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092B1 -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 Google Patents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092B1
KR102371092B1 KR1020190123554A KR20190123554A KR102371092B1 KR 102371092 B1 KR102371092 B1 KR 102371092B1 KR 1020190123554 A KR1020190123554 A KR 1020190123554A KR 20190123554 A KR20190123554 A KR 20190123554A KR 102371092 B1 KR102371092 B1 KR 10237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field sensing
outer housing
obstacle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189A (ko
Inventor
이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2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0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57Dosimetry, i.e. measuring the time integral of radiation intensity; Level warning devices for personal safety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78Sensors; antennas; probes;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의 외부 정면 중앙으로부터 안전모의 외부면을 따라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전계 감지 안테나, 전계 감지 안테나에 유도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전계 감지 안테나의 배치 형태에 따른 지향 방향에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전기 장애물 감지부 및 전계 감지 안테나와 전기 장애물 감지부를 안전모에 결합 고정하는 안전모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APPARATUS FOR DETECING ELECTRICAL OBSTACLES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전기 작업자를 위한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 건설현장 및 기타의 여러 작업현장의 작업자는 안전모(safety helmet)를 착용해야 한다. 안전모는 작업 현장에서 각종 위험물의 낙하 또는 작업자의 추락 등의 위기 상황 발생시에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경질의 외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 내측에서 작업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헤드 밴드, 외부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작업자의 머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흡수하는 완충재 및 외부 하우징 또는 헤드 밴드와 연결되고 작업자의 하관에 걸쳐져 조여짐으로써 안전모가 작업자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착용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기 작업자는 통상의 산업 현장과 다른 작업 현장의 환경을 가지며, 낙하물에 대한 위험보다는 전기 감전에 의한 위험이 더욱 크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안전모는 주로 작업자의 머리 부위로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하기 위해 구성되며, 감전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또한 건물 외부의 옥외 배선 작업을 수행하는 전기 작업자의 경우, 빈번하게 전신주를 오르내려야 하며, 이때 전신주의 손잡이를 부주의하게 잡는 경우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신주에는 다수의 전선 또는 변압기 등이 배열되어 있어, 전기 작업자는 손잡이보다 머리 위쪽에 배치된 전선이나 변압기 등의 전기적 장애물을 확인하기 위해 머리를 들어 위쪽으로 시야를 두고 전신주를 오르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전기 작업자의 추락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전신주에 오른 이후에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머리 위쪽의 전기적 장애물로 인해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여 작업 효율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조명 기구 이외에도 천정형 에어컨 등과 같이 실내의 천정에 매립되는 전기 기기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어, 전기 작업자의 머리위로 각종 배선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전기 작업자는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천정에 가까워지도록 올라서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경우에도 전기 작업자는 머리쪽에 위치하는 다양한 전기적 장애물로 인해 추락의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에 대한 집중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전기 작업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와 안전모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138862호 (2017.12.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감지하기 어려운 정수리 방향에 전기 선로와 같은 감전 유발 요인의 존재를 감지하여 전기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작업자가 사각 지대에 위치하는 감전 유발 요인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는 안전모의 외부 정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외부면을 따라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전계 감지 안테나;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에 유도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의 배치 형태에 따른 지향 방향에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전기 장애물 감지부; 및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와 상기 전기 장애물 감지부를 상기 안전모에 결합 고정하는 안전모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에 유도되는 전압을 증폭하는 전압 증폭부; 상기 전압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압의 레벨을 기지정된 기준 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판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자에게 경고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는 안전모의 외부 정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안전모의 외부면을 따라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장애물 감지부는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 각각에 유도된 전압을 구분하여 인가받아 전기적 장애물이 위치하는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직접적으로 작업자에게 가해지지 않도록 흡수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작업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밴드;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 상기 헤드 밴드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모가 상기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착용끈;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 정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을 따라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전계 감지 안테나를 포함하여,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가 배치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을 검출하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작업자를 위한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는 전기 작업자의 작업 환경 특성에 따라 사각 지대인 머리 앞쪽과 함께 위쪽 부분, 즉 정수리 방향에 전선이나 변압기와 같은 감전 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전기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 작업자가 전신주 또는 사다리 등을 오르는 경우에도 각종 전기가 흐르는 장애물의 존재에 대한 걱정 없이 손잡이나 발판에 집중하여 오를 수 있도록 하여 추락과 같은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전기 작업자가 사각 지대에서의 위험 요인에 대한 걱정없이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작업자를 위한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모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장애물 감지부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작업자를 위한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모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작업자를 위한 안전모는 외부 하우징(110)과 헤드 밴드(120), 완충재(130), 착용끈(140) 및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 하우징(110)은 일반적으로 경질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현되며, 작업현장에서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흡수한다.
헤드 밴드(120)는 외부 하우징(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헤드 밴드(120)는 외부 하우징(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도록 결합되어, 외부 하우징(110)에 인가된 충격이 작업자의 머리에 곧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재(130)는 헤드 밴드(120)와 함께 외부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작업자의 머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재(130)는 일예로 헤드 밴드(120)에 결합되고 외부 하우징(110)이 내측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밴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물리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소재로 구현되어 외부 하우징(110)의 내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밴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밴드와 외부 하우징(110)의 내측 사이에 추가적인 충격 흡수 소재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착용끈(140)은 일반적으로 헤드 밴드(120)와 결합되어, 헤드 밴드(120)와 함께 안전모(10)를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한다. 헤드 밴드(120)가 작업자의 이마 둘레를 감싸는 반면, 착용끈(140)은 작업자의 턱을 포함한 하관을 감싸도록 걸쳐짐으로써 작업자의 자세 변화에도 안전모(10)가 작업자의 머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는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 전계 감지 안테나(220) 및 안전모 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전모 결합부(230)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를 안전모의 외부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의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 전계 감지 안테나(220)가 안전모의 외부의 특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안전모 결합부(230)는 전계 감지 안테나(220)가 안전모의 전면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를 안전모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일예로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가 안전모에 대해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안전모 결합부(230)가 밴드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안전모 결합부(230)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를 안전모의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전모 결합부(230)는 밴드 구조와 마찬가지로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를 안전모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벨크로(Velcro)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를 안전모에서 탈부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더욱 확실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접착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계 감지 안테나(220)는 도전체로 구현되며,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에 결합되고, 안전모 결합부(230)에 의해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와 함께 안전모 외부 기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지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 유도 전압을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로 전달한다. 즉 전계 감지 안테나(220)는 지향 방향에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정전 유도 원리에 따라 유도된 전압을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로 전달 안테나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전계 감지 안테나(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의 전면 방향, 즉 안전모를 착용하는 정면, 전기 작업자의 눈 위 부위로부터 안전모의 외부면을 따라 작업자의 정수리에 대응하는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는 본 실시예의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가 전기 작업자의 전방 머리 윗부분에 존재하는 전기적 장애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선과 같은 다양한 전기적 장애물이 작업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고, 전기 작업자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전기 선로나 전기 기기에 대한 작업을 사다리나 전신주의 손잡이 또는 전기 작업을 위해 제작된 특수 승강 차량 등을 이용하여 오르내려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전기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높은 위치로 오르는 경우에는 작업 대상 이외에도 다양한 전기적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전기 작업자는 전기적 장애물을 안전하게 회피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에서는 전계 감지 안테나(220)를 안전모의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전기 작업자의 사각 지대인 머리 위부분에 존재하는 전기적 장애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계 감지 안테나(220)가 안전모의 정면, 즉 작업자의 이마 부위로부터 상단을 지나도록 형성되는 것은 전기 작업자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도 함께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특성상 위로 올라가는 경우에 대부분의 작업자는 윗방향을 보기 위해 고개를 들기 때문이다. 즉 작업자가 고개를 일정 수준 올리더라도 작업자의 위쪽에 존재하는 전기적 장애물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는 전기적 장애물에 의해 전계 감지 안테나(220)에 유도된 전압을 인가받아 감지하여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다.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는 전계 감지 안테나(22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압의 레벨이 기지정된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이면, 전기적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하여, 전기 작업자에게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전기 작업자가 전기적 장애물에 의한 위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는 전계 감지 안테나(220)가 안전모의 정면으로부터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전기 작업자가 머리 위쪽 방향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사각 지대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감전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전기 작업자가 사다리 또는 전신주 등을 오를 때, 상부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보다 사다리 또는 전신주의 손잡이나 발판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추락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장애물 감지부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는 전압 증폭부(211), 전압 판별부(212), 제어부(213), 알람부(214) 및 전원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증폭부(211)는 전계 감지 안테나(220)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증폭하여 전압 판별부(212)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적 장애물에 의해 전계 감지 안테나(220)에 유도되는 정전 유도 전압의 경우, 전압 레벨이 매우 미약하다. 따라서 전계 감지 안테나(220)에 유도된 전압을 그대로 이용하여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전압 증폭부(211)는 전계 감지 안테나(220)에서 인가되는 전압으로부터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기 용이하도록 전압을 증폭하여 전압 판별부(212)로 전달한다.
전압 판별부(212)는 전압 증폭부(211)에서 증폭된 전압을 인가받아 전압 레벨을 판별한다. 전압 판별부(212)는 증폭된 전압의 레벨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 레벨을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여 제어부(213)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13)는 전압 판별부(212)에서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기지정된 기준 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인가된 전압 레벨이 기준 전압 레벨 이상이면, 제어부(213)는 알람부(214)를 구동한다.
알람부(214)는 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전기 작업자에게 경고를 출력하여 전기 작업자가 전기적 장애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부(215)는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 각 구성 요소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부(215)는 일예로 충전형 또는 교체형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전압 판별부(212)와 제어부(213)를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압 판별부(212)는 제어부(213)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300)를 설명한다. 도 4의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300)에서 전기 장애물 감지부(310)와 안전모 결합부(330)는 도 3의 전기 장애물 감지부(210)와 안전모 결합부(230)와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도 3의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200)는 안전모의 정면 방향에서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하나의 전계 감지 안테나(220)를 포함하는데 반해, 도 4의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300)는 안전모의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전계 감지 안테나(321) 뿐만 아니라 전기 장애물 감지부(310)를 중심으로 안전모의 정면 방향에서 안전모의 외부면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2개의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322)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2개의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322)는 각각 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에서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정전 유도 전압이 발생될 수 있다.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300)가 전기 장애물 감지부(310)를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322)를 더 포함함에 따라 도 4의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300)는 전기 작업자의 머리 윗방향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뿐만 아니라 전기 작업자의 전면 양측 방향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도 감지하여 전기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즉 전기 작업자가 더 많은 방향에서의 전기적 장애물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장애물 감지부(310)는 전계 감지 안테나(321)와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322) 각각에서 유도된 전압을 서로 구분하여 판별함으로써, 전기적 장애물이 존재하는 위치를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의 경고를 전기 작업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즉 전기 작업자가 전기적 장애물의 위치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며,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외부 하우징 120: 헤드 밴드
130: 완충재 140: 착용끈
200, 300: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210, 310: 전기 장애물 감지부
220, 321: 전계 감지 안테나 230, 330: 안전모 결합부
322: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 직접적으로 작업자에게 가해지지 않도록 흡수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작업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밴드;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
    상기 헤드 밴드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모가 상기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착용끈;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부 정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부면을 따라 상단을 지나도록 연장되는 형태로 작업자의 눈 위 부위로부터 작업자의 정수리에 대응하는 상단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전계 감지 안테나;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가 배치된 방향에 위치하는 전기적 장애물을 검출하는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부 정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부면을 따라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는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에 유도되는 전압을 증폭하는 전압 증폭부;
    상기 전압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압의 레벨을 기지정된 기준 전압 레벨과 비교하여 판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에게 경고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윗방향에 전기적 장애물이 위치할 때 유도 전압이 발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에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전면 양측 방향에 전기적 장애물이 위치할 때 유도 전압이 발생하며,
    상기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는
    상기 전계 감지 안테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 전계 감지 안테나 각각에 유도된 전압을 구분하여 인가받아 전기적 장애물이 위치하는 방향을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경고를 출력하는 안전모.

  6. 삭제
KR1020190123554A 2019-10-07 2019-10-07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KR102371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54A KR102371092B1 (ko) 2019-10-07 2019-10-07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554A KR102371092B1 (ko) 2019-10-07 2019-10-07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189A KR20210041189A (ko) 2021-04-15
KR102371092B1 true KR102371092B1 (ko) 2022-03-07

Family

ID=7544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554A KR102371092B1 (ko) 2019-10-07 2019-10-07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731B1 (ko) * 2021-09-01 2022-12-30 김영순 안전모용 활선 경보기
KR102497677B1 (ko) * 2022-06-21 2023-02-08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0120A (ja) * 2001-03-05 2002-09-13 Tanizawa Seisakusho Ltd 活線警報器
KR200428873Y1 (ko) * 2006-08-01 2006-10-16 주식회사 엠코 건설현장용 안전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249Y2 (ko) * 1987-03-11 1991-05-15
KR20090068984A (ko) * 2007-12-24 2009-06-29 김기영 활선 접근 경보기
KR101838383B1 (ko)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20190012020A (ko) * 2017-07-26 2019-02-08 한국전력공사 웨어러블 활선 접근 경보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0120A (ja) * 2001-03-05 2002-09-13 Tanizawa Seisakusho Ltd 活線警報器
KR200428873Y1 (ko) * 2006-08-01 2006-10-16 주식회사 엠코 건설현장용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189A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1092B1 (ko) 전기적 장애물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US9679461B2 (en) Safety device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US9238573B2 (en) Protecting device for a user of an aerial lift and aerial lift comprising such a device
KR101774852B1 (ko) 충격감지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CA3040219C (en) Distance-learning safety retraction lanyard
US20210016115A1 (en) Smart fall arrest system
US20090322512A1 (en) Personal alarm device for headwear for proximity detection
KR102061561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EP3075419B1 (en) Fall protection device
KR102333804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의 제어방법
KR20140006663A (ko) 안전모의 충돌 방지 장치
CN105661727A (zh) 一种预警式电力安全帽
CN214016220U (zh) 一种智能监管安全帽装置
KR102497677B1 (ko) 멀티 센스 세이프티 헬멧
KR20190063001A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26312B1 (ko) 근접 센서 방식의 턱 끈 착용 감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모
CN213215572U (zh) 一种带有激光雷达的安全帽
JP2008150761A (ja) 検電器を装着した作業用帽子
CN219741959U (zh) 一种防触电电工安全帽
KR20190055513A (ko) 발광수단이 부착된 안전모
CN219762564U (zh) 一种多功能安全帽
KR102646506B1 (ko) 안전모형 스마트 검전기
CN211833048U (zh) 一种新型电力安全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