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891A -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 Google Patents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891A
KR20210101891A KR1020200016406A KR20200016406A KR20210101891A KR 20210101891 A KR20210101891 A KR 20210101891A KR 1020200016406 A KR1020200016406 A KR 1020200016406A KR 20200016406 A KR20200016406 A KR 20200016406A KR 20210101891 A KR20210101891 A KR 20210101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elmet
module
vest
d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670B1 (ko
Inventor
이동운
김대건
이승빈
안희은
손량경
고유진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67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6Means for transporting or storing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86Airba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모듈, 위험감지모듈, 제어모듈, 동작모듈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했을때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되도록 하여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른 근로자 및 관리자와 별도의 추가 행위 없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Multi-purpose safety helmet with vest}
본 발명은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현장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했을때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되도록 하여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다른 근로자 및 관리자와 별도의 추가 행위 없이 의사소통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제철소, 조선소, 또는 기계공장과 같은 산업현장, 건설현장 등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이나 모터사이클, 전동킥보드와 같은 이륜차 운전자들이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한다. 그리고 작업자들의 경우 현장에서 조끼 또한 함께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헬멧 및 조끼는 작업자들의 안전성과 작업 효율 향상을 위해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18-0075219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10-1618687 '무선통신 헤드셋', 등록특허공보 10-2051214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등이 있다.
상기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은 헬멧, 사고 감지부, 통신부로 구성되어 정밀한 사고 감지가 가능하고 사고를 자동으로 인지할 수 있으나, 사고를 인지하는데 그치고 위험상황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 '무선통신 헤드셋'은 제1 헤드셋, 제2 헤드셋, 연결부, 잡음 제거부로 구성되어 소음이 심한 작업장 내에서 소음의 방해 없이 작업자 상호간 또는 다수자의 작업자가 동시에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나, 위험사고의 인지를 할 수 없으므로 사고에 대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은 안전모, 안전모 밴드, 센서보드로 구성되어 안전모 밴드의 탈부착 용이성 극대화와 긴급상황 발생시 알람 제공이 가능하며, 원하는 종류의 가스센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나 위험상황 및 사고에 대응하여 즉각적으로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18-0075219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10-1618687 '무선통신 헤드셋' 대한민국특허 등록특허공보 10-2051214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위험감지모듈에서 이상 사운드를 감지하고, 수신받은 신호를 제어모듈에서 분석하여 헬멧용 에어백과 조끼용 에어백이 작동하도록 하여 위험 상황이나 사고 시에 사용자의 머리와 신체가 에어백으로 보호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모듈에서 음성신호를 감지하고, 수신받은 음성신호를 이어셋 유닛에서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성이 송신될 수 있도록 하여 헬멧을 쓰고 있음에도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헬멧(10);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20); 상기 헬멧(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외부 음성신호가 감지되는 블루투스모듈(100); 상기 헬멧(10)에 외부에 구비되고 사운드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이상 사운드가 감지되는 위험감지모듈(200); 상기 헬멧(10)에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블루투스모듈(100), 상기 위험감지모듈(200)에서 수신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 출력신호, 음성 송신신호, 위험 활성화신호, 위험 비활성화신호인 설정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300); 상기 헬멧(10)과 조끼(2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300)의 설정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동작모듈(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 헬멧에서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에서 감지된 외부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동작모듈(400)로 전달하는 음성 출력신호 생성유닛(310); 상기 동작모듈(400)로부터 사용자 음성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송신신호 변환유닛(320); 상기 위험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이상 사운드를 전달받는 한편, 설정값 이상일 경우 위험 활성화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동작모듈(400)로 전달하는 위험 활성화신호 생성유닛(330); 상기 위험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이상 사운드를 전달받는 한편, 설정값 미만일 경우 위험 비활성화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동작모듈(400)로 전달하는 위험 비활성화신호 생성유닛(34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 헬멧에서 상기 동작모듈(400)은, 상기 헬멧(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전환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이어셋 유닛(410); 상기 헬멧(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수신되는 위험 활성화신호로 작동되는 헬멧용 에어백(420); 상기 조끼(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수신되는 위험 활성화신호로 작동되는 조끼용 에어백(43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에 의하면, 기계 오동작, 낙하와 같은 이상 사운드에 의해 헬멧과 조끼의 에어백이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팽창됨으로써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헬멧을 쓰고 있어도 작업자와 작업자, 작업자와 관리자, 작업자와 외부고객 간의 의사소통이 이어셋 유닛을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져, 목소리를 높이거나 헬멧을 벗는다거나 장소를 이동하는 등의 부가적인 행위 없이 즉각적인 응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음성신호 감지에 의한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의 단계별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상 사운드 감지에 의한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의 단계별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헬멧, 조끼, 이어셋, 에어백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은 도 1에서와 같이 헬멧(10), 조끼(20), 블루투스모듈(100), 위험감지모듈(200), 제어모듈(300), 동작모듈(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헬멧(10)은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며 작업자, 운전자의 보호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현장에서 생기는 먼지나 철가루와 같은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마스크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계절 온도에 맞게 내부 온도를 조절해주는 내부 온도 조절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안경은 김서림 방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조끼(2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며 헬멧(10)과 함께 착용되도록 한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지퍼 주머가 구비되어 필요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으며, 후면에 야광 스티커를 부착하여 야간 작업시 눈에 잘 띄도록 할 수 있다.
블루투스모듈(100)은 헬멧(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다른 작업자나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보내는 외부 음성신호를 수신받아 감지한다.
위험감지모듈(200)은 헬멧(10)의 외부에 구비되고 사운드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현장 기계의 오작동 소리, 구조물이 이탈되는 소리, 비상벨 소리와 같은 이상 사운드가 감지되도록 한다.
제어모듈(300)은 도 2에서와 같이 음성 출력신호 생성유닛(310), 음성 송신신호 변환유닛(320), 위험 활성화신호 생성유닛(330), 위험 비활성화신호 생성유닛(3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헬멧(10) 내부에 구비되고 블루투스모듈(100), 위험감지모듈(200)에서 수신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 출력신호, 음성 송신신호, 위험 활성화신호, 위험 비활성화신호와 같은 설정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음성 출력신호 생성유닛(310)은 블루투스모듈(100)에서 감지된 외부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신호로 전환하여 동작모듈(400)로 전달한다.
음성 송신신호 변환유닛(320)은 동작모듈(400)인 이어셋 유닛(410)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인 사용자 음성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다른 작업자, 관리자와 같은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는 송신신호로 변환한다.
위험 활성화신호 생성유닛(330)은 위험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이상 사운드를 전달받는 한편, 이상 사운드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 위험 활성화신호를 생성하여 동작모듈(400)로 전달한다.
위험 비활성화신호 생성유닛(340)은 위험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이상 사운드를 전달받고, 이상 사운드가 설정값 미만일 경우 위험 비활성화신호를 생성하여 동작모듈(400)로 전달한다.
동작모듈(400)은 도 3에서와 같이 헬멧(10)이나 조끼(20) 내부에 구비되고, 제어모듈(300)의 설정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며 이어셋 유닛(410), 헬멧용 에어백(420), 조끼용 에어백(4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셋 유닛(410)은 헬멧(10)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모듈(300)로부터 전환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송신한다. 마이크와 스피커 장치가 구비되어 사용자와 다른 작업자 및 관리자 간의 의사소통 매개체가 된다.
헬멧용 에어백(420)은 헬멧(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수신되는 위험 활성화신호로 작동된다. 에어백이 팽창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쿠션감을 부여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사용자가 보호되도록 한다.
조끼용 에어백(430)은 조끼(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수신되는 위험 활성화신호로 작동된다. 에어백이 팽창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쿠션감을 부여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사용자가 보호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은 타인과의 의사소통 통신과 에어백 구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은 도 4에서와 같은 단계별 동작에 따라 작동된다.
블루투스모듈(100)이 외부 음성신호를 감지하게되고, 제어모듈(300)의 음성 출력신호 생성유닛(310)이 감지되었던 외부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동작모듈(400)의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어모듈(300)의 음성 송신신호 변환유닛(320)이 동작모듈(400)로부터 사용자 음성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송신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어셋 유닛(410)은 음성 출력신호 생성유닛(310), 음성 송신신호 변환유닛(32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각각 출력, 송신한다. 음성 출력신호와 음성 송신신호에 따른 제어모듈(300)과 이어셋 유닛(410)의 작동은 사용자와 다른 작업자간의 의사소통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은 도 5에서와 같은 단계별 동작에 따라 작동된다.
위험감지모듈(200)이 외부 이상 사운드를 감지하게되고, 제어모듈(300)에서 설정값 판단에 따라 이상 사운드로 판단될 경우, 위험 활성화신호 생성유닛(330)에서 위험 활성화신호를 생성하여 동작모듈(40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모듈(400)의 헬멧용 에어백(420)과 조끼용 에어백(430)은 위험 활성화신호를 수신받아 작동하게 된다. 헬멧용 에어백(420)과 조끼용 에어백(430)은 팽창이 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신체를 보호하게 된다.
위험감지모듈(200)이 외부 이상 사운드를 감지하게되고, 제어모듈(300)에서 설정값 판단에 따라 이상 사운드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 위험 비활성화신호 생성유닛(340)에서 위험 비활성화신호를 생성하여 동작모듈(40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동작모듈(400)의 헬멧용 에어백(420)과 조끼용 에어백(430)은 위험 비활성화신호를 수신받아 작동되지 않는다.
10 : 헬멧
20 : 조끼
100 : 블루투스모듈
200 : 위험감지모듈
300 : 제어모듈
310 : 음성 출력신호 생성유닛
320 : 음성 송신신호 변환유닛
330 : 위험 활성화신호 생성유닛
340 : 위험 비활성화신호 생성유닛
400 : 동작모듈
410 : 이어셋 유닛
420 : 헬멧용 에어백
430 : 조끼용 에어백

Claims (3)

  1.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헬멧(10);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조끼(20);
    상기 헬멧(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외부 음성신호가 감지되는 블루투스모듈(100);
    상기 헬멧(10)에 외부에 구비되고 사운드 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이상 사운드가 감지되는 위험감지모듈(200);
    상기 헬멧(10)에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블루투스모듈(100), 상기 위험감지모듈(200)에서 수신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 출력신호, 음성 송신신호, 위험 활성화신호, 위험 비활성화신호인 설정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300);
    상기 헬멧(10)과 조끼(2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모듈(300)의 설정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동작모듈(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블루투스모듈(100)에서 감지된 외부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동작모듈(400)로 전달하는 음성 출력신호 생성유닛(310);
    상기 동작모듈(400)로부터 사용자 음성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송신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송신신호 변환유닛(320);
    상기 위험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이상 사운드를 전달받는 한편, 설정값 이상일 경우 위험 활성화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동작모듈(400)로 전달하는 위험 활성화신호 생성유닛(330);
    상기 위험감지모듈(200)에서 감지된 이상 사운드를 전달받는 한편, 설정값 미만일 경우 위험 비활성화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동작모듈(400)로 전달하는 위험 비활성화신호 생성유닛(3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듈(400)은,
    상기 헬멧(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전환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이어셋 유닛(410);
    상기 헬멧(1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수신되는 위험 활성화신호로 작동되는 헬멧용 에어백(420);
    상기 조끼(20)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수신되는 위험 활성화신호로 작동되는 조끼용 에어백(4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KR1020200016406A 2020-02-11 2020-02-11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KR10233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06A KR102336670B1 (ko) 2020-02-11 2020-02-11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06A KR102336670B1 (ko) 2020-02-11 2020-02-11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891A true KR20210101891A (ko) 2021-08-19
KR102336670B1 KR102336670B1 (ko) 2021-12-06

Family

ID=7749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06A KR102336670B1 (ko) 2020-02-11 2020-02-11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6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629A (ko) * 2008-07-07 2010-01-15 김범식 추락사 방지 에어백 안전시스템
KR20130007138A (ko) * 2011-06-29 2013-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정보 인식을 이용한 에어백 전개 시스템
KR101618687B1 (ko) 2014-09-25 2016-05-18 주식회사 제이케이파워텍 무선통신 헤드셋
KR20180075219A (ko) 2016-12-26 2018-07-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KR102051214B1 (ko) 2018-01-19 2019-12-0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JP2020007670A (ja) * 2018-07-09 2020-01-16 株式会社谷沢製作所 中継ターミナル及び頭部保護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629A (ko) * 2008-07-07 2010-01-15 김범식 추락사 방지 에어백 안전시스템
KR20130007138A (ko) * 2011-06-29 2013-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정보 인식을 이용한 에어백 전개 시스템
KR101618687B1 (ko) 2014-09-25 2016-05-18 주식회사 제이케이파워텍 무선통신 헤드셋
KR20180075219A (ko) 2016-12-26 2018-07-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KR102051214B1 (ko) 2018-01-19 2019-12-03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안전관리 및 현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마트 안전모 제어 시스템
JP2020007670A (ja) * 2018-07-09 2020-01-16 株式会社谷沢製作所 中継ターミナル及び頭部保護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670B1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7994A1 (en) Wearable integration with helmet
US9478115B2 (en) Operator system for a machine
US20170248272A1 (en) Safety Garment
KR101581353B1 (ko) 안전 헬멧
KR101848276B1 (ko)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대응 시스템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CA2361225A1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20100050002A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1785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개인 보호구 및 그 운용방법
KR101803319B1 (ko) 하네스형 안전대에 부착가능한 에어백 시스템
KR102336670B1 (ko) 조끼 연동 다용도 안전헬멧
KR20110077295A (ko) 생체 신호 감지형 안전모를 포함하는 안전 감시 시스템
US7015812B1 (en) Sound protecting headset with proximity collision avoidance protection
KR20140006663A (ko) 안전모의 충돌 방지 장치
US20180328538A1 (en) Tool safety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2043018A (zh) 一种坠落救援保护装置
KR101592830B1 (ko) 안전관리용 실시간 경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553398B1 (ko) 헬멧용 블루투스 헤드셋
KR200290419Y1 (ko) 마이크 및 스피커 폰이 부착된 공기 호흡기
IT201900007194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ividuale indossabile e sistema per la gestione di dispositivi di protezione individuale indossabili.
KR101069946B1 (ko) 청력보호용 무선 헤드셋
KR200288245Y1 (ko) 영상송신 및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기가부착된 헬멧
KR20220037614A (ko) 작업환경 알람기능을 구비한 안전모
KR20220135396A (ko)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