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677B1 -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 Google Patents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677B1
KR102497677B1 KR1020220075236A KR20220075236A KR102497677B1 KR 102497677 B1 KR102497677 B1 KR 102497677B1 KR 1020220075236 A KR1020220075236 A KR 1020220075236A KR 20220075236 A KR20220075236 A KR 20220075236A KR 102497677 B1 KR102497677 B1 KR 102497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unit
skin
wearer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7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은,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이고, 착용자의 머리에 맞춤 적용하여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헬멧내피부; 상기 헬멧내피부를 내주면에 장착하고, 착용자의 머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의 헬멧외피부; 상기 헬멧외피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송전케이블의 활선 상태 및 활선 강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부; 상기 헬멧외피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위험기준에 따라 출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헬멧외피부에 장착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청각적신호, 촉각적신호 및 시각적신호를 기설정된 위험기준에 따라 조합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복합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설비 현의 송전탑 가공송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청각, 촉각, 시각적 수단을 통해 경고함으로써, 작업자로하여금 위험의 진행 시간 및 위험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작업자 주위에 위치하는 또 다른 작업자에게도 해당 작업자의 위험상황을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Multi Sense Safety Helmet}
본 발명은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설비 현장의 송전탑 가공송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청각, 촉각, 시각적 수단을 통해 경고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safety helmet)는 머리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작업모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 또는 합성 수지제로 형성되며, 모자의 내측에는 충격에너지가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완화재가 내장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안전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 설비공사, 토목, 건설, 중공업, 조선, 제강, 산업 플랜트 제조 등 각종 산업 현장 및 도로공사와 환경미화 작업 등 산업 전 분야에서 이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보호장비로서, 안전관리 차원에서 안전모의 착용이 강력하게 권고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에 의한 안전모 착용 활성화 방안도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유형은 추락이나 감전, 협착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고층에 위치하던 기기물에 의한 충격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런 이유로 모든 현장 출입자는 안전모를 필수적으로 쓰도록 강제하고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모의 경우 단순히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구조일 뿐,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 부재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에서의 작업 중에 착용되는 안전모의 경우, 가공송전선의 활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부재하여, 별도 마련된 장비를 활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가공송전선이 활선 상태일 경우, 유도 전압 발생에 따라 감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어 활선 상태의 가공송전선이 근접하는 지의 여부를 수시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14143호 (등록일자: 2021년10월1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설비 현의 송전탑 가공송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청각, 촉각, 시각적 수단을 통해 경고함으로써, 작업자로하여금 위험의 진행 시간 및 위험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작업자 주위에 위치하는 또 다른 작업자에게도 해당 작업자의 위험상황을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은,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이고, 착용자의 머리에 맞춤 적용하여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헬멧내피부; 상기 헬멧내피부를 내주면에 장착하고, 착용자의 머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의 헬멧외피부; 상기 헬멧외피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송전케이블의 활선 상태 및 활선 강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부; 상기 헬멧외피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위험기준에 따라 출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헬멧외피부에 장착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청각적신호, 촉각적신호 및 시각적신호를 기설정된 위험기준에 따라 조합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복합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헬멧외피부 정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헬멧외피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헬멧외피부에 진동을 가하는 촉각신호출력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하우징부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청각신호출력부; 및 상기 헬멧외피부를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기설정된 색상과 패턴으로 빛을 발광하는 시각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획득한 검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초 검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청각신호출력부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임계시간이 경과되었음에도 감지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선상태가 검출되고 있을 경우, 촉각신호출력부와 시각신호출력부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빛을 발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헬멧내피부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에 해당 검출 데이터를 전달하는 착용검출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장착되고, 착용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업자의 헬멧 착용여부를 중앙관제센터에 무선 전송하고,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헬멧내피부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육성을 수용한 후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중앙관제센터로 전달하는 마이크모듈; 및 상기 헬멧내피부에 장착되고,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전달된 통제 멘트를 착용자에게 음성출력하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헬멧내피부는, 상기 헬멧외피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결속되고, 헬멧외피부의 내부 정수리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헬멧외피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고, 횡단면상 정육각형 단면구조의 중공형 정육각기둥 구조의 내피이격부; 상기 다수의 내피이격부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이고, 헬멧외피부의 내부 정수리 정중앙을 기준으로 방사형 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폭을 가지는 다수의 판상형 연장팔; 및 상기 판상형 연장팔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헬멧외피부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링 구조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춤 적용되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머리안착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용검출부는, 다수의 내피이격부 각각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두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값을 검출하고, 모든 내피이격부로부터 검출되는 압력값이 기준 압력값 이상일 경우에만 착용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각신호출력부는, 다수의 내피이격부 각각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두피에 촉각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헬멧내피부, 헬멧외피부, 감지부, 제어부 및 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전력 설비 현의 송전탑 가공송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청각, 촉각, 시각적 수단을 통해 경고함으로써, 작업자로하여금 위험의 진행 시간 및 위험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작업자 주위에 위치하는 또 다른 작업자에게도 해당 작업자의 위험상황을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착용검출부, 무선통신모듈, 마이크모듈 및 스피커모듈을 제어부 내부에 탑재함으로써, 감지부로부터 검출되는 데이터가 기설정된 위험 수준에 해당할 경우, 중앙관제센터에 근무하는 통제사와 실시간으로 현재 상황을 공유할 수 있고, 중앙관제센터의 통제사의 지시에 따라 신속하고 안전하게 안전지역으로 대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주위의 작업자에게 통보하여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멀티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피이격부, 판상형 연장판, 머리안착링, 착용검출부 및 촉각신호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헬멧 착용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해당 착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활선 상태를 검출한 후 검출 상태를 착용자의 두피를 통해 촉각적으로 직접 경고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모를 착용한 후 송전탑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의 감지부 및 제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의 감지부, 제어부, 출력부, 착용검출부, 무선통신모듈, 마이크모듈 및 스피커모듈을 나타내는 제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후방으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서 세이프티 헬멧을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서 세이프티 헬멧의 헬멧내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100)은, 특정 구조의 헬멧내피부(110), 헬멧외피부(120), 감지부(130), 제어부(140) 및 출력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전력 설비 현의 송전탑 가공송전선의 활선 상태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청각, 촉각, 시각적 수단을 통해 경고함으로써, 작업자로하여금 위험의 진행 시간 및 위험의 정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작업자 주위에 위치하는 또 다른 작업자에게도 해당 작업자의 위험상황을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의 감지부 및 제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의 감지부, 제어부, 출력부, 착용검출부, 무선통신모듈, 마이크모듈 및 스피커모듈을 나타내는 제어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내피부(110)는,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이고, 착용자의 머리에 맞춤 적용하여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외피부(120)는, 헬멧내피부(110)를 내주면에 장착하고, 착용자의 머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30)는, 헬멧외피부(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송전케이블의 활선 상태 및 활선 강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헬멧외피부(12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감지부(13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위험기준에 따라 출력부(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50)는, 헬멧외피부(12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청각적신호, 촉각적신호 및 시각적신호를 기설정된 위험기준에 따라 조합된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복합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5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하우징부(151), 촉각신호출력부(152), 청각신호출력부(153) 및 시각신호출력부(15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50)의 하우징부(15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부(151a)를 이용하여 헬멧외피부(120) 정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이다.
출력부(150)의 촉각신호출력부(152)는, 하우징부(151)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헬멧외피부(120)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헬멧외피부(12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출력부(150)의 청각신호출력부(153)는, 하우징부(151)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하우징부(151)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의 시각신호출력부(154)는, 헬멧외피부(120)를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기설정된 색상과 패턴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30)로부터 획득한 검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초 검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청각신호출력부(153)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임계시간이 경과되었음에도 감지부(130)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선상태가 검출되고 있을 경우, 촉각신호출력부(152)과 시각신호출력부(154)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빛을 발광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착용검출부(141), 무선통신모듈(142), 마이크모듈(143) 및 스피커모듈(144)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후방으로 바라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서 세이프티 헬멧을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센서 세이프티 헬멧의 헬멧내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의 착용검출부(141)는, 헬멧내피부(11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한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부(140)에 해당 검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0)의 무선통신모듈(142)은, 하우징부(151)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착용검출부(141)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업자의 헬멧 착용여부를 중앙관제센터에 무선 전송하고, 감지부(13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의 마이크모듈(143)은, 헬멧내피부(11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육성을 수용한 후 무선통신모듈(142)을 통해 중앙관제센터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의 스피커모듈(144)은, 헬멧내피부(110)에 장착되고, 무선통신모듈(142)을 통해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전달된 통제 멘트를 착용자에게 음성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착용검출부(141), 무선통신모듈(142), 마이크모듈(143) 및 스피커모듈(144)을 제어부(140) 내부에 탑재함으로써, 감지부(130)로부터 검출되는 데이터가 기설정된 위험 수준에 해당할 경우, 중앙관제센터에 근무하는 통제사와 실시간으로 현재 상황을 공유할 수 있고, 중앙관제센터의 통제사의 지시에 따라 신속하고 안전하게 안전지역으로 대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주위의 작업자에게 통보하여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멀티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헬멧내피부(110)는 특정 구조의 내피이격부(111), 판상형 연장팔(112) 및 머리안착링(113)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헬멧내피부(110)의 내피이격부(111)는, 헬멧외피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결속되고, 헬멧외피부(120)의 내부 정수리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헬멧외피부(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고, 횡단면상 정육각형 단면구조의 중공형 정육각기둥 구조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내피부(110)의 판상형 연장팔(112)은, 다수의 내피이격부(111)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서, 헬멧외피부(120)의 내부 정수리 정중앙을 기준으로 방사형 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폭을 가지는 구조이다. 이때, 머리안착링(113)은, 판상형 연장팔(112)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헬멧외피부(1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링 구조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춤 적용되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검출부(141)는, 다수의 내피이격부(111) 각각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두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값을 검출하고, 모든 내피이격부(111)로부터 검출되는 압력값이 기준 압력값 이상일 경우에만 착용상태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촉각신호출력부(152)는, 다수의 내피이격부(111) 각각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두피에 촉각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피이격부(111), 판상형 연장판, 머리안착링(113), 착용검출부(141) 및 촉각신호출력부(152)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헬멧 착용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해당 착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활선 상태를 검출한 후 검출 상태를 착용자의 두피를 통해 촉각적으로 직접 경고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110: 헬멧내피부
111: 내피이격부
112: 판상형 연장팔
113: 머리안착링
120: 헬멧외피부
130: 감지부
140: 제어부
141: 착용검출부
142: 무선통신모듈
143: 마이크모듈
144: 스피커모듈
150: 출력부
151: 하우징부
152: 촉각신호출력부
153: 청각신호출력부
154: 시각신호출력부

Claims (5)

  1.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이고, 착용자의 머리에 맞춤 적용하여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헬멧내피부(110);
    상기 헬멧내피부(110)를 내주면에 장착하고, 착용자의 머리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구조의 헬멧외피부(120);
    상기 헬멧외피부(120)의 일측에 장착되고, 송전케이블의 활선 상태 및 활선 강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전달하는 감지부(130);
    상기 헬멧외피부(120)의 일측에 장착되고, 감지부(13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위험기준에 따라 출력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헬멧외피부(120)에 장착되고,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청각적신호, 촉각적신호 및 시각적신호를 기설정된 위험기준에 따라 조합된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복합적으로 출력하는 출력부(150);
    를 포함하고,
    상기 헬멧내피부(110)는,
    상기 헬멧외피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결속되고, 헬멧외피부(120)의 내부 정수리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헬멧외피부(12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고, 횡단면상 정육각형 단면구조의 중공형 정육각기둥 구조의 내피이격부(111);
    상기 다수의 내피이격부(111)의 일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이고, 헬멧외피부(120)의 내부 정수리 정중앙을 기준으로 방사형 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폭을 가지는 다수의 판상형 연장팔(112); 및
    상기 판상형 연장팔(112)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헬멧외피부(12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링 구조로 형성되며,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춤 적용되어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머리안착링(113);
    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150)는,
    상기 헬멧외피부(120) 정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내부에 소정 부피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151);
    상기 다수의 내피이격부(111) 각각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착용자의 두피에 촉각적신호를 출력하는 촉각신호출력부(152);
    상기 하우징부(151)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하우징부(151) 외부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청각신호출력부(153); 및
    상기 헬멧외피부(120)를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기설정된 색상과 패턴으로 빛을 발광하는 시각신호출력부(154);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부(130)로부터 획득한 검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초 검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임계시간동안 청각신호출력부(153)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임계시간이 경과되었음에도 감지부(130)를 통해 지속적으로 활선상태가 검출되고 있을 경우, 촉각신호출력부(152)과 시각신호출력부(154)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빛을 발광시키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헬멧내피부(110)에 장착되고, 다수의 내피이격부(111) 각각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두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값을 검출하고, 모든 내피이격부(111)로부터 검출되는 압력값이 기준 압력값 이상일 경우에만 착용상태로 판단하는 검출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전달하는 착용검출부(141);
    상기 하우징부(151) 내부에 장착되고, 착용검출부(141)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업자의 헬멧 착용여부를 중앙관제센터에 무선 전송하고, 감지부(13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상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42);
    상기 헬멧내피부(110)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육성을 수용한 후 무선통신모듈(142)을 통해 중앙관제센터로 전달하는 마이크모듈(143); 및
    상기 헬멧내피부(110)에 장착되고, 무선통신모듈(142)을 통해 중앙관제센터로부터 전달된 통제 멘트를 착용자에게 음성출력하는 스피커모듈(1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5236A 2022-06-21 2022-06-21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KR102497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36A KR102497677B1 (ko) 2022-06-21 2022-06-21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36A KR102497677B1 (ko) 2022-06-21 2022-06-21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677B1 true KR102497677B1 (ko) 2023-02-08

Family

ID=8522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36A KR102497677B1 (ko) 2022-06-21 2022-06-21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6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7097A (ja) * 2006-03-16 2007-09-27 Tanizawa Seisakusho Ltd 警報機能付きヘルメット
KR20120092978A (ko) * 2011-02-14 2012-08-22 한국전력공사 활선 접근 경보 장치 및 방법
KR20170138862A (ko) * 2016-06-08 2017-12-18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20210041189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KR102314143B1 (ko) 2021-07-16 2021-10-15 박인재 안전모용 발광 안전 장치
KR20220074996A (ko) * 2020-10-26 2022-06-07 주식회사 디엔엑스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7097A (ja) * 2006-03-16 2007-09-27 Tanizawa Seisakusho Ltd 警報機能付きヘルメット
KR20120092978A (ko) * 2011-02-14 2012-08-22 한국전력공사 활선 접근 경보 장치 및 방법
KR20170138862A (ko) * 2016-06-08 2017-12-18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20210041189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KR20220074996A (ko) * 2020-10-26 2022-06-07 주식회사 디엔엑스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102314143B1 (ko) 2021-07-16 2021-10-15 박인재 안전모용 발광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US9679461B2 (en) Safety device
US11013288B2 (en) Integrated wireless head protection garment and harness
KR102061561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102104648B1 (ko) 중장비의 작업 안전장치
EP3403750B1 (en) Safety system for operations having a working field on an opposite side of a barrier from a device
KR20170055370A (ko) 이격 거리별 능동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하는 중장비 안전 경보 시스템
KR102497677B1 (ko)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KR20140006663A (ko) 안전모의 충돌 방지 장치
KR102371092B1 (ko)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KR20180075219A (ko) 위험 상황 인지 가능 헬멧 시스템
KR101995631B1 (ko)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KR102153517B1 (ko)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KR20180082856A (ko)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KR101487752B1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안전모를 이용한 리프트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18229B1 (ko) 안전모용 착용자 감지모듈을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JP2012207333A (ja) 衝突防止機能付きヘルメット
KR20220112326A (ko) 지게차 접근 경고 장치
KR20230036242A (ko) 산업현장 근로자의 안전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안전모
KR20180055599A (ko) 작업자를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JP3189644U (ja) 緊急遠隔通報システム
JP2010225130A (ja) 対人距離危険度警告装置
KR102643530B1 (ko) 건설현장 중장비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101533614B1 (ko) 중장비용 충돌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