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035B1 -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035B1
KR102671035B1 KR1020220062534A KR20220062534A KR102671035B1 KR 102671035 B1 KR102671035 B1 KR 102671035B1 KR 1020220062534 A KR1020220062534 A KR 1020220062534A KR 20220062534 A KR20220062534 A KR 20220062534A KR 102671035 B1 KR102671035 B1 KR 10267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led
area
user
depa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3030A (ko
Inventor
안치현
서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안하이텍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안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안하이텍
Priority to KR1020220062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035B1/ko
Publication of KR2023016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2005/0627Dos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밴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자성체 및 탄성부재의 양단에 인입되는 클립자성체의 접합여부를 감지하여, LED마스크가 사용자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고, LED마스크가 이탈하는 경우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LED Mask That Can Detect Being Released}
본 발명은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밴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자성체 및 탄성부재의 양단에 인입되는 클립자성체의 접합여부를 감지하여, LED마스크가 사용자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고, LED마스크가 이탈하는 경우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주름 제거, 여드름 치료 등과 같이 피부 상태(특히 안면 피부)를 개선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관심과 노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은 2015년 72억달러에서 연평균 약10%가량 성장해 2021년 133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레이저 치료 등을 이용한 글로벌 안면미용 시장 또한 2015년 34억달러에서 2021년 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에 따른 마스크부재 착용 의무화가 완화됨에 따라 해당 시장에서의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피부미용 프로그램 중 하나로 안면피부에 LED를 조사하여 피부질환을 치료하거나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광치료 요법이 있으나, 종래의 LED피부관리 제품은 지나치게 고가이거나 고정된 위치에서 움직임이 제한되는 불편함이 있었고 피부 관리를 위해 별도의 피부 관리실이나 병원을 지속적으로 찾아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가정에서 LED피부관리 제품으로서 사용자 안면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된 마스크부재에 LED를 실장하여 안면 피부에 LED광을 조사하는 제품이 개발되어 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품은 하드케이스 기반으로 제작되어 피부와 LED광원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스크부재가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광 조사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부재가 안면에서 이탈할 경우 안구에 LED광이 조사되어 안구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으나, 종래의 제품은 마스크부재와 피부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 및 마스크부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 움직임에 따라 마스크부재가 안면에서 쉽게 이탈하고, 사용자가 잠에 드는 경우 마스크부재가 안면에서 이탈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LED마스크는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 여가시간에 앉거나 누운 편안한 상태에서 착용하여 사용되고 있어, 사용자가 LED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잠에 드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이와 같이 사용자가 LED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잠에 들어 잠결에 LED마스크를 건드리는 경우,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여 안구에 LED광이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구에 LED광이 지속적으로 조사되는 경우 사용자의 안구건강을 해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결과적으로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마스크부재가 안면에서 이탈하더라도 안구에 LED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KR 10-2021-0088161 A “엘이디 마스크부재의 엘이디 테라피 피부 개선 구조” (2021.07.14 공개)
본 발명은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밴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자성체 및 탄성부재의 양단에 인입되는 클립자성체의 접합여부를 감지하여, LED마스크가 사용자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고, LED마스크가 이탈하는 경우 LED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면 형태를 가지는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 안면에 부착되어 특정 국소부위에 LED광을 조사하는 마스크부재; 상기 마스크부재의 좌우 관자놀이 어느 한측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부재에 실장되는 LED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마스크부재에 구비되는 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우양측 관자놀이 및 후두부를 조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마스크부재를 밀착시키는 밴드;를 포함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부재는, 상기 마스크부재의 내측면으로서 사용자 안면에 상응하는 크기의 타원형태를 가지는 내피; 상기 마스크부재의 외측면으로서 상기 내피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외피; 및 상기 내피 및 상기 외피 사이에 접합되어 상기 사용자 안면의 특정 국소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LED 및 BIA센서가 실장되는 FPCB기판; 및 상기 마스크부재의 좌우 관자놀이측에 상기 제어모듈이 체결될 수 있는 모듈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LED마스크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 상기 밴드가 결합되는 모듈체결홈; 및 제어부, 통신부를 포함하여 LED마스크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MCU;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제어모듈에 형성되는 모듈체결홈 및 상기 마스크부재에 형성되는 마스크부재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우 관자놀이 및 후두부를 조이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자성체;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 인입되는 클립자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측에서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클립자성체가 접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재를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FPCB기판은, 상기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해당하는 제1영역, 좌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2영역, 우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3영역, 좌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4영역, 및 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5영역 각각에 LED 및 BIA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4영역 사이에서 사용자의 좌측 뺨에 해당하는 제6영역, 및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5영역 사이에서 사용자의 우측 뺨에 해당하는 제7영역 각각에 LED가 실장되고, 상기 LED는, 630nm 내지 850nm의 파장 및 2.5mm의 피치(Pitch)간격으로 실장되어 30mW/cm2의 광출력을 가지되,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1내지7영역 각각에 대한 광출력 및 조사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해당하는 제1영역, 좌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2영역, 우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3영역, 좌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4영역, 및 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5영역의 5개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BIA센서로부터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임피던스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는 영역별 및 피부타입별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별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의 LED에 대한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을 결정하여 LED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MCU는,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클립자성체의 접합 여부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해 긍정 혹은 부정의 형태로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생성하는, 마스크이탈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로부터 긍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를 ON하고, 상기 LED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클립자성체가 탈착되어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로부터 부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를 OFF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로부터 긍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를 ON하고, 상기 LED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클립자성체가 탈착되어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로부터 부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에 위치하는 LED를 OFF하고, 제4영역, 및 제5영역에 위치하는 LED의 광량을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4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뺨 영역에 해당하는 제6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5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뺨 영역에 해당하는 제7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부재의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 및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영역에 LED가 실장되어 LED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부재의 이마, 좌우측 눈가, 및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에 BIA센서가 실장되어 해당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을 도출하여 해당 영역의 LED의 파장, 광량, 조사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모듈은 후크식 체결구조로 탈부착가능하여 사용자는 제어모듈만을 탈착하여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재를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자성체 및 클립자성체의 접합여부를 감지하여,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부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부재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내부에 제1자성체 및 클립자성체가 인입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PCB기판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요소 및 동작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마스크의 동작 단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마스크의 이탈을 감지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영역별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영역별 최적제어정보를 도시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LED마스크는 안면 형태를 가지는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 안면에 부착되어 특정 국소부위에 LED광을 조사하는 마스크부재(1); 상기 마스크부재(1)의 좌우 관자놀이 어느 한측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부재(1)에 실장되는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2) 및 상기 마스크부재(1)에 구비되는 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우양측 관자놀이 및 후두부를 조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마스크부재(1)를 밀착시키는 밴드(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크부재(1)는 사용자 안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눈, 코, 입에 해당하는 위치에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부재(1)는 외피(12), 내피(11), 및 FPCB기판(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12), 내피(11), 및 FPCB기판(13)의 눈, 코, 입에 해당하는 위치에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재(1)의 크기는 표준 얼굴형을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자료에서와 같이, 상기 마스크부재(1)는 다양한 얼굴형을 참조하여 가로 20 내지 25cm 및 세로 20 내지 22cm 내외에서 다양한 크기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형 및 안면크기에 상응하여 착용감이 우수한 LED마스크를 취사선택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스크부재(1)는 가로 24cm 및 세로 21cm의 크기로 보통 체형의 사람이 착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부재(1)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되어 사용자 안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부재(1)의 외피(12), 내피(11), 및 FPCB기판(13) 각각은 유연한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안면의 굴곡을 따라 마스크부재(1)가 밀착할 수 있어 안면과 마스크부재(1)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피(12), 및 내피(11)는 신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무해한 것으로 검증된 Ecoflex-0050 실리콘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FPCB기판(13)에는 LED(131) 및 BIA센서(132)가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BIA센서(132)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피부에 대한 임피던스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타입을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IA센서(132)는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위치에 실장되어, 각각의 영역에 대한 임피던스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이 도출될 수 있다.
한편, LED(131)는 사용자의 안면피부에 LED광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LED(131)는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 및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영역에 실장되어 각각의 영역에 LED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IA센서(132)로부터 측정된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타입을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 대해 결정된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각각의 영역의 LED(131)에 대한 파장, 광량, 조사시간 등을 결정하여 안면피부에 LED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부재(1)의 좌우 관자놀이 어느 한 측에는 제어모듈(2)이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스크부재(1)는 좌우 관자놀이 양측에 모듈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체결부에 상기 제어모듈(2)이 체결될 수 있다.
제어모듈(2)은 LED마스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LED마스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의 MCU(21)는 유선상으로 상기 FPCB기판(13)의 LED(131) 및 BIA센서(132)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모듈(2)의 MCU(21)는 BIA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타입을 도출하고, 도출된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파장, 광량, 조사시간 등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여, LED(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2)의 MCU(21)는 피부영역별 및 피부타입별 임피던스데이터 및 최적제어정보가 저장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LED마스크는 사용자의 양측 관자놀이 및 후두부를 조이는 밴드(3)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3)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2) 및 상기 마스크부재(1)에 구비되는 체결홈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안면과 LED마스크가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3)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자성체(32)와 양단에 인입되는 클립자성체(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자성체(32)와 클립자성체(33)는 사용자의 후두부에서 상호 접합되어 상기 LED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이 밀착 및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3)는 상기 제1자성체(32)와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기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제1자성체(32)와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에 대한 정보는 제어모듈(2)의 MCU(21) 로 송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모듈(2)의 MCU(21)는 마스크이탈판단부(213)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센서로부터 상기 제1자성체(32)와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긍정 혹은 부정의 형태로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안면 형태로 제작되는 마스크부재(1)를 착용한 상태에서 밴드(3)를 조이고 자성체를 접합함으로써, 안면과 LED마스크를 밀착하여 착용할 수 있고, 제어모듈(2)에 의해 영역별로 피부타입 및 최적제어정보가 도출되고 LED(131)가 동작됨으로써, 주름 및 피부탄력을 개선할 수 있는 광치료요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부재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부재(1)는 상기 마스크부재(1)의 내측면으로서 사용자 안면에 상응하는 크기의 타원형태를 가지는 내피(11); 상기 마스크부재(1)의 외측면으로서 상기 내피(11)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외피(12); 및 상기 내피(11) 및 상기 외피(12) 사이에 접합되어 상기 사용자 안면의 특정 국소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LED(131) 및 BIA센서(132)가 실장되는 FPCB기판(13); 및 상기 마스크부재(1)의 좌우 관자놀이측에 상기 제어모듈(2)이 체결될 수 있는 모듈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피(11)는 마스크부재(1)의 내측면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 20 내지 25cm 및 세로 20 내지 22cm 내외의 크기에서 눈, 코, 입에 해당하는 부위에 천공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내피(11)는 사용자의 안면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인체 피부에 무해하고 착용감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피(11)는 FPCB기판(13)에 BIA센서(132)가 실장되는 위치에 BIA센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BIA센서(132)는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에 각각 실장되므로, 상기 BIA센서(132)가 실장되는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천공을 형성하여 BIA센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IA센서홈은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 각각에 형성되는 제1내지5BIA센서홈(15.1, 15.2, 15.3, 15.4, 및 15.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피(12)는 마스크부재(1)의 외측면으로서, 상기 내피(11)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 즉 가로 20 내지 25cm 및 세로 20 내지 22cm 내외의 크기에서 눈, 코, 입에 해당하는 부위에 천공을 형성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외피(12)는 LED마스크의 외면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므로, 외부충격에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 강한 소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피(12) 및 내피(11) 사이에는 LED(131) 및 BIA센서(132)가 실장되는 FPCB기판(13)이 위치하고, 상기 외피(12), 내피(11), 및 FPCB기판(13)이 접합되어 마스크부재(1)의 기본 골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부재(1)는 좌우 관자놀이측에 제어모듈(2)이 체결될 수 있는 모듈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체결부는 상기 마스크부재(1)의 좌우 관자놀이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이 중 어느 하나의 모듈체결부에 제어모듈(2)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재(1)의 좌측 관자놀이측에 구비되는 제1모듈체결부(14.1)에 제어모듈(2)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2)이 체결되지 않는 우측 관자놀이측의 제2모듈체결부(14.2)는 제어모듈(2), 및 이와 체결된 제1모듈체결부(14.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모듈(2)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제1모듈체결부(14.1)와 제어모듈(2)이 체결되지 않은 제2모듈체결부(14.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LED마스크가 좌우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2) 및 제1모듈체결부(14.1)는 후크식 체결구조로 상호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모듈체결부(14.1)의 일측에 후크홈을 형성하고, 제어모듈(2)에 후크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후크홈과 후크부재가 맞물려 제어모듈(2)과 제1모듈체결부(14.1)가 체결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모듈(2)은 LED마스크에 탈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제어모듈(2)만을 탈착하여 제어모듈(2)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체결부는 밴드(3)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모듈체결부(14.1)는 제1마스크부재체결홈(140.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모듈체결부(14.2)는 제2마스크부재체결홈(14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듈체결부(14.1) 및 제2모듈체결부(14.2)는 사용자의 좌우 관자놀이 양측에 위치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소재의 밴드(3)가 상기 제1모듈체결부(14.1) 및 제2모듈체결부(14.2)에 형성되는 제1마스크부재체결홈(140.1) 및 제2마스크부재체결홈(140.2)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재(1)를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모듈(2)은 상기 제1모듈체결부(14.1)의 제1마스크부재체결홈(140.1)에 상응하는 위치에 모듈체결홈(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부재(1)의 좌측 관자놀이측에서는 (제1모듈체결부(14.1)에 제어모듈(2)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마스크부재체결홈(140.1)과 상기 모듈체결홈(22)을 관통하여 밴드(3)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마스크부재(1)의 우측 관자놀이측에서는 상기 제2마스크부재체결홈(140.2)을 관통하여 밴드(3)가 체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밴드(3)는 상기 마스크부재(1)의 좌우 관자놀이측에 형성되는 모듈체결홈(22), 제1마스크부재체결홈(140.1), 및 제2마스크부재체결홈(140.2)을 관통함으로써, 사용자의 좌우 관자놀이측과 후두부측을 조여 사용자의 안면과 LED마스크가 밀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FPCB기판(13)은 LED(131) 및 BIA센서(132)를 포함하고 내피(11) 및 외피(12) 사이에서 상호접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LED(131) 및 BIA센서(132)는 사용자의 이마, 좌우측 눈가, 및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에 실장되고, 각각의 영역에 실장되는 LED(131) 및 BIA센서(132)는 유선상으로 제어모듈(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모듈(2)은 LED(131) 및 BIA센서(132)와 유선상으로 연결됨으로써, BIA센서(132)로부터 피부영역에 대해 센싱된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하거나, LED(131)에 광량, 조사시간 등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전송하여 LED(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부재를 도시한다.
도 3의 (a)는 마스크부재(1)의 내피(11)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마스크부재(1)에 형성되는 모듈체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11)는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 각각에 제1내지5BIA센서홈(15.1, 15.2, 15.3, 15.4, 및 15.5)을 포함하고, 해당 BIA센서홈에 BIA센서(132)가 위치하도록 FPCB기판(13)이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피(11)의 외면부는, 마스크부재(1)의 외면을 이루고 BIA센서홈이 형성되지 않는 외피(12)와 접합되므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 시각적으로 도드라지는 BIA센서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를 도시하고, 도 5는 밴드 내부에 제1자성체 및 클립자성체가 인입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3)는 상기 제어모듈(2)에 형성되는 모듈체결홈(22) 및 상기 마스크부재(1)에 형성되는 마스크부재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우 관자놀이 및 후두부를 조이는 탄성부재(31); 상기 탄성부재(3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자성체(32); 상기 탄성부재(31)의 양단에 인입되는 클립자성체(33);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측에서 상기 제1자성체(32)와 상기 클립자성체(33)가 접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재(1)를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부재(1)는 좌우 관자놀이측에 제1모듈체결부(14.1) 및 제2모듈체결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듈체결부(14.1)에 제어모듈(2)이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모듈(2)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제1모듈체결부(14.1)와 제어모듈(2)이 체결되지 않은 제2모듈체결부(14.2)가 동일한 형상을 가져 LED마스크가 좌우대칭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제1모듈체결부(14.1), 제2모듈체결부(14.2) 및 제어모듈(2)은 각각 제1마스크부재체결홈(140.1), 제2마스크부재체결홈(140.2), 및 모듈체결홈(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좌우 관자놀이 양측에서 체결홈을 관통하여 밴드(3)를 체결하고, LED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후두부측에 위치하는 밴드(3)의 양단을 조이고, 상기 밴드(3) 내부에 인입되는 제1자성체(32)와 양단에 인입되는 클립자성체(33)를 접함으로써, 안면과 마스크부재(1)를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3)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31), 상기 탄성부재(31)의 길이방향 중심에 인입되는 제1자성체(32), 및 상기 탄성부재(31)의 양단 각각에 인입되는 제1클립자성체(33.1) 및 제2클립자성체(3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자성체(32)는 사용자의 후두부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밴드(3)의 양단이 좌우 관자놀이측에 위치하는 체결홈을 관통하여 접혀, 다시 사용자의 후두부측에 제1클립자성체(33.1) 및 제2클립자성체(33.2)가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후두부측에서 제1자성체(32)와 제1클립자성체(33.1) 및 제2클립자성체(33.2)와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밴드(3)의 세로길이는 마스크부재체결홈 및 모듈체결홈(22)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밴드(3)의 가로길이는 밴드(3)가 관자놀이 양측을 관통하여 양단이 후두부측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3)는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자기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센서는 상기 밴드(3)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제1자성체(32) 및 상기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자기센서는 LED마스크 동작 중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마스크이탈판단부(213)로 해당 경우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PCB기판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FPCB기판(13)은 상기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해당하는 제1영역, 좌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2영역, 우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3영역, 좌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4영역, 및 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5영역 각각에 LED(131) 및 BIA센서(132)가 실장되고,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4영역 사이에서 사용자의 좌측 뺨에 해당하는 제6영역, 및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5영역 사이에서 사용자의 우측 뺨에 해당하는 제7영역 각각에 LED(131)가 실장되고, 상기 LED(131)는 630nm 내지 850nm의 파장 및 2.5mm의 피치(Pitch)간격으로 실장되어 30mW/cm2의 광출력을 가지되, 상기 제어모듈(2)에 의해 제1내지7영역 각각에 대한 광출력 및 조사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B기판(13)은 이마, 좌우측 눈가, 및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1내지5영역에 BIA센서(132)를 포함하여, 해당 영역에서의 임피던스데이터를 측정하여 피부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FPCB기판(13)은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제1내지7영역에 LED(131)를 포함하여, 안면피부에 LED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BIA센서(132)는 핑거타입 패턴으로 FPCB기판(13)에 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BIA센서(132)가 안면피부에 대한 임피던스데이터를 측정함에 있어, 수분상태, 피부상태(털 및 수염 유무 등)에 따라 임피던스 차이값이 발생할 수 있고, 원형 혹은 사각형의 패턴보다 핑거 형태로 BIA센서(132)가 실장되었을 때의 임피던스값이 가장 우수한 응답성을 가질 수 있다.
[피부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패드 디자인]
또한, LED(131)는 630nm 내지 850nm의 파장 및 2.5mm의 피치(Pitch)간격으로 실장되어 30mW/cm2의 광출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131)는 파장이 서로 다른 1 이상의 LED(131)를 포함할 수 있다. LED광은 파장에 따라 적, 녹, 청 등 다양한 색상으로 발현될 수 있고, 각각의 색상마다 피부에 조사되었을 때의 효과(피부진정, 탄력강화, 상처치유 등)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마스크는 다양한 파장을 갖는 1 이상의 LED(131)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타입을 고려하여 LED광을 달리하여 조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LED마스크는 630nm 및 850nm의 파장을 갖는 2종류의 LED(131)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부상태 및 피부타입을 고려하여 각각의 종류에 대한 LED(131)의 광량 및 조사시간 등을 결정하여 안면에 LED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BIA센서(132)는 이마, 좌우측 눈가, 및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5개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나, LED(131)는 상기 5개 영역에 더해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영역에도 위치할 수 있다.
즉,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LED(131)의 광량 및 조사시간은 해당 영역에서의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지 않고, 해당 영역의 주변부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뺨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은 좌측 눈가, 및 좌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 결정되는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뺨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은 우측 눈가, 및 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해 결정되는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요소 및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은 LED마스크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MCU(21)를 포함하고, 상기 MCU(21)는 제어부(211), 통신부(212), 마스크이탈판단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MCU(21)는 유무선상으로 마스크부재(1)의 FPCB기판(13), 사용자단말기, 밴드(3)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11)는 마스크부재(1)의 BIA센서(132)로부터 피부영역에 대한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피부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을 도출하고, 해당 피부영역에 위치하는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 등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BIA센서(132)는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임피던스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11)는 각각의 영역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타입은 수분 및 유분량에 따라 건성, 표준형, 지성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피부타입에 따라 측정되는 임피던스데이터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CU(21)는 피부영역별 및 피부타입별 임피던스데이터 및 최적제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11)는 각각의 영역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MCU(21)는 각각의 피부영역에 대해 도출된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피부영역별 및 피부타입별 최적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211)는 각각의 영역에 대해 도출된 피부타입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통신부(212)는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LED마스크의 동작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에 LED마스크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LED마스크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1)에 의해 도출된 각각의 피부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212)를 통해 사용자단말기로 송신되어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될 수 있다.
마스크이탈판단부(213)는 상기 밴드(3) 내부에 인입되는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로부터 해당 경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크이탈판단부(213)는 자기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에 따라 긍정 혹은 부정의 형태로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213)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제어부(211)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213)는 통신부(212)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LED(131) 동작을 요청받는 경우, 즉 최초 동작 시에 자기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이탈판단부(213)는 상기 LED마스크가 동작하는 동안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11)로 송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211)는 마스크이탈판단부(213)로부터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가 접합되었는 지 여부, 즉 LED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LED마스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마스크의 동작 단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1)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213)로부터 긍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131)를 ON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단계에서 통신부(212)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LED마스크에 대한 동작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LED마스크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LED마스크를 ON/OFF할 수 있다.
S11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이탈판단부(213)는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에 따라 긍정 혹은 부정의 형태로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11)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11)는 마스크이탈판단정보에 기초하여, LED마스크가 안면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2.1단계에서 제어부(211)는 BIA센서(132)로부터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1)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정보가 긍정으로 생성되어 마스크부재(1)가 안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경우에, 이마, 좌우측 눈가, 및 좌우측 입가 5개 영역에 위치하는 각각의 BIA센서(132)에 의해 측정된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S12.2단계에서 제어부(211)는 통신부(212)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LED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1)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정보가 부정으로 생성되어 마스크부재(1)가 안면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통신부(212)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마스크부재(1)를 정상적으로 착용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LED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LED마스크 동작시킬 경우, 제어부(211)는 사용자단말기에 LED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착용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S12.1단계에 이어서 S13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이마, 좌우측 눈가, 및 좌우측 입가 5개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을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타입은 수분 및 유분량에 따라 건성, 표준형, 지성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어부(211)는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하여 건성, 표준형, 지성 등으로 피부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1)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이마, 좌측 눈가, 우측 눈가, 좌측 입가, 우측 입가 5개 영역 각각에 대하여 건성, 표준형, 지성 등으로 피부타입이 결정될 수 있다.
S14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1)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피부영역별 및 피부타입별 최적제어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례로, 이마, 좌우측눈가, 및 좌우측입가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이 모두 지성으로 결정되더라도, 해당 피부영역의 특성으로 고려하였을 때 조사되어야 하는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피부영역 및 피부타입을 모두 고려하여 각각의 피부영역별로 조사되는 LED광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 등을 모두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별로 최적화된 피부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S15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LED(13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는 상이하므로, 각각의 영역별로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안면피부로 LED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1)는 S11단계 및 S12.1단계의 사이에서 S16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6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상기 5개 영역에 위치하는 LED(131)를 표준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211)는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산출하여 LED(131)를 동작시키기에 앞서, 상기 5개 영역에 위치하는 LED(131)를 표준모드로 우선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LED마스크의 동작을 요청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LED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입장에서 지연이 느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16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상기 5개 영역에 대한 표준형의 피부타입에 대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LED(13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마스크를 동작시키기에 앞서 LED마스크가 정상적으로 착용하였는 지를 검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마스크의 이탈을 감지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1)는 상기 LED(131)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성체(32) 및 상기 클립자성체(33)가 탈착되어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213)로부터 부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131)를 OFF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11)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213)로부터 긍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131)를 ON하고, 상기 LED(131)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성체(32) 및 상기 클립자성체(33)가 탈착되어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213)로부터 부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에 위치하는 LED(131)를 OFF하고, 제4영역, 및 제5영역에 위치하는 LED(131)의 광량을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5단계에서 LED(131)가 ON된 후, S16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접합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6단계는 도 8에서 상술한 S11단계와 유사 혹은 동일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211)는 마스크이탈판단부(213)로부터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로 지속적으로 수신함으로써, LED마스크 동작 중에 LED마스크가 사용자의 안면에서 이탈하지 않는 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S16단계에서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여 부정의 형태로 마스크이탈판단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S17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7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상기 S15단계에서 ON된 LED(131)를 OFF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밴드(3)의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접합이 떨어져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LED(131)를 OFF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안구에 LED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7단계에서 제어부(211)는 통신부(212)를 통해 사용자단말기로 'LED마스크의 착용여부를 확인해주세요'와 같은 알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람정보는 음성 혹은 시각정보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어 사용자가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였음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S18단계에서 제어부(211)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재접합되는 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로 알람정보를 송신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면에서 이탈한 LED마스크를 재착용하고 LED마스크에 대한 동작을 재요청(S10단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LED마스크를 동작을 재요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를 재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1)는 LED마스크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재부착되는 지 여부를 검증하여, LED마스크를 다시 ON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8단계에서 제어부(211)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재접합되는 지 여부를 검증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재접합되는 경우 LED(131)를 다시 ON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LED마스크 이탈여부를 빠르게 감지하여 LED마스크를 정상적으로 재착용하는 경우에 LED(131)가 다시 ON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로 사용자단말기를 조작하여 LED마스크에 대한 동작을 재요청하지 않아도 돼, 단말기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9의 (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마스크 동작 중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LED(131)가 자동적으로 OFF되어 안구로 LED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LED마스크를 올바르게 재착용하는 경우 별도의 조작없이 LED(131)가 다시 ON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LED(131)가 ON된 상태(S15단계)에서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접합이 떨어지는 경우(S16단계)에, 제어부(211)는 S17.1 및 S17.2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7.1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LED(131)를 OFF하고, S17.2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제4영역, 및 제5영역에 해당하는 LED(131)의 광량을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 즉, S17단계와 동일하게 S17.1 및 S17.2단계 또한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에 안구에 LED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ED(131)는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 및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영역에 실장될 수 있고, 제어부(211)는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이마, 좌우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 즉 안구에 근접한 영역에 위치하는 LED(131)를 OFF함으로써, LED광이 안구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LED(131)의 광량은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안구 주변에 위치하지 않아 안구에 LED광이 조사될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의 LED(131)는 낮은 광량으로나마 조사하여, 피부개선 프로그램이 완전히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17.2단계에서 제어부(211)는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제6영역 및 제7영역에 위치하는 LED(131)의 광량 또한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마, 좌우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은 사용자가 LED마스크 착용 중에 잠이 들어 무의식적 움직임에 의해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사용자의 안구에 위치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에 해당하여,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LED를 OFF함이 바람직할 수 있고,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4영역 및 제5영역은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더라도 사용자의 안구에 위치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에 해당하여,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LED를 낮은 광량으로나마 ON함으로써, 피부개선 프로그램이 완전히 중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S17.2단계에 이어서, S18단계에서 제어부(211)는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자성체(32) 및 클립자성체(33)의 재접합되는 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8단계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LED마스크를 올바르게 재착용하는 경우 별도의 조작없이 LED(131)가 다시 ON될 수 있고, 이는 도 9의 (a)의 S18단계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도 9의 (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마스크 동작 중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경우, 안구 주변인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에 위치하는 LED(131)가 자동적으로 OFF되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제4영역 및 제5영역에 위치하는 LED(131)의 광량을 최소로 설정함으로써, LED광이 안구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LED마스크를 올바르게 재착용하는 경우 별도의 조작없이 LED(131)가 다시 ON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영역별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1)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해당하는 제1영역, 좌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2영역, 우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3영역, 좌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4영역, 및 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5영역의 5개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BIA센서(132)로부터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임피던스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는 영역별 및 피부타입별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별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의 LED(131)에 대한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을 결정하여 LED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부재(1)의 FPCB기판(13)의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 각각에 LED(131) 및 BIA센서(132)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131) 및 BIA센서(132)는 제어모듈(2)과 유무선 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은 LED마스크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CU(21)의 제어부(211)에 의해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 등에 대한 최적제어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1내지5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BIA센서(132)는 임피던스데이터를 측정하여 MCU(21)의 제어부(211)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11)는 상기 BIA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 및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CU(21)의 데이터베이스에는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별 임피던스데이터 및 피부타입별 최적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11)는 상기 BIA센서(132)로부터 수신한 임피던스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 및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부타입은 유수분량에 따라 건성, 표준형, 지성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최적제어정보는 LED(131)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211)는 5개 영역 각각에 대하여 건성, 표준형, 지성으로 피부타입을 결정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한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에 대한 정보인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11)는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5개 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5개 영역에 위치하는 LED(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11)는 상기 5개 영역에 대해 어떤 파장의 LED(131)를 어느 정도의 광량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조사할지를 결정하여 LED(131)를 ON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11)가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5개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을 결정함에 있어, 연령대 및 피부질환 유무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연령대 및 피부질환 유무에 따라 LED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 등을 상이하게 하여 LED광을 조사할 필요가 있고, 이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11)는 통신부(212)를 통해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연령대 및 피부질환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고려하여 상기 5개 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데 반영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영역별 최적제어정보를 도시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1)는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4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뺨 영역에 해당하는 제6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5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뺨 영역에 해당하는 제7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부재(1)의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5개 영역에는 LED(131) 및 BIA센서(132)가 실장되어,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 및 최적제어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LED(131)는 마스크부재(1)의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제6영역 및 제7영역에도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6영역 및 제7영역에는 BIA센서(132)가 실장되지 않으므로 해당 영역에 대한 임피던스데이터를 측정할 수 없어, 해당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 및 최적제어정보가 도출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좌측 뺨 영역에 해당하는 제6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는 제2영역 및 상기 제4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하고, 우측 뺨 영역에 해당하는 제7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는 제3영역 및 상기 제5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도출할 수 있다. 즉, BIA센서(132)가 실장되지 않는 제6영역 및 제7영역에 위치하는 LED(131)는 해당 영역 근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LED(13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1)는 제2영역 및 제4영역에 위치하는 BIA센서(132)로부터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영역 및 제4영역 각각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211)는 상기 제2영역 및 제4영역 각각에 대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제6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여 제6영역에 위치하는 LED(1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영역 및 제4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실수 형태의 데이터로 도출하고 해당 데이터를 평균함으로써 제6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동일하게,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1)는 제3영역 및 제5영역에 위치하는 BIA센서(132)로부터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영역 및 제5영역 각각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함으로써, 제7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131)에 비해 크기가 크고 피부에 직접 부착될 필요가 있어, 착용감을 저해할 가능성이 큰 BIA센서(132)를 특정 핵심영역(제1내지5영역)에만 실장할 수 있다. 즉, LED(131)를 조사하는 모든 영역(제1내지7영역)에 BIA센서(132)를 구비하지 않고, 특정 핵심영역(제1내지5영역)에만 BIA센서(132)를 실장함으로써 비용효율적으로 LED마스크를 제작하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부재의 이마, 좌우측 눈가, 좌우측 입가, 및 좌우측 뺨에 해당하는 영역에 LED가 실장되어 LED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부재의 이마, 좌우측 눈가, 및 좌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영역에 BIA센서가 실장되어 해당 영역에 대한 피부타입을 도출하여 해당 영역의 LED의 파장, 광량, 조사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모듈은 후크식 체결구조로 탈부착가능하여 사용자는 제어모듈만을 탈착하여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는 탄성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자성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재를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자성체 및 클립자성체의 접합여부를 감지하여, LED마스크가 안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마스크부재 11: 내피
12: 외피 13: FPCB기판
131: LED 132: BIA센서
14.1: 제1모듈체결부 14.2: 제2모듈체결부
140.1: 제1마스크부재체결홈 140.2: 제2마스크부재체결홈
15.1: 제1BIA센서홈 15.2: 제2BIA센서홈
15.3: 제3BIA센서홈 15.4: 제4BIA센서홈
15.5: 제5BIA센서홈
2: 제어모듈 21: MCU
211: 제어부 212: 통신부
213: 마스크이탈판단부 22: 모듈체결홈
3: 밴드 31: 탄성부재
32: 제1자성체 33: 클립자성체
33.1: 제1클립자성체 33.2: 제2클립자성체

Claims (6)

  1. 안면 형태를 가지는 유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 안면에 부착되어 특정 국소부위에 LED(Light Emitting Diode)광을 조사하는 마스크부재;
    상기 마스크부재의 좌우 관자놀이 어느 한측에 탈착가능한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부재에 실장되는 LED의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마스크부재에 구비되는 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우양측 관자놀이 및 후두부를 조여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마스크부재를 밀착시키는 밴드;를 포함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부재는,
    상기 마스크부재의 내측면으로서 사용자 안면에 상응하는 크기의 타원형태를 가지는 내피; 상기 마스크부재의 외측면으로서 상기 내피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를 가지는 외피; 및 상기 내피 및 상기 외피 사이에 접합되어 상기 사용자 안면의 특정 국소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LED 및 BIA(Bio Impedance Analysis) 센서가 실장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기판; 및 상기 마스크부재의 좌우 관자놀이측에 상기 제어모듈이 체결될 수 있는 모듈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LED마스크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 상기 밴드가 결합되는 모듈체결홈; 및 제어부, 통신부를 포함하여 LED마스크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제어모듈에 형성되는 모듈체결홈 및 상기 마스크부재에 형성되는 마스크부재체결홈을 관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좌우 관자놀이 및 후두부를 조이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자성체;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 인입되는 클립자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측에서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클립자성체가 접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마스크부재를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FPCB기판은,
    상기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해당하는 제1영역, 좌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2영역, 우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3영역, 좌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4영역, 및 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5영역 각각에 LED 및 BIA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4영역 사이에서 사용자의 좌측 뺨에 해당하는 제6영역, 및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5영역 사이에서 사용자의 우측 뺨에 해당하는 제7영역 각각에 LED가 실장되고,
    상기 LED는,
    630nm 내지 850nm의 파장 및 2.5mm의 피치(Pitch)간격으로 실장되어 30mW/cm2의 광출력을 가지되,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제1내지7영역 각각에 대한 광출력 및 조사시간이 결정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이마 부위에 해당하는 제1영역, 좌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2영역, 우측 눈가에 해당하는 제3영역, 좌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4영역, 및 우측 입가에 해당하는 제5영역의 5개 영역 각각에 위치하는 BIA센서로부터 임피던스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임피던스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는 영역별 및 피부타입별 임피던스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한 피부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별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5개 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5개 영역 각각의 LED에 대한 파장, 광량, 및 조사시간을 결정하여 LED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CU는,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클립자성체의 접합 여부를 감지하는 자기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의해 긍정 혹은 부정의 형태로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생성하는, 마스크이탈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로부터 긍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를 ON하고,
    상기 LED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클립자성체가 탈착되어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로부터 부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를 OFF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로부터 긍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LED를 ON하고,
    상기 LED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성체 및 상기 클립자성체가 탈착되어 상기 마스크이탈판단부로부터 부정의 마스크이탈판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에 위치하는 LED를 OFF하고, 제4영역, 및 제5영역에 위치하는 LED의 광량을 최소로 설정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4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좌측 뺨 영역에 해당하는 제6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영역 및 상기 제5영역 각각에 대해 도출된 최적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우측 뺨 영역에 해당하는 제7영역에 대한 최적제어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KR1020220062534A 2022-05-23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KR10267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534A KR102671035B1 (ko) 2022-05-23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534A KR102671035B1 (ko) 2022-05-23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030A KR20230163030A (ko) 2023-11-30
KR102671035B1 true KR102671035B1 (ko) 2024-05-30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67B1 (ko) 2017-01-18 2017-05-29 주식회사 웰파인 안면 테라피용 마스크
KR102153517B1 (ko) 2020-02-20 2020-09-10 장호면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KR102227349B1 (ko) 2019-07-31 2021-03-12 이진경 휴대용 눈 마사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067B1 (ko) 2017-01-18 2017-05-29 주식회사 웰파인 안면 테라피용 마스크
KR102227349B1 (ko) 2019-07-31 2021-03-12 이진경 휴대용 눈 마사지기
KR102153517B1 (ko) 2020-02-20 2020-09-10 장호면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2873B2 (ja) 膨張型シール部材を備える撓み性外骨格マスク
AU2018226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US20160106950A1 (en) Forehead-wearable light stimulator having one or more light pipes
JP5654482B2 (ja) 光線療法を施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053395A1 (en) System and method of titrating a phototherapy regime using real-time eeg readings
KR20190125528A (ko) 광 치료 플랫폼 시스템
US6571799B1 (en) Protective eye shades for infants and method of eye protection
WO2020219350A1 (en) Smart relaxation mask
WO2014170880A1 (en)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US20220241535A1 (en) Liner for use with respiratory mask
KR102671035B1 (ko)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US20210128058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nsing and relieving stress
KR20230163030A (ko) 마스크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led마스크
KR20190066268A (ko) 수면 상태 개선 시스템
CN211326669U (zh) 头部按摩器
US200801471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bilization of eye during eye surgery
US8777405B2 (en) Self-adhering visual stimulator
KR20230163031A (ko) Led마스크를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피부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CN212522146U (zh) 防止打鼾结构及具有该结构的眼罩
KR102443808B1 (ko) 수면 호흡 장애 방지를 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230414890A1 (en) Flexible exoskeleton mask with inflating seal member
CN112206090A (zh) 防止打鼾方法及使用该方法的眼罩及装置
TWM654434U (zh) Ai主動式生理感知應用於自主感官經絡反應與眼動減敏與歷程更新之穿戴裝置
WO2023205089A1 (en) Liner for use with respiratory mask
TWM625779U (zh) 防止打鼾結構及使用該結構的眼罩及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