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478B1 -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478B1
KR102276478B1 KR1020210040003A KR20210040003A KR102276478B1 KR 102276478 B1 KR102276478 B1 KR 102276478B1 KR 1020210040003 A KR1020210040003 A KR 1020210040003A KR 20210040003 A KR20210040003 A KR 20210040003A KR 102276478 B1 KR102276478 B1 KR 102276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advertisement
upper s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성
Original Assignee
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성 filed Critical 정기성
Priority to KR102021004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물요소 로고 배경색 텍스트 등을 입력하면 이에 맞는 사이즈로 광고 이미지를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출력될 광고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변환시켜 주는 이미지 변환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ADVERTISEMENT PRODUCTION CONVERSION AUTOMATION SYSTEM TO IMPROVE DIGITAL DISPLAY ADVERTISEMENT EFFICIENCY AND EFFCET}
본 발명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물요소 로고 배경색 텍스트 등을 입력하면 이에 맞는 사이즈로 광고 이미지를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상의 웹 페이지는 대부분 사용자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또는 이미지 정보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강조하기 위해 gif, jpg 등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형식의 문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웹 페이지에 gif나 jpg 형태로 된 이미지 파일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절차가 필요하다.
우선, 웹 페이지의 제작자는 HTML 형식에 맞추어서 웹 페이지를 제작하도록 되어 있는 웹 페이지 제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삽입한다. 그 밖에 텍스트 등 기타 처리를 거쳐 최종적으로 웹 페이지를 완성하고, FTP 등을 통해 웹 페이지를 웹 서버에 올리게 된다. 이렇게 하여, 웹 서버에 저장된 웹 페이지는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웹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요청(request)할 때마다 해당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일단 웹 페이지에 삽입되어 웹 서버에 업로드되면 사용자는 고정된 형태의 웹 페이지만을 보게 되므로, 웹 페이지에 삽입되어 있는 이미지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또는 크다고 생각되어 이미지 크기를 조정하고 싶으면, 원본 이미지 파일 자체를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 예컨대 포토샵(photoshop) 등을 사용하여 크기를 조절한 후 이를 웹 페이지에 삽입하여 웹 서버로 다시 업로드해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6300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676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물요소 로고 배경색 텍스트 등을 입력하면 이에 맞는 사이즈로 광고 이미지를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은,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출력될 광고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변환시켜 주는 이미지 변환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변환 서버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서 광고에 사용될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로부터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부;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함께 광고에 출력할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합성부; 및 상기 합성부에서 합성 생성된 이미지를 광고에 사용될 사이즈의 이미지로 변환시켜 주는 리사이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JSON(제이슨, JavaScript Object Notation) 파일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JSON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입력값들을 불러들여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입력값들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사이즈부는, 서로 다른 사이즈 규격의 광고들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해당 사이즈 규격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변환 서버는, 이미지, 배경색,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수정이 가능하도록 디폴트로 제작된 디폴트 이미지들을 기 제작하여 저장해 두는 디폴트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는,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측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주는 진동 완충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인쇄물의 이미지가 하측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안착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인쇄물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획득하는 스캔부; 상기 본체의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측을 덮는 덮개; 및 상기 본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구동을 입력받는 구동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완충부는, 상기 하부 설치홈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바닥면에 안착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진동 흡수부;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각 상부가 상기 진동 흡수부의 외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회전 유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흡수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 기둥;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 상기 상부 지지 기둥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에 상부가 삽입되는 하부 지지 기둥; 상기 하부 안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안착홈으로 삽입된 상기 하부 지지 기둥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 스프링; 및 상기 회전 유도 프레임의 상부 일측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도 프레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 바아; 상기 회전 유도홈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지지 바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유도홈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는 수평 밀착 바아; 상기 수평 밀착 바아의 전단에 형성되며, 전면이 전단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전단 받침대; 상기 전단 받침대의 전단 경사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단 받침대의 전단 경사면과 상기 회전 유도홈의 전단 벽면 사이를 지지하는 사선 지지 스프링; 및 상기 회전 유도홈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상기 수평 밀착 바아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회전 유도홈의 내측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을 회전시켜 주는 회전 유도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인물요소 로고 배경색 텍스트 등을 입력하면 이에 맞는 사이즈로 광고 이미지를 자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광고 이미지를 필요한 사이즈 별로 개별 작업하여 준비하여 했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함으로써, 광고 제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 변환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이미지 자유 변환을 구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이미지 획득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진동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10)은, 이미지 획득 장치(100) 및 이미지 변환 서버(200)를 포함한다.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며, 획득한 이미지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네트워크(N)를 통해 이미지 변환 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미지 변환 서버(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출력될 광고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로 변환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변환 서버(200)는, 광고주 등의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서도 이미지 변환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광고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로 변환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10)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 프로그램인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웹 페이지를 통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10)은, 인물요소 로고 배경색 텍스트 등을 입력하면 이에 맞는 사이즈로 광고 이미지를 자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광고 이미지를 필요한 사이즈 별로 개별 작업하여 준비하여 했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함으로써, 광고 제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 변환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미지 변환 서버(200)는, 이미지 선택부(210), 이미지 추출부(220), 입력부(230), 합성부(240) 및 리사이즈부(25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선택부(2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서 광고에 사용될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선택부(210)는, 출력 장치(즉, 모니터 등)(M)에 출력되는 도 3의 S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에 사용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 추출부(220)는, 이미지 선택부(210)에서 선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이미지 획득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로부터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추출부(220)는, 이미지 선택부(210)에서 JSON(제이슨, JavaScript Object Notation) 파일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JSON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입력값들을 불러들여 추출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이미지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함께 광고에 출력할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이미지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입력값들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장치(M)에 표시되는 입력창(S5)을 통해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합성부(240)는, 입력부(230)에서 입력받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 추출부(220)에서 추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여, 도 3의 S1, S2 및 S3 등과 같은 합성 이미지를 생성시킨다.
리사이즈부(250)는, 합성부(240)에서 합성 생성된 이미지를 광고에 사용될 사이즈의 이미지(즉, S1, S2 및 S3)로 변환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리사이즈부(250)는, 서로 다른 사이즈 규격의 광고(예를 들어, 네이버, 카카오, 또는 구글 등)들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해당 사이즈 규격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미지 변환 서버(200)는, 이미지, 배경색,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수정이 가능하도록 디폴트로 제작된 디폴트 이미지들을 기 제작하여 저장해 두는 디폴트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미지 변환 서버(200)는, 인물요소 로고 배경색 텍스트 등을 입력하면 이에 맞는 사이즈로 광고 이미지를 자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광고 이미지를 필요한 사이즈 별로 개별 작업하여 준비하여 했던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함으로써, 광고 제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이미지 획득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본체(110), 진동 완충부(120), 안착부(130), 스캔부(140), 덮개(150) 및 구동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측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진동 완충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진동 완충부(120)는, 본체(110)의 하측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111) 마다 각각 설치되어 본체(110)를 지지하면서 본체(11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완충부(12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121)가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안착부(130)는, 본체(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인쇄물의 이미지가 하측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상측면을 형성한다.
스캔부(140)는,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구동 입력부(160)에 의한 구동 요청에 따라 본체(110)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착부(13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인쇄물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획득한다.
덮개(150)는, 스캔부(14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안착부(130)의 상측을 덮는다.
구동 입력부(160)는, 본체(110)의 전단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스캔부(140)의 구동을 입력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미지 획득 장치(100)는, 이미지를 획득함에 따라서 스캔부(14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스캔부(140)에 의한 정밀한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지돌고 하여 광고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진동 완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완충부(400)는, 고정 플레이트(410), 받침 플레이트(420), 진동 흡수부(430) 및 회전 유도 프레임(440)을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410)는, 진동 흡수부(430)의 상측에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20)와 대향하면서 하부 설치홈(111)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본체(11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420)는, 고정 플레이트(410)와 대향하면서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진동 흡수부(430)를 지지한다.
진동 흡수부(430)는, 고정 플레이트(410)와 받침 플레이트(42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본체(110)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410)와 받침 플레이트(420) 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고정 플레이트(410)와 받침 플레이트(4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며, 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프레임(440)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 흡수부(430)는,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431), 상부 지지 기둥(432),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433), 하부 지지 기둥(434), 수직 지지 스프링(435) 및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431)은, 고정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 기둥(432)을 고정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시킨다.
상부 지지 기둥(432)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431)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들이 형성되고,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하부 지지 기둥(434)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431)으로부터 상하 방향의 외력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433)은, 받침 플레이트(42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기둥(434)을 받침 플레이트(42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시킨다.
하부 지지 기둥(434)은, 상부 지지 기둥(432)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433)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 지지 기둥(432)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4321)에 상부가 삽입되어 하부 안착홈(4321)의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 스프링(435)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면서 상부 지지 기둥(432)을 지지한다.
수직 지지 스프링(435)은, 하부 안착홈(4321)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부 안착홈(4321)으로 삽입된 하부 지지 기둥(434)의 상측을 지지하며, 상부 지지 기둥(432)과 하부 지지 기둥(434) 사이에 발생되는 상하 방향의 외력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완충시켜 준다.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은, 회전 유도 프레임(440)의 상부 일측, 즉 수평 밀착 바아(442)가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 지지 기둥(432)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회전 유도 프레임(440)은, 받침 플레이트(42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각 상부가 진동 흡수부(430)의 외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어, 진동 흡수부(430)를 지지하는 동시에 진동 흡수부(430)가 수축함에 따라 진동 흡수부(430)가 회전되도록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 유도 프레임(440)은, 수직 지지 바아(441), 수평 밀착 바아(442), 전단 받침대(443), 사선 지지 스프링(444) 및 회전 유도 돌기(44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지지 바아(44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420)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부 일측에 수평 밀착 바아(442)가 형성된다.
수평 밀착 바아(442)는,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과 대향하는 수직 지지 바아(44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의 내측면에 밀착 안착되며, 내측면에 회전 유도 돌기(445)가 형성된다.
전단 받침대(443)는, 수평 밀착 바아(442)의 전단에 형성되며, 사선 지지 스프링(444)이 안착되는 전면이 전단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4431)을 형성한다.
사선 지지 스프링(444)은, 전단 받침대(443)의 전단 경사면(4431)에 설치되어 전단 받침대(443)의 전단 경사면과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의 전단 벽면(4361) 사이를 지지한다.
즉, 사선 지지 스프링(444)은, 상부 지지 기둥(432)이 회전하는 동시에 하강함에 따라 사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의 전단 벽면(4361)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게 되는 것이다.
회전 유도 돌기(445)는,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수평 밀착 바아(442)의 일측을 따라 형성되며, 회전 유도홈(436-1, 436-2, 436-3, 436-4)의 내측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362)에 체결되어 상부 지지 기둥(43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딩홈(436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부 지지 기둥(432)을 회전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동 완충부(400)는, 이미지를 획득함에 따라서 스캔부(14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스캔부(140)에 의한 정밀한 이미지 획득이 이루어지돌고 하여 광고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100: 이미지 획득 장치
200: 이미지 변환 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2)

  1.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출력될 광고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변환시켜 주는 이미지 변환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변환 서버는,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서 광고에 사용될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로부터 추출하는 이미지 추출부;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함께 광고에 출력할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와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합성부; 및
    상기 합성부에서 합성 생성된 이미지를 광고에 사용될 사이즈의 이미지로 변환시켜 주는 리사이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추출부는,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JSON(제이슨, JavaScript Object Notation) 파일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JSON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입력값들을 불러들여 추출하며,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입력값들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며,
    상기 리사이즈부는,
    서로 다른 사이즈 규격의 광고들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해당 사이즈 규격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사이즈 규격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해 두며,
    상기 이미지 변환 서버는,
    이미지, 배경색,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별 수정이 가능하도록 디폴트로 제작된 디폴트 이미지들을 기 제작하여 저장해 두는 디폴트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는,
    광고에 사용할 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측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면서 상기 본체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주는 진동 완충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인쇄물의 이미지가 하측으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안착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인쇄물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획득하는 스캔부;
    상기 본체의 후단에 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의 상측을 덮는 덮개; 및
    상기 본체의 전단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구동을 입력받는 구동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완충부는,
    상기 하부 설치홈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바닥면에 안착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진동 흡수부;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각 상부가 상기 진동 흡수부의 외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는 회전 유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흡수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회전 유도 베어링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 기둥;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
    상기 상부 지지 기둥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회전 유도 베어링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에 상부가 삽입되는 하부 지지 기둥;
    상기 하부 안착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안착홈으로 삽입된 상기 하부 지지 기둥의 상측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 스프링; 및
    상기 회전 유도 프레임의 상부 일측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 기둥의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40003A 2021-03-26 2021-03-26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KR10227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03A KR102276478B1 (ko) 2021-03-26 2021-03-26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03A KR102276478B1 (ko) 2021-03-26 2021-03-26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478B1 true KR102276478B1 (ko) 2021-07-12

Family

ID=7685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03A KR102276478B1 (ko) 2021-03-26 2021-03-26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4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006B1 (ko) 2007-11-16 2010-06-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환 영역에서 영상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는 방법 및 그장치
KR20100076767A (ko) 2008-12-26 2010-07-06 (주)이니셜커뮤니케이션즈 텍스트 및 이미지 컨텐츠 변환 및 광고 삽입 장치, 방법 및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80084240A (ko) * 2017-01-16 2018-07-25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복수의 이미지들을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006B1 (ko) 2007-11-16 2010-06-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환 영역에서 영상 이미지의 크기를 변환하는 방법 및 그장치
KR20100076767A (ko) 2008-12-26 2010-07-06 (주)이니셜커뮤니케이션즈 텍스트 및 이미지 컨텐츠 변환 및 광고 삽입 장치, 방법 및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80084240A (ko) * 2017-01-16 2018-07-25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복수의 이미지들을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9307A1 (en) Rendering source regions into target regions of web pages
van Noort et al. Peripheral downflows in sunspot penumbrae
CN103365862A (zh) 一种用于生成与页面对应的图片的方法与设备
WO2014155742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102366263B1 (ko) 디지털 이미지 프리젠테이션
KR102276478B1 (ko)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효율 및 효과 개선을 위한 광고물 제작 변환 자동화 시스템
JP201504136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200622A (ja) 電子文書生成装置、電子文書生成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080017815A (ko) 해상도에 따라 콘텐츠 영역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1009974B1 (ko) 코드 패턴을 이용한 지리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Novak et al. Digitizing historical maps and their presentation in online map collections
JP2012108747A (ja) リンク先コンテンツ先読み装置と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
KR101557985B1 (ko) 모바일 단말용 사진 인화 방법 및 시스템
US20180246980A1 (en) Uniform Resource Locator Link Generator
JP7398723B1 (ja) 画像生成装置、プロンプト作成支援装置、プログラ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CN108920042B (zh) 一种表单显示方法、系统、存储介质及设备
KR102327372B1 (ko) 반응형 웹사이트 시스템
Fear The Christianization of Western Baetica: Architecture, Power, and Religion in a Late Antique Landscape by Jerónimo Sánchez Velasco
Harty Michael Norman Salda
WO2011065369A1 (ja) バナー生成システム、バナー生成装置、バナー生成方法、バナー生成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6038269B1 (ja) 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Maddox-Harle In the Grand Tradition: The Enduring Art of Elbert Weinberg ed. by Nancy Finlay
CN103957466A (zh) 基于机顶盒进行网页展示的方法、服务器及系统
Lindsay Jan Kozák, Vladimir Cermák: the illustrated history of natural disasters: Springer, 2010. Hardcover, 231 pages, ISBN-10: 9048133246, ISBN-13: 978–9048133246
Lazzari et al. PALEOBAS: A Geo-application for Mobile Phones–A New Method of Knowledge and Public Protection of the Paleontological Heritage of Basilicata (Southern Ita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