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445B1 -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445B1
KR102153445B1 KR1020200047930A KR20200047930A KR102153445B1 KR 102153445 B1 KR102153445 B1 KR 102153445B1 KR 1020200047930 A KR1020200047930 A KR 1020200047930A KR 20200047930 A KR20200047930 A KR 20200047930A KR 102153445 B1 KR102153445 B1 KR 10215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eference
gear
thread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은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20004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PC 단말기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 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며, 선호도 조사 수행에 따라 생성된 선호도 리스트를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에게 제공하는 선호도 수집 서버; 및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에서 생성되는 선호도 리스트를 기간, 지역, 성별 또는 나이 별로 누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빅데이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CULTURE CONTENT PREFERENCE COLLECTION SYSTEM THROUGH BIG DATA COLLECTION}
본 발명은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개인용 디지털 정보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일반인들이 간단한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직접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소위 유씨씨 또는 유지씨(UGC: User Generated Contents)로 불리는 이 같은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인터넷이라고 하는 개방된 네트워크상을 통한 빠른 공개와 피드백에 의해 더욱 많이 생산되고 있다.
유씨씨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에 익숙한 시청자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자신들의 생각을 전달하고 공유하는데도 익숙해 있다. 나아가 이러한 시청자들의 의견이나 정보의 공유는 더 많은 콘텐츠의 제작을 유발하는 것을 넘어, 산업적 또는 상업적으로 예측되지 않은 많은 영향력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시청자 정보 교류의 공간은 인터넷, 특히 시청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연결된 인터넷 공간에 한정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은 인터넷의 개방성에 불구하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시청자 인터페이스의 제약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시청자 공간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4748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8155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개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환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압력을 탄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완충시키고, 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단말기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단말기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 지지대를 이용하여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PC 단말기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 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며, 선호도 조사 수행에 따라 생성된 선호도 리스트를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에게 제공하는 선호도 수집 서버; 및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에서 생성되는 선호도 리스트를 기간, 지역, 성별 또는 나이 별로 누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빅데이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는,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 제공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는 선호도 조사부; 상기 선호도 조사부에서 수행된 선호도 조사를 기초로 선호도 리스트를 생성하는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전달받아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선호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선호도 조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로부터 선호도 리스트를 전달받아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 또는 상기 빅데이터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페널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홈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바디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홈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조홈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홈에 안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지지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보조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나사산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제동부는,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산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렉 기어; 및 상기 수평 렉 기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본체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제동부는, 상기 지지 바디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는 수직 바아; 상기 수직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바아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탱크; 및 상기 유체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으로 전달하는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문화 컨텐츠의 생산을 장려하여 문화 컨텐츠 제작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고,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생성된 양질의 문화 컨텐츠를 이를 공급하는 업체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어 문화 컨텐츠 생산과 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압력을 탄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완충시키고, 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단말기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단말기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 지지대를 이용하여 완충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반복적인 디스플레이 페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호도 수집 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키오스크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3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1)은, 선호도 수집 단말기(10), 선호도 수집 서버(20) 및 빅데이터부(30)를 포함한다.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는, 다수 개의 모바일 단말기(S1-1 내지 S-N), 키오스크 단말기(S2) 및 PC 단말기(S3)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 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선호도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선호도 수집 서버(20)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N)라 함은, 선호도 수집 단말기(10), 선호도 수집 서버(20) 및 빅데이터부(3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은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선호도 수집 서버(2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며, 선호도 조사 수행에 따라 생성된 선호도 리스트를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에게 제공한다.
빅데이터부(30)는, 선호도 수집 서버(20)에서 생성되는 선호도 리스트를 기간, 지역, 성별 또는 나이 별로 누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1)은,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개인용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작되는 문화 컨텐츠들의 선호도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뒤 이를 필요로 하는 전시기획, 홍보, 디자인 등의 문화 컨텐츠 업체 등에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문화 컨텐츠의 생산을 장려하여 문화 컨텐츠 제작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고,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생성된 양질의 문화 컨텐츠를 이를 공급하는 업체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어 문화 컨텐츠 생산과 소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선호도 수집 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호도 수집 서버(20)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21), 선호도 조사부(22),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23) 및 인터페이스부(24)를 포함한다.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21)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 제공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한다.
선호도 조사부(22)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한다.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23)는, 선호도 조사부(22)에서 수행된 선호도 조사를 기초로 선호도 리스트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부(24)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21)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전달받아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선호도 수집 단말기(10)로부터 선호도 정보를 수신받아 선호도 조사부(22)로 전달하고,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23)로부터 선호도 리스트를 전달받아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 또는 빅데이터부(3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1)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키오스크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키오스크 단말기(S2)는, 바디(100), 디스플레이(200), 베이스 플레이트(300), 탄성 지지대(500) 및 완충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 전단 양측에 설치되는 체결 돌기(110)에 디스플레이(200)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홈(23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디스플레이(200)는, 바디(100)의 상측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페널(210)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통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다.
하며, 후단에 설치되는 역삼각형 형태의 지지대(221)의 하측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대(500)에 의하여 지지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홈(600)에 안착되어 완충 지지대(40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측에 바디(100)가 설치된다.
탄성 지지대(500)는, 디스플레이(200)의 후단(220)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완충 지지대(400)는, 베이스홈(600)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조홈(700)에 각각 설치되며, 베이스홈(600)에 안착된 베이스 플레이트(3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키오스크 단말기(S2)는,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장소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압력을 탄성 지지대(500)를 이용하여 완충시키고, 단말기가 설치되는 장소에서 단말기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단말기로부터 발생되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 지지대(400)를 이용하여 완충시킴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반복적인 디스플레이 페널(210)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완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완충 지지대(400)는, 받침대(410), 승하강 슬라이더(420), 지지 바디(430), 지지 기어(440), 기어 지지 스프링(450), 수평 제동부(460) 및 수직 제동부(470)를 포함한다.
받침대(410)는,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에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410)는, 원판 또는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11), 지지 플레이트(411)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412) 및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홈(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 바아(412)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바아(413)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슬라이더(4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받침대(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S1)을 형성하여 지지 바디(430)의 안착홈(431)에 안착되며,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안착홈(431)에서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나사산(S1)은, 상측 및 하측을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롤러(R)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바디(430)는, 보조홈(7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431)이 상부에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S2)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 기어(440)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가 안착홈(431)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즉,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하기까지의 깊이에 대응하는 거리) 하강할 경우 승하강 슬라이더(420)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된다.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안착홈(431)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기어(44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지지 스프링(450)은, 지지 기어(440)가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회전 안착대(452) 및 회전 안착대(452)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전 안착대(452)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451)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제동부(460)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지 기어(440)의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지지 기어(440)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평 제동부(460)는, 수평 렉 기어(461) 및 수평 스프링(46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렉 기어(461)는, 안착홈(431)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제3 기어산(S3)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평 스프링(462)은, 수평 렉 기어(4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렉 기어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한다.
수직 제동부(470)는, 지지 바디(430)에 설치되며, 제2 나사산(S2)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제1 나사산(S1)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제2 나사산(S2)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제동부(470)는, 수직 바아(471), 유체 탱크(472) 및 공급 라인(473)을 포함한다.
수직 바아(471)는, 지지 바디(430)의 상측으로 상부가 노출되도록 직립되어 설치되며, 받침대(410)가 하강함에 따라 하측으로 눌려 하강하여 유체 탱크(472)를 압축시켜 준다.
유체 탱크(472)는, 수직 바아(471)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직 바아(471)가 하강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둔 유체를 공급 라인(473)를 통해 제2 나사산(S2)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공급 라인(473)은, 유체 탱크(472)로부터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개별적인 공급 파이프들로 이루어지며, 유체 탱크(472)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각각의 기어 블록(480)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대(400)는, 바디(100)가 안착된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각 하측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여 사용자들의 터치 입력 또는 기타 외압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킴으로써, 키오스크 단말기(S2)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지지 기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 기어(440)는, 플런저(441), 하부 나사산(442) 및 기어 본체(443)를 포함한다.
플런저(44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홈(4431)에사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 나사산(442)은,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런저(44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 나사산(443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기어 본체(443)는, 수평 제동부(46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S3)을 형성하며, 기어 지지 스프링(450)에 의하여 지지되며, 플런저(441)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플런저(441)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4431)이 형성되며, 하부 나사산(442)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4432)이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어 본체(443)는, 플런저(441)가 회전홈(4431)의 바닥면까지 하강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즉, 플런저(441)는 처음 안착시에는 회전홈(4431)의 상측에 일부만이 삽입되어 안착되어 플런저(441)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기어 본체(443)는 회전하지 못하며, 플런저(441)이 회전하면서 회전홈(4431)의 바닥면에 안착되어서야 회전력에 의해 기어 본체(443)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6의 제2 나사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480a, 48b)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된다.
도 8의 경우에는 두 개의 기어 블록(480a, 48b)만을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나사산(S2)은, 안착홈(431)의 내주면을 따라서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설치됨에 따라 제1 나사산(S1)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기어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어 블록(480)은, 나사산 하부(481), 나사산 상부(482), 팽창 파우치(483) 및 후단 지지대(484)를 포함한다.
나사산 하부(481)는,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한다.
나사산 상부(482)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기어 블록(480)에 의한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팽창 파우치(483)가 팽창함에 따라 승강되어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팽창 파우치(483)는, 나사산 하부(481)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4811)에 안착되며, 수직 제동부(470)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나사산 상부(482)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후단 지지대(484)는, 안착홈(431)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나사산 상부(482)의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어 블록(480)은,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전달되어 수직 제동부(470)가 압축됨에 따라 나사산 상부(482)를 승강시켜 제1 나사산(S1)과 밀착되어 승하강 슬라이더(420)의 회전을 제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300)가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키오스크 단말기(S2)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함은 물론, 단말기가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500)는, 상부 지지대(510), 하부 지지대(520), 제1 중간 지지대(530), 제2 중간 지지대(540), "V" 형 지지대(550), 제1 수평 지지대(560), 제2 수평 지지대(570) 및 간격 지지 탄성체(58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510)는, 디스플레이(200)의 후단(22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에 의하여 지지되어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로 전달한다.
하부 지지대(520)는, 바디(1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 및 제2 중간 지지대(540)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중간 지지대(53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532)으로 이루어진다.
제2 중간 지지대(540)는, 상부가 상부 지지대(510)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상부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542)으로 이루어진다.
"V" 형 지지대(550)는,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부 지지대(510)가 하강하여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즉, 상부 지지대(510)가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하강하는 경우 제1 중간 지지대(530)와 제2 중간 지지대(54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해당 간격을 지지하고 있는 "V" 형 지지대(550)가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1 수평 지지대(560)는, 제1 경사 프레임(531)의 하부와 제2 경사 프레임(541)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대(570)는, 제1 직립 프레임(532)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V" 형 지지대(55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 지지 탄성체(580)는, 제1 수평 지지대(56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일측 사이, 및 제1 수평 지지대(560)의 다른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57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560)와 제2 수평 지지대(57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500)는, 반복적인 디스플레이 페널(210)의 터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2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킴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키오스크 단말기(S2)의 유지에 발생되는 수리 비용 등을 감소시켜 관리자의 보수 유지에 필요로 하는 경비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V" 형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제1 지지바아(551), 제2 지지바아(552), 하부 연결 기어(553) 및 중간 탄성체(55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바아(551)는, 상부가 제1 경사 프레임(531)과 제1 직립 프레임(53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V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2 지지바아(552)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바아(552)는, 하부가 제1 지지바아(551)의 하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 또는 제2 경사 프레임(541)과 제2 직립 프레임(542)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하부 연결 기어(553)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수평 지지대(570)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52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하부 렉기어(521)를 따라 이동한다.
중간 탄성체(554)는,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지지바아(551)와 제2 지지바아(552)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V" 형 지지대(550)는, 상부 연결 기어(555) 및 추가 중간 탄성체(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연결 기어(555)는, 제2 지지바아(552)의 상부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V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수평 지지대(560)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56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부 렉기어를(561) 따라 이동한다.
추가 중간 탄성체(556)는,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a)의 제1 지지바아(551a)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바아(552)와 다른 "V" 형 지지대(550)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10: 선호도 수집 단말기
20: 선호도 수집 서버
30: 빅데이터부

Claims (9)

  1. 모바일 단말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PC 단말기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접속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선호하는 문화 컨텐츠를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선택 받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선호도 수집 단말기;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며, 선호도 조사 수행에 따라 생성된 선호도 리스트를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에게 제공하는 선호도 수집 서버; 및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에서 생성되는 선호도 리스트를 기간, 지역, 성별 또는 나이 별로 누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빅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측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페널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형성되는 베이스홈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바디가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홈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보조홈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홈에 안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제1 나사산을 형성하는 승하강 슬라이더;
    상기 보조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산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제2 나사산이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 바디;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가 상기 안착홈에서 기 설정된 깊이 이상 하강할 경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지지 기어;
    상기 지지 기어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어를 지지하는 기어 지지 스프링;
    상기 안착홈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 기어의 상기 제3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기어의 회전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저지하는 수평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나사산이 상하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상기 제1 나사산과 밀착되어 상기 제1 나사산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둔 유체를 각각의 상기 제2 나사산으로 공급하는 수직 제동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 수집 서버는,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 제공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선호도 정보를 기초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는 선호도 조사부;
    상기 선호도 조사부에서 수행된 선호도 조사를 기초로 선호도 리스트를 생성하는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리스트 생성부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전달받아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선호도 수집 단말기로부터 선호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선호도 조사부로 전달하고, 상기 선호도 리스트 생성부로부터 선호도 리스트를 전달받아 문화 컨텐츠 제공업자 또는 상기 빅데이터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부 나사산; 및
    상기 수평 제동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을 따라 평 기어 형태의 제3 기어산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상기 플런저에 대응하는 형상의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나사산이 맞물리기 위한 내부 나사산이 상기 회전홈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기어 본체;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산은,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기어 블록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선 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기어 블록은,
    상측면이 평평한 직각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나사산의 하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하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나사산의 상부를 형성하는 나사산 상부;
    상기 나사산 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수직 제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나사산 상부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팽창 파우치; 및
    상기 안착홈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나사산 상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단 지지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단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1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1 중간 지지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2 경사 프레임과, 상부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대의 상부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제2 직립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중간 지지대;
    하부가 회동 가능한 "V"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가 하강하여 상기 제1 중간 지지대와 상기 제2 중간 지지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V" 형 지지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하부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상기 제1 직립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을 수평 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V" 형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상기 제2 수평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상부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제1 지지바아;
    하부가 상기 제1 지지바아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2 직립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가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하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하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상기 제2 지지바아 사이를 지지하는 중간 탄성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 형 지지대는,
    다른 "V" 형 지지대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부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부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하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 렉기어를 따라 이동하는 상부 연결 기어; 및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아와 상기 다른 "V" 형 지지대의 제1 지지바 사이를 지지하는 추가 중간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KR1020200047930A 2020-04-21 2020-04-21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KR10215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30A KR102153445B1 (ko) 2020-04-21 2020-04-21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930A KR102153445B1 (ko) 2020-04-21 2020-04-21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445B1 true KR102153445B1 (ko) 2020-09-08

Family

ID=7247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930A KR102153445B1 (ko) 2020-04-21 2020-04-21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24B1 (ko) * 2021-08-27 2022-04-12 화려한덕후들(주) 실시간 예약 시스템
KR102418850B1 (ko) * 2022-04-28 2022-07-11 주식회사 화인비에스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KR102481917B1 (ko) * 2022-09-28 2022-12-26 양진옥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539945B1 (ko) * 2022-11-14 2023-06-02 (주)스타원엔터테인먼트 빅데이터를 이용한 유아용 영상 콘텐츠 선호도 조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748B1 (ko) 2005-01-14 2006-09-20 (주)스타라이브러리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70042320A (ko) * 2005-10-18 2007-04-23 주식회사 레인콤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활용한 인터넷상에서의 고객 맞춤형컨텐츠 판매방법
KR20110131015A (ko) * 2010-05-28 2011-12-06 전자부품연구원 선호도 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200463545Y1 (ko) * 2011-07-15 2012-11-09 주식회사 금영 노래방 시스템이 구비된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91131A (ko) * 2012-02-07 2013-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 정보와 메타 데이터를 사용한 선호도 추론 장치 및 방법
KR102081553B1 (ko) 2019-10-11 2020-02-25 서민승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748B1 (ko) 2005-01-14 2006-09-20 (주)스타라이브러리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70042320A (ko) * 2005-10-18 2007-04-23 주식회사 레인콤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활용한 인터넷상에서의 고객 맞춤형컨텐츠 판매방법
KR20110131015A (ko) * 2010-05-28 2011-12-06 전자부품연구원 선호도 정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200463545Y1 (ko) * 2011-07-15 2012-11-09 주식회사 금영 노래방 시스템이 구비된 광고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91131A (ko) * 2012-02-07 2013-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 정보와 메타 데이터를 사용한 선호도 추론 장치 및 방법
KR102081553B1 (ko) 2019-10-11 2020-02-25 서민승 문화 매체를 위한 홍보 컨텐츠의 빅데이터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224B1 (ko) * 2021-08-27 2022-04-12 화려한덕후들(주) 실시간 예약 시스템
KR102418850B1 (ko) * 2022-04-28 2022-07-11 주식회사 화인비에스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KR102481917B1 (ko) * 2022-09-28 2022-12-26 양진옥 가상현실 기반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539945B1 (ko) * 2022-11-14 2023-06-02 (주)스타원엔터테인먼트 빅데이터를 이용한 유아용 영상 콘텐츠 선호도 조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445B1 (ko)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KR102386224B1 (ko) 실시간 예약 시스템
CN104683450B (zh) 视频服务监控云系统
CN205121430U (zh) 一种高适应性电脑显示器
KR102159831B1 (ko)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CN203278894U (zh) 展示内容管理控制平台
CN201131103Y (zh) 可调整升降的显示器支撑架结构
CN111887592B (zh) 一种办公桌用笔记本电脑放置台
CN208422020U (zh) 一种模组化智慧pos收款机
CN208123342U (zh) 一种轨道减震旋转支撑架
CN210687574U (zh) 一种计算机网络支撑装置
CN210696714U (zh) 一种具有可调安装挂码的吊柜
CN215006236U (zh) 一种易拆装的会展搭建用投影仪悬挂支架
CN210018721U (zh) 一种展览架
CN211145881U (zh) 工程监理监管系统
CN210901934U (zh) 一种日语教学用多媒体宣讲装置
KR102658796B1 (ko)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CN211376132U (zh) 一种便于安装的广告设备
CN210563550U (zh) 一种用于建筑的支撑架结构
CN219047962U (zh) 一种伸缩式展览架
KR102619927B1 (ko) 케이터링 제공 시스템
CN212181789U (zh) 一种基于bim的建筑模型搭建装置
KR102644015B1 (ko) Ai 알고리즘 기반 개인 성향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CN104516183A (zh) 一种投影仪专用支架
CN213817981U (zh) 一种视频会议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