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장재는, 열경화성 수지재를 포함하는 강화 섬유수지재, 강화섬유재, 및 열가소성 수지재 등을 포함하고, 내장재는, 발포스티롤재와 같은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102)는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실드(102)는 본체(101)의 일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본체(101)와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얼굴을 완전히 가리는 풀페이스형 헬멧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헬멧의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우징(100)은 오픈 페이스형일 수 있다.
라이다 센서부(110)는 하우징(1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이다 센서부(110)는 하우징(100)의 꼭대기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부(110)는 복수의 레이저유닛(111) 및 복수의 검출유닛(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저유닛(111)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레이저유닛(111)은 강도가 변조된 펄스광(intensity-modulated pulsed light)을 조사하는 레이저일 수 있으며, 레이저유닛(111)은 적외선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검출유닛(113)은 상기한 복수의 레이저유닛(111)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레이저유닛(111)에 의해 방출된 후 주변 사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저유닛(111) 중 하나와 복수의 검출유닛(113) 중 하나는 하나의 쌍(pair)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다 센서부(110)는 레이저유닛(111)과 검출유닛(113)으로 이루어진 쌍(pair)을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레이저유닛(111)과 검출유닛(113)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쌍들은 라이다 센서부(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부(1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저유닛(111) 및 검출유닛(113)을 통해 사용자의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헬멧(1)은 라이다 센서부(110)와 연결되어 라이다 센서부(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60)는 라이다 센서부(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라이다 센서부(110)와 연결되는 모터(161)와, 라이다 센서부(11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선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링(163)을 포함할 수 있다. 헬멧(1)은 구동부(160)를 통해, 라이다 센서부(110)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전방향에 걸쳐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센서부(140)는 라이다 센서부(110)와 인접하여 하우징(100)에 배치되며, 하우징(100)의 위치 및 속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센서부(140)는 GPS, 속도센서, 지자계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 또는 이동에 따른 위치 변화, 속도 등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20)는 복수의 검출유닛(113)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계산하고, 상기 거리값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120)는 변조된 펄스광을 이용하여 레이저광이 조사된 시점과 주변 사물에 의해 반사되어 검출유닛(113)에 수광된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로부터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차이는 조사된 광과 수광된 광의 위상 편의(phase shift) 및 레이저광의 변조된 주파수(modulated frequency)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환경정보는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환경정보는 동작센서부(140)로부터 감지된 현재 속도, 현재 위치를 포함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주변 맵(map),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주변 교통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헬멧(1)의 처리부(120)에서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120)는 라이다 센서부(1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S31),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계산한다(S32). 또한, 동작센서부(140)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수신한다(S33). 이때, 처리부(12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 속도 등을 포함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값을 보정할 수 있다(S34). 구체적으로, 라이다 센서부(110)는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는 측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머리를 기울인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거리는 사용자로부터 주변 사물까지의 직선 거리가 아닌 대각선 거리일 수도 있다. 처리부(120)는 동작센서부(140)의 자이로센서로부터 감지된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울기 정보에 따른 거리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120)는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5). 다른 실시예로서, 환경정보는 상기 거리값뿐만 아니라, 동작센서부(140)로부터 감지된 현재 속도, 현재 위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처리부(120)로부터 생성된 환경정보가 수신되면, 실드(102)에 환경정보에 대응되는 제1 가상화상을 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 가상화상을 실드(2)에 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130)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실드(2)가 투명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져 실드(2) 전체에 가상화상을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가상화상은 전술한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표시하거나, 현재 속도 및 현재 위치를 사전에 설정된 맵(map)과 연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헬멧(1)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충전될 수 있으며, 교체 방식의 배터리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은 라이다 센서부(110)를 이용하여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를 계산하고, 동작센서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보정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가 얼마인지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실드(102)에 가상화상을 투영함으로서, 사용자의 전면에 환경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편리함과 동시에 안전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2) 및 헬멧(2)을 포함하는 충돌 방지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헬멧(2)의 처리부(220)에서의 환경정보 생성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2)은 하우징(200), 라이다 센서부(210),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동작센서부(240), 경보부(250), 구동부(260), 배터리부(270) 및 제1 통신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본체(201)와, 본체(201)의 일영역에 배치되는 실드(202)를 구비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부(210)는 하우징(2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부(210)는 복수의 레이저유닛(211) 및 복수의 검출유닛(213)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센서부(240)는 라이다 센서부(210)와 인접하여 하우징(200)에 배치되며, 하우징(200)의 위치, 속도, 및 기울기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2)은 처리부(220), 경보부(250) 및 통신부(28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한 헬멧(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처리부(220)는 라이다 센서부(210)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S51),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계산한다(S52). 또한, 동작센서부(240)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수신한다(S53). 이때, 처리부(22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 속도 등을 포함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값을 보정하고(S54), 상기 거리값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5). 이후, 처리부(220)는 동작센서부(24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 및 거리값을 이용하여 충돌위험여부를 판단하고(S56), 충돌위험가능성이 있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57). 구체적으로, 처리부(220)는 주변 사물과의 거리값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값보다 작은 경우, 충돌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20)는 동작센서부(24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속도를 반영하여 충돌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변 사물과의 거리값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값보다 크더라도 사용자의 속도가 빠른 경우, 이를 충돌 위험으로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처리부(220)로부터 생성된 환경정보 및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실드(202)에 환경정보에 대응되는 제1 가상화상 및 경고신호에 대응되는 제2 가상화상을 투영할 수 있다.
경보부(250)는 처리부(220)로부터 생성된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소리 및/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충돌위험을 알려줄 수 있다. 경보부(250)는 소리를 생성하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하거나,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기를 포함할 수 있고, 둘 다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통신부(280)는 처리부(220)로부터 생성된 경고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8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수단(V)으로 경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돌 방지 시스템(10)은 헬멧(2) 및 이동수단(V)을 포함할 수 있다.
헬멧(2)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헬멧(2)으로서 제1 통신부(2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V)는 제2 통신부(미도시) 및 브레이크(brake,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는 제1 통신부(280)와 연동되어 헬멧(2)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브레이크는 제2 통신부로 경고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경고신호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헬멧(2)은 거리값을 이용하여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경고신호를 제1 통신부(280)를 통해 제2 통신부로 전달하고, 이동수단(V)은 제2 통신부로 경고신호가 전달되면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크는 경고신호가 전달되는 즉시 작동할 수도 있지만, 관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이동수단(V)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속도 및 거리값을 고려하여 점차적으로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도 4에서는 이동수단(V)을 오토바이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수단(V)은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두 개의 바퀴를 포함하는 전동휠 또는 외바퀴를 포함하는 전동휠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수단(V)은 전동퀵보드일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동수단(V)은 사용자의 신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종류의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2) 및 충돌 방지 시스템(100)은 라이다 센서부(210)를 이용하여 주변 사물과의 거리값을 정확히 계산하고,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위험 상황에 대하여 인지시키고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헬멧
100 : 하우징
101 : 본체
102 : 실드
110 : 라이다 센서부
111 : 레이저유닛
113 : 검출유닛
120 : 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동작센서부
160 : 구동부
170 : 배터리부
250 : 경보부
280 : 제1 통신부
100 : 충돌 방지 시스템
V : 이동 수단

Claims (6)

  1. 머리를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시야를 확보하는 실드(shield)를 구비한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배치되며,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레이저유닛과, 상기 복수의 레이저유닛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레이저유닛에 의해 방출된 후 주변 사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검출유닛을 구비한 라이다(LADAR: Laser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부;
    상기 복수의 검출유닛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변 사물까지의 거리값을 계산하고, 상기 거리값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환경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실드에 상기 환경정보에 대응되는 제1 가상화상을 투영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다 센서부와 인접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위치, 속도,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센서부; 및
    상기 라이다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라이다 센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거리값을 보정하는,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감지신호 및 상기 거리값을 이용하여 충돌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충돌위험가능성이 있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실드에 경고신호에 대응되는 제2 가상화상을 더 투영하는, 헬멧.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경고신호가 수신되면 소리 또는 진동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충돌위험을 알려주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헬멧.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경고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제1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헬멧.
  6. 제5항의 헬멧; 및
    상기 제1 통신부와 연동되어 정보를 교환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헬멧의 상기 경고신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브레이크(brake)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충돌 방지 시스템.
KR1020160024713A 2016-02-29 2016-02-29 헬멧 KR20170101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713A KR20170101731A (ko) 2016-02-29 2016-02-29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713A KR20170101731A (ko) 2016-02-29 2016-02-29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731A true KR20170101731A (ko) 2017-09-06

Family

ID=5992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713A KR20170101731A (ko) 2016-02-29 2016-02-29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7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017B2 (en) 2017-09-25 2019-10-15 Humax Co., Ltd. User head mounted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200005608A1 (en) * 2017-09-25 2020-01-02 Humax Co., Ltd. Use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017B2 (en) 2017-09-25 2019-10-15 Humax Co., Ltd. User head mounted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190350293A1 (en) * 2017-09-25 2019-11-21 Humax Co., Ltd. Use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200005608A1 (en) * 2017-09-25 2020-01-02 Humax Co., Ltd. Use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4896B2 (ja) 後方から近づいて来る車両を検知する装置を備えたオートバイ
CN108883723B (zh) 用于在车辆停放时发出警告以免撞击车辆的系统和方法
TWI469096B (zh) 上空墜物預警系統及方法
WO2016017297A1 (ja) 自動二輪車のための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311075A1 (en) Motorcycle and helmet providing advance driver assistance
WO2017143702A1 (zh) 低头转头提醒装置及其控制方法、头盔
JP4055070B2 (ja) 車両用警報装置
JP6470527B2 (ja) 物体検知装置
US20190210681A1 (en) SMART DEVICE-BASED IoT SAFETY SYSTEM FOR BICYCLE RIDING
KR20190101909A (ko) 위험물 감지를 위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KR20130091091A (ko) 오토바이의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헬멧 장치
KR20170101731A (ko) 헬멧
KR101470238B1 (ko)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헬멧
KR20130114782A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20180075219A (ko)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JP4147648B2 (ja) 車両用歩行者検知システム
KR20200077289A (ko) 후방 경고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사고 알림 방법
KR20150087737A (ko) 차량 위험 감지 시스템
KR20110118882A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KR101954092B1 (ko)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착용형 방향 표시 장치
CN105584410B (zh) 盲区警报控制系统及方法
KR20190033723A (ko) 헤드셋 및 이의 충돌 경고 방법
JP6338710B1 (ja) 警報装置および警報方法
Lam et al. Development of Prototype Smart Helmet and Blind Spot Detection for Motorcyclist Safety Features
JPH10250510A (ja) 車両用距離警報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