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768B1 -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768B1
KR101948768B1 KR1020170087062A KR20170087062A KR101948768B1 KR 101948768 B1 KR101948768 B1 KR 101948768B1 KR 1020170087062 A KR1020170087062 A KR 1020170087062A KR 20170087062 A KR20170087062 A KR 20170087062A KR 101948768 B1 KR101948768 B1 KR 101948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accident
impact
smartphon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624A (ko
Inventor
김동성
이재민
장성호
박광민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87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은,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충격정보를 송신하는 헬멧; 이륜차의 핸들 또는 발판부에 배치되어 이륜차 운전자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및 상기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충격정보와 상기 접촉감지센서에서 전송된 감지 결과를 토대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사고발생상황을 송신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An Accident Alarm System Using Helmets and Smartphones for Two-Wheeled Vehicles}
본 발명은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바이 및 자전거를 포함한 이륜차, 퍼스널 모빌리티, 즉 자동차가 아닌 개인 이동수단을 타고 주행 중에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상황과 위치를 즉각 구조대 혹은 개인이 지정한 곳에 자동으로 알려 사고 이후 구조의 '골든 타임'을 넘기지 않고 빠른 조치를 받기 위한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이다.
오토바이 및 자전거, 기타 퍼스널모빌리티의 사용에 있어 운전자의 안전 보장을 이유로 이륜차 이용 시 운전자의 헬멧 착용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헬멧이 운전뿐만 아니라 레저활동에도 활용되면서, 헬멧은 모바일 기기의 사용 확대 및 부가 서비스 지원과 함께 블루투스 기능이나 GPS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게 되었고, 헬멧을 착용한 운전자의 신체 리듬을 파악하여 사고 발생 시에 응급신호를 보낼 수 있는 헬멧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존재하는 헬멧은 단순 충격 감지만을 입력 신호로 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사고 상황이 아닌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실수로 헬멧을 떨어트리는 경우에도 헬멧이 충격을 감지하고 사고 상황으로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잘못 송신하는 오류 발생의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009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1915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의 충격 감지센서와 더불어 이륜차 및 퍼스널모빌리티의 접촉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충격과 이탈의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응급신호 송출의 정확성을 향상하고, 종래의 헬멧이 가진 응급신호 송신 오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신 오류 발생 시 사용자가 판단하여 임의로 신고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유예시간을 줌으로써 응급신호 송출의 정확성을 높여 사고 발생 시 사고자 구조 및 대처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전에 신고 대상 및 신고 내용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 시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사고 알림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은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충격정보를 송신하는 헬멧과, 이륜차의 핸들 또는 발판부에 배치되어 이륜차 운전자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와, 상기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충격정보와 상기 접촉감지센서에서 전송된 감지 결과를 토대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사고발생상황을 송신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스마트폰은, 상기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충격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접촉감지센서의 감지 결과 운전자가 이륜차로부터 이탈되었을이 감지되었을 때,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사고발생상황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스마트폰은, 상기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충격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접촉감지센서의 감지 결과 운전자가 이륜차로부터 이탈되었음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사고발생상황을 사고 발생 판별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자동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스마트폰은, 상기 헬멧이 감지하는 사고 발생 판단 기준이 되는 충격임계값과 사고 발생 상황을 송신할 연락처 및 송신 문구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접촉감지부는, 이륜차의 핸들부에 부착하는 형태 또는 퍼스널모빌리티의 발판부에 부착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헬멧은, 상기 헬멧을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에 배치되어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머리에서 상기 헬멧이 이탈된 경우를 감지할 수 있는 고정클립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헬멧은, 상기 헬멧의 내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뇌혈류 리듬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급격한 뇌혈류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뇌혈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은 헬멧의 충격감지센서와, 이륜차 및 퍼스널모빌리티의 접촉감지부를 통해 충격 및 이탈 여부를 동시에 감지함으로써 응급신호 송출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고 사고자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전에 지정된 충격임계값을 기준으로 하여 헬멧에 충격이 감지되고 이륜차 및 퍼스널모빌리티의 접촉 감지 센서에서 사용자의 이탈 상태가 감지되는 두 가지 요건이 모두 충족되었을 때 신호가 가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 감지 시에도 응급신호가 송출되는 송신 오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전에 지정한 번호 및 문구로 응급신호가 송출되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헬멧과 접촉 감지 센서에서의 신호를 감지했을 시 일정 시간 이후에 응급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는 유예시간을 둠으로써 유예시간동안 사용자가 임의로 송신을 취소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판단이 불가능하다고 인식할 경우 자동으로 응급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발생한 사고에 대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신호 감지 및 송출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접촉감지센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동 순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스마트폰 사용자 정보 설정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접촉감지센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헬멧의 구성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고정클립센서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뇌혈류감지센서의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오토바이 및 자전거를 포함한 이륜차, 퍼스널 모빌리티, 즉 자동차가 아닌 개인 이동수단을 타고 주행 중에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상황과 위치를 즉각 구조대 혹은 개인이 지정한 곳에 자동으로 알려 줌으로써 사고 이후 구조의 '골든 타임'을 넘기지 않고 빠른 조치를 받기 위한 것이다. 이는 헬멧의 충격감지센서, 블루투스, 스마트폰 내부의 GPS, 핸들 접촉 감지 패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신호 감지 및 송출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은 헬멧(100)과, 접촉감지부(200)와, 스마트폰(300)을 포함한다.
헬멧(100)은 제어부(110), 통신부(120), 가속도센서(130), 충격감지센서(140), 배터리(150)의 구성을 기본으로 한다.
그 중 헬멧(100)의 충격감지센서(140)는 사고 발생 시 운전자와 헬멧(100)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를 감지하며, 가속도센서(130)는 이륜차의 이동속도와 이동방향뿐만 아니라, 충격의 속도와 방향을 감지하여 사고 상황의 정확한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
헬멧(100)의 제어부(110) 및 통신부(120)는 가속도센서(130)와 충격감지센서(140)에서 감지한 충격 신호를 스마트폰(300)으로 전달한다.
접촉감지부(200)는 접촉감지센서(210)와 송신부(220)로 구성되며, 오토바이 및 자전거 등 이륜차에 부착되어 이륜차 운전 시 운전자의 이탈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접촉감지부(200)의 접촉감지센서(210)는 이륜차의 양쪽 핸들에 배치되어 운전자 양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핸들감지센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촉감지부(200)의 핸들감지센서 형태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핸들감지센서형 접촉감지부(200)의 위치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륜차 양쪽 핸들의 내부에 배치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핸들의 외부 혹은 양쪽 핸들이 아닌 일부 핸들에 배치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센서(210)에서 감지된 운전자 이탈 신호는 접촉감지부(200)의 송신부(220)을 통하여 스마트폰(300)으로 전달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부가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4 및 도5의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100)의 충격감지센서(140)와 접촉감지부(200)의 접촉감지센서(210)는 헬멧(100)에 가해진 충격과 이륜차 운전자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각각 헬멧(100)의 통신부(120)와 접촉감지부(200)의 송신부(220)을 통해 스마트폰(300)으로 감지 신호를 보낸다.
헬멧(100)과 접촉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충격 및 이탈 신호의 전달은 스마트폰(300)에 내재되어 있는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중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스마트폰(300)은 헬멧(100)과 접촉감지부(200)에서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사고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헬멧(100)과 접촉감지부(200)에서 모두 이상 신호를 감지하여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지정된 번호, 예컨대 가족의 연락처, 병원, 119 구조대 등으로 응급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지정된 번호로의 응급신호 송출에 대하여, 사용자는 스마트폰(300)을 이용하여 사전에 지정 연락처의 신호 송출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고 발생 시 119 구조대, 가족, 병원의 순으로 응급신호가 보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연락처 지정 및 응급신호 송출 기능은 스마트폰(300)에 내재된 전화 및 문자 메시지 송신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5의 순서도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300)의 응급신호 송출은 헬멧(100) 충격감지센서(140)에서의 충격 감지 및 접촉감지부(200)에서의 이탈 감지가 모두 충족되었을 때에 실시된다.
상기 헬멧(100)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을 끄거나 켤 수 있도록 하여 헬멧(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충격감지센서(140)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부(200)의 경우 이륜차 및 퍼스널모빌리티의 시동이 꺼진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사고 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응급신호 송출이 이루어지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스마트폰 사용자 정보 설정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6을 참고하여, 상기 충격감지 기능으로 스마트폰(300)은 충격감지센서(140)에서 전송한 충격 신호의 크기가 사전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충격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스마트폰(300)은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충격임계값은 스마트폰(3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등의 수치 정보를 사전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토대로 조절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시의 응급신호는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을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해 놓은 번호 및 문구로 전송된다.
응급신호 송출 전에는 30초에서 1분가량의 신고유예시간이 주어지며, 사용자는 도6과 같이 스마트폰(300)을 이용하여 상기 신고유예시간을 임의로 단축 혹은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신고유예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아무 응답이 없을 경우에는 스마트폰(300)에서 자동으로 사고자의 판단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응급신호를 송출한다.
스마트폰(300)의 응급신호 송출 내용은 사고의 발생 위치 및 시간, 헬멧(100)의 충격감지센서(140)를 통해 감지된 충격의 정도를 포함하며, 사고 위치 및 시간의 파악과 송신 기능은 스마트폰(300)에 내재된 GPS 기능 및 통신 기능을 활용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촉감지부(200)의 이륜차 발판 배치형의 예시를 타나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의 제2실시예로서, 도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접촉감지부(200)의 위치를 이륜차 및 퍼스널모빌리티의 핸들부가 아닌 발판부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퍼스널모빌리티는 전동휠, 전동킥보드, 전동스케이트보드, 전기자전거 등과 같은 개인용 이동수단을 지칭한다.
상기 발판부에 배치된 접촉감지부(200)는 접촉면 감지, 무게 감지 기능을 가진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발판배치형 접촉감지부(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시한 상기 핸들감지센서와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감지센서와 상기 발판배치형 접촉감지부를 따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 제시하는 형태의 접촉감지부(200)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사고 발생 판단 기준이 되는 신호는 상기 핸들감지센서의 신호를 우선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발판배치형 센서의 신호를 우선으로 판단하는 경우 및 두 센서에서 보낸 신호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경우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발판배치형 접촉감지부(200)의 기능 및 이탈 감지 시 송신 기능은 상기 핸들감지센서의 적용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헬멧(100)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9와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헬멧(100)의 고정클립센서(160)와 뇌혈류감지센서(170)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의 제3실시예에 따라, 도8을 참조하여 상기 헬멧(100)의 구성(제어부(110), 통신부(120), 가속도센서(130), 충격감지센서(140), 배터리(150))에 고정클립센서(160)와 뇌혈류감지센서(170)를 추가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클립센서(160)는 헬멧을 운전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고정끈의 하단부 혹은 측면부에 배치되어 사고로 인한 충격 발생 시 헬멧(100)이 운전자의 머리에서 이탈하는 경우를 감지한다.
상기 고정클립센서(160)는 운전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혹은 피부면과의 접촉 여부를 판별하는 접촉감지부 등의 형태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뇌혈류감지센서(170)는 운전자의 헬멧(100) 착용 시 운전자의 뇌혈류를 파악할 수 있는 적외선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뇌혈류감지센서(17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300)에 입력한 상기 수치 정보(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리듬을 파악하며, 뇌혈류감지센서(170)에서 사용자의 급격한 혈류 속도 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에 의해 상기 속도 변화를 사고 발생의 판단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의 작동 중 헬멧(100) 고정클립센서(160) 및 뇌혈류감지센서(170)에서의 이탈 및 속도 변화 신호가 감지될 경우, 스마트폰(300)에 신호를 보내 예외적으로 신고유예시간 없이 바로 응급신호 송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헬멧
110 :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가속도센서
140 : 충격센서
150 : 배터리
160 : 고정클립센서
170 : 뇌혈류감지센서
200 : 접촉감지부
210 : 접촉감지센서
220 : 송신부
300 : 스마트폰

Claims (7)

  1.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충격정보를 송신하는 헬멧;
    이륜차의 핸들 또는 발판부에 배치되어 이륜차 운전자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및
    상기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충격정보와 상기 접촉감지부에서 전송된 감지 결과를 토대로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사고발생상황을 송신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헬멧은, 머리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피부면과의 접촉 여부를 판별하여 사고 발생 시 머리에서 상기 헬멧이 이탈된 경우를 감지할 수 있는 고정클립센서; 및
    상기 헬멧의 내부에 부착되어 뇌혈류 리듬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급격한 뇌혈류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뇌혈류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충격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접촉감지부의 감지 결과 운전자가 이륜차로부터 이탈되었음이 감지되었을 때,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사고발생상황을 송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헬멧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충격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접촉감지부의 감지 결과 운전자가 이륜차로부터 이탈되었음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사고발생상황을 사고 발생 판별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자동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헬멧이 감지하는 사고 발생 판단 기준이 되는 충격임계값과 사고 발생 상황을 송신할 연락처 및 송신 문구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감지부는,
    이륜차의 핸들부에 부착하는 형태 또는 퍼스널모빌리티의 발판부에 부착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87062A 2017-07-10 2017-07-10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KR101948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062A KR101948768B1 (ko) 2017-07-10 2017-07-10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062A KR101948768B1 (ko) 2017-07-10 2017-07-10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24A KR20190006624A (ko) 2019-01-21
KR101948768B1 true KR101948768B1 (ko) 2019-02-18

Family

ID=6527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062A KR101948768B1 (ko) 2017-07-10 2017-07-10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816B1 (ko) 2021-02-23 2021-10-19 나종열 재귀반사 커버를 갖는 이륜차 사고 발생 보고 장치, 딥러닝 인식 기반의 이륜차 사고 심도 예측 서버,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이륜차 사고 심도 예측 시스템
KR102387894B1 (ko) * 2020-11-30 2022-04-18 주식회사 에이텍 전동 킥보드의 이용자 판별장치 및 방법
KR20220077717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유테크 전동킥보드에 장착되는 다인원 탑승 알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7828A (zh) * 2019-01-30 2019-04-30 广州轨道交通建设监理有限公司 一种适用于施工现场的穿戴设备
CN115697119A (zh) * 2020-08-01 2023-02-03 格步控股私人有限公司 用于检测事故的可能性的头盔、方法和服务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971A (ja) * 1999-07-15 2001-02-06 Denso Corp 二輪車の事故検出装置および二輪車の事故通報装置
KR101064145B1 (ko) * 2011-02-14 2011-09-15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903B1 (ko) 2008-06-30 2009-06-04 휴롭 주식회사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기능 헬멧 및 그 방법
KR20130098533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이-클리오 모바일 단말 기반 유비쿼터스 헬스 헬멧과 신변안전 시스템
KR101397997B1 (ko) 2012-04-23 2014-05-2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유헬멧을 이용한 안전 시스템
KR20140106338A (ko) * 2013-02-26 2014-09-03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토바이 사고 알림 장치
KR20170053833A (ko) * 2015-11-07 2017-05-17 서진솔 에어백 헬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971A (ja) * 1999-07-15 2001-02-06 Denso Corp 二輪車の事故検出装置および二輪車の事故通報装置
KR101064145B1 (ko) * 2011-02-14 2011-09-15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894B1 (ko) * 2020-11-30 2022-04-18 주식회사 에이텍 전동 킥보드의 이용자 판별장치 및 방법
KR20220077717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유테크 전동킥보드에 장착되는 다인원 탑승 알림장치
KR102428426B1 (ko) * 2020-12-02 2022-08-02 주식회사 유테크 전동킥보드에 장착되는 다인원 탑승 알림장치
KR102314816B1 (ko) 2021-02-23 2021-10-19 나종열 재귀반사 커버를 갖는 이륜차 사고 발생 보고 장치, 딥러닝 인식 기반의 이륜차 사고 심도 예측 서버,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이륜차 사고 심도 예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24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768B1 (ko)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JP6851414B2 (ja) 非常用装置を備える衣服および関連する緊急方法
EP3313222B1 (en) A helmet wearing encouraging and/or controlling system and a method of encouraging and/or controlling use of a helmet when riding a vehicle
US9227682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posture of a motorcyclist
US20180007994A1 (en) Wearable integration with helmet
US10569698B2 (en) Cycling garment with turn indicating system
US9457709B2 (en) Bicycle helmet with an adaptive light notification system that varies brightness
US20210274875A1 (en) Bicycle helmet warning system
US9769638B2 (en) Safety helmet and vehicle system, circuit and device
KR101945262B1 (ko) 자전거의 안전운전장치
WO2018033882A1 (en) Safety system for a two-wheeler
KR200474020Y1 (ko) 헬멧 안전장치
JP2018060299A (ja) 安全運転支援装置、二輪車運転支援システム、安全運転支援方法、安全運転支援プログラム
KR101064145B1 (ko)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KR101993599B1 (ko) IoT 스마트웨어 기반의 긴급 상황 대응 장치
KR20180106160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20180034161A (ko) 제어 가능한 탈부착형 에어백
KR20170048107A (ko) 위급상황의 자동 통지가 가능한 알림 시스템
KR20180117288A (ko) 앱을 이용한 개인 이동수단 장착용 레이다 제어 방법
WO2017085703A1 (en) System for the signaling and management of emergency calls for motorcycles
EP3378046B1 (en) System for the signaling and management of emergency calls for motorcycles
TWI538843B (zh) 智慧型自行車燈及其系統
KR20200094965A (ko) 사고 감지 헬멧 시스템
CN115471976B (zh) 一种电动车头盔佩戴状况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102560408B1 (ko) 실외 자전거 이용 시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무릎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