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831B1 -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831B1
KR102159831B1 KR1020200056681A KR20200056681A KR102159831B1 KR 102159831 B1 KR102159831 B1 KR 102159831B1 KR 1020200056681 A KR1020200056681 A KR 1020200056681A KR 20200056681 A KR20200056681 A KR 20200056681A KR 102159831 B1 KR102159831 B1 KR 102159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nk
frame
disk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문
Original Assignee
정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문 filed Critical 정지문
Priority to KR1020200056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시 정보 등을 원하는 사용자 등에게 입학하고자 하는 학교의 캠퍼스를 가상으로 투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CAMPUS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FOR VIRTUAL CAMPUS TOUR}
본 발명은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시 정보 등을 원하는 사용자 등에게 입학하고자 하는 학교의 캠퍼스를 가상으로 투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는 사전답사, 견학 및 업무적인 방문 등의 목적으로 예비 대학생, 유학생 및 외부 방문객(VIP 인사)들 이 대학교를 방문하였을 때, 가이드를 해줄 수 있는 사람이 동행하거나 대학교의 단편적인 정보만 기재된 홍보 책자 또는 지도만을 가지고 답사 및 견학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학교를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 역시 캠퍼스의 면적이 클 경우에 동행하는 가이드, 지도 및 홍보책자가 없을 경우에 길을 잃어 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많은 사람에게 대학교의 정보를 전달하고 있으나,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대학교에 대한 정보(글, 사진 및 동영상 등)들은 예비 대학생, 유학생, 외부 방문객(VIP 인사) 및 재학생들에게 크게 어필 하지 못하였고, 타 대학과 차별화된 홍보전략으로 이용될 수 없다는 것 역시 사실이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3901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5599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입시 정보 등을 원하는 사용자 등에게 입학하고자 하는 학교의 캠퍼스를 가상으로 투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시스템의 가장 민감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가 수납되는 충격 완충형 케이스를 이용하여지진 등이 발생되어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가 파손되어 본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를 최소화 시켜 시스템 구현의 항상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들의 잦은 터치 입력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장치가 흔들리는 등으로 파손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은,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키오스크 장치 또는 스마트폰으로 형성되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학교 리스트를 수신받으며, 수신된 학교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교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며, 선택된 학교의 가상 캠퍼스 투어를 요청하며, 수신되는 캠퍼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영상 출력물을 통해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학교 리스트 및 학교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학교들의 캠퍼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해 두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학교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캠퍼스 투어 요청에 해당하는 특정 학교와 관련된 캠퍼스 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캠퍼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검색된 캠퍼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는, 진동이나 충격에 보호될 수 있도록 충격 완충형 케이스에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형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단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도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형태에 대응하여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본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각각의 구성을 독립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로 구획시키는 다수 개의 선반;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내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빨아 들인 뒤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상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부 상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키는 상부 완충부; 및 상기 상부 완충부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하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부 하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키는 하부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완충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부 상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 원판;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원판;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원판의 하측 중심 부위를 지지하는 제1 원판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상측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원판의 하측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원판 지지부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 바디;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중심 반구;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4 개의 모서리 반구;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중심 반구가 안착되기 위한 반구 안착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바디; 및 상기 모서리 반구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지지 바디의 상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모서리 반구가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서리 반구를 지지하는 4 개의 반구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구 안착부는, 상기 하부 지지 바디의 모서리에 원통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원통형홈; 상기 원통형홈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홈에 안착되며, 상기 모서리 반구가 안착되기 위한 상기 모서리 반구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지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반구 거치대; 및 상기 원통형홈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통형홈에 설치된 상기 반구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 바디는, 상기 반구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중심 반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반구 안착홈을 따라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반구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구 지지부는, 중심축이 상기 중심 반구의 중심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홈; 상기 연장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스프링; 상기 연장홈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연장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링을 형성하여 상기 연장홈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턱에 안착되어 상기 연장홈에서 하강되지 아니하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딩 바아; 및 상부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중심 반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원판 지지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와 상기 하부 지지 바디 사이의 이격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중심 반구가 안착되기 위한 제1 관통홀과 상기 모서리 반구가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간격 원판; 및 상기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간격 원판의 각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원판과 상기 하부 지지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원판 사이를 지지하는 4 개의 간격 지지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완충부는, 상기 간격 지지 기둥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 원판 지지부를 승강시켜 주기 위한 기둥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둥 승강부는, 하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U"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 지지 기둥의 하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링크; 상기 회동 링크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링크홈; 상기 회동 링크의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링크홈;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제1 링크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 링크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링크 지지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제2 링크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링크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링크 지지부;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2 원판 지지부의 하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설치 터널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링크 지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링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링크 지지 기둥; 상기 설치 터널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링크 지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링크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링크 지지 기둥;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회동 링크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간격 지지 기둥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회동 링크가 회전하면서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제2 원판 지지부를 승강시켜 주는 원판 지지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원판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일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부 바디; 상기 원판 지지 바아가 수직 방향으로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바아 안착홀; 및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원판 지지 바아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원판 지지 바아가 승강함에 따라 승강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요청할 학교를 터치 입력받거나, 상기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캠퍼스 투어 제공을 위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탠드; "ㄱ" 형태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전단이 상기 표시부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가 후단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지지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와 바닥면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주는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지지대;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하부 탄성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와 대향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 지지대;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하부 탄성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 상기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의 상측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를 지지하는 제1 상부 탄성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의 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 상기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의 상측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를 지지하는 제2 상부 탄성체;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상측에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상측에 상기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를 승강시켜 주는 제1 곡선형 연결대;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상측에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상측에 상기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를 승강시켜 주는 제2 곡선형 연결대;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이 안착되는 제1 지지체;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이 안착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 및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체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지지체;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간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체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 플레이트; 후단 하측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전 지지체; 전단 하측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기 제1 회전 지지체의 후단 하측과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이 상기 제1 회전 지지체의 후면과 밀착되는 제2 회전 지지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회전 지지체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후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곡선형 안착 공간; 및 상기 제1 곡선형 안착 공간의 후단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 지지체의 전면 하측으로부터 후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곡선형 안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는, 상기 제1 회전 지지체와 상기 제2 회전 지지체의 각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제1 링크와 제2 링크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상측면을 따라 제1 렉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하측면을 따라 제2 렉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링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 당겨주기 위한 장력 스프링이 안착되기 위한 연장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안착 공간 및 제2 곡선형 안착 공간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슬라이딩 지지체; 및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슬라이딩 지지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체는, 상기 제1 곡선형 안착 공간 및 상기 제2 곡선형 안착 공간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스프링;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스프링에 의하여 상측이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아; "ㅅ"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연결 링크; 상기 제1 연결 링크의 형태에 대응하여 "ㅅ"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 링크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연결 링크; 및 상기 제1 연결 링크와 상기 제2 연결 링크의 하부 전단 사이 및 하부 후단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렉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상기 제1 곡선형 안착 공간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두 개의 링크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입시 정보 등을 원하는 사용자 등에게 입학하고자 하는 학교의 캠퍼스를 가상으로 투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의 가장 민감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가 수납되는 충격 완충형 케이스를 이용하여지진 등이 발생되어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가 파손되어 본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를 최소화 시켜 시스템 구현의 항상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잦은 터치 입력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장치가 흔들리는 등으로 파손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표시부를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시킴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형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원판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반구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구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의 제1 원판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5의 상부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의 제2 원판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14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1 지지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1 곡선형 연결대와 제1 회전 지지체 및 제2 회전 지지체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1 회전 지지체 및 제2 회전 지지체의 회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슬라이딩 지지체 및 제2 슬라이딩 지지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5의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2)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키오스크 장치(11) 또는 스마트폰(12) 등과 강이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단말기로 형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용 네트워크(N)를 통해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학교 리스트를 수신받으며, 수신된 학교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교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며, 선택된 학교의 가상 캠퍼스 투어를 네트워크(N)를 통해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로 요청하며, 네트워크(N)를 통해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캠퍼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영상 출력물을 구비된 액정화면 등의 표시 장치를 통해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한다.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는,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학교 리스트 및 학교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학교들의 캠퍼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 베이스(D)에 저장해 두며, 데이터 베이스(D)에 저장된 학교 리스트 중에서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캠퍼스 투어 요청에 해당하는 특정 학교와 관련된 캠퍼스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D)에서 검색하며, 데이터 베이스(D)에서 검색된 캠퍼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검색된 캠퍼스 정보를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는, 진동이나 충격에 보호될 수 있도록 도 3 이하에서 후술하는 충격 완충형 케이스(30)에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2)은, 입시 정보 등을 원하는 사용자 등에게 입학하고자 하는 학교의 캠퍼스를 가상으로 투어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형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격 완충형 케이스(30)는, 케이스 본체(100), 도어(200), 내부 케이스(300), 다수 개의 선반(400), 환풍기(500), 상부 완충부(600) 및 하부 완충부(700)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00)는, 전면이 개방 형성되며,내부 케이스(300)에 수납된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도어(200)는,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100)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0)의 전단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내부 케이스(300)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되, 케이스 본체(100)보다 작게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부 전단(310) 및 하부 전단(320)이 케이스 본체(100)의 내측 상부 전단 및 내측 하부 전단에 체결되어 지지된다.
선반(400)은, 내부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에 정보 제공 서버의 각각의 구성을 독립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로 구획시킨다.
환풍기(500)는, 케이스 본체(100)와 내부 케이스(30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정보 제공 서버에서 발생되는 열을 내부 케이스(300)에 형성되는 관통홀(330)을 통해 빨아 들인 뒤 케이스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부 완충부(600)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 상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내부 케이스(300)의 외부 상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케이스 본체(100)와 내부 케이스(300)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킨다.
하부 완충부(700)는, 상부 완충부(6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 하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내부 케이스(300)의 외부 하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케이스 본체(100)와 내부 케이스(300)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완충형 케이스(30)는, 본 시스템의 가장 민감한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를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장치로서, 지진 등이 발생되어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가 파손되어 본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를 최소화 시켜 시스템 구현의 항상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상부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완충부(600)는, 제1 지지 원판(610), 제2 지지 원판(620), 제1 원판 지지부(630) 및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640-1 내지 240-4)를 포함한다.
제1 지지 원판(610)은,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케이스(300)의 외부 상측면에 설치되며, 상측에 제1 원판 지지부(630) 및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640-1 내지 240-4)가 각각 설치된다.
제2 지지 원판(620)은, 제1 지지 원판(610)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원판 지지부(630) 및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640-1 내지 240-4)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측에 안착되는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 상측면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1 원판 지지부(630)는, 제1 지지 원판(610)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어 제2 지지 원판(620)의 하측 중심 부위를 지지한다.
제2 원판 지지부(640-1 내지 240-4)는, 제1 지지 원판(610)의 상측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제2 지지 원판(620)의 하측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부 완충부(600)는, 내부 케이스(300)의 외부 상측면과 케이스 본체(100)의 내부 상측면 사이를 제1 원판 지지부(630) 및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640)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케이스 본체(100)로부터 내부 케이스(300)를 거쳐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1 원판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원판 지지부(630)는, 상부 지지 바디(631), 중심 반구(638), 4 개의 모서리 반구(632), 하부 지지 바디(633) 및 4 개의 반구 안착부(634)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 바디(6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설치되는 중심 반구(632)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부 지지 바디(633)의 상측에 설치된다.
중심 반구(638)는,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바디(631)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부 지지 바디(633)의 상측에 형성되는 반구 안착홈(6331)에 안착된다.
모서리 반구(632)는,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바디(631)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며, 하부 지지 바디(633)의 상측에 형성되는 반구 안착부(634)에 안착된다.
하부 지지 바디(633)는, 상부 지지 바디(631)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바디(631)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중심 반구(638)가 안착되기 위한 반구 안착홈(6331) 및 모서리 반구(632)가 안착되기 위한 반구 안착부(634)가 상부에 형성된다.
반구 안착부(634)는, 모서리 반구(632)와 대향하는 하부 지지 바디(633)의 상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모서리 반구(632)가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모서리 반구(632)를 지지한다.
도 7은 도 6의 반구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반구 안착부(634)는, 원통형홈(6341), 반구 거치대(6342) 및 지지 탄성체(6343)를 포함한다.
원통형홈(6341)은, 하부 지지 바디(633)의 모서리에 원통 형태로 함몰 형성되며, 반구 거치대(6342)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반구 거치대(6342)는, 원통형홈(6341)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원통형홈(6341)에 안착되어 지지 탄성체(6343)에 의하여 지지되며, 모서리 반구(632)가 안착되기 위한 모서리 반구(632)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지홈(6344)이 상부에 형성된다.
지지 탄성체(6343)는, 원통형홈(6341)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원통형홈(6341)에 설치된 반구 거치대(6342)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 바디(63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안착홈(6331)에 안착된 중심 반구(638)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 안착홈(6331)을 따라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반구 지지부(63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반구 지지부(635)는, 연장홈(6351), 하부 지지 스프링(6352), 슬라이딩 바아(6353) 및 회전 구체(6354)를 포함한다.
연장홈(6351)은, 중심축이 중심 반구(638)의 중심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에 하부 지지 스프링(6352)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바아(6353)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하부 지지 스프링(6352)은, 연장홈(6351)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바아(6353)를 지지한다.
슬라이딩 바아(6353)는, 연장홈(6351)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 스프링(6352)에 의하여 지지되며, 연장홈(635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링(6355)을 형성하여 연장홈(6351)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턱(6356)에 안착되어 연장홈(6351)에서 하강되지 아니하도록 지지되며, 상측에 회전 구체(6354)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회전 구체(6354)는, 상부 일부가 노출되어 중심 반구(638)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바아(635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반구 지지부(635)는, 중심 반구(638)의 하측 여러 곳을 방사형으로 지지함으로써, 제1 지지 원판(610)과 제2 지지 원판(620) 사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장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의 제1 원판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제1 원판 지지부(630)는, 상부 지지 바디(631), 중심 반구(638), 하부 지지 바디(633), 다수 개의 모서리 반구(634), 간격 원판(636) 및 4 개의 간격 지지 기둥(6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지지 바디(631), 중심 반구(638), 하부 지지 바디(633) 및 다수 개의 모서리 반구(634)는,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간격 원판(636)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바디(631)와 하부 지지 바디(633) 사이의 이격 공간에 안착되며, 중심 반구(638)가 안착되기 위한 제1 관통홀(6361)과 모서리 반구(634)가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 관통홀(6362)이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간격 지지 기둥(637)에 의하여 상부 지지 바디(631)와 하부 지지 바디(633) 사이에서 지지된다.
간격 지지 기둥(637)은,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640)와 대향하는 간격 원판(636)의 각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 지지 바디(631)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원판(6312)과 하부 지지 바디(632)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원판(6333)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 지지 기둥(637)은, 보다 탄성적으로 상부 원판(6312)과 하부 원판(6333) 사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 원판(6312)과의 사이에 상부 스프링(F1)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상부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완충부(600)는, 제1 지지 원판(610), 제2 지지 원판(620), 제1 원판 지지부(630),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640) 및 기둥 승강부(6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지 원판(610), 제2 지지 원판(620), 제1 원판 지지부(630) 및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640)는, 도 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기둥 승강부(650)는, 간격 지지 기둥(637)이 하강함에 따라 제2 원판 지지부(640)를 승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 승강부(650)는, 회동 링크(651), 제1 링크홈(652), 제2 링크홈(653), 제1 링크 지지부(654), 제2 링크 지지부(655), 제1 링크 지지 기둥(656), 제2 링크 지지 기둥(657) 및 원판 지지 바아(658)를 포함한다.
회동 링크(651)는, 하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U" 형태로 형성되며, 간격 지지 기둥(637)의 하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간격 지지 기둥(637)이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원판 지지 바아(658)를 승강시켜 준다.
제1 링크홈(652)은, 회동 링크(651)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1 링크 지지부(654)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2 링크홈(653)은, 회동 링크(651)의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제2 링크 지지부(655)이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제1 링크 지지부(654)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탄성체(C1, C2)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1 링크홈(652)에 안착되며, 제1 링크 지지 기둥(656)의 상부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링크홈(65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2 링크 지지부(655)는,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2 링크홈(653)에 안착되며, 제2 링크홈(65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링크 지지 기둥(656)은, 제1 지지 원판(610)의 내부를 따라 제2 원판 지지부(640)의 하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설치 터널(K)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부가 제1 링크 지지부(654)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 링크(651)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링크 지지 기둥(657)은, 설치 터널(K)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부가 제2 링크 지지부(655)에 연결 설치되어 회동 링크(651)의 다른 일측을 지지한다.
원판 지지 바아(658)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회동 링크(651)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간격 지지 기둥(637)이 하강함에 따라 회동 링크(651)가 회전하면서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되어 제2 원판 지지부(640)를 승강시켜 준다.
도 12는 도 5의 제2 원판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원판 지지부(640)는, 하부 바디(641), 바아 안착홀(642) 및 상부 바디(643)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부 바디(641)는, 제1 지지 원판(610)의 일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측에 상부 바디(643)가 안착된다.
바아 안착홀(642)은, 원판 지지 바아(658)가 수직 방향으로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 바디(64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상부 바디(643)는, 하부 바디(641)의 상측에 안착되어 원판 지지 바아(658)에 의하여 지지되며, 원판 지지 바아(658)가 승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제2 지지 원판(620)을 승강시켜 준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키오스크 장치(11)는, 표시부(750), 스탠드(800),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지지대(850) 및 완충 지지부(900)를 포함한다.
표시부(75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요청할 학교를 터치 입력받거나,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캠퍼스 투어 제공을 위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751) 및 광고 문구 등을 기입하기 위한 전면 패널(752) 등이 구비된다.
스탠드(800)는, 표시부(750)의 하측에 설치되어 표시부(75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탠드(800)는, 안착된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바닥 지지대(810)가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대(850)는, "ㄱ" 형태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전단(H1)이 표시부(75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표시부(750)가 후단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하측(H2)에 설치된 완충 지지부(9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지지대(850)는, 표시부(750)와 스탠드(800) 사이의 간격을 따라 다수 개의 탄성체가 설치되어 표시부(750) 및 스탠드(800)와의 사이 간격이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완충 지지부(900)는, 디스플레이 지지대(850)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디스플레이 지지대(850)와 바닥면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키오스크 장치(11)는, 사용자들의 잦은 터치 입력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장치가 흔들리는 등으로 파손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표시부(750)를 디스플레이 지지대(850)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시킴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완충 지지부(900)는, 지지 프레임(995), 제1 프레임 지지대(910), 제1 하부 탄성체(910S), 제2 프레임 지지대(920), 제2 하부 탄성체(920S),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 제1 상부 탄성체(930S),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 제2 상부 탄성체(940S), 제1 곡선형 연결대(950), 제2 곡선형 연결대(960), 제1 지지체(970), 제2 지지체(980), 베이스 프레임(985) 및 간격 스프링(990)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995)은, 베이스 프레임(985)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각 구성들(즉, 제1 프레임 지지대(910), 제1 하부 탄성체(910S), 제2 프레임 지지대(920), 제2 하부 탄성체(920S),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 제1 상부 탄성체(930S),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 제2 상부 탄성체(940S), 제1 곡선형 연결대(950), 제2 곡선형 연결대(960), 제1 지지체(970), 제2 지지체(980) 및 간격 스프링(990))에 의하여 지지되어 디스플레이 지지대(85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1 프레임 지지대(9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곡선형 연결대(950)에 의해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와 연결 설치되며, 지지 프레임(995)의 하측을 지지하며, 제1 하부 탄성체(910S)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강함에 따라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를 승강시켜 준다.
제1 하부 탄성체(910S)은, 제1 프레임 지지대(910)의 하측과 베이스 프레임(985)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 지지대(910)를 지지한다.
제2 프레임 지지대(92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곡선형 연결대(960)에 의해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와 연결 설치되며, 제1 프레임 지지대(910)와 대향하며 제1 프레임 지지대(910)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지지 프레임(995)의 하측을 지지하며, 제2 하부 탄성체(920S)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강함에 따라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를 승강시켜 준다.
제2 하부 탄성체(920S)은, 제2 프레임 지지대(920)의 하측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 지지대(910)를 지지한다.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곡선형 연결대(950)에 의해 제1 프레임 지지대(910)와 연결 설치되며, 제2 프레임 지지대(920)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1 프레임 지지대(910)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지지 프레임(995)를 지지하며, 지지 프레임(995)와의 사이에 제1 상부 탄성체(930S)이 설치된다.
이때,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는, 제1 프레임 지지대(91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상부 탄성체(930S)은,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의 상측과 지지 프레임(995)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995)를 지지한다.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곡선형 연결대(960)에 의해 제2 프레임 지지대(920)와 연결 설치되며, 제1 프레임 지지대(910)의 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제2 프레임 지지대(920)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지지 프레임(995)를 지지하며, 지지 프레임(995)와의 사이에 제2 상부 탄성체(940S)이 설치된다.
이때,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는,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2 상부 탄성체(940S)은,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의 상측과 지지 프레임(995)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995)를 지지한다.
제1 곡선형 연결대(950)는,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상측에 제1 프레임 지지대(91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상측에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프레임 지지대(91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930)를 승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곡선형 연결대(95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지지체(972)와 제2 회전 지지체(973)의 각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회동축(951)을 형성하며, 상측면을 따라 제1 렉기어(952)가 형성되고, 하측면을 따라 제2 렉기어(9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곡선형 연결대(960)는, 제1 곡선형 연결대(950)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상측에 제2 프레임 지지대(9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상측에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프레임 지지대(920)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940)를 승강시켜 준다.
제1 지지체(970)는, 베이스 프레임(985)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1 곡선형 연결대(9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연결대(950)의 하측이 안착된다.
제2 지지체(980)는, 제2 곡선형 연결대(9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곡선형 연결대(960)의 하측이 안착되며, 제1 프레임 지지대(910)와 제2 프레임 지지대(92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곡선형 연결대(950) 및 제2 곡선형 연결대(960)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985)의 상측에서 제1 지지체(970)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베이스 프레임(985)은,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측에 제1 지지체(970) 및 제2 지지체(980)가 설치된다.
간격 스프링(990)은, 지지 프레임(995)과 베이스 프레임(985)의 각 모서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프레임(995)과 베이스 프레임(985)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지지부(900)는, 디스플레이 지지대(850)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표시부(750)로부터 디스플레이 지지대(85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킴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제1 지지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지지체(970)는, 바닥 플레이트(971), 제1 회전 지지체(972), 제2 회전 지지체(973),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 및 제2 곡선형 안착 공간(97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지체(980)는, 제1 지지체(970)와 이격되어 설치되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바닥 플레이트(97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프레임(985)에 설치된다.
제1 회전 지지체(972)는, 하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 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후단 하측(A)이 바닥 플레이트(971)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회전 지지체(973)는, 하부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갈 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전단 하측(A)이 바닥 플레이트(971)의 상측에 제1 회전 지지체(972)의 후단 하측과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이 제1 회전 지지체(972)의 후면과 밀착된다.
즉, 제1 회전 지지체(972)와 제2 회전 지지체(973)의 하부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971)와의 연결 부위(A)를 형성하며, 연결 부위(A)를 회동축으로 하여 제1 회전 지지체(972)는 전단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회전 지지체(973)는 후단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은, 제1 곡선형 연결대(9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연결대(950)의 곡률에 대응하여 제1 회전 지지체(972)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후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곡선형 안착 공간(975)은,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의 후단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어 제1 곡선형 연결대(9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연결대(950)의 곡률에 대응하여 제2 회전 지지체(973)의 전면 하측으로부터 후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 및 제2 곡선형 안착 공간(975)은, 다수 개의 제1 슬라이딩 지지체(978) 및 다수 개의 제2 슬라이딩 지지체(979)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지지체(978)는, 내부 공간에 안착된 제1 곡선형 연결대(950)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 또는 제2 곡선형 안착 공간(975)의 상측면을 따라 형성된다(도 19 참조).
제2 슬라이딩 지지체(979)는, 내부 공간에 안착된 제1 곡선형 연결대(95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 또는 제2 곡선형 안착 공간(975)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된다(도 19 참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슬라이딩 지지체 및 제2 슬라이딩 지지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 지지체(978)는, 하부 슬라이딩홈(9781), 상부 스프링(9782), 슬라이딩 바아(9783), 제1 연결 링크(9784), 제2 연결 링크(9785) 및 두 개의 지지 기어(9786)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슬라이딩 지지체(979)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지지체(978)의 구성요소와 상하 대칭구조로서 각각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부 슬라이딩홈(9781)은,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 및 제2 곡선형 안착 공간(975)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상부 스프링(9782)이 설치되고, 슬라이딩 바아(9783)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부 스프링(9782)은, 하부 슬라이딩홈(9781)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바아(9783)를 지지한다.
슬라이딩 바아(9783)는, 하부 슬라이딩홈(9781)에 안착되어 상부 스프링(9782)에 의하여 상측이 지지되며, 하부 슬라이딩홈(978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제1 연결 링크(9784) 및 제2 연결 링크(9785)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연결 링크(9784)는, 제1 연결 링크(9784)로부터 슬라이딩 바아(9783)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ㅅ"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바아(9783)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연결 링크(9785)는, 제1 연결 링크(9784)의 형태에 대응하여 "ㅅ"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연결 링크(9784)로부터 슬라이딩 바아(9783)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슬라이딩 바아(9783)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기어(9786)는, 제1 연결 링크(9784)와 제2 연결 링크(9785)의 하부 전단 사이 및 하부 후단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렉기어(952)에 맞물려 회전하며, 제1 곡선형 연결대(950)가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1 곡선형 연결대(950)의 상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슬라이딩 지지체(978) 및 제2 슬라이딩 지지체(979)는,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 또는 제2 곡선형 안착 공간(975)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 곡선형 연결대(95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곡선형 연결대(950)에 적당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제1 곡선형 연결대(950)가 제1 곡선형 안착 공간(974) 또는 제2 곡선형 안착 공간(975)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5의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1 곡선형 연결대(950)는, 제1 회전 지지체(972)와 제2 회전 지지체(973)의 각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제1 링크(950a)와 제2 링크(950b)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축(951)(고정 볼트(950a), 안착부(951b) 및 고정 너트(951c))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어 형성되며, 제1 링크(950a)와 제2 링크(950b)의 상측면을 따라 제1 렉기어(952)가 형성되고, 제1 링크(950a)와 제2 링크(950b)의 하측면을 따라 제2 렉기어(953)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링크(950b)는, 제1 링크(950a)와 대향하는 면에 제2 링크(950b)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 당겨주기 위한 장력 스프링(954)이 안착되기 위한 연장홈(95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장력 스프링(954)는, 제1 링크(950a)의 단부와 연장홈(955)의 내측에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링크(950a)와 제2 링크(950b)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서로 잡아 당겨 줌으로써, 제1 링크(950a)와 제2 링크(950b)가 불필요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10: 사용자 단말기
20: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
100: 케이스 본체
200: 도어
300: 내부 케이스
400: 선반
500: 환풍기
600: 상부 완충부
700: 하부 완충부
750: 표시부
800: 스탠드
850: 디스플레이 지지대
900: 완충 지지부

Claims (2)

  1.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키오스크 장치 또는 스마트폰으로 형성되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학교 리스트를 수신받으며, 수신된 학교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교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으며, 선택된 학교의 가상 캠퍼스 투어를 요청하며, 수신되는 캠퍼스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영상 출력물을 통해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하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학교 리스트 및 학교 리스트에 포함된 각 학교들의 캠퍼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해 두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학교 리스트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캠퍼스 투어 요청에 해당하는 특정 학교와 관련된 캠퍼스 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캠퍼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가상 캠퍼스 투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검색된 캠퍼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는, 진동이나 충격에 보호될 수 있도록 충격 완충형 케이스에 수납되어 보관되며,
    상기 충격 완충형 케이스는,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단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도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형태에 대응하여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본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정보 제공 서버의 각각의 구성을 독립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다수 개로 구획시키는 다수 개의 선반;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정보 제공 서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내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빨아 들인 뒤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상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부 상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키는 상부 완충부; 및 상기 상부 완충부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하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부 하측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키는 하부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완충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부 상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 원판;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 상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원판;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상측 중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원판의 하측 중심 부위를 지지하는 제1 원판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상측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원판의 하측 각 모서리 부위를 지지하는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원판 지지부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 바디;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중심 반구; 하측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4 개의 모서리 반구;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중심 반구가 안착되기 위한 반구 안착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바디; 및 상기 모서리 반구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지지 바디의 상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모서리 반구가 안착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모서리 반구를 지지하는 4 개의 반구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구 안착부는, 상기 하부 지지 바디의 모서리에 원통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원통형홈; 상기 원통형홈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홈에 안착되며, 상기 모서리 반구가 안착되기 위한 상기 모서리 반구의 형태에 대응하는 지지홈이 상부에 형성되는 반구 거치대; 및 상기 원통형홈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통형홈에 설치된 상기 반구 거치대를 지지하는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 바디는, 상기 반구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중심 반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반구 안착홈을 따라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반구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반구 지지부는, 중심축이 상기 중심 반구의 중심을 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홈; 상기 연장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스프링; 상기 연장홈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연장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안착링을 형성하여 상기 연장홈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턱에 안착되어 상기 연장홈에서 하강되지 아니하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딩 바아; 및 상부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중심 반구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구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원판 지지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과 상기 하부 지지 바디 사이의 이격 공간에 안착되며, 상기 중심 반구가 안착되기 위한 제1 관통홀과 상기 모서리 반구가 안착되기 위한 다수 개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 원판; 및 상기 4 개의 제2 원판 지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 원판의 각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원판과 상기 하부 지지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원판 사이를 지지하는 4 개의 간격 지지 기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완충부는, 상기 간격 지지 기둥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 원판 지지부를 승강시켜 주기 위한 기둥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둥 승강부는, 하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U"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 지지 기둥의 하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링크; 상기 회동 링크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링크홈; 상기 회동 링크의 다른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링크홈;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제1 링크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 링크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링크 지지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제2 링크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링크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링크 지지부;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내부를 따라 상기 제2 원판 지지부의 하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설치 터널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링크 지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링크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링크 지지 기둥; 상기 설치 터널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링크 지지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링크의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제2 링크 지지 기둥;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회동 링크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간격 지지 기둥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회동 링크가 회전하면서 다른 일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제2 원판 지지부를 승강시켜 주는 원판 지지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원판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 원판의 일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부 바디; 상기 원판 지지 바아가 수직 방향으로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바아 안착홀; 및 상기 하부 바디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원판 지지 바아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원판 지지 바아가 승강함에 따라 승강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캠퍼스 투어를 요청할 학교를 터치 입력받거나, 상기 캠퍼스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가상 캠퍼스 투어 제공을 위한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탠드; "ㄱ" 형태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전단이 상기 표시부의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가 후단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지지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와 바닥면 사이에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켜 주는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 지지대;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하부 탄성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와 대향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 지지대;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하부 탄성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의 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 상기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의 상측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를 지지하는 제1 상부 탄성체;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의 전단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 상기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의 상측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를 지지하는 제2 상부 탄성체;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 상측에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상측에 상기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프레임 보조 지지대를 승강시켜 주는 제1 곡선형 연결대;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측으로 둥근 "U" 형태로 형성되며, 후단 상측에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전단 상측에 상기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2 프레임 보조 지지대를 승강시켜 주는 제2 곡선형 연결대;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이 안착되는 제1 지지체;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이 안착되며, 상기 제1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제2 프레임 지지대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 및 상기 제2 곡선형 연결대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체로부터 전단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지지체;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제1 지지체 및 상기 제2 지지체가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간격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체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 플레이트; 후단 하측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전 지지체; 전단 하측이 상기 바닥 플레이트의 상측에 상기 제1 회전 지지체의 후단 하측과 함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면이 상기 제1 회전 지지체의 후면과 밀착되는 제2 회전 지지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회전 지지체의 전면 상측으로부터 후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곡선형 안착 공간; 및 상기 제1 곡선형 안착 공간의 후단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 지지체의 전면 하측으로부터 후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곡선형 안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는, 상기 제1 회전 지지체와 상기 제2 회전 지지체의 각 상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제1 링크와 제2 링크가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상측면을 따라 제1 렉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하측면을 따라 제2 렉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링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 당겨주기 위한 장력 스프링이 안착되기 위한 연장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안착 공간 및 제2 곡선형 안착 공간은,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상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1 슬라이딩 지지체; 및 내부 공간에 안착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제2 슬라이딩 지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 지지체는, 상기 제1 곡선형 안착 공간 및 상기 제2 곡선형 안착 공간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스프링;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 스프링에 의하여 상측이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아; "ㅅ"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연결 링크; 상기 제1 연결 링크의 형태에 대응하여 "ㅅ"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 링크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아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연결 링크; 및 상기 제1 연결 링크와 상기 제2 연결 링크의 하부 전단 사이 및 하부 후단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렉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가 상기 제1 곡선형 안착 공간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 곡선형 연결대의 상측을 지지하는 두 개의 링크 기어;를 포함하는,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56681A 2020-05-12 2020-05-12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5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681A KR102159831B1 (ko) 2020-05-12 2020-05-12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681A KR102159831B1 (ko) 2020-05-12 2020-05-12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831B1 true KR102159831B1 (ko) 2020-09-24

Family

ID=7270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681A KR102159831B1 (ko) 2020-05-12 2020-05-12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588B1 (ko) * 2022-12-30 2023-04-13 주식회사 프라임아이앤에스 테스트 데이터 변환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539585B1 (ko) * 2022-09-22 2023-06-01 (주)퀀티파이드이에스지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938B1 (ko) * 2005-08-3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39013A (ko) 2006-10-31 2008-05-07 (주)인투바이 무선 인터넷 기반의 입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00055993A (ko) 2008-11-18 2010-05-27 주식회사 히씽크 3차원 게임엔진 기반 원격 캠퍼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50083155A (ko) * 2014-01-08 2015-07-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기반의 캠퍼스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90141410A (ko) * 2018-06-14 2019-12-24 (주)이지위드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938B1 (ko) * 2005-08-3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39013A (ko) 2006-10-31 2008-05-07 (주)인투바이 무선 인터넷 기반의 입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00055993A (ko) 2008-11-18 2010-05-27 주식회사 히씽크 3차원 게임엔진 기반 원격 캠퍼스 투어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50083155A (ko) * 2014-01-08 2015-07-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온라인 기반의 캠퍼스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90141410A (ko) * 2018-06-14 2019-12-24 (주)이지위드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585B1 (ko) * 2022-09-22 2023-06-01 (주)퀀티파이드이에스지 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시스템
KR102521588B1 (ko) * 2022-12-30 2023-04-13 주식회사 프라임아이앤에스 테스트 데이터 변환 솔루션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831B1 (ko)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US10687615B2 (en) Lifting table
US2055000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02153445B1 (ko)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KR102386224B1 (ko) 실시간 예약 시스템
US20180317671A1 (en) Food service equipment and systems
CN100496336C (zh) 适合作为至少一坐着的用户的桌子和制图桌的工作站
KR102239930B1 (ko)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US10606308B2 (en) Game station and methods of using game stations
US2467187A (en) Weighted pivoted sign
CN211186635U (zh) 一种展示平台
CN107547812A (zh) 电视机
US2483932A (en) Globe mount
Miller Finding meaning at ground zero for future generations: Some reflections a decade after 9/11
CN208315055U (zh) 地震虚拟体验装置
CN111288117B (zh) 一种用于浮放物抗震保护的摆式三维隔震展柜
CN205881400U (zh) 餐桌广告牌
CN203457983U (zh) 一种旋转桌
KR102276478B1 (ko)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Flisfeder Black Mirror,“playtest,” and the crises of the present
CN113063064B (zh) 一种led户外广告屏
KR102458225B1 (ko) 메타버스 세미나 플랫폼 시스템
Brinkmann Transnational ties: The longue durée of Jewish migrations to the United States
CN212260991U (zh) 一种博物馆展览用观赏展台
CN207444601U (zh) 一种便于查找的中文文学书籍的组合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