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930B1 -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930B1
KR102239930B1 KR1020200091972A KR20200091972A KR102239930B1 KR 102239930 B1 KR102239930 B1 KR 102239930B1 KR 1020200091972 A KR1020200091972 A KR 1020200091972A KR 20200091972 A KR20200091972 A KR 20200091972A KR 102239930 B1 KR102239930 B1 KR 102239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dy
curved bar
rear end
intermediate gea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이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호 filed Critical 이근호
Priority to KR102020009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PC 및 저장소 구축 사업의 원활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도록 구현한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케이스;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도어; 및 상기 수납 케이스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케이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자료 유출 방지, 시큐어코딩을 통한 서버 기반 보안, 및 자산과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형상 관리 시스템; 가상화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가상화 스토리지; 원격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합형상관리시스템의 접속을 위한 서버로 동작하는 가상화 운영 서버; 및 상기 가상화 운영 서버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화 운영 서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서버 보관용 함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VIRTUALIZATION SERVER CONSTRUCTION SYTEM}
본 발명은 식기 수납용 가정용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PC 및 저장소 구축 사업의 원활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도록 구현한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비는 다수의 유닛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각 유닛들은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움으로 별도의 수납장과 이동장비를 이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방송에 관련된 전자장비들은 그 무게나 부피가 일반 전자장비보다 크고 무겁게 형성됨으로 캐비닛을 이용하여 다수의 유닛들을 수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캐비닛은 일체로 형성되어 도어를 열고 상기 각 유닛을 순서대로 수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999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9905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클라우드 PC 및 저장소 구축 사업의 원활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도록 구현한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가정용 캐비닛은, 그릇 또는 접시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수납 케이스;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도어; 및 상기 수납 케이스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 케이스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은, 자료 유출 방지, 시큐어코딩을 통한 서버 기반 보안, 및 자산과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형상 관리 시스템; 가상화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가상화 스토리지; 및 원격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합형상관리시스템의 접속을 위한 서버로 동작하는 가상화 운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은, 상기 가상화 운영 서버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화 운영 서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서버 보관용 함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보관용 함체는,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바디; 상기 가상화 운영 서버의 각각 파트가 개별 수용되기 위한 다수 개의 단위 구획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 바디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렉; 상기 함체 바디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전방 차폐 도어; 및 상기 함체 바디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바디를 지지하기 위한 함체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 보관용 함체는,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함체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함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함체 지지부는,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하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1 곡선형 바아;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상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2 곡선형 바아;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상기 제1 곡선형 바아의 후단 상부와 상기 제2 곡선형 바아의 후단 상부 사이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3 곡선형 바아;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바아, 상기 제2 곡선형 바아 및 상기 제3 곡선형 바아의 각 전단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전단 지지 플레이트;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함체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상기 제1 곡선형 바아가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제2 곡선형 바아 및 상기 제3 곡선형 바아를 전진시켜 상기 함체 바디를 지지하도록 하는 전단 링크;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면의 하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4 곡선형 바아;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면의 상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5 곡선형 바아;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면의 상기 제1 곡선형 바아의 전단 상부와 상기 제2 곡선형 바아의 전단 상부 사이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6 곡선형 바아;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4 곡선형 바아, 상기 제5 곡선형 바아 및 상기 제6 곡선형 바아의 각 후단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후단 지지 플레이트;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함체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상기 제4 곡선형 바아가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제5 곡선형 바아 및 상기 제6 곡선형 바아를 후진시켜 상기 함체 바디를 지지하도록 하는 후단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곡선형 바아는, 후단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렉기어가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중간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링크는,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렉기어가 상기 제1 중간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함체 바디가 흔들려 상기 제1 곡선형 바아가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중간 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곡선형 바아는, 후단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렉기어가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중간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중간 기어는, 전단에 설치되는 제3 중간 기어에 전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 링크는,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렉기어가 상기 제3 중간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중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승강될 경우 상기 제3 중간 기어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중간 기어는, 상기 전단 링크의 승강에 따라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중간 기어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중간 기어는, 상기 제3 중간 기어에 의해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곡선형 바아를 전진시켜 상기 함체 바디의 상부를 후단 방향으로 밀어 상기 함체 바디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클라우드 PC 및 저장소 구축 사업의 원활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가정용 캐비닛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은 도 2의 서버 보관용 함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함체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6의 전단 링크와 제1 곡선형 바아, 제2 곡선형 바아 및 제3 곡선형 바아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가정용 캐비닛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가정용 캐비닛은, 수납 케이스(1), 개폐 도어(2) 및 지지대(3)를 포함한다.
수납 케이스(1)는, 그릇 또는 접시를 수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개폐 도어(2)는, 수납 케이스(1)의 전면 개구를 개폐한다.
지지대(3)는, 수납 케이스(1)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수납 케이스(1)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가정용 캐비닛은, 접시 등의 가정용 식기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주방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10)은, 통합 형상 관리 시스템(100), 가상화 스토리지(200) 및 가상화 운영 서버(300)를 포함한다.
통합 형상 관리 시스템(100)은, 자료 유출 방지, 시큐어코딩을 통한 서버 기반 보안, 및 자산과 이력을 관리한다.
가상화 스토리지(200)는, 가상화된 데이터를 관리한다.
가상화 운영 서버(300)는, 원격의 사용자에게 통합형상관리시스템의 접속을 위한 서버로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10)은, 클라우드 PC 및 저장소 구축 사업의 원활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20)은, 통합 형상 관리 시스템(100), 가상화 스토리지(200), 가상화 운영 서버(300) 및 서버 보관용 함체(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 형상 관리 시스템(100), 가상화 스토리지(200) 및 가상화 운영 서버(30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서버 보관용 함체(400)는, 가상화 운영 서버(300)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가상화 운영 서버(300)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보관용 함체(400)는, 함체 바디(410), 다수 개의 렉(420), 전방 차폐 도어(430) 및 함체 받침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 바디(410)는, 전면이 개방 형성되고, 가상화 운영 서버(300)가 안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렉(420)은, 가상화 운영 서버(300)의 각각 파트가 개별 수용되기 위한 다수 개의 단위 구획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체 바디(410)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전방 차폐 도어(430)는, 함체 바디(410)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함체 받침대(440)는, 함체 바디(41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함체 바디(410)를 지지한다.
이때, 함체 받침대(44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보관용 함체(400)의 이동을 위한 바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보관용 함체(400)의 이동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를 위한 고정식 고임목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20)은, 진동이나 충격에 민감한 장치인 가상화 운영 서버(300)를 서버 보관용 함체(400)에 보관시킴으로써, 가상화 운영 서버(300)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시스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은 도 2의 서버 보관용 함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보관용 함체(400a)는, 함체 바디(410), 다수 개의 렉(420), 전방 차폐 도어(430), 함체 받침대(440) 및 함체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함체 바디(410), 다수 개의 렉(420), 전방 차폐 도어(430) 및 함체 받침대(440)는,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함체 지지부(500)는, 함체 바디(41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함체 바디(410)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보관용 함체(400a)는, 지진 등으로 인해 가상화 운영 서버(300)가 안착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 보관용 함체(400a)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경우 함체 지지부(500)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흔들림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가상화 운영 서버(30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함체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함체 지지부(500)는, 제1 곡선형 바아(505), 제2 곡선형 바아(510), 제3 곡선형 바아(515), 전단 지지 플레이트(520), 전단 링크(525), 제4 곡선형 바아(530), 제5 곡선형 바아(535), 제6 곡선형 바아(540), 후단 지지 플레이트(545) 및 후단 링크(550)를 포함한다.
제1 곡선형 바아(505)는, 함체 바디(410)의 전단 바닥면에 안착되는 전단 지지 플레이트(520)로부터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면의 하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 하부를 지지한다.
제2 곡선형 바아(510)는, 함체 바디(410)의 전단 바닥면에 안착되는 전단 지지 플레이트(520)로부터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면의 상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 상부를 지지한다.
제3 곡선형 바아(515)는, 함체 바디(410)의 전단 바닥면에 안착되는 전단 지지 플레이트(520)로부터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면의 제1 곡선형 바아(505)의 후단 상부와 제2 곡선형 바아(510)의 후단 상부 사이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을 지지한다.
전단 지지 플레이트(520)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제1 곡선형 바아(505), 제2 곡선형 바아(510) 및 제3 곡선형 바아(515)의 각 전단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전단 링크(525)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함체 바디(410)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제1 곡선형 바아(505)가 함체 바디(410)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 함체 바디(410)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제2 곡선형 바아(510) 및 제3 곡선형 바아(515)를 전진시켜 함체 바디(410)를 지지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함체 지지부(500)는, 함체 바디(410)를 지지하는 구성은 제1 곡선형 바아(505)에 해당하는 것이고, 함체 바디(410)가 흔들림에 따라 제1 곡선형 바아(505)가 움직이게 되면 이에 따른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단 링크(525)를 승강시키게 되며, 전단 링크(525)가 승강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제2 곡선형 바아(510) 및 제3 곡선형 바아(515)를 전진시켜 함체 바디(410)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함체 바디(410)가 흔들리거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함체 바디(410)가 기울어져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제1 곡선형 바아(505), 제2 곡선형 바아(510), 제3 곡선형 바아(515), 전단 지지 플레이트(520) 및 전단 링크(525)의 설명은 후술하는 제4 곡선형 바아(530), 제5 곡선형 바아(535), 제6 곡선형 바아(540), 후단 지지 플레이트(545) 및 후단 링크(550)에도 대칭구조로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 곡선형 바아(530)는, 함체 바디(410)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함체 바디(410)의 후단 일측면의 하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함체 바디(410)의 후단 일측 하부를 지지한다.
제5 곡선형 바아(535)는, 함체 바디(410)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함체 바디(410)의 후단 일측면의 상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함체 바디(410)의 후단 일측 상부를 지지한다.
제6 곡선형 바아(540)는, 함체 바디(410)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함체 바디(410)의 후단 일측면의 제1 곡선형 바아(505)의 전단 상부와 제2 곡선형 바아(510)의 전단 상부 사이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함체 바디(410)의 후단 일측을 지지한다.
후단 지지 플레이트(545)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제4 곡선형 바아(530), 제5 곡선형 바아(535) 및 제6 곡선형 바아(540)의 각 후단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후단 링크(55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함체 바디(410)의 후단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함체 바디(410)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제4 곡선형 바아(530)가 함체 바디(410)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 함체 바디(410)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제5 곡선형 바아(535) 및 제6 곡선형 바아(540)를 후진시켜 함체 바디(410)를 지지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곡선형 바아(505)는, 후단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렉기어가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중간 기어(G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단 링크(525)는,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렉기어가 제1 중간 기어(G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함체 바디(410)가 흔들려 제1 곡선형 바아(505)가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1 중간 기어(G1)가 회전하면 함체 바디(410)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즉, 함체 바디(410)가 전단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함체 바디(410)를 지지하고 있던 제1 곡선형 바아(505)가 함체 바디(410)의 측면을 따라 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중간 기어(G1)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제1 중간 기어(G1)가 회전하면 이에 따라 전단 링크(525)가 승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단 링크(525)는, 급속한 승강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중간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완충 구조는,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525a), 하부 프레임(525a)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525b), 상부 프레임(525b)의 하측에 위치하며 하부 프레임(525a)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홈(525d)에 삽입되는 삽입 프레임(525c) 및 안착홈(525d)에 설치되어 삽입 프레임(525c)을 지지하여 하부 프레임(525a)과 상부 프레임(525b) 간의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지지 스프링(S)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곡선형 바아(510) 및 제3 곡선형 바아(515)는, 후단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렉기어가 함체 바디(410)의 전단 일측면의 상부 및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제2 중간 기어(G2)에 각각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중간 기어(G2)는, 전단에 설치되는 제3 중간 기어(G3)에 전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단 링크(525)는,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렉기어가 제3 중간 기어(G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중간 기어(G1)의 회전에 의해 승강될 경우 제3 중간 기어(G3)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중간 기어(G3)는, 전단 링크(525)의 승강에 따라 회전될 경우 제2 중간 기어(G2)를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중간 기어(G2)는, 제3 중간 기어(G3)에 의해 회전될 경우 제2 곡선형 바아(510)를 전진시켜 함체 바디(410)의 상부를 후단 방향으로 밀어 함체 바디(410)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100; 통합 형상 관리 시스템
200: 가상화 스토리지
300: 가상화 운영 서버
400: 서버 보관용 함체
500: 함체 지지부

Claims (1)

  1. 자료 유출 방지, 시큐어코딩을 통한 서버 기반 보안, 및 자산과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 형상 관리 시스템; 가상화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가상화 스토리지; 원격의 사용자에게 상기 통합형상관리시스템의 접속을 위한 서버로 동작하는 가상화 운영 서버; 및 상기 가상화 운영 서버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상화 운영 서버를 보관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서버 보관용 함체;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 보관용 함체는, 전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바디; 상기 가상화 운영 서버의 각각 파트가 개별 수용되기 위한 다수 개의 단위 구획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 바디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렉; 상기 함체 바디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전방 차폐 도어; 상기 함체 바디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함체 바디를 지지하기 위한 함체 받침대; 및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함체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함체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 지지부는,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하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1 곡선형 바아;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상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2 곡선형 바아;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상기 제1 곡선형 바아의 후단 상부와 상기 제2 곡선형 바아의 후단 상부 사이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3 곡선형 바아;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 곡선형 바아, 상기 제2 곡선형 바아 및 상기 제3 곡선형 바아의 각 전단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전단 지지 플레이트;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함체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상기 제1 곡선형 바아가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제2 곡선형 바아 및 상기 제3 곡선형 바아를 전진시켜 상기 함체 바디를 지지하도록 하는 전단 링크;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면의 하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제4 곡선형 바아;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면의 상부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 상부를 지지하는 제5 곡선형 바아;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면의 상기 제1 곡선형 바아의 전단 상부와 상기 제2 곡선형 바아의 전단 상부 사이로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을 지지하는 제6 곡선형 바아;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4 곡선형 바아, 상기 제5 곡선형 바아 및 상기 제6 곡선형 바아의 각 후단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후단 지지 플레이트;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함체 바디의 후단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함체 바디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에 따라 상기 제4 곡선형 바아가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제5 곡선형 바아 및 상기 제6 곡선형 바아를 후진시켜 상기 함체 바디를 지지하도록 하는 후단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형 바아는, 후단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렉기어가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중간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단 링크는,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렉기어가 상기 제1 중간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함체 바디가 흔들려 상기 제1 곡선형 바아가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중간 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함체 바디의 일측면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제2 곡선형 바아는, 후단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렉기어가 상기 함체 바디의 전단 일측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중간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중간 기어는, 전단에 설치되는 제3 중간 기어에 전단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단 링크는, 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렉기어가 상기 제3 중간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중간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승강될 경우 상기 제3 중간 기어를 회전시켜 주며,
    상기 제3 중간 기어는, 상기 전단 링크의 승강에 따라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중간 기어를 회전시켜 주며,
    상기 제2 중간 기어는, 상기 제3 중간 기어에 의해 회전될 경우 상기 제2 곡선형 바아를 전진시켜 상기 함체 바디의 상부를 후단 방향으로 밀어 상기 함체 바디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KR1020200091972A 2020-07-23 2020-07-23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KR10223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72A KR102239930B1 (ko) 2020-07-23 2020-07-23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972A KR102239930B1 (ko) 2020-07-23 2020-07-23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930B1 true KR102239930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972A KR102239930B1 (ko) 2020-07-23 2020-07-23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907B1 (ko) * 2021-04-20 2021-07-08 주익중 빌딩 자동화 시스템
KR102446869B1 (ko) * 2021-06-02 2022-09-22 정일웅 온라인 판매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793A (en) * 1979-06-26 1982-03-16 Royston Manufacturing Corporation Sheet metal cabinet
KR200199559Y1 (ko) * 2000-04-27 2000-10-02 장동만 타워형 주방가구
JP2002159357A (ja) * 2000-11-24 2002-06-04 Hoshizaki Electric Co Ltd 保管庫の連結構造
JP2005270195A (ja) * 2004-03-23 2005-10-06 Eidai Co Ltd 収納システム
KR200399059Y1 (ko) 2005-07-13 2005-10-19 홍승호 실험기기 전용 보관장
KR200399995Y1 (ko) 2005-07-25 2005-11-02 홍승호 실험기기 보관장
KR20170060840A (ko) * 2015-11-25 2017-06-02 나상윤 제어반 수납캐비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793A (en) * 1979-06-26 1982-03-16 Royston Manufacturing Corporation Sheet metal cabinet
KR200199559Y1 (ko) * 2000-04-27 2000-10-02 장동만 타워형 주방가구
JP2002159357A (ja) * 2000-11-24 2002-06-04 Hoshizaki Electric Co Ltd 保管庫の連結構造
JP2005270195A (ja) * 2004-03-23 2005-10-06 Eidai Co Ltd 収納システム
KR200399059Y1 (ko) 2005-07-13 2005-10-19 홍승호 실험기기 전용 보관장
KR200399995Y1 (ko) 2005-07-25 2005-11-02 홍승호 실험기기 보관장
KR20170060840A (ko) * 2015-11-25 2017-06-02 나상윤 제어반 수납캐비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907B1 (ko) * 2021-04-20 2021-07-08 주익중 빌딩 자동화 시스템
KR102446869B1 (ko) * 2021-06-02 2022-09-22 정일웅 온라인 판매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930B1 (ko)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RU2011141853A (ru) Система вертика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медикаментов
US10606308B2 (en) Game station and methods of using game stations
US8967742B1 (en) Roof shoe storage attic
US7789473B2 (en) Multi-section cabinet
US11910925B2 (en) Furniture objects including hidden containers
KR20210112605A (ko) Pc방 책상의 회전식 식탁테이블
CN215014872U (zh) 一种鞋柜
US5676260A (en) Video cassette storage rack arrangement
CN208769149U (zh) 一种安全柜
KR20220012760A (ko) 가상화 서버 구축 시스템
CN216875792U (zh) 一种方便安装的装配式展示柜
CN215423428U (zh) 多功能茶几
CN213757328U (zh) 阻尼升降装置、升降拉篮及吊柜
KR102249548B1 (ko) It 시스템 장비
CN219645329U (zh) 储物柜
JPS5918301Y2 (ja) 冷蔵庫用棚装置
KR102178466B1 (ko) 전복 방지용 서랍을 구비하는 가구
CN208463439U (zh) 一种转动拉出式烟柜
JP4443311B2 (ja) 昇降収納ラックの収納装置
JP2003000363A (ja) 書棚付き机
JPH11103962A (ja) 収納什器の転倒防止装置
JP2004507302A (ja) コンピュータルーム用デスク
JP2018000404A (ja) 転倒防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
JPH083305Y2 (ja) 引出し可能な回転テーブル付き収納家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