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410A -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410A
KR20190141410A KR1020180068132A KR20180068132A KR20190141410A KR 20190141410 A KR20190141410 A KR 20190141410A KR 1020180068132 A KR1020180068132 A KR 1020180068132A KR 20180068132 A KR20180068132 A KR 20180068132A KR 20190141410 A KR20190141410 A KR 20190141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kiosk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하
Original Assignee
(주)이지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위드 filed Critical (주)이지위드
Priority to KR102018006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1410A/ko
Publication of KR20190141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전 설정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키오스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키오스크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키오스크 및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가맹점 단말기와,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와,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한다. 컨텐츠 선택부는 키오스크의 지오펜스 내로 처음 접근한 사용자와 복수 회 접근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Description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KIOSK}
본 발명은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 역사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무인으로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무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가상 공간과 오프라인이 연결되고 사람들의 생활 패턴이 변화하고 있다. 모바일은 일상 밀착형이라는 점에서 온라인 시대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즉, 모바일 시대에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고, 바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의 택시를 원하는 곳으로 부를 수도 있다.
온-오프라인의 통합에 대한 이슈가 뜨거워지면서 O2O(online to offline)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모바일과 사물인터넷에 관련한 다양한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면서 이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경쟁력인 시대가 되었다. O2O는 모바일 시대의 속성을 잘 반영한 키워드로, 모바일이 일상 밀착형이라는 점에서 자연스럽게 도출된 것이다.
O2O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결합,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의미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고객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가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연계 비즈니스를 총칭한다. 협의의 관점에서 O2O는 온라인으로 고객을 유치하여 오프라인 커머스를 지원하는 것을 의미했으나, 현재는 O2O를 광의의 관점에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며,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의 연결 또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연결 모두를 O2O로 보고 있다.
O2O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온라인 소비자와 연결해 준다. 예를 들어, 소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근처 매장의 할인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발송해 소비자를 매장으로 유도하거나, 스마트폰에서 예약, 주문, 결제 후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있다.
현재, 배달음식 주문, 택시 승차 요청, 숙박 예약, 부동산 매물 검색에 이르기까지 스마트폰 하나면 모든 것이 가능한 O2O 서비스가 전방위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 입장에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업자의 입장에서는 더욱 적은 비용으로 운영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7-0031476호 (2017. 03. 2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쇼핑 환경을 고객의 관점에서 더욱 편리하게 개선하고, 가맹점 입장에서 쇼핑 접근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여 매출을 확대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고객의 정보를 수집하여 가맹점에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이 마케팅 전략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해주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전 설정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키오스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키오스크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기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키오스크의 지오펜스 내로 처음 접근한 사용자와 복수 회 접근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무선 식별 정보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품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함 및 상기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상품 취출부와,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로부터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정보 검출부와, 사용자의 감성 정보를 검출하는 감성 정보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하는 환경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환경 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영상 통화할 수 있는 영상 통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키오스크의 영상 통화부와 영상 통화 가능한 영상 통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및 가맹점 단말기와 통신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키오스크에 설치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로 상기 키오스크 주변의 사전 설정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를 통해 취득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식부로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 단계;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각종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되, 상기 키오스크의 지오펜스 내로 처음 접근한 사용자와 복수 회 접근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 단계; 및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키오스크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는 카메라로 사용자를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감정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선택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되는 사용자의 SNS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품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함 및 상기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상품 취출부와, 사용자를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비용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결제부를 통해 상품에 대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상품 취출부에 결제된 상품이 있으면 상기 상품 취출부를 통해 해당 상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상기 상품 취출부에 결제된 상품이 없으면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상품이 있는 매장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하는 환경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환경 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영상 통화할 수 있는 영상 통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의 영상 통화부를 통한 사용자의 영상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구비되는 영상 통화부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의 쇼핑 환경을 고객의 관점에서 더욱 편리하게 개선하고, 가맹점 입장에서 쇼핑 접근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여 매출을 확대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키오스크 주변의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 정보에 따라 맞춤형 컨텐츠를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고객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 및 가맹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어 가맹점이 마케팅 전략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고객의 성향에 맞는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품 취출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지하철 역사나 캠퍼스 등 사람들 통행에 제한이 적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200)와, 네트워크(600)에 접속하여 키오스크(200)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300)와, 네트워크(600)에 접속하여 키오스크(200) 및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는 가맹점 단말기(400)와, 네트워크(600)에 접속하여 키오스크(200)와 관리 서버(300) 및 가맹점 단말기(400)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키오스크(200) 주위의 사전 설정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에 따라 광고나 상품 정보, 매장 위치 등의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키오스크(200)는 키오스크 본체(205)와, 입력부(210)와, 디스플레이부(215)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와, 사용자 인식부(225)와, 환경 정보 검출부(230)와, 통신부(235)와, 컨텐츠 저장부(240)와, 컨텐츠 선택부(245)와, 결제부(250)와, 상품 취출부(255)와, 인증부(260)와, 인쇄부(265)와, 영상 통화부(270)와, 키오스크 제어부(275)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으로, 터치 스크린이나 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키오스크 본체(205)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형태의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부(215)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한 컨텐츠를 요청하거나,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거나,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 정보나 상품 수령을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210)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는 키오스크 제어부(275)로 송신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5)는 키오스크 본체(205)의 전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215)는 키오스크 제어부(275)에 의해 제어되어 광고나 상품 정보, 매장 위치 등의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는 키오스크(200) 주변의 사전 설정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한다.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는 카메라(221)와 무선 식별 정보 검출부(222)를 포함한다. 카메라(221)는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한다. 무선 식별 정보 검출부(222)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500)와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기(5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검출한다. 무선 식별 정보 검출부(222)는 BLE, wifi, RFID, 지그비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225)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225)는 생체 정보 검출부(226)와, 감성 정보 검출부(227)를 포함한다.
생체 정보 검출부(226)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부(225)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로서 촬영 이미지를 제공받는 경우,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얼굴 형태, 키, 체온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식부(225)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로부터 무선 식별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인식부(225)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사전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의 성별, 연령, 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하고 필요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원하는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킬 수 있다. 서비스 가입을 원하는 사용자는 서비스 가입을 위해 성별, 연령, 관심 분야 등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제공하게 되고,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소유 사용자 단말기(500)의 무선 식별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매칭하여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가 무선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사용자 인식부(225)가 무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 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500)에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성 정보 검출부(227)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감성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감성 정보 검출부(227)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제공받고,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쁨, 화남, 즐거움, 슬픔 등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환경 정보 검출부(230)는 키오스크(200)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한다. 환경 정보로는 키오스크(200) 주변의 기온, 습도, 소음량, 미세먼지 농도 등 사용자의 행태나 감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정보가 될 수 있다.
통신부(235)는 네트워크(600)와 연결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235)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네트워크(600)에 접속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부(240)는 키오스크(200)의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될 각종 컨텐츠를 저장한다. 컨텐츠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컨텐츠로는 서비스 제공업자(가맹점)가 제공하는 광고, 제품이나 매장 소개 자료, 매장 위치, 가맹점 정보, 할인 정보, 제품이나 매장 관련 SNS 정보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컨텐츠 선택부(245)는 컨텐츠 저장부(240)에 저장된 컨텐츠 중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즉, 컨텐츠 선택부(245)는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생체 정보 및 감정 정보와, 환경 정보 검출부(230)가 검출한 환경 정보에 따라 적합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성별, 연령, 얼굴 형태, 키, 체온 등의 생체 정보와, 기쁨, 화남, 즐거움, 슬픔 등 사용자의 감정 정보와, 기온, 습도, 소음량, 미세먼지 농도 등의 환경 정보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될 컨텐츠는 미리 사전 설정될 수 있으며, 컨텐츠 선택부(245)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감정 정보와, 환경 정보를 복합적으로 반영하여 적합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부(245)는 키오스크(200)의 지오펜스 내로 처음 접근한 사용자와 복수 회 접근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사용자가 키오스크(200)의 지오펜스 내로 처음 접근한 사용자인 경우, 컨텐츠 선택부(245)는 사전 설정된 광고를 선택하거나, 키오스크(200) 주변의 매장이나 관광지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사용자가 키오스크(200)의 지오펜스 내로 두 번 이상 접근한 사용자인 경우, 컨텐츠 선택부(245)는 사전 설정된 또 다른 광고를 선택하거나,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해당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거나 관심을 가질만한 컨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부(245)는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조회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SNS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확인하고, SNS 정보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결제부(250)는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를 위한 비용 결제를 처리한다. 결제부(250)는 가맹점이나, 은행, 카드사 등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비용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는 결제부(250)를 통해 원하는 상품이나, 이용권, 쿠폰, 서비스를 현장에서 구매할 수 있다.
상품 취출부(255)는 상품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함(256)과, 수납함(256)을 개폐하는 도어(257)를 포함한다. 상품 취출부(255)는 다양한 크기로 키오스크 본체(205)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품 취출부(255)에 상품이 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현장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수령할 수 있다. 도어는 키오스크 제어부(275)에 의해 개폐 제어될 수 있다.
인증부(260)는 사용자를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 키오스크(200)가 설치된 현장에서 인증부(260)를 통해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인증부(260)는 암호 입력 방식, 생체 정보 확인 방식, 광학 스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인쇄부(265)는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인쇄부(265)를 통해 이용권이나, 상품권, 쿠폰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영상 통화부(270)는 사용자에게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영상 통화부(270)를 통해 가맹점과 직접 영상 통화하여 정보를 얻거나, 가맹점 측에 직접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키오스크 제어부(275)는 디스플레이부(215)나 상품 취출부(255)의 동작 등 키오스크(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관리 서버(300)는 입력부(310)와, 디스플레이부(315)와, 저장부(320)와, 통신부(325)와, 관리 서버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해 키오스크(200)와, 가맹점 단말기(400) 및 사용자 단말기(500)와 통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를 통해 관리자가 키오스크(200)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의 저장부(320)에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키오스크(200)에서 취득되는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이를 빅데이터화하여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되는 사용자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400)에 제공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기(400)는 입력부(410)와, 디스플레이부(415)와, 카메라(420)와, 저장부(425)와, 통신부(430)와, 영상 통화부(435)와, 가맹점 단말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카메라(420)와 영상 통화부(435)는 가맹점 측이 키오스크(200)의 영상 통화부(270)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영상 통과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가맹점 단말기(4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업자가 서비스 공급을 위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키오스크(200)와 관리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500)와 소통하면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500)는 입력부(510)와, 디스플레이부(515)와, 저장부(520)와, 통신부(525)와, 사용자 단말 제어부(53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 사용자가 키오스크(20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거나, 키오스크(200)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 가입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500)에 서비스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한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S10)와, 사용자 인식 단계(S20)와, 컨텐츠 선택 단계(S30)와, 컨텐츠 표시 단계(S40)와, 사용자 정보 송신 단계(S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S10)는 키오스크(200)의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로 키오스크(200) 주변의 사전 설정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카메라(221)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무선 식별 정보 검출부(22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500)와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기(500)의 무선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 단계(S20)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를 통해 취득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생체 정보 검출부(226)를 통해 사용자의 성별, 연령, 얼굴 형태, 키, 체온 등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감성 정보 검출부(227)를 통해 기쁨, 화남, 즐거움, 슬픔 등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식 단계(S20)에서 사용자 단말기(500)의 무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컨텐츠 선택 단계(S30)는 컨텐츠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각종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 인식부(225)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키오스크(200)의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생체 정보 및 감정 정보에 따라 컨텐츠 선택부(245)가 적합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감성 정보와 더불어, 환경 정보 검출부(230)가 검출한 환경 정보가 계절 및 시간대와 함께 반영되어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 단계(S30)에서 컨텐츠 선택부(245)가 키오스크(200)의 지오펜스 내로 처음 접근한 사용자와 복수 회 접근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부(245)는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사용자가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조회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SNS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확인하고, SNS 정보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컨텐츠 표시 단계(S40)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키오스크(200)의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500)에 서비스 이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경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500)에도 컨텐츠가 송신되어 사용자 단말기(500)에 관련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키오스크(200)의 지오펜스 내로 접근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사전에 가맹점으로부터 수주한 광고가 키오스크(200)의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송신 단계(S50)는 사용자 인식부(225)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를 가맹점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 인식부(225)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정보나, 사용자가 키오스크(200)를 통해 검색하거나 확인한 컨텐츠,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등의 정보가 가맹점 단말기(400)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가맹점 단말기(400)는 키오스크(2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키오스크(200)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 정보는 관리 서버(300)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빅데이터화하여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품의 현장 구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결제부(250)를 통해 상품 구매를 위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해당 상품이 수납되어 있는 상품 취출부(255)의 도어(257)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을 바로 수령할 수 있다. 결제된 상품이 상품 취출부(255)에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500)에 해당 상품이 있는 매장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수령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정보를 통해 분석한 사용자의 동선 상에 위치하는 매장이나, 가장 가까운 매장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200)에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없는 경우, 사용자의 구매 의사 정보가 가맹점 단말기(400)에 제공되어 가맹점 측에서 해당 상품을 상품 취출부(255)에 비치해 놓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측에서 키오스크(200)에 상품을 비치하게 되면 이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및 방법은 기존의 쇼핑 환경을 고객의 관점에서 더욱 편리하게 개선하고, 가맹점 입장에서 쇼핑 접근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여 매출을 확대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및 방법은 키오스크(200) 주변의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 정보에 따라 맞춤형 컨텐츠를 키오스크(200)의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및 방법은 고객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300) 및 가맹점 단말기(400)에 제공할 수 있어 가맹점이 마케팅 전략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고객의 성향에 맞는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키오스크(200)의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될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240)와, 사용자 정보 취득부(220)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225)와, 사용자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215)에 표시되도록 하는 컨텐츠 선택부(245)가 모두 키오스크(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들 구성요소의 설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저장부(240)와, 사용자 인식부(225)와, 컨텐츠 선택부(245)는 관리 서버(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해 실시간으로 키오스크(200)와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키오스크(200)의 디스플레이부(215)에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키오스크(200)에는 사운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0 : 키오스크 205 : 키오스크 본체
210, 310, 410, 510 : 입력부 215, 315, 415, 515 : 디스플레이부
220 : 사용자 정보 취득부 221, 420 : 카메라
222 : 무선 식별 정보 검출부 225 : 사용자 인식부
226 : 생체 정보 검출부 227 : 감성 정보 검출부
230 : 환경 정보 검출부 235, 325. 430, 525 : 통신부
240 : 컨텐츠 저장부 245 : 컨텐츠 선택부
250 : 결제부 255 : 상품 취출부
256 : 수납함 257 : 도어
260 : 인증부 265 : 인쇄부
270, 435 : 영상 통화부 275 : 키오스크 제어부
300 : 관리 서버 330 : 관리 서버 제어부
400 : 가맹점 단말기 440 : 가맹점 단말 제어부
500 : 사용자 단말기 530 : 사용자 단말 제어부
600 : 네트워크

Claims (15)

  1.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사전 설정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키오스크 제어부를 구비하고,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키오스크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키오스크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가맹점 단말기;
    상기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및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컨텐츠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키오스크의 지오펜스 내로 처음 접근한 사용자와 복수 회 접근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무선 식별 정보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품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함 및 상기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상품 취출부와,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로부터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정보 검출부와, 사용자의 감성 정보를 검출하는 감성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하는 환경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환경 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영상 통화할 수 있는 영상 통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키오스크의 영상 통화부와 영상 통화 가능한 영상 통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 및 가맹점 단말기와 통신하는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키오스크에 설치되는 사용자 정보 취득부로 상기 키오스크 주변의 사전 설정된 지오펜스 내로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부를 통해 취득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인식부로 처리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 단계;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각종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되, 상기 키오스크의 지오펜스 내로 처음 접근한 사용자와 복수 회 접근한 사용자를 구분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 단계; 및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키오스크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컨텐츠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는 카메라로 사용자를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대, 감정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취득 단계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식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되는 사용자의 SNS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관심 분야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품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함 및 상기 수납함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상품 취출부와, 사용자를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를 통한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비용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결제부를 통해 상품에 대한 결제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상품 취출부에 결제된 상품이 있으면 상기 상품 취출부를 통해 해당 상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상기 상품 취출부에 결제된 상품이 없으면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상품이 있는 매장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키오스크 주변의 환경 정보를 검출하는 환경 정보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상기 환경 정보 검출부가 검출한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영상 통화할 수 있는 영상 통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의 영상 통화부를 통한 사용자의 영상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구비되는 영상 통화부를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가 인식한 사용자 정보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068132A 2018-06-14 2018-06-14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1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32A KR20190141410A (ko) 2018-06-14 2018-06-14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132A KR20190141410A (ko) 2018-06-14 2018-06-14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410A true KR20190141410A (ko) 2019-12-24

Family

ID=6900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132A KR20190141410A (ko) 2018-06-14 2018-06-14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1410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134B1 (ko) * 2020-03-09 2020-06-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51976B1 (ko) * 2020-03-09 2020-09-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체험형 미세먼지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59831B1 (ko) * 2020-05-12 2020-09-24 정지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16783B1 (ko) * 2020-08-31 2021-02-17 주식회사 날다 음성인식 기반 비대면 및 비접촉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19734B1 (ko) * 2020-07-14 2021-02-24 주식회사 아이트립 공항에서 원격으로 호텔에 체크인하기 위한 IoT 시스템
KR20210108278A (ko) * 2020-02-25 2021-09-02 샘랩 주식회사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CN113469725A (zh) * 2020-03-31 2021-10-01 夏普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方法
KR20220038959A (ko) * 2020-09-21 2022-03-29 그루브웍스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20055537A (ko) * 2020-10-26 2022-05-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오스크 동작방법
KR102413051B1 (ko) 2021-11-26 2022-06-24 윤통현 시설 키오스크 운영 시스템
WO2022154604A1 (ko) * 2021-01-14 2022-07-2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KR20220114389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픽넘버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KR20220002050U (ko) * 2021-02-15 2022-08-23 (주)더블유아이피소프트 손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키오스크
KR102474399B1 (ko) * 2021-08-23 2022-12-07 박지호 사회적 약자가 손쉽게 활용하도록 접근성을 높인 키오스크와 키오스크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532408B1 (ko) * 2022-07-12 2023-05-15 주식회사 휘담 카메라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 출력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476A (ko)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비즈니스인사이트 소비자 구매 의사 정보 주도형 원투원 마케팅 커머스 플랫폼 모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476A (ko) 2015-09-11 2017-03-21 주식회사 비즈니스인사이트 소비자 구매 의사 정보 주도형 원투원 마케팅 커머스 플랫폼 모델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278A (ko) * 2020-02-25 2021-09-02 샘랩 주식회사 지문 또는 안면 인식을 연동해 이용권 판매 및 출입 관리가 가능한 키오스크를 이용한 학습 공간 관리 시스템
KR102151976B1 (ko) * 2020-03-09 2020-09-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체험형 미세먼지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27134B1 (ko) * 2020-03-09 2020-06-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3469725A (zh) * 2020-03-31 2021-10-01 夏普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方法
KR102159831B1 (ko) * 2020-05-12 2020-09-24 정지문 가상 캠퍼스 투어를 위한 캠퍼스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219734B1 (ko) * 2020-07-14 2021-02-24 주식회사 아이트립 공항에서 원격으로 호텔에 체크인하기 위한 IoT 시스템
KR102216783B1 (ko) * 2020-08-31 2021-02-17 주식회사 날다 음성인식 기반 비대면 및 비접촉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38959A (ko) * 2020-09-21 2022-03-29 그루브웍스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 키오스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220055537A (ko) * 2020-10-26 2022-05-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오스크 동작방법
WO2022154604A1 (ko) * 2021-01-14 2022-07-2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KR20220114389A (ko) * 2021-02-08 2022-08-17 주식회사 픽넘버 안면인식 및 열화상 검출기능을 갖는 키오스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KR20220002050U (ko) * 2021-02-15 2022-08-23 (주)더블유아이피소프트 손 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키오스크
KR102474399B1 (ko) * 2021-08-23 2022-12-07 박지호 사회적 약자가 손쉽게 활용하도록 접근성을 높인 키오스크와 키오스크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413051B1 (ko) 2021-11-26 2022-06-24 윤통현 시설 키오스크 운영 시스템
KR102532408B1 (ko) * 2022-07-12 2023-05-15 주식회사 휘담 카메라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 출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1410A (ko)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3952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 data analysis through machine learning
KR101734345B1 (ko) 매장의 실시간 혼잡도 정보제공을 통한 고객 관리시스템
US10902400B2 (en) Remotely controllable article dispens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EP2709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tel reservation and for automated check-in
US9544734B2 (en) Integrated network based e-commerce and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JP2000099827A (ja) 無線識別及び視覚デ―タ伝送を使用する顧客認識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97810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ing item information for try-on
KR102286946B1 (ko)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관리 시스템
JP4835023B2 (ja) 営業店システム
JP5628112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
KR102333757B1 (ko) 인공지능 기반 맞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24438A (ko) 매장 무인 판매 시스템
US20200202462A1 (en) System and Methods of Displaying Customer-Specific Digital Menu Boards
KR20170143228A (ko)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구매자 리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매 결제 정보를 연계하여 리뷰를 작성하는 방법
KR20200142661A (ko)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판기 상품 구매 시스템
KR20210015008A (ko) 성인용품 판매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26964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o2o 기반의 종합 이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20220125650A (ko)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한 간편 구매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00380969A1 (en) Voice-based transaction terminal ordering
JP4325427B2 (ja) 営業店システム
JP2002099861A (ja) 現金決済システム及び現金決済方法、現金決済処理装置、電子決済システム、及び電子マーキングシステム
KR20230040044A (ko) 지역 커뮤니티 기반 공유레스토랑 정보제공시스템
KR20230075866A (ko) 매장 내부 cctv 영상 확인 시스템
KR20230038948A (ko) 무인 매대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