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796B1 -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796B1
KR102658796B1 KR1020230150849A KR20230150849A KR102658796B1 KR 102658796 B1 KR102658796 B1 KR 102658796B1 KR 1020230150849 A KR1020230150849 A KR 1020230150849A KR 20230150849 A KR20230150849 A KR 20230150849A KR 102658796 B1 KR102658796 B1 KR 102658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groove
block
ring
curve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보연
남윤호
남길석
윤효순
남영호
이인재
신요섭
이인영
김기홍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솔루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건물의 관리실에서 효율적인 관리 및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인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무인 건물의 시설 관리, 자재 관리, 인력 관리 및 사무 업무를 담당하며, 각 업무에 대한 전산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설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Unmanned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건물의 관리실에서 효율적인 관리 및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좁은 범위의 서비스 지역인 셀 상에서 모바일 단말기와 교환국 사이의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곳으로 각 셀 단위로 하나씩 존재한다. 각 기지국에는 많은 장비들이 구비되어 있는 반면 각 기지국에 상주하는 인력은 없으므로 보안 및 관리상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수원의 취수와 정수를 수행하는 상수도 시설의 경우도 상주하는 인력이 없는 경우가 많아 독극물 방류 등과 같은 보안상의 위협이나 시설의 유지보수 등의 관리에 있어 허점이 많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통신, 상수도 등 사회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관리 인력은 상주하지 않는 중요 무인 시설물에 대한 보안 감시 제어의 강화는 절실히 요구되는 과제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4594호 (2014.01.23.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무인 건물의 관리실에서 효율적인 관리 및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무인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무인 건물의 시설 관리, 자재 관리, 인력 관리 및 사무 업무를 담당하며, 각 업무에 대한 전산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설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인 건물의 주차 관제를 담당하는 주차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인 건물의 커뮤니티 시설의 관리 담당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인 건물의 보안 및 경비를 담당하는 보안 경비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상기 무인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해당 층을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무인 카메라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인 카메라 시스템은, 상기 무인 건물의 실내 공간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모듈; 및 상기 이동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모듈과 함께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통형 블록; 상기 원통형 블록의 저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거치 바아;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 바아를 삽입 또는 노출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승강 이동시켜 주는 승강 실린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거치부가 밀착됨에 따라 상기 원통형 블록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및 상기 원통형 블록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블록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체결되어 상기 원통형 블록이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방지 모듈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 형성되어 절개부를 형성하며, 절개부의 반대편인 타측의 내향면이 상기 원통형 블록에 고정 설치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으로 치우쳐 상기 원통형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링형 프레임을 들어 올려 상기 블록 안착홈에 밀착시켜 체결하는 제1 체결부;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타측으로 치우쳐 상기 원통형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링형 프레임을 들어 올려 상기 블록 안착홈에 밀착시켜 체결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에 설치되어 절개부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원통형 블록에 형성되는 체결부 안착홈; 상기 체결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지지 블록; 상기 체결부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 블록에 설치되는 제1 유체 챔버; 상기 제1 유체 챔버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하였던 유체를 다시 회수하는 유체 공급 탱크; 상기 제1 유체 챔버의 중단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상기 제1 유체 챔버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승 이동되고, 상기 제1 유체 챔버로 공급되었던 유체가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 다시 복귀 함에 따라 하강 이동되는 승강 벽체; 상기 승강 벽체의 상단에 직립되어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유체 챔버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승강 벽체와 함게 승강 이동되는 지지 기둥; 상기 지지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휠 플레이트; 상기 휠 플레이트의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 기둥이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휠;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벽체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 벽체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1 곡선형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블록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벽체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 벽체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2 곡선형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부는, 상기 링형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곡선형 바아; 상기 곡선형 바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의 타단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바아 안착홈; 상기 곡선형 바아에 설치되어 상기 바아 안착홈을 따라 곡선을 그리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바아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1 자성체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아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밀착되는 상기 제1 자성체를 체결하거나 분리된 상기 자성체를 잡아 당겨주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제동부는,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승강 벽체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가 공급되는 곡선형 안착홈; 상기 곡선형 안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곡선형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승강 벽체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가 상기 곡선형 안착홈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곡선형 안착홈으로부터 점차 노출되는 곡선형 프레임; 및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프레임이 상기 곡선형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향면에 밀착되는 제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형 프레임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 형성되어 절개부를 형성하며, 절개부의 반대편인 타측의 내향면이 상기 원통형 블록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 바디; 내부 공간에 유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지지 휠이 안착되는 내향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유체 챔버;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신축성 재질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바디의 외향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유체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밀착되는 팽창 파우치; 및 상단이 상기 제2 유체 챔버에 안착되고 하단이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으로 노출되며, 상기 지지 휠이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향면과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2 유체 챔버로 점차 삽입되면서 상기 제2 유체 챔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팽창 파우치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압축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무인 건물의 관리실에서 효율적인 관리 및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공동주택 관리를 조금 더 선진화하여 인력 대체를 통해 인건비의 감소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수기 관리 및 단순 엑셀 관리를 전산화하여 통합적인 내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이동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분리 방지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도 5의 제1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링형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10)은, 관리자 단말기(100) 및 시설 관리 서버(200)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100)는, 무인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시설 관리 서버(200)는, 무인 건물의 시설 관리, 자재 관리, 인력 관리 및 사무 업무를 담당하며, 각 업무에 대한 전산화 시스템을 구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10)은, 주차 관제 서버(300), 커뮤니티 관리 서버(400), 및 보안 경비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관제 서버(300)는, 무인 건물의 주차 관제를 담당한다.
커뮤니티 관리 서버(400)는, 무인 건물의 커뮤니티 시설의 관리 담당한다.
보안 경비 서버(500)는, 무인 건물의 보안 및 경비를 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10)은, 무인 건물의 관리실에서 효율적인 관리 및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공동주택 관리를 조금 더 선진화하여 인력 대체를 통해 인건비의 감소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수기 관리 및 단순 엑셀 관리를 전산화하여 통합적인 내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20)은, 관리자 단말기(100), 시설 관리 서버(200) 및 무인 카메라 시스템(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100) 및 시설 관리 서버(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무인 카메라 시스템(600)은, 무인 건물(P)의 각 층에 설치되며,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시설 관리 서버(200)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해당 층을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시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인 카메라 시스템(600)은, 슬라이딩 레일(610), 이동 모듈(620) 및 카메라 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610)은, 무인 건물(P)의 실내 공간을 따라 연장 설치된다.
이동 모듈(620)은, 슬라이딩 레일(61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카메라 모듈(630)은, 이동 모듈(620)에 설치되어 이동 모듈(620)과 함께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관리자 단말기(100) 또는 시설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20)은, 무인 카메라 시스템(600)을 통해 원격지에서 무인 건물(P)의 실내 공간의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보안 또는 방범 효과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이동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모듈(620)은, 슬라이더(621), 승강부(700) 및 거치부(622)를 포함한다.
슬라이더(621)는, 슬라이딩 레일(61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레일(6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승강부(70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부(700)는, 원통형 블록(710), 거치 바아(720), 승강 실린더(730), 블록 안착홈(740) 및 분리 방지 모듈(750)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블록(71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더(621)의 하단에 설치된다.
거치 바아(720)는, 원통형 블록(710)의 저면에 직립되어 설치된다.
승강 실린더(730)는, 거치부(622)의 상단에 설치되며, 거치 바아(720)를 삽입 또는 노출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거치부(622)를 승강 이동시켜 준다.
블록 안착홈(740)은, 슬라이더(621)와 거치부(622)가 밀착됨에 따라 원통형 블록(7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거치부(622)의 상단에 형성된다.
분리 방지 모듈(750)은, 원통형 블록(7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원통형 블록(710)이 블록 안착홈(740)에 안착되면 블록 안착홈(740)에 체결되어 원통형 블록(710)이 블록 안착홈(7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거치부(622)는, 승강부(700)의 하단에 설치되며, 카메라 모듈(630)이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 모듈(620)은, 카메라 모듈(630)의 상하 이동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장소의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과정 중에 카메라 모듈(630)의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분리 방지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 방지 모듈(750)은, 링형 프레임(751), 제1 체결부(800), 2 체결부(753) 및 간격 지지부(754)를 포함한다.
링형 프레임(751)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 형성되어 절개부를 형성하며, 절개부의 반대편인 타측의 내향면이 원통형 블록(710)에 고정 설치된다.
제1 체결부(800)는, 링형 프레임(751)의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으로 치우쳐 원통형 블록(710)에 설치되며, 링형 프레임(751)을 들어 올려 블록 안착홈(740)에 밀착시켜 체결한다.
제2 체결부(753)는, 링형 프레임(751)의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타측으로 치우쳐 원통형 블록(710)에 설치되며, 링형 프레임(751)을 들어 올려 블록 안착홈(740)에 밀착시켜 체결한다.
간격 지지부(754)는, 링형 프레임(751)의 절개부에 설치되어 절개부의 간격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분리 방지 모듈(750)은, 원통형 블록(710)이 블록 안착홈(7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 도 5의 제1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체결부(800)는, 체결부 안착홈(801), 지지 블록(802), 블록 지지 스프링(803), 제1 유체 챔버(804), 유체 공급 탱크(805), 승강 벽체(806), 지지 기둥(807), 휠 플레이트(808), 두 개의 지지 휠(809), 제1 곡선형 제동부(810) 및 제2 곡선형 제동부(811)를 포함한다.
체결부 안착홈(801)은, 원통형 블록(710)에 형성된다.
지지 블록(802)은, 체결부 안착홈(801)에 안착된다.
블록 지지 스프링(803)은, 체결부 안착홈(801)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 블록(802)을 지지한다.
제1 유체 챔버(804)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지지 블록(802)에 설치된다.
유체 공급 탱크(805)는, 제1 유체 챔버(804)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하였던 유체를 다시 회수한다.
승강 벽체(806)는, 제1 유체 챔버(804)의 중단에 배치되며, 유체 공급 탱크(805)로부터 제1 유체 챔버(804)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승 이동되고, 제1 유체 챔버(804)로 공급되었던 유체가 유체 공급 탱크(805)로 다시 복귀 함에 따라 하강 이동된다.
지지 기둥(807)은, 승강 벽체(806)의 상단에 직립되어 배치되고, 상단이 제1 유체 챔버(804)로부터 노출되어 승강 벽체(806)와 함게 승강 이동된다.
휠 플레이트(808)는, 지지 기둥(807)의 상단에 설치된다.
두 개의 지지 휠(809)은, 휠 플레이트(808)의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지지 기둥(807)이 상승 이동함에 따라 링형 프레임(751)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한다.
제1 곡선형 제동부(810)는, 지지 블록(802)의 전단에 설치되며, 승강 벽체(806)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승강 벽체(806)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공급받아 지지 블록(802)으로부터 노출되어 링형 프레임(751)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곡선형 제동부(810)는, 곡선형 안착홈(8101), 곡선형 프레임(8102) 및 제동 플레이트(8103)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안착홈(8101)은, 지지 블록(802)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승강 벽체(806)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가 공급된다.
곡선형 프레임(8102)은, 곡선형 안착홈(810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노출되도록 곡선형 안착홈(8101)에 삽입 배치되며, 승강 벽체(806)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가 곡선형 안착홈(8101)으로 공급됨에 따라 곡선형 안착홈(8101)으로부터 점차 노출된다.
제동 플레이트(8103)는, 곡선형 프레임(8102)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곡선형 프레임(8102)이 곡선형 안착홈(8101)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링형 프레임(751)의 내향면에 밀착된다.
제2 곡선형 제동부(811)는, 지지 블록(802)의 후단에 설치되며, 승강 벽체(806)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승강 벽체(806)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공급받아 지지 블록(802)으로부터 노출되어 링형 프레임(751)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한다.
여기서, 제2 곡선형 제동부(811)는, 상술한 제1 곡선형 제동부(81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곡선형 제동부(810)의 곡선형 안착홈(8101), 곡선형 프레임(8102) 및 제동 플레이트(810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체결부(800)는, 링형 프레임(751)을 블록 안착홈(740)에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줌으로써, 원통형 블록(710)이 블록 안착홈(7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간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간격 지지부(754)는, 곡선형 바아(7541), 바아 안착홈(7542), 제1 자성체(7543) 및 제2 자성체(7544)를 포함한다.
곡선형 바아(7541)는, 링형 프레임(75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링형 프레임(751)의 절개부의 일단에 설치된다.
바아 안착홈(7542)은, 곡선형 바아(75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링형 프레임(751)의 절개부의 타단으로부터 함몰 형성된다.
제1 자성체(7543)는, 곡선형 바아(7541)에 설치되어 바아 안착홈(7542)을 따라 곡선을 그리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바아 안착홈(7542)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자성체(7544)는, 제1 자성체(7543)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바아 안착홈(7542)의 내측에 설치되어 밀착되는 제1 자성체(7543)를 체결하거나 분리된 자성체를 잡아 당겨준다.
도 8은 도 5의 링형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링형 프레임(751)은, 프레임 바디(7511), 제2 유체 챔버(7512), 팽창 파우치(7513) 및 압축 로드(7514)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7511)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 형성되어 절개부를 형성하며, 절개부의 반대편인 타측의 내향면이 원통형 블록(710)에 고정 설치된다.
제2 유체 챔버(7512)는, 내부 공간에 유체를 수용하면서 지지 휠(809)이 안착되는 내향면과 대향하면서 프레임 바디(7511)의 내측에 설치된다.
팽창 파우치(7513)는, 수축 또는 팽창이 가능한 신축성 재질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프레임 바디(7511)의 외향면을 따라 설치되어 유체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블록 안착홈(740)에 밀착된다.
압축 로드(7514)는, 상단이 제2 유체 챔버(7512)에 안착되고 하단이 프레임 바디(7511)의 내향면으로 노출되며, 지지 휠(809)이 프레임 바디(7511)의 내향면과 밀착됨에 따라 제2 유체 챔버(7512)로 점차 삽입되면서 제2 유체 챔버(7512)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팽창 파우치(7513)로 공급되도록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100: 관리자 단말기
200: 시설 관리 서버
300: 주차 관제 서버
400: 커뮤니티 관리 서버
500: 보안 경비 서버
600: 무인 카메라 시스템

Claims (5)

  1. 무인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소의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무인 건물의 시설 관리, 자재 관리, 인력 관리 및 사무 업무를 담당하며, 각 업무에 대한 전산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설 관리 서버; 및
    상기 무인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시설 관리 서버에 의해 원격 제어되어 해당 층을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무인 카메라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무인 카메라 시스템은,
    상기 무인 건물의 실내 공간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모듈; 및
    상기 이동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모듈과 함께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관리자 단말기 또는 상기 시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회전 및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통형 블록;
    상기 원통형 블록의 저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거치 바아;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 바아를 삽입 또는 노출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승강 이동시켜 주는 승강 실린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거치부가 밀착됨에 따라 상기 원통형 블록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블록 안착홈; 및
    상기 원통형 블록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블록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체결되어 상기 원통형 블록이 상기 블록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방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 방지 모듈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이 절개 형성되어 절개부를 형성하며, 절개부의 반대편인 타측의 내향면이 상기 원통형 블록에 고정 설치되는 링형 프레임;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일측으로 치우쳐 상기 원통형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링형 프레임을 들어 올려 상기 블록 안착홈에 밀착시켜 체결하는 제1 체결부;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타측으로 치우쳐 상기 원통형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링형 프레임을 들어 올려 상기 블록 안착홈에 밀착시켜 체결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에 설치되어 절개부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원통형 블록에 형성되는 체결부 안착홈;
    상기 체결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지지 블록;
    상기 체결부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지지 블록에 설치되는 제1 유체 챔버;
    상기 제1 유체 챔버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하였던 유체를 다시 회수하는 유체 공급 탱크;
    상기 제1 유체 챔버의 중단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상기 제1 유체 챔버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승 이동되고, 상기 제1 유체 챔버로 공급되었던 유체가 상기 유체 공급 탱크로 다시 복귀 함에 따라 하강 이동되는 승강 벽체;
    상기 승강 벽체의 상단에 직립되어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유체 챔버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승강 벽체와 함게 승강 이동되는 지지 기둥;
    상기 지지 기둥의 상단에 설치되는 휠 플레이트;
    상기 휠 플레이트의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 기둥이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 휠;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벽체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 벽체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1 곡선형 제동부; 및
    상기 지지 블록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 벽체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 벽체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향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제2 곡선형 제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 지지부는,
    상기 링형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곡선형 바아;
    상기 곡선형 바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링형 프레임의 절개부의 타단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바아 안착홈;
    상기 곡선형 바아에 설치되어 상기 바아 안착홈을 따라 곡선을 그리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바아 안착홈으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1 자성체와 반대 극성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아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밀착되는 상기 제1 자성체를 체결하거나 분리된 상기 자성체를 잡아 당겨주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제동부는,
    상기 지지 블록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도록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승강 벽체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가 공급되는 곡선형 안착홈;
    상기 곡선형 안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곡선형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승강 벽체의 상측에 수용되어 있던 유체가 상기 곡선형 안착홈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곡선형 안착홈으로부터 점차 노출되는 곡선형 프레임; 및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프레임이 상기 곡선형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상기 링형 프레임의 내향면에 밀착되는 제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건물의 주차 관제를 담당하는 주차 관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건물의 커뮤니티 시설의 관리 담당하는 커뮤니티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건물의 보안 및 경비를 담당하는 보안 경비 서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5. 삭제
KR1020230150849A 2023-10-04 2023-11-03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KR102658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2010 2023-10-04
KR20230132010 2023-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796B1 true KR102658796B1 (ko) 2024-04-18

Family

ID=9084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849A KR102658796B1 (ko) 2023-10-04 2023-11-03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7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45A (ko) * 2002-07-26 2004-0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시설물 관리를 위한 asp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9584A (ko) * 2010-03-02 2011-09-08 안현진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무인경비서비스의 제공방법 및 무인경비시스템의 설정방법
KR101354594B1 (ko) 2013-03-13 2014-01-23 (주)파이브텍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무인 시설물 원방 원격 보안 감시 제어 시스템
KR20140103859A (ko) * 2013-02-19 2014-08-27 (주)파슨텍 앱을 이용한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
US20170278311A1 (en) * 2016-03-28 2017-09-28 Mark T. Vespia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00031246A (ko) * 2018-09-14 2020-03-24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20059169A (ko) * 2020-11-02 2022-05-10 엘엠 주식회사 클라우드 방식의 보안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45A (ko) * 2002-07-26 2004-0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빌딩 시설물 관리를 위한 asp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9584A (ko) * 2010-03-02 2011-09-08 안현진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무인경비서비스의 제공방법 및 무인경비시스템의 설정방법
KR20140103859A (ko) * 2013-02-19 2014-08-27 (주)파슨텍 앱을 이용한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
KR101354594B1 (ko) 2013-03-13 2014-01-23 (주)파이브텍 이미지 분석을 통한 무인 시설물 원방 원격 보안 감시 제어 시스템
US20170278311A1 (en) * 2016-03-28 2017-09-28 Mark T. Vespia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00031246A (ko) * 2018-09-14 2020-03-24 에스티엘 주식회사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220059169A (ko) * 2020-11-02 2022-05-10 엘엠 주식회사 클라우드 방식의 보안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1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warping images
KR102481906B1 (ko) 가상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27552B2 (en) Extending the operational lifetime of a hard-disk drive used in video data storage applications
US104621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forcing access-control policies in an arbitrary physical space
CN103152437A (zh) 分布式视频监控云存储系统
US9841923B2 (en) Storage apparatus and storage system
KR102658796B1 (ko)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무인 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CN105630572A (zh) 虚拟机监控方法及虚拟机监控系统
US20210409791A1 (en) Selective use of cameras in a distributed surveillance system
CN104408109A (zh) 报警录像录制方法及装置
CN103685408A (zh) 以存储区域网络提供读取基础镜像的服务器、主机及方法
US11294866B2 (en) Lazy 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
US20210409834A1 (en) Distributed surveillance system with abstracted functional layers
CN103177006A (zh) 一种数据存储系统及其更新存储容量的方法
KR20110104457A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원격 자가 보안 및 관제 시스템
WO2020168932A1 (zh) 一种用于管理可穿戴救援设备的方法与设备
CN104394453B (zh) 视频预录方法及装置
CN106201654A (zh) 一种虚拟机系统的拯救方法
US20070098370A1 (en) Digital video recorder
KR102684793B1 (ko) 기업 esg 정보 공개 및 공시 시스템
CN104573534A (zh) 一种在移动设备中处理隐私数据的方法和装置
CN105100725A (zh) 基于4g和有线宽带实现智能网络视频监控的系统
CN104144070A (zh) 云呼叫中心系统及其动态容灾方法、核心调度设备
US9063799B1 (en) Method for encapsulating functions fo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in a cloud environment
KR20150102286A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