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748B1 -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748B1
KR100624748B1 KR1020050003584A KR20050003584A KR100624748B1 KR 100624748 B1 KR100624748 B1 KR 100624748B1 KR 1020050003584 A KR1020050003584 A KR 1020050003584A KR 20050003584 A KR20050003584 A KR 20050003584A KR 100624748 B1 KR100624748 B1 KR 10062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information
library
mini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979A (ko
Inventor
박기택
Original Assignee
(주)스타라이브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타라이브러리 filed Critical (주)스타라이브러리
Priority to KR102005000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74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문화컨텐츠(예컨대, 도서 등)를 매개로 하여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회원들간에 해당 문화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이버상에서 도서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도서를 북팬으로 등록하는 경우, 해당 도서를 북팬에 등록한 회원들간을 링크시키고, 각 회원들의 미니도서관을 관리하는 서비스 모듈, 도서 관련정보, 회원 관련정보, 회원들의 북팬 관련정보, 미니도서관 관련정보, 가족도서관 관련정보, 및 신규등록 관련정보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과 연결되어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 회원이 상기 서비스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ONLINE COMMUNITY SERVICE SYSTEM USING CLUTURE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에 적용되는 웹페이지의 구성예시도.
본 발명은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상에서 문화컨텐츠(예컨대, 도서 등)를 매개로 하여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회원들간에 해당 문화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인터넷을 이용한 커뮤니티 형성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사이버 공간 상에 다양한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통상의 오프라인 상에서 구현되던 서비스가 점차적으로 온라인 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도서 분야에 있어서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도서는 판매를 목적으로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온라인 상에 배포하거나, 한시적 대여를 목적으로 전자책이 제작되어 배포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종래의 단순한 배포 또는 판매 방식에 충족하지 않고 보다 다양한 커뮤니티를 소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온라인 상에서는 도서 판매를 위한 도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도서를 이용하여 가족 또는 동호인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의 제공이 미진한 상태이다.
상술되어진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화컨텐츠(예컨대, 도서)를 매개로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이버상에서 회원별로 도서관을 구성하고, 회원에 의해 특정 도서가 검색되면, 상기 도서가 소장된 도서관을 구성한 회원들의 간략 정보, 상기 도서를 북팬으로 등록한 회원들의 간략정보, 및 해당 도서에 대한 코멘트를 검색자에게 제공하여, 회원들간에 도서 정보를 공유하고 도서를 근거로 회원들을 매칭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서관을 구성한 회원들이 소망하는 경우, 다른 회원과 도서관을 공동관리하여, 특정 그룹간에 도서관 정보를 공유하여 커뮤티니를 형성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은, 사이버상에서 도서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도서를 북팬으로 등록하는 경우, 해당 도서를 북팬에 등록한 회원들간을 링크시키고, 각 회원들의 미니도서관을 관리하는 서비스 모듈, 도서 관련정보, 회원 관련정보, 회원들의 북팬 관련정보, 미니도서관 관련정보, 가족도서관 관련정보, 및 신규등록 관련정보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과 연결되어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 회원이 상기 서비스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도서 검색을 제공하고, 회원들이 개설한 미니도서관에 대한 정보공유와, 블로그에 대한 정보공유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링크 정보를 관리하는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도서 검색을 제공하고, 회원이 등록한 북팬정보, 책장정보, 이웃정보, 가족정보 등을 이용하여 회원의 도서관리를 위한 개인 사이버 공간을 제공하고, 다른 회원들이 개설한 미니도서관으로의 링크를 제공하는 내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도서 검색을 제공하고, 회원에 의해 등록된 그룹에 대한 미니도서관이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링크정보를 관리하는 공동도서관 서비스 모듈을 구비한다.
또,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모듈은, 회원으로부터 도서 검색이 요청되 면, 도석 검색 페이지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해당 도서에 대한 기본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도서에 대한 회원들의 코멘트와 해당 도서를 북팬으로 등록한 회원들의 북팬코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서에 대한 기본정보는 해당 도서에 대한 이미지, 저자, 출판사, 서평 블러그 개수, 해당 도서가 등록된 책장의 개수, 북팬으로 등록한 회원 수, 북팬도서 추천 수를 포함하고, 해당 도서를 책장에 담기위한 "내 책장에 담기" 버튼과, "북팬등록"버튼, "북팬도서추천"버튼, "서평 블로그 쓰기"버튼이 구비된다.
그리고, 내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은, 내미니도서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페이지에 "북팬등록하기 박스"를 구성하여, 회원이 내미니도서관 페이지상에서 도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도서를 북팬에 등록하거나 책장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에 대해 회원등록이 성공하면, 서비스 서버가 상기 회원에 대해 "내 미니도서관"을 생성하는 제 1 과정, 상기 회원으로부터 도서 검색이 요청되면,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도서에 대한 검색결과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 2 과정, 상기 도서에 대한 검색결과를 근거로 상기 회원이 해당 도서를 "북팬등록"하거나 "내 책장 담기"를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 3 과정, 상기 회원이 "내 미니도서관"을 선택하면, 상기 회원이 "북팬등록"한 도서정보, "내 책장 담기"를 행한 도서정보, 및 상기 회원이 등록한 이웃 회원과 가족 회원에 대한 "내 미니도서관" 업데이트 정보가 포함된 내 미니도서관 페이지를 상기 회원의 단말로 출력하는 제 4 과정, 상기 내 미니도서관 페이지에서, 특정 이웃이나 가족이 선택되면, 해당자의 "내 미니도서관"으로 링크시켜 상기 회원이 특정인의 "내 미니도서관"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내 미니도서관 페이지에서, 특정 도서가 선택되면, 해당 도서를 "북팬등록"한 회원들의 정보와, 상기 회원들의 "북팬등록 코멘트"가 표시된 도서검색결과페이지를 상기 회원의 단말로 출력하는 제 6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과정은, 상기 "내 미니도서관"을 등록하면서, 가족으로 구성되는 "가족도서관"이나 소정 특성에 의해 그룹으로 관리되는 "공동도서관"을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또,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과정에서 상기 회원에게 제공되는 상기 도서에 대한 검색결과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검색되어진 상기 도서의 기본 정보와 상세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상세정보는 탭버튼을 통해 구분되어 웹페이지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과정에서 "북팬등록"과 "내 책장 담기"는 상기 도서의 기본 정보에 포함되어 표시되고, 상기 상세정보는 "북팬도서 추천글", "북팬", "상세정보", "미디어서평", "스타서평", "서평블로그", 및 "이 도서가 있는 책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해당 탭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탭버튼에 대한 상세정보가 해당 도서검색결과 페이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검색결과, 검색요청된 도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으로부터 신규등록을 위한 도서정보를 입력받는 제 2-1 과정; 및 일정 기간동안 회원들로부터 입력받은 도서정보를 취합하고, 신규등록을 요청받은 회수가 일정 기준 이상인 도서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등록하여, 해당 도서를 신규등록하는 제 2-2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서를 매개로 하여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 단말(C1, C2)이 인터넷(10)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12)에 접속하며, 서비스 서버(12)는 데이터베이스 모듈(14)과 서비스 모듈(16)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 모듈(14)은 서비스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도서 데이터베이스(141), 회원 데이터베이스(142), 북팬 데이터베이스(143), 서평 데이터베이스(144), 및 신규도서 데이터베이스(145)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도서 데이터베이스(141)는 도서에 관련된 정보(도서제목, 저자, 출판사, 도서이미지 등)를 갖는다. 그리고 회원 데이터베이(142)는 회원들에 대한 회 원가입정보와 가족도서관 등록정보 등을 갖는다. 회원가입정보는 인증을 위한 회원정보(ID, 패스워드, 주민번호, 성명, 주소)를 갖고, 개인성향을 구분하는 관심분야, 취미 등에 대한 정보를 갖으며, 가족도서관에 관련된 정보를 갖는다. 또, 회원 데이터베이스(142)에는 각 회원들이 책장에 등록한 도서식별자와, 북팬등록한 도서식별자 등이 저장된다.
북팬 데이터베이스(143)는 북팬 등록된 도서들에 대해 회원들이 작성한 북팬등록 코멘트를 저장한다.
서평 데이터베이스(144)는 도서데이터베이스(141)에 저장된 도서들에 대한 미디어서평과 스타서평에 대한 정보 등을 갖는다. 여기서, 미디서서평은 매스컴, 잡지, 신문 등의 미디어에서 발표되어진 서평이고, 스타서평은 서비스 서버(12)의 운용자 측에서 작성한 서평이다.
신규도서 데이터베이스(145)는 회원들에 의해 신규등록요청된 도서에 대한 정보(예컨대, 도서명, 저자, 출판사 등)를 갖는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모듈(16)은 서비스 서버(12)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가 상호 연동 관계를 가지면서 실행되는 모듈들로 구성되며,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2), 내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4), 및 공동도서관 서비스모듈(165)을 구비한다.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2)은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도 3 참조)를 통해 회원들에 의해 관리되는 미니도서관의 정보, 블로그 정보, 아이템정보, 유형별 미니도서관정보를 제공하고,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상에서 특정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객체의 관련 페이지를 링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4)는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도 3 참조)에서 "내 미니도서관 가기"가 선택되면, 해당 회원의 사이버상 개인 공간인 "내 미니도서관"을 제공하고,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를 통해 회원이 선택한 도서정보, 가족도서관정보, 이웃 미니도서관정보 등을 제공하고, 내 미니도서관 페이지에서 특정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객체의 관련 페이지를 링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동도서관 서비스 모듈(166)은 특정 회원이 개설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회원이 참여한 "가족도서관" 또는 "법인도서관" 등의 공동도서관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공동도서관 서비스 모듈(166)에 의해 구성되는, "가족 도서관"은 미니도서관을 가족끼리 연결하여 줌으로써 생성되는 미니도서관의 결합형태로서, 기가입된 회원에 의해 등록요청된 가족구성원의 미니도서관을 자동으로 링크시켜 결합시키는 것이다. "가족 도서관"의 구성을 통해, 가족중심 커뮤니티를 온라인에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공동도서관 서비스 모듈(166)에 의해 구성되는, "법인 도서관"은 미니도서관을 회사구성원끼리 연결해 줌으로서 생성되는 미니도서관의 결합형태로서, 기가입된 회원에 의해 등록요청된 회사구성원의 미니도서관을 자동으로 링크시켜 결합시키는 것이다. "법인 도서관"의 구성을 통해, 회사(직장)중심의 커뮤니티를 온라인에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웹페이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에 적용되는 미니도서관 생성절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터넷(10)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C1)이 회원가입을 요청하면(S2), 서비스서버(12)는 회원등록페이지를 해당 사용자단말(C1)로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회원가입정보와 도서관유형정보를 입력받는다(S4).
S4에서는, 계정정보에 해당하는 ID, 비밀번호/비밀번호 확인, 닉네임 등을 입력받고, 기본정보에 해당하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이메일, 관심분야 등을 입력받고, 도서관유형정보를 입력받고, 추가정보에 해당하는 직업, 메일수신여부, SMS 알림수신여부 등을 입력받는다. 도서관유형은, 개인도서관, 법인/법인소속개인도서관, 해외거주자/국내거주외국인도서관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개인도서관은 가족도서관, 일반도서관, 선생님도서관, 어린이도서관(14세 미만), 학생도서관, 및 학부모도서관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개인도서관의 경우에는, 가족도서관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회원에 의해 어린이도서관(14세 미만) 또는 중고등학생도서관이 생성되면 해당 미니도서관에서 책상이 만들어져 학습관리가 가능해 지고, 학부모도서관이 생성된 후 가족 도서관이 생성되어 자녀들이 등록되면 해당 미니도서관에 책상이 만들어져 자녀지도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회원에 의해 선생님도서관이 생성되면 해당 미니도서관에 책상이 만들어져 학생지도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되어진 S4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입력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S6에서 No), 서비스서버(12)는 사용자단말(C1)로 입력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 한 정보의 재입력을 요청한다(S8).
그러나, 상술되어진 S4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입력조건을 충족하면, 회원등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S6에서 Yes), 입력받은 회원기본정보와 도서관유형정보를 회원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하고, 내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4)을 통해 상기 회원에 대한 내 미니도서관을 자동생성한다(S12). 자동생성되는 내 미니도서관은, 사용자가 선택한 도서관유형을 갖는다. 만약, S12에서 생성된 내 미니도서관이 다른 사용자의 미니도서관과의 연동이 필요한 미니도서관이면, 내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4)은 공동도서관 서비스 모듈(166)과 연동하여, 원하는 미니도서관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회원등록된 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하면, 서비스서버(12)는 도 3과 같은,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를 사용자 단말(C1)로 출력한다.
서비스 서버(12)는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를 통해 회원들간의 미니도서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미니도서관의 방문자 수 등을 이용하여 인기 미니도서관을 지정하여, 인기 미니도서관에 간략정보를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에 출력한다.
또, 서비스 서버(12)는 미니도서관에서 작성된 포스트 중 조회수가 상위권인 포스트의 간략정보도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에 출력한다.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는, 인기 미니도서관, 가족도서관, 인기 블로그, 추천자료, 아이템숍, 뮤직숍, 및 유형별 미니도서관과 링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인기 미니도서관이 선택되면,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2)은 회원데이터를 이용하여, 방문자수가 많은 상위 미니도서관의 프로필 정보를 출력한다(도 4 참조). 미니도서관의 프로필 정보는 미니도서관 개설자의 프로필 사진과 내 미니도서관 소개말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인기 미니도서관 페이지를 통해 특정 미니도서관을 관심이웃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특정 미니도서관을 링크시켜 사용자가 해당 미니도서관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에서 가족도서관이 선택되면, 서비스 서버(12)는 공동도서관 서비스 모듈(166)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가족으로 등록한 회원들의 미니도서관 정보가 포함된 가족도서관 페이지(도 5)를 출력한다.
가족도서관 페이지(도 5)에 의하면, 사용자(길동)이 등록한 가족 구성원의 미니도서관 프로필 정보가 출력되고, 사용자가 특정 가족구성원의 미니도서관 프로필을 선택하면 해당 미니도서관으로 링크된다.
이외에도,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에서, 인기블로그, 추천자료, 아이템숍, 뮤직숍, 및 유형별 미니도서관이 링크되고, 내 미니도서관으로 링크되며, 도서검색창을 구비하여, 특정 도서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다.
한편, 미니도서관 메인페이지, 인기 미니도서관 페이지, 및 가족도서관 페이지에 각각 구성된 도서검색창(S)을 통해 특정 도서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S14에서 Yes), 서비스 서버(12)는 도서 데이터베이스(141)에서 해당 도서를 조회하여 해당 도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S16).
도서 데이터베이스(141)에서 해당 도서가 검색되면(S16에서 Yes), 상기 검 색자료를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2)로 전송하고, 서평 데이터베이스(144)에서 해당 도서에 대한 서평을 검색하여 그 검색결과를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2)로 전송한다(S18).
또, 서비스 서버(12)는 북팬 데이터베이스(143)에서 해당 도서에 대한 북팬도서 추천글정보, 북팬정보를 검색하여, 그 검색결과를 미니도서관 서비스모듈(162)로 전송한다.
이로서, 미니도서관 서비스모듈(162)은 도 6과 같은 도서검색결과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C1)로 출력한다(S22). 특히, 도서검색결과 페이지에는, 검색된 도서에 대한 코멘트를 쓸 수 있는 텍스트박스(TB)가 구성되고, 해당 도서를 북팬등록한 북팬이웃리스트도 구성된다.
도서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해, 검색된 도서에 대한 "서평 블로그 쓰기", "내 책장 담기", "북팬도서 등록", 및 "북팬도서 추천"를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도서를 북팬등록하면, 북팬이웃으로 설정되어 북팬이웃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S16의 판단결과, 사용자에 의해 검색요청된 도서에 대한 정보가 도서데이터베이스(141)에 존재하지 않으면, 서비스 서버(12)는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2)을 통해 사용자 단말(C1)로 해당 도서의 미등록상태를 통보하면서, 신규로 도서를 등록할 수 있는 페이지를 출력한다(S24).
상기 도서등록페이지를 통해 해당 도서에 대한 신규 등록이 요청되면(S26에서 Yes),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2)은 상기 도서등록페이지를 통해 필수정보가 모두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고(S30), 필수정보가 모두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30에서 Yes) 사용자 단말(C1)로 신규도서등록요청이 접수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32).
그러나, 상기 도서등록페이지를 통해 입력받아야 하는 필수정보 중 일부가 누락되었으면(S30에서 No),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2)는 사용자 단말(C1)로 누락된 정보의 재입력을 통보하고(S34), 상술되어진 S30으로 진행한다.
사용자 단말(C1)로부터 입력된 신규도서등록정보는, 신규도서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되었다가, 서비스 서버(12)의 운용자에 의해 도서등록이 될 때, 도서 데이터베이스(141)로 도서등록정보가 저장되는데, 운용자는 신규도서등록정보를 근거로 신규등록요청수가 많은 도서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도서등록을 행한다. 신규도서등록정보는,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등록요청ID, 닉네임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C1)이 미니페이지 메인페이지(도 3)에서 "내 미니도서관 바로 가기" 버튼(M)을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12)는 내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164)을 통해 도 7과 같은, 내미니도서관 페이지를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C1)로 출력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12)는 내미니도서관 페이지(도 7)를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북팬 도서, 추천북팬도서, 책장, 큐브, 최신 업데이트 내용, 최신 방문자, 가족들의 업데이트내용, 나의 업데이터내용 등이 표시되도록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그 조회결과를 내미니도서관 서비스모듈(164)로 전달한다. 또한, 내미 니도서관을 통해서는, "내 친한이웃"과 "내 관심이웃"을 통해 관심을 갖고 있는 미니도서관을 관리할 수 있는데, "내 친한이웃"을 통해 가족들의 미니도서관을 등록해 놓을 수 있고, "내 친한이웃"을 통해서는 가족 외의 회원들의 미니도서관을 등록해 놓을 수 있다. "내 친한이웃" 또는 "내 관심이웃"을 통해 등록되어진 특정 회원의 식별자(예컨대, ID, 닉네임, 미니도서관 명)등이 클릭되면, 선택된 회원의 미니도서관으로 링크된다.
또한, 내미니도서관 페이지에는 북팬등록하기 박스(R)가 구성되어, 북팬등록하기 박스(R)를 통해 도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서 검색결과는 도 6과 같은 도서검색결과 페이지로 출력된다.
내미니도서관 페이지에는, 사용자가 "내 가족도서관"을 등록한 경우, 해당 가족도서관으로 퀵링크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박스(S7)가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 간에 도서를 매개로 하여 가족도서관을 운영하거나 도서 선택시 해당 도서를 북팬으로 등록한 회원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어, 자신과 성향이 유사한 회원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사이버상에서 도서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도서를 북팬으로 등록하는 경우, 해당 도서를 북팬에 등록한 회원들간을 링크시키고, 각 회원들의 미니도서관을 관리하는 서비스 모듈,
    도서 관련정보, 회원 관련정보, 회원들의 북팬 관련정보, 미니도서관 관련정보, 가족도서관 관련정보, 및 신규등록 관련정보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과 연결되어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는 회원이 상기 서비스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도서 검색을 제공하고, 회원들이 개설한 미니도서관에 대한 정보공유와, 블로그에 대한 정보공유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링크 정보를 관리하는 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도서 검색을 제공하고, 회원이 등록한 북팬정보, 책장정보, 이웃정보, 가족정보 등을 이용하여 회원의 도서관리를 위한 개인 사이버 공간을 제공하고, 다른 회원들이 개설한 미니도서관으로의 링크를 제공하는 내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도서 검색을 제공하고, 회원에 의해 등록된 그룹에 대한 미니도서관이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링크정보를 관리하는 공동도서관 서비스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모듈은
    회원으로부터 도서 검색이 요청되면, 도석 검색 페이지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해당 도서에 대한 기본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도서에 대한 회원들의 코멘트와 해당 도서를 북팬으로 등록한 회원들의 북팬코멘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에 대한 기본정보는
    해당 도서에 대한 이미지, 저자, 출판사, 서평 블러그 개수, 해당 도서가 등록된 책장의 개수, 북팬으로 등록한 회원 수, 북팬도서 추천 수를 포함하고, 해당 도서를 책장에 담기위한 "내 책장에 담기" 버튼과, "북팬등록"버튼, "북팬도서추천"버튼, "서평 블로그 쓰기"버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내미니도서관 서비스 모듈은
    내미니도서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페이지에 "북팬등록하기 박스"를 구성하 여, 회원이 내미니도서관 페이지상에서 도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도서를 북팬에 등록하거나 책장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6.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에 대해 회원등록이 성공하면, 서비스 서버가 상기 회원에 대해 "내 미니도서관"을 생성하는 제 1 과정,
    상기 회원으로부터 도서 검색이 요청되면,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도서에 대한 검색결과를 상기 회원에게 제공하는 제 2 과정,
    상기 도서에 대한 검색결과를 근거로 상기 회원이 해당 도서를 "북팬등록"하거나 "내 책장 담기"를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 3 과정,
    상기 회원이 "내 미니도서관"을 선택하면, 상기 회원이 "북팬등록"한 도서정보, "내 책장 담기"를 행한 도서정보, 및 상기 회원이 등록한 이웃 회원과 가족 회원에 대한 "내 미니도서관" 업데이트 정보가 포함된 내 미니도서관 페이지를 상기 회원의 단말로 출력하는 제 4 과정,
    상기 내 미니도서관 페이지에서, 특정 이웃이나 가족이 선택되면, 해당자의 "내 미니도서관"으로 링크시켜 상기 회원이 특정인의 "내 미니도서관"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제 5 과정, 및
    상기 내 미니도서관 페이지에서, 특정 도서가 선택되면, 해당 도서를 "북팬등록"한 회원들의 정보와, 상기 회원들의 "북팬등록 코멘트"가 표시된 도서검색결과페이지를 상기 회원의 단말로 출력하는 제 6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상기 "내 미니도서관"을 등록하면서, 가족으로 구성되는 "가족도서관"이나 소정 특성에 의해 그룹으로 관리되는 "공동도서관"을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에서 상기 회원에게 제공되는 상기 도서에 대한 검색결과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서 검색되어진 상기 도서의 기본 정보와 상세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상세정보는 탭버튼을 통해 구분되어 웹페이지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에서 "북팬등록"과 "내 책장 담기"는 상기 도서의 기본 정보에 포함되어 표시되고, 상기 상세정보는 "북팬도서 추천글", "북팬", "상세정보", "미디어서평", "스타서평", "서평블로그", 및 "이 도서가 있는 책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해당 탭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탭버튼에 대한 상세정보가 해당 도서검색결과 페이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과정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검색결과, 검색요청된 도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회원으로부터 신규등록을 위한 도서정보를 입력받는 제 2-1 과정; 및
    일정 기간동안 회원들로부터 입력받은 도서정보를 취합하고, 신규등록을 요청받은 회수가 일정 기준 이상인 도서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등록하여, 해당 도서를 신규등록하는 제 2-2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KR1020050003584A 2005-01-14 2005-01-14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62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584A KR100624748B1 (ko) 2005-01-14 2005-01-14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584A KR100624748B1 (ko) 2005-01-14 2005-01-14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79A KR20060082979A (ko) 2006-07-20
KR100624748B1 true KR100624748B1 (ko) 2006-09-20

Family

ID=3717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584A KR100624748B1 (ko) 2005-01-14 2005-01-14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45B1 (ko) 2020-04-21 2020-09-08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82B1 (ko) * 2005-08-18 2006-11-23 주식회사 더존이엔에이치 도서를 주인공으로 하는 북피시스템 및 실행방법.
KR101137642B1 (ko) * 2010-06-14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코멘트 공유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88A (ko) * 2000-08-26 2000-12-05 허태석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및 정보제공시스템
JP2002366845A (ja) 2001-06-12 2002-12-20 Kazuyuki Takahashi オンライン○○研究或いは愛好倶楽部(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288A (ko) * 2000-08-26 2000-12-05 허태석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및 정보제공시스템
JP2002366845A (ja) 2001-06-12 2002-12-20 Kazuyuki Takahashi オンライン○○研究或いは愛好倶楽部(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445B1 (ko) 2020-04-21 2020-09-08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79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pbell Making space for religion in Internet studies
Kamel Boulos et al. The emerging Web 2.0 social software: an enabling suite of sociable technologies in health and health care education 1
Hercheui A literature review of virtual communities: the relevance of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institutions on online collectives
Eckerd et al. Introduction to the discussion forum on using experiments in supply chain management research
Scale Cloud computing and collaboration
Demangeot et al. Consumer mobility and well-being among changing places and shifting ethnicities
Wells et al. Books and ebooks in an academic library
Warren et al. Public libraries, museums and physical convergence: Context, issues, opportunities: A literature review Part 1
Makri Information informing desig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with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s
International Arabidopsis Informatics Consortium et al. Arabidopsis bioinformatics resources: The current state, challenges, and priorities for the future
Bajaj et al. Communities of benefit exchange–a new taxonomy of alternative consumption practices
KR100624748B1 (ko) 문화컨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aur Role of digital libraries in the present era: challenges and issues
Yen et al. Intelligent route generation: discovery and search of correlation between shared resources
Bonner et al. A small academic library and the power of EBSCO discovery service
Hujanen et al. Performing journalism. Making sense of ethical practice within local interloper media
Brigham Online professional profiles: Health care and library researchers show off their work
Porcar et al. Words, images and gender: Lessons from a survey on the public perception of synthetic biology and related disciplines
Diaz Teaching the techno-pitch: Taking student innovators beyond the elevator pitch
Odih Using the internet
Jamali et al.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PhD students in physicists and astronomy
Wahn Instituting the self-regulating consumer: Fake fighters, Netizens, and rights’ defenders in China
Susilowardhani et al. Characteristics of Museum’s Website In Jakarta As A Publication Site
Johansson et al. Representational work and ‘reverse order’essentialism: Digitisation of local information in Thailand and Bhabha’s Third Space
Conrad Headlines from the discovery files: Key publications on scholarly content discover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