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1119A -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1119A
KR20220081119A KR1020200170632A KR20200170632A KR20220081119A KR 20220081119 A KR20220081119 A KR 20220081119A KR 1020200170632 A KR1020200170632 A KR 1020200170632A KR 20200170632 A KR20200170632 A KR 20200170632A KR 20220081119 A KR20220081119 A KR 2022008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information
electric kickboard
module
smart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883B1 (ko
Inventor
현승보
김연태
김혜령
권선철
안미나
Original Assignee
(주)이브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브이패스 filed Critical (주)이브이패스
Priority to KR102020017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883B1/ko
Priority to PCT/KR2021/095083 priority patent/WO2022124873A1/ko
Publication of KR2022008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헬맷을 통해 헬멧 본체의 머리 착용 여부와 버클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 헬맷 본체를 머리에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한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안전한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A Smart Helmet for Sharing Electric Kickboard and Electric Kickboard Sha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헬맷을 통해 헬멧 본체의 머리 착용 여부와 버클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 헬맷 본체를 머리에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한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안전한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킥보드가 취미생활 및 이동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전동킥보드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으며, 공유킥보드의 보급 및 사용 증가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사용자들이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는 횟수와 빈도가 늘어나고 있고, 또한 최근 전동킥보드에 대한 규제완화를 통해 운전면허가 없는 청소년들도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동킥보드 운행으로 인한 사고발생 등의 위험요인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나, 헬맷 등 보호장구 착용을 강제할 방법이 없어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가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150807호(2020. 08. 26. 등록)"스마트 모빌리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 헬맷을 통해 헬멧 본체의 머리 착용 여부와 버클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 헬맷 본체를 머리에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한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안전한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헬맷 본체의 후면에 통신, 제어,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을 수용하는 본체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본체부의 양측에서 헬맷 내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헬맷 본체의 머리 착용 여부의 정확한 인식과 장치인식장치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버클 자체에 버클의 체결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의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버클 체결 여부의 정확한 인식과 용이한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헬멧 본체를 머리에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한 경우에만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동킥보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코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헬맷의 착용을 확인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정보와 스마트 헬맷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에 지정된 스마트 헬맷의 사용을 보장하도록 하는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반납시에도 스마트 헬맷의 해제를 확인한 경우에만 대여 종료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헬맷의 반납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반납 후 스마트 헬맷이 전동킥보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헬맷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맷은 전동킥보드 사용자 머리에 착용되는 헬맷본체와; 상기 헬맷본체에 장착되어 헬맷본체가 머리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여 헬맷본체 착용 여부에 따라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착인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맷에 있어서, 상기 장착인식장치는 상기 헬맷본체가 머리에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착용인식부와, 상기 헬맷본체를 머리에 고정시키는 버클이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버클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맷에 있어서, 상기 장착인식장치는 상기 헬맷본체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인식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끼워져 결합하며, 본체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헬맷본체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끼움단과; 상기 끼움단에 형성되어 상기 헬맷본체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지하는 머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맷에 있어서, 상기 버클인식부는 상기 헬맷본체의 버클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버클의 체결을 감지하는 체결센싱모듈과; 상기 체결센싱모듈이 끼워지며,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모듈끼움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듈끼움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하측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버클의 연결끈이 끼워지는 끈걸림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맷에 있어서, 상기 버클인식부는 상기 끈걸림단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외측에 결합되어 얼굴과 접촉되는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끈걸림단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단과, 상기 삽입고정단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은 상기 결합단에 끼워지도록 관통형성되는 끼움공과, 전방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단과, 후방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끈을 누르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헬맷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 헬맷의 착용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모듈과, 스마트 헬맷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은 전동킥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스마트 헬맷과; 상기 스마트 헬맷과 무선통신하며, 스마트 헬맷의 착용정보를 수신하여 전동킥보드에 대한 대여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동킥보드의 대여 정보를 수신하여 대여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며,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헬맷의 착용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주변의 스마트 헬맷을 검색하여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헬맷검색부와, 상기 헬맷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스마트 헬맷의 장착여부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장착확인부와, 상기 장착확인부에 의해 스마트 헬맷의 장착이 확인된 경우 전동킥보드를 인식하기 위한 QR코드 입력화면을 생성하는 스캔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착확인부는 검색된 스마트 헬맷 각각에 대해 장착 여부에 관한 확인정보를 요청하는 장착정보요청모듈과, 머리에 착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착용정보수신모듈과, 버클이 장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버클장착수신모듈과, 각 스마트 헬맷에 대해 장착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장착정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전동킥보드 및 스마트 헬맷에 관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대여정보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정보전송부는 상기 스캔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QR코드 입력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QR코드에 따라 전동킥보드 정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킥보드정보전송모듈과, 상기 장착확인부에 의해 장착이 확인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마트 헬맷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헬맷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킥보드정보전송모듈과 헬맷정보전송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전동킥보드 및 스마트 헬맷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전동킥보드의 사용 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종료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료생성부는 사용자에 장착된 스마트 헬맷의 해제 정보를 요청하는 해제정보요청모듈과, 상기 해제정보요청모듈에 의한 요청에 따라 스마트 헬맷의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해제정보수신모듈과, 스마트 헬맷이 머리에서 해제되고 버클도 함께 해제된 경우 전동킥보드를 인식하기 위한 QR코드 입력화면을 생성하는 스캔정보생성모듈과, 스캔이 이루어진 전동킥보드정보를 전송하여 전동킥보드 사용에 대한 결제 및 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종료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헬맷은 전동킥보드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하여 도난을 방지하는 도난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난방지부는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종료된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정보수신모듈과, 종료 정보의 수신후 전동킥보드의 근접을 감지하는 킥보드감지모듈과, 일정 거리 내에 전동킥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헬맷을 통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신호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헬맷을 통해 헬멧 본체의 머리 착용 여부와 버클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여, 헬맷 본체를 머리에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한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안전한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헬맷 본체의 후면에 통신, 제어,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을 수용하는 본체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본체부의 양측에서 헬맷 내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헬맷 본체의 머리 착용 여부의 정확한 인식과 장치인식장치의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클 자체에 버클의 체결 여부를 인식하는 센서의 연결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버클 체결 여부의 정확한 인식과 용이한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헬멧 본체를 머리에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한 경우에만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전동킥보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코드 화면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헬맷의 착용을 확인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정보와 스마트 헬맷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에 지정된 스마트 헬맷의 사용을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반납시에도 스마트 헬맷의 해제를 확인한 경우에만 대여 종료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헬맷의 반납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의 반납 후 스마트 헬맷이 전동킥보드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헬맷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맷의 사시도
도 2는 본체부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착용인식부가 장착된 본체부의 사시도
도 4는 고정본체의 사시도
도 5는 착용인식부의 사시도
도 6은 버클인식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연결부재, 체결센싱모듈, 모듈끼움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8은 도 7에 고정부재, 접촉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버클인식부의 장착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맷을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의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11의 장착확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4는 도 11의 종료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난방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마트 헬맷은 전동킥보드 사용자 머리에 착용되는 헬맷본체(11)와; 상기 헬맷본체(11)에 장착되어 헬맷본체(11)가 머리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여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착인식장치(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있어서도 전동킥보드 사용자에게 스마트 헬맷(1)을 필수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스마트 헬맷(1)을 머리에 착용했는지, 버클(111)을 채워 고정시켰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헬맷(1)을 착용한 사용자만이 전동킥보드를 빌릴 수 있도록 하여 전동킥보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 헬맷(1) 착용을 감지하기 위한 장착인식장치(3)가 기존의 헬맷에도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본 스마트 헬맷(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률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헬맷본체(11)는 사용자 머리에 착용되는 구성으로, 기존 헬맷과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머리에 씌워지도록 한다. 상기 헬맷본체(11)는 버클(111)을 형성하여 턱밑에 헬맷본체(1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버클(111)은 헬맷본체(11)와 연결끈(111a)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헬맷본체(11)의 양측으로는 관통공(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112)에는 상기 장착인식장치(3)의 후술할 착용인식부(132)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이를 통해 머리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12)은 기존 헬맷에 통풍 등을 위해 형성된 구멍을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장착인식장치(3)는 사용자에 의한 헬맷본체(11)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헬맷본체(11)를 착용하는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장착인식장치(3)는 헬맷본체(11)를 머리에 쓰는 것과, 헬맷본체(11)에 형성되는 버클(111)을 체결하는 것을 동시에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헬맷본체(11)의 착용을 더욱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장착인식장치(3)는 헬맷본체(11)의 후면에 고정·장착되도록 하여 기존 형태의 헬맷에도 쉽게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기존 헬맥에 대한 추가 장착을 통해 새로운 헬맷본체(11)를 제작할 필요없이 제작 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인식장치(3)는 본체부(131), 착용인식부(132), 버클인식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31)는 상기 헬맷본체(11)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헬맷본체(11)의 후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31)는 장착인식장치(3)의 작동을 위한 통신, 제어, 전원장치들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본체(131a), 통신모듈(131b), 제어모듈(131c), 배터리모듈(13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본체(131a)는 헬맷본체(11) 후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통신모듈(131b), 제어모듈(131c), 배터리모듈(131d)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고, 더욱 정확하게는 이러한 모듈들이 형성된 PCB기판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본체(131a)에는 상기 착용인식부(132)의 후술할 장착부재(132a)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내부 공간의 개폐를 통해 내부 구성의 점검 및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본체(13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31a-1), 삽입홈(131a-2), 커버부재(131a-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31a-1)은 상기 통신모듈(131b), 제어모듈(131c), 배터리모듈(131d)이 수용되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PCB기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재(131a-3)에 의해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31a-2)은 착용인식부(132)의 장착부재(132a)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장착부재(132a)가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삽입홈(131a-2)에는 장착부재(132a)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고정본체(131a)의 양측으로 장착부재(132a)가 돌출되어 헬맷본체(11)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공(112)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131a-3)는 상기 고정본체(131a)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수용홈(131a-1)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통신모듈(131b), 제어모듈(131c), 배터리모듈(131d) 등의 점검 또는 교체 필요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통신모듈(131b)은 전동킥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3)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모듈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모듈(131b)은 스마트 헬맷(1)과 사용자단말기(3)로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 헬맷(1)의 장착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단말기(3)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31c)은 장착인식장치(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통신모듈(131b)을 통해 사용자단말기(3)와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어모듈(131c)은 사용자단말기(3)로부터 스마트 헬맷(1)에 관한 장착의 확인을 요청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 헬맷(1)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3)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모듈(131d)은 장착인식장치(3)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이상 작동이 가능한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홈(131a-1)에 장착되어 커버부재(131a-3)의 탈착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착용인식부(132)는 헬맷본체(11)가 머리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구성으로, 헬맷본체(11)의 양측에서 머리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착용인식부(132)는 상기 고정본체(131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헬맷본체(11)의 관통공(112)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머리에 대한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착용인식부(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132a), 끼움단(132b), 머리감지센서(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132a)는 상기 고정본체(131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고정본체(131a)의 삽입홈(131a-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장착부재(132a)는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가 삽입홈(131a-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본체(131a)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헬맷본체(11) 양측에 형성된 관통공(112)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장착부재(132a)는 헬맷본체(11)의 둘레에 밀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로 전선 등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머리감지센서(132c)와 본체부(131)의 제어모듈(131c), 배터리모듈(131d)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끼움단(132b)은 상기 장착부재(132a)의 양측 끝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관통공(112)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단(132b) 내에는 머리감지센서(132c)가 형성되어 헬맷본체(11)에 수용되는 머리의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머리감지센서(132c)는 헬맷본체(11) 내의 사용자 머리를 감지하여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근접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머리감지센서(132c)는 양측의 끼움단(132b)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측에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센서(132c-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센서(132c-2)로 형성되도록 하며, 발광센서(132c-1) 및 수광센서(132c-2)가 관통공(112)을 통해 빛을 발광하고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센서(132c-1)에 의해 발광된 빛이 수광센서(132c-2)에서 수광되는 경우에는 헬맷본체(11)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발광된 빛이 수광센서(132c-2)에서 수광되지 않는 경우 헬맷본체(11)가 머리에 착용된 것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클인식부(133)는 헬맷본체(11)의 버클(111)이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헬맷본체(11)가 머리에 착용되었는지와 함께 버클(111)의 체결 여부도 확인하여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헬맷본체(11)의 착용이 더욱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클인식부(133)는 버클(111)과 연결끈(111a)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여 기존 헬맷본체(11)의 버클(111)에 쉽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측 버클(111) 내에 반대측 버클(111)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버클인식부(1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3a), 체결센싱모듈(133b), 모듈끼움체(133c), 고정부재(133d), 접촉판(133e), 연결와이어(133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3a)는 버클인식부(133)를 버클(111)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버클(111)의 연결끈(111a)과 버클(111)의 체결을 인식하는 체결센싱모듈(133b)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33a)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끼움체(133c)가 삽입되는 끼움공(133a-1)과, 연결끈(111a)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하는 끈걸림단(133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공(133a-1)은 연결부재(133a)의 상측에 관통형성되는 구성으로, 체결센싱모듈(133b)이 장착되는 모듈끼움체(133c)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끈걸림단(133a-2)은 끼움공(133a-1)의 하측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연결끈(111a)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센싱모듈(133b)은 버클(111)의 체결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센싱모듈(133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버클(1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버클(111) 내로 삽입되는 반대측 버클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버클(111)의 체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센싱모듈(133b)은 모듈끼움체(133c)에 끼워져 연결부재(133a)로부터 버클(111)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모듈끼움체(133c)는 상기 체결센싱모듈(133b)이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는 일측을 통해 체결센싱모듈(133b)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듈끼움체(133c)는 체결센싱모듈(133b)의 고장, 손상 등의 발생시 쉽게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끼움체(133c)는 연결부재(133a)의 끼움공(133a-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버클(111)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체결센싱모듈(133b)에 의해 버클(111)의 체결이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33d)는 연결부재(133a)의 끈걸림단(133a-2)에 걸린 연결끈(111a)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끈걸림단(133a-2)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단(133d-1)과, 삽입고정단(133d-1)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접촉판(133e)이 결합되는 결합단(133d-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단(133d-1)은 상기 끈걸림단(133a-2)과 연결부재(133a)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끈걸림단(133a-2)에 삽입되는 연결끈(111a)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끈걸림단(133a-2) 상측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기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단(133d-2)은 접촉판(133e)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삽입고정단(133d-1)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단(133d-2)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접촉판(133e)이 그 사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단(133d-2)은 접촉판(133e)의 삽입공(133e-1)에 삽입되며, 접촉판(133e)이 결합단(133d-2) 사이 공간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판(133e)은 상기 결합단(133d-2)에 고정되며, 스마트 헬맷(1) 착용자의 얼굴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버클인식부(133)의 각 구성과 얼굴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촉판(133e)은 버클(111) 및 연결끈(111a)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버클(111) 및 연결끈(111a)이 연결부재(133a)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판(133e)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133e-1), 걸림단(133e-2), 누름부재(133e-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33e-1)은 접촉판(133e)의 일 지점에 관통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단(133d-2)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판(133e)은 삽입공(133e-1)에 결합단(133d-2)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결합단(133d-2)과 고정부재(133d) 사이의 공간으로 접촉판(133e)을 삽입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단(133e-2)은 접촉판(133e)의 버클(111)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버클(111)을 지지하도록 하여 버클(111)이 빠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재(133e-3)는 걸림단(133e-2)의 반대측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연결끈(111a)을 상측으로 누르도록 하여 연결부재(133a)로부터 연결끈(111a)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와이어(133f)는 상기 체결센싱모듈(133b)과 본체부(131)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체결센싱모듈(133b)과 본체부(131)의 제어모듈(131c)을 연결하는 전선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센싱모듈(133b)에 의해 감지되는 버클(111)의 체결 정보가 제어모듈(131c)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헬맷(1)을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에 관하여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은 전동킥보드(K)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스마트 헬맷(1)과; 상기 스마트 헬맷(1)과 무선통신하며, 스마트 헬맷(1)의 착용정보를 수신하여 전동킥보드(K)에 대한 대여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기(3)와; 상기 사용자단말기(3)로부터 전동킥보드(K)의 대여 정보를 수신하여 대여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며, 전동킥보드(K)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5);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헬맷(1)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전동킥보드(K)를 인식하여 관리서버(5)로 전송하며, 관리서버(5)를 통해 전동킥보드(K)에 대한 대여 계약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결제를 통해 전동킥보드(K)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K)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전동킥보드(K)의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전동킥보드(K)에 대한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고, 대여 계약 및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전동킥보드의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고, QR코드를 인식하여 관리서버(5)로 전송하도록 하는데, 전동킥보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헬맷(1)을 장착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스마트 헬맷(1)을 장착한 사용자에 대해서만 전동킥보드(K)를 인식할 수 있는 QR코드 화면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주변의 스마트 헬맷(1)을 검색하여 장착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며, 스마트 헬맷(1)의 장착이 확인된 경우에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QR코드 화면을 생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QR코드의 생성을 통해 전동킥보드(K)의 인식이 이루어지면, 인식된 전동킥보드(K)에 관한 정보와 스마트 헬맷(1) 정보를 관리서버(5)로 전송하여 서로 매칭되는 경우에만 전동킥보드(K)에 대한 대여 계약 체결 및 사용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전동킥보드(K)의 반납시 스마트 헬맷(1)의 반납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스마트 헬맷(1)이 사용자로부터 착용 해제된 것을 확인하도록 하며, 착용 해제가 확인된 경우에만 사용 종료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시간의 종료 및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헬맷검색부(31), 장착확인부(32), 스캔생성부(33), 대여정보전송부(34), 종료생성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맷검색부(31)는 사용자단말기(3)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스마트 헬맷(1)을 검색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헬맷(1)의 식별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헬맷검색부(31)는 스마트 헬맷(1)의 통신모듈(131b)과 무선 통신을 실시하여 통신가능범위에 있는 스마트 헬맷(1)의 목록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확인부(32)는 헬맷검색부(31)에 의해 검색되는 스마트 헬맷(1)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여 화면에 함께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머리에 대한 착용여부, 버클(111)의 체결 여부를 모두 확인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확인부(32)는 장착정보요청모듈(321), 착용정보수신모듈(322), 버클장착수신모듈(323), 장착정보표시모듈(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정보요청모듈(321)은 헬맷검색부(31)에 의해 검색되는 스마트 헬맷(1)에 대하 장착 여부에 대한 확인정보를 요청하는 구성으로, 상기 통신모듈(131b)을 통해 정보의 요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장착정보요청모듈(321)에 의해 장착확인정보가 요청되면 각 스마트 헬맷(1)은 장착인식장치(3)의 착용인식부(132) 및 버클인식부(133)에 의해 헬맷본체(11)의 머리에 대한 착용 여부와 버클(111)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기(3)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착용정보수신모듈(322)은 헬맷본체(11)의 머리에 대한 착용여부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착용인식부(132)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버클장착수신모듈(323)은 헬맷본체(11)의 버클(111)이 체결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버클인식부(133)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장착정보표시모듈(324)은 착용정보수신모듈(322) 및 버클장착수신모듈(323)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3)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착용정보아이콘(324a), 버클장착아이콘(324b)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색상을 달리하여 착용여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장착정보표시모듈(324)은 장착이 확인된 경우 초록색, 장착되지 않은 경우 주황색 등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캔생성부(33)는 전동킥보드(K)의 인식을 위한 QR코드 입력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검색된 스마트 헬맷(1)이 머리에 착용되고 버클이 체결된 경우에만 QR코드 입력화면을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스캔생성부(33)는 상기 헬맷검색부(31)에 의해 검색된 스마트 헬맷(1)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QR코드 입력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정보표시모듈(324)에 의해 머리에 대한 착용과 버클의 체결이 모두 확인된 스마트 헬맷(1)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QR코드 입려화면을 출력하여 전동킥보드(K)에 부착된 QR코드의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대여정보전송부(34)는 전동킥보드의 대여를 위한 정보를 관리서버(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K) 정보와 스마트 헬맷(1)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서버(5)는 전동킥보드(K) 정보와 스마트 헬맷(1)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매칭되는 정보를 가질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에 대한 대여를 승인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전동킥보드(K)와 스마트 헬맷(1)은 하나씩 매칭되어 전동킥보드(K) 하나에 스마트 헬맷(1) 하나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서버(5)는 매칭되는 전동킥보드(K) 및 스마트 헬맷(1) 정보를 미리 저장하도록 하고,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대여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킥보드(K) 및 스마트 헬맷(1)의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대여정보전송부(34)는 전동킥보드 정보를 전송하는 킥보드정보전송모듈(341)과, 스마트 헬맷(1) 정보를 전송하는 헬맷정보전송모듈(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킥보드정보전송모듈(341)은 전동킥보드(K)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캔생성부(33)에 의해 생성된 QR코드 입력화면을 통해 인식된 전동킥보드의 QR코드 정보를 관리서버(5)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헬맷정보전송모듈(342)은 스마트 헬맷(1)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헬맷검색부(31)에 의해 검색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마트 헬맷(1)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헬맷정보전송모듈(342)은 상기 스캔생성부(33)에 의해 QR코드 입력화면을 생성시킨 스마트 헬맷(1) 정보, 즉 헬맷검색부(31)에 의해 검색되고 머리에 대한 착용 및 버클 체결이 확인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마트 헬맷(1) 정보를 관리서버(5)로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관리서버(5)는 전동킥보드(K)와 스마트 헬맷(1) 정보가 일치하고, 스마트 헬맷(1)의 착용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전동킥보드(K)의 대여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마트 헬맷(1)의 착용 보장과 전동킥보드(K) 및 스마트 헬맷(1)의 효율적인 관리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료생성부(35)는 전동킥보드(K)의 대여 종료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K)의 대여 종료시에도 전동킥보드(K)에 부착된 QR코드의 인식을 통해 종료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종료생성부(35)는 대여시와는 반대로 스마트 헬맷(1)을 완전히 벗은 경우에만 QR코드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 헬맷(1)이 분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종료생성부(35)는 해제정보요청모듈(351), 해제정보수신모듈(352), 스캔정보생성모듈(353), 종료정보전송모듈(3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정보요청모듈(351)은 사용자단말기(3)를 통한 종료정보의 선택시 헬맷본체(11)의 착용 해제 확인을 요청하는 정보를 스마트 헬맷(1)으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스마트 헬맷(1)에서는 착용인식부(132) 및 버클인식부(133)에 의해 착용 해제의 확인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해제정보수신모듈(352)은 스마트 헬맷(1)으로부터 헬맷본체(11)의 착용 해제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착용인식부(132) 및 버클인식부(133)에 의해 확인되는 정보를 각각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스캔정보생성모듈(353)은 헬맷본체(11)의 착용해제가 확인되는 경우 전동킥보드를 인식할 수 있는 QR코드 입력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캔생성부(33)와 동일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며, 머리에 대한 착용 및 버클의 체결이 모두 해제된 경우에만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료정보전송모듈(354)은 QR코드를 통한 전동킥보드의 인식과 함께 종료정보를 관리서버(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전동킥보드의 사용종료와 함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도, 대여시와 같이 전동킥보드(K)와 스마트 헬맷(1)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사용종료 및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관리서버(5)는 전동킥보드(K)에 대한 공유시스템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3) 및 전동킥보드(K)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5)는 사용자단말기(3)로부터 전동킥보드(K) 및 스마트 헬맷(1)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대여 계약, 사용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 승인이 이루어진 경우 전동킥보드(K)로 승인 정보를 전송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전동킥보드(K)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서버(5)는 전동킥보드의 사용 종료시에도 전동킥보드(K) 및 스마트 헬맷(1)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 종료 및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헬맷(1)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스마트 헬맷(1)에 도난방지부(134)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3)는 상기 종료생성부(35)를 통해 스마트 헬맷(1)이 사용자로부터 착용 해제되는 것을 확인하여 전동킥보드의 사용 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때 스마트 헬맷(1)의 착용 해제후 도난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헬맷(1)은 도난방지부(134)를 추가로 포함하여 착용 해제후에도 전동킥보드(K)에 근접된 위치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 헬맷(1)이 전동킥보드(K)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난방지부(134)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정보수신모듈(134a), 킥보드감지모듈(134b), 경고신호발생모듈(13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료정보수신모듈(134a)은 전동킥보드(K)의 사용이 종료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종료생성부(35)에 의해 종료정보가 생성되어 관리서버(5)에 의해 승인되는 경우 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킥보드감지모듈(134b)은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종료되는 경우 전동킥보드(K)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 헬맷(1)에 형성되는 통신모듈(131b)을 통해 전동킥보드(K)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킥보드감지모듈(134b)은 저장된 전동킥보드(K)의 식별정보를 감지된 전동킥보드(K)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일치되지 않거나 전동킥보드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도난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신호발생모듈(134c)은 킥보드감지모듈(134b)에 의해 도난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마트 헬맷(1)을 통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경고 음성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고신호발생모듈(134c)은 전동킥보드의 사용 종료 후 스마트 헬맷(1)을 전동킥보드(K) 근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경고하여 도난의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 헬맷
11: 헬맷본체 111: 버클 111a: 연결끈 112: 관통공
13: 장착인식장치 131: 본체부 131a: 고정본체
131a-1: 수용홈 131a-2: 삽입홈 131a-3: 커버부재
131b: 통신모듈 131c: 제어모듈 131d: 배터리모듈
132: 착용인식부 132a: 장착부재 132b: 끼움단
132c: 머리감지센서 132c-1: 발광센서 132c-2: 수광센서
133: 버클인식부 133a: 연결부재 133a-1: 끼움공
133a-2: 끈걸림단 133b: 체결센싱모듈 133c: 모듈끼움체
133d: 고정부재 133d-1: 삽입고정단 133d-2: 결합단
133e: 접촉판 133e-1: 삽입공 133e-2: 걸림단
133e-3: 누름부재 133f: 연결와이어 134: 도난방지부
134a: 종료정보수신모듈 134b: 킥보드감지모듈
134c: 경고신호발생모듈
3: 사용자단말기
31: 헬맷검색부 32: 장착확인부 321: 장착정보요청모듈
322: 착용정보수신모듈 323: 버클장착수신모듈
324: 장착정보표시모듈 324a: 착용정보아이콘 324b: 버클장착아이콘
33: 스캔생성부 34: 대여정보전송부 341: 킥보드정보전송모듈
342: 헬맷정보전송모듈 35: 종료생성부 351: 해제정보요청모듈
352: 해제정보수신모듈 353: 스캔정보생성모듈
354: 종료정보전송모듈
5: 관리서버

Claims (13)

  1. 전동킥보드 사용자 머리에 착용되는 헬맷본체와;
    상기 헬맷본체에 장착되어 헬맷본체가 머리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여 헬맷본체 착용 여부에 따라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착인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인식장치는
    상기 헬맷본체가 머리에 착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착용인식부와, 상기 헬맷본체를 머리에 고정시키는 버클이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버클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맷.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인식장치는
    상기 헬맷본체의 후면에 고정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인식부는,
    상기 본체부 내측에 끼워져 결합하며, 본체부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헬맷본체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삽입되는 끼움단과; 상기 끼움단에 형성되어 상기 헬맷본체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지하는 머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맷.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인식부는
    상기 헬맷본체의 버클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버클의 체결을 감지하는 체결센싱모듈과; 상기 체결센싱모듈이 끼워지며,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모듈끼움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듈끼움체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의 하측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버클의 연결끈이 끼워지는 끈걸림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맷.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인식부는
    상기 끈걸림단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끈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외측에 결합되어 얼굴과 접촉되는 접촉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끈걸림단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고정단과, 상기 삽입고정단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은,
    상기 결합단에 끼워지도록 관통형성되는 끼움공과, 전방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단과, 후방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결끈을 누르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맷.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스마트 헬맷의 착용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모듈과, 스마트 헬맷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헬맷.
  7. 전동킥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스마트 헬맷과;
    상기 스마트 헬맷과 무선통신하며, 스마트 헬맷의 착용정보를 수신하여 전동킥보드에 대한 대여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동킥보드의 대여 정보를 수신하여 대여 계약이 체결되도록 하며,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헬맷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스마트 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헬맷의 착용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대여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주변의 스마트 헬맷을 검색하여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헬맷검색부와, 상기 헬맷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스마트 헬맷의 장착여부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장착확인부와, 상기 장착확인부에 의해 스마트 헬맷의 장착이 확인된 경우 전동킥보드를 인식하기 위한 QR코드 입력화면을 생성하는 스캔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확인부는
    검색된 스마트 헬맷 각각에 대해 장착 여부에 관한 확인정보를 요청하는 장착정보요청모듈과, 머리에 착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착용정보수신모듈과, 버클이 장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버클장착수신모듈과, 각 스마트 헬맷에 대해 장착여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장착정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전동킥보드 및 스마트 헬맷에 관한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대여정보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정보전송부는,
    상기 스캔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QR코드 입력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QR코드에 따라 전동킥보드 정보를 인식하여 전송하는 킥보드정보전송모듈과, 상기 장착확인부에 의해 장착이 확인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마트 헬맷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헬맷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킥보드정보전송모듈과 헬맷정보전송모듈에 의해 전송되는 전동킥보드 및 스마트 헬맷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경우에만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전동킥보드의 사용 종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종료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료생성부는,
    사용자에 장착된 스마트 헬맷의 해제 정보를 요청하는 해제정보요청모듈과, 상기 해제정보요청모듈에 의한 요청에 따라 스마트 헬맷의 해제 정보를 수신하는 해제정보수신모듈과, 스마트 헬맷이 머리에서 해제되고 버클도 함께 해제된 경우 전동킥보드를 인식하기 위한 QR코드 입력화면을 생성하는 스캔정보생성모듈과, 스캔이 이루어진 전동킥보드정보를 전송하여 전동킥보드 사용에 대한 결제 및 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종료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헬맷은
    전동킥보드로부터의 이탈을 감지하여 도난을 방지하는 도난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난방지부는,
    전동킥보드의 사용이 종료된 정보를 수신하는 종료정보수신모듈과, 종료 정보의 수신후 전동킥보드의 근접을 감지하는 킥보드감지모듈과, 일정 거리 내에 전동킥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헬맷을 통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신호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KR1020200170632A 2020-12-08 2020-12-08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KR10245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632A KR102452883B1 (ko) 2020-12-08 2020-12-08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PCT/KR2021/095083 WO2022124873A1 (ko) 2020-12-08 2021-09-13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632A KR102452883B1 (ko) 2020-12-08 2020-12-08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119A true KR20220081119A (ko) 2022-06-15
KR102452883B1 KR102452883B1 (ko) 2022-10-14

Family

ID=8197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632A KR102452883B1 (ko) 2020-12-08 2020-12-08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2883B1 (ko)
WO (1) WO202212487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16A1 (ko) * 2015-05-14 2016-11-17 주식회사 한성세이프티 스마트 안전모
KR20190022096A (ko) * 2017-08-25 2019-03-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토바이의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KR101980155B1 (ko) * 2018-10-02 2019-05-20 김병준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KR102132411B1 (ko) *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53517B1 (ko) * 2020-02-20 2020-09-10 장호면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131B1 (ko) * 2016-02-11 2017-11-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멧이 착용된 상태에서만 오토바이의 시동이 걸리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21711B2 (ja) * 2016-03-31 2018-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運転者姿勢検出装置
KR20200082908A (ko) * 2018-12-31 2020-07-08 성대한 전동 킥보드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116A1 (ko) * 2015-05-14 2016-11-17 주식회사 한성세이프티 스마트 안전모
KR20190022096A (ko) * 2017-08-25 2019-03-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토바이의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KR101980155B1 (ko) * 2018-10-02 2019-05-20 김병준 전동 킥보드 대여 쉐어 시스템
KR102153517B1 (ko) * 2020-02-20 2020-09-10 장호면 경보기가 장착된 턱끈을 갖는 안전모
KR102132411B1 (ko) *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883B1 (ko) 2022-10-14
WO2022124873A1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5621B2 (en) Device for tracking the movement of individuals or objects
US10223887B2 (en) Anti-theft apparatus for smart device
KR102100466B1 (ko) 스마트 안전모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US20210012630A1 (en) Theft sensing system for fusion splicer device and fusion splicer device
EP3290317A1 (en) Wireless connection system between a smartphone and an e-bike
KR2017005881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난 방지 시스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20115162A (ko)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전거 도난 이원 경보시스템
US20160300401A1 (en) Onboard unit for a vehicular identification system
KR102452883B1 (ko) 전동킥보드 공유를 위한 스마트 헬맷 및 이를 이용한 전동킥보드 공유시스템
WO2006096562A3 (en) Polarization-based sensor for secure fiber optic network and other security applications
US20150015368A1 (en) Passive ignition interlock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995631B1 (ko)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US10825325B2 (en) Gun proximity electronic tether and alert
KR20210075237A (ko) 스마트 안전조끼
RU2016151989A (ru) Устройство экстренного оповещения для людей, оказавшихся в опасной для жизни ситуации
CN112675449A (zh) 安全钩环及坠落防护系统
CN111013042B (zh) 施工用安全带、系统及通信方法
KR101963728B1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원천적 유류 부정주입 및 유용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250593A1 (en) Safety system for a vehicle with optical signal transmission
CN211751927U (zh) 一种能够监测使用状态的安全带及安全带监测系统
KR102317800B1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CN114618094A (zh) 用于保障高空作业安全的系统和方法
KR102481963B1 (ko) 버클 체결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