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224B1 - 실시간 예약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예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224B1
KR102386224B1 KR1020210113724A KR20210113724A KR102386224B1 KR 102386224 B1 KR102386224 B1 KR 102386224B1 KR 1020210113724 A KR1020210113724 A KR 1020210113724A KR 20210113724 A KR20210113724 A KR 20210113724A KR 102386224 B1 KR102386224 B1 KR 10238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eservation
product
vertical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진
Original Assignee
화려한덕후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려한덕후들(주) filed Critical 화려한덕후들(주)
Priority to KR102021011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나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 주문, 숙박 업소 예약 또는 상품 구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상품 실시간 예약 구매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실시간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입력받아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개인 단말기로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입력받아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품 예약을 전송받을 경우 해당 상품의 예약 가부를 확인하며, 상품 예약이 가능한 경우 상품의 예약을 수행한 뒤 상품 예약의 완료를 전송하고, 상품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상품 예약의 불허를 전송하는 주문 접수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의 예약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취급하는 가맹점을 선별한 뒤 해당 가맹점에 설치되는 주문 접수 단말기로 상품의 예약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주문 접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예약의 완료 또는 상품 예약의 불허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예약 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예약 시스템{REAL-TIME RESERVATION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나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 주문, 숙박 업소 예약 또는 상품 구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상품 실시간 예약 구매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실시간 예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주문자들은 음식을 주문시 전화를 이용하여 음식점에 주문 전화를 걸게 된다. 주문자들은 전화를 걸어 주문 메뉴, 배달지의 주소 등에 대한 정보를 남기게 된다. 많은 음식점들이 이러한 음식 배달을 통해 매출을 향상 시키고 있다.
국내 외식 배달 시장은 1990년대 초 외국계 피자, 치킨 전문 프랜차이즈인 도미노 피자, 파파이스 등의 도입과 함께 형성되기 시작하여 1990년대 중반에는 이를 벤치마킹한 각종 토종 프랜차이즈들이 속속 들어서며 외국계 프랜차이즈들과 경쟁 구도 양상을 띠게 되었다.
한국 음식 중앙회에 신규 등록 음식점 중에서도 현재 배달 업체수가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기존의 점포형 사업자도 배달의 비중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음식 배달뿐만 아니라 다른 상품(예를 들어, 생필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후 소비자의 집까지 구매 상품을 배송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 판매점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주문 및 배달의 증가에 따라 주문자의 요청을 정확하게 처리하여 신속하게 배송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676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나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 주문, 숙박 업소 예약 또는 상품 구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상품 실시간 예약 구매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실시간 예약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예약 시스템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입력받아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개인 단말기로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입력받아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품 예약을 전송받을 경우 해당 상품의 예약 가부를 확인하며, 상품 예약이 가능한 경우 상품의 예약을 수행한 뒤 상품 예약의 완료를 전송하고, 상품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상품 예약의 불허를 전송하는 주문 접수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의 예약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취급하는 가맹점을 선별한 뒤 해당 가맹점에 설치되는 주문 접수 단말기로 상품의 예약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주문 접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예약의 완료 또는 상품 예약의 불허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예약 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직립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케이스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상품 예약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 감지 센서;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스크린 안착홈에 설치되며, 예약할 상품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품의 예약을 입력받으며, 상기 신장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에 대응하여 상단이 상기 스크린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거나 상기 스크린 안착홈으로 삽입되면서 틸팅 각도가 조절되는 틸팅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 안착홈에 설치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일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를 상기 스크린 안착홈으로부터 노출시켜 주는 제1 틸팅 구동부; 상기 제1 틸팅 구동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를 상기 스크린 안착홈으로부터 노출시켜 주는 제2 틸팅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틸팅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틸팅 모터; 상기 틸팅 모터의 구동축에 직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 바아; 및 일단이 상기 고정 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안착홈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전단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하부 전단에 모듈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 지지부는,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하부 전단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연장홈; 상기 하부 연장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전단의 경사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하부 연장홈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수평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완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경유 롤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경유 롤러; 및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1 경유 롤러 및 상기 제2 경유 롤러를 차례로 경유한 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큐브 형상의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큐브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을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 벽체; 상기 상부 벽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벽체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벽체; 및 상기 벽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벽체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벨트는, 일단이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와 대향하는 상기 하부 벽체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벽체 안착홈으로 삽입된 뒤 상기 벽체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벽체는,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와 대향하는 타측면에 상기 완충 벨트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 벨트를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 방향으로 경유시켜 주기 위한 벨트 경유 롤러가 관통홀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벽체는, 상기 벨트 경유 롤러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벽체의 관통홀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롤러 배치홈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나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 주문, 숙박 업소 예약 또는 상품 구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상품 실시간 예약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 구매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예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키오스크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틸팅 스크린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모듈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는 도 6의 완충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는 도 7의 제1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제1 수직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예약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예약 시스템(10)은, 키오스크 단말기(100), 사용자 단말기(200), 주문 접수 단말기(300) 및 예약 중계 서버(400)를 포함한다.
키오스크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예약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설치되며,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입력받아 네트워크(N)를 통해 예약 중계 서버(400)로 예약 요청을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예약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개인 단말기로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입력받아 네트워크(N)를 통해 예약 중계 서버(400)로 예약 요청을 전송한다.
여기서, 상품이라 함은, 음식 주문, 숙박 업소 예약 또는 생활 용품 구매 등과 같은 다양한 제화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화폐를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는 물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주문 접수 단말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예약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각 가맹점에 설치되는 POS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N)를 통해 예약 중계 서버(400)로부터 상품 예약을 전송받을 경우 해당 상품의 예약 가부를 확인하며, 상품 예약이 가능한 경우 상품의 예약을 수행한 뒤 상품 예약의 완료를 전송하고, 상품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상품 예약의 불허를 네트워크(N)를 통해 예약 중계 서버(400)로 전송한다.
예약 중계 서버(4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키오스크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상품의 예약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취급하는 가맹점을 선별한 뒤 해당 가맹점에 설치되는 주문 접수 단말기(300)로 상품의 예약 요청을 전송하며, 네트워크(N)를 통해 예약 중계 서버(400)로부터 주문 접수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예약의 완료 또는 상품 예약의 불허를 네트워크(N)를 통해 키오스크 단말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예약 시스템(10)은, 공공 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나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개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 주문, 숙박 업소 예약 또는 상품 구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상품 실시간 예약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 구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키오스크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오스크 단말기(100)는, 케이스(110), 스탠드(120), 신장 감지 센서(130) 및 틸팅 스크린(140)을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스탠드(120)에 의해 지지되어 직립되어 형성되며, 전면에 틸팅 스크린(140)가 설치되기 위한 스크린 안착홈(500)이 형성된다.
스탠드(120)는, 케이스(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케이스(110)를 지지한다.
신장 감지 센서(130)는, 케이스(110)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상품 예약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며, 측정된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틸팅 스크린(140)으로 전달한다.
틸팅 스크린(140)은, 케이스(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스크린 안착홈(500)에 설치되며, 예약할 상품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품의 예약을 입력받으며, 신장 감지 센서(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에 대응하여 상단이 스크린 안착홈(500)으로부터 노출되거나 스크린 안착홈(500)으로 삽입되면서 틸팅 각도가 조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키오스크 단말기(100)는,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신장이 큰 사용자의 경우에는 틸팅 스크린(140)이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신장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틸팅 스크린(140)이 틸팅되어 전면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틸팅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틸팅 스크린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틸팅 스크린(140)은,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 제1 틸팅 구동부(142), 제2 틸팅 구동부(143) 및 회동 지지부(144)를 포함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형성되며, 상부 일측 및 타측이 제1 틸팅 구동부(142)와 제2 틸팅 구동부(143)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가 회동 지지부(144)에 의해 지지되어 스크린 안착홈(500)에 설치된다.
제1 틸팅 구동부(142)는, 스크린 안착홈(5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상부 일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신장 감지 센서(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에 대응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상부를 스크린 안착홈(500)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틸팅 구동부(142)는, 틸팅 모터(1421), 고정 바아(1422) 및 회동 바아(1423)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모터(1421)는, 스크린 안착홈(5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 바아(142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고정 바아(1422)는, 틸팅 모터(1421)의 구동축에 직립되어 고정 설치되며, 틸팅 모터(1421)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동 바아(1423)를 회동시켜 준다.
회동 바아(1423)는, 일단이 고정 바아(142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고정 바아(1422)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된 형태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회동 바아(1423) 역시 직립되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스크린 안착홈(500)에 수납되도록 하고, 고정 바아(1422)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함에 따라 회동 바아(1423) 역시 고정 바아(1422)와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회동되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스크린 안착홈(500)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틸팅 구동부(143)는, 제1 틸팅 구동부(142)와 대향하면서 스크린 안착홈(50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상부 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신장 감지 센서(13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에 대응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상부를 스크린 안착홈(500)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여기서, 제2 틸팅 구동부(143)는, 상술한 제1 틸팅 구동부(142)와 대칭 구조로서, 제1 틸팅 구동부(142)의 틸팅 모터(1421), 고정 바아(1422) 및 회동 바아(142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틸팅 구동부(142)와 제2 틸팅 구동부(143)는, 동시에 동일한 각속도로 구동되어야 할 것이다.
회동 지지부(144)는, 스크린 안착홈(5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 안착홈(500)은, 경사면(141a)을 형성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하부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하부 전단의 경사면(141a)과 대향하는 하부 전단(111a)에 모듈 지지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틸팅 스크린(140)은,
신장이 큰 사용자의 경우에는 정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신장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틸팅되어 전면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를 바라볼 수 있도록 틸팅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모듈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듈 지지부(600)는, 하부 연장홈(610),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620) 및 지지 플레이트(630)를 포함한다.
하부 연장홈(610)은, 스크린 안착홈(500)의 하부 전단(111a)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완충 지지부(620)가 설치된다.
완충 지지부(620)는, 하부 연장홈(61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630)를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630)는,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620)에 의해 지지되어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하부 전단의 경사면(141a)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모듈 지지부(600)는,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하단(141a)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된 상태의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7는 도 6의 완충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지지부(800)는, 제1 수평 지지대(810), 제2 수평 지지대(820), 제1 수직 지지대(830), 제2 수직 지지대(840) 및 완충 모듈(850)을 포함한다.
제1 수평 지지대(810)는, 제2 수평 지지대(8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이 지지되어 지지 플레이트(63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2 수평 지지대(820)는, 제1 수평 지지대(8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수평 지지대(810)와 대향하면서 하부 연장홈(610)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부 일측 및 상부 타측에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가 직립되어 설치된다.
제1 수직 지지대(830)는,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수직 지지대(840)와 대향하면서 제1 수평 지지대(810)의 일측과 제2 수평 지지대(820)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810)의 일측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지지 플레이트(6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수직 지지대(840)는,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수직 지지대(830)와 대향하면서 제1 수평 지지대(810)의 타측과 제2 수평 지지대(820)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수평 지지대(810)의 타측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지지 플레이트(6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완충 모듈(850)은,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6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모듈(850)은, 제1 지지 프레임(8501), 제2 지지 프레임(8502), 제3 지지 프레임(8503), 제4 지지 프레임(8504),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 제4 지지 롤러(8508), 제1 경유 롤러(8509), 제2 경유 롤러(8510) 및 완충 벨트(85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8501)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8501a, 8501b)으로 이루어지며,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며, 제1 지지 롤러(8505)와 제2 경유 롤러(8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프레임(8502)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 프레임(850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며, 제2 지지 롤러(8506)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지지 프레임(8503)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 프레임(8502)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며, 제3 지지 롤러(8507)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4 지지 프레임(8504)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며, 제3 지지 프레임(8503)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수직 지지대(830)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를 지지하며, 제4 지지 롤러(8508)와 제1 경유 롤러(8509)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지지 롤러(8505)는, 제1 지지 프레임(8501)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8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8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2 지지 롤러(8506)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2 지지 롤러(8506)는, 제2 지지 프레임(8502)에 연결 설치되되, 제2 수직 지지대(840)보다 제1 수직 지지대(83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3 지지 롤러(8507)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3 지지 롤러(8507)는, 제3 지지 프레임(8503)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8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8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4 지지 롤러(8508)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4 지지 롤러(8508)는, 제4 지지 프레임(8504)에 연결 설치되되, 제2 수직 지지대(840)보다 제1 수직 지지대(83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1 경유 롤러(8509)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1 경유 롤러(8509)는, 제4 지지 프레임(8504)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수직 지지대(830)보다 제2 수직 지지대(840)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어 완충 벨트(8511)의 이동 방향을 제2 경유 롤러(8510)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제2 경유 롤러(8510)는, 제1 지지 프레임(8501)에 연결 설치되되, 제1 지지 롤러(8505)와 제2 수직 지지대(8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경유 롤러(8509)를 경유하고 전달되는 완충 벨트(8511)를 제2 수직 지지대(840)로 전달한다.
완충 벨트(8511)는, 일단이 제1 지지 프레임(8501)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 제4 지지 롤러(8508), 제1 경유 롤러(8509) 및 제2 경유 롤러(8510)를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면서 차례로 경유한 뒤 제2 지지 프레임(8502)에 설치된다.
여기서, 완충 벨트(8511)는, 제1 지지 프레임(8501)과 제2 지지 프레임(8502)의 길이가 수축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제1 지지 프레임(8501)과 제2 지지 프레임(8502) 방향으로 각각 잡아 당겨지는 동시에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와 제4 지지 롤러(8508) 각각에 설치되는 완충 구조(즉, 큐브 슬라이딩 홈(8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8501d) 등)를 통해 제1 수평 지지대(8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프레임(8501)은, 큐브 형상의 제1 지지 롤러(8505)의 전단 및 후단(8505a)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8501a, 8501b)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8501c)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큐브 슬라이딩 홈(8501c)에는, 제1 지지 롤러(8505)의 전단 및 후단(8505a)을 제2 수직 지지대(840)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8501d)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큐브 슬라이딩 홈(8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8501d)은,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 및 제4 지지 롤러(8508)의 각 전단 및 후단이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프레임(8502), 제3 지지 프레임(8503) 및 제4 지지 프레임(8504)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구조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지지부(800)는,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와 제4 지지 롤러(8508)를 경유하고 안착되는 완충 벨트(8511)에 형성되는 장력을 제1 지지 롤러(8505), 제2 지지 롤러(8506), 제3 지지 롤러(8507)와 제4 지지 롤러(8508) 각각에 설치되는 완충 구조(즉, 큐브 슬라이딩 홈(8501c)과 큐브 지지 스프링(8501d) 등)를 통해 감쇄시켜 줌으로써, 제1 수평 지지대(8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제1 수직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수직 지지대(830)는, 상부 벽체(831), 하부 벽체(832) 및 벽체 지지 스프링(8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수직 지지대(840)는, 후술하는 제1 수직 지지대(830)와 대칭 구조로서 제1 수직 지지대(830)의 상부 벽체(831), 하부 벽체(832) 및 벽체 지지 스프링(8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벽체(831)는, 제1 수평 지지대(810)의 일측을 지지하며, 벽체 안착홈(832a)으로 삽입되어 벽체 지지 스프링(833)에 의해 지지되며, 하측에 완충 벨트(8511)의 일단이 체결된다.
하부 벽체(832)는, 상부 벽체(831)와 대향하면서 제2 수평 지지대(8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부 벽체(831)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832a)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벨트(8511)는, 일단이 제2 수직 지지대(840)와 대향하는 하부 벽체(832)의 타측면을 관통하고 벽체 안착홈(832a)으로 삽입된 뒤 벽체 안착홈(832a)에 안착되어 있는 상부 벽체(831)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벽체(832)는, 제2 수직 지지대(840)와 대향하는 타측면에 완충 벨트(8511)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832b)을 형성하고, 완충 벨트(8511)를 상부 벽체(831)의 하측 방향으로 경유시켜 주기 위한 벨트 경유 롤러(832c)가 관통홀(832b)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벽체(831)는, 벨트 경유 롤러(832b)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부 벽체(832)의 관통홀(832b)과 대향하는 타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롤러 배치홈(831a)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벽체 지지 스프링(833)은, 벽체 안착홈(832a)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벽체(831)의 하측을 지지하면서 상부 벽체(83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시간 예약 시스템
100: 키오스크 단말기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주문 접수 단말기
400: 예약 중계 서버

Claims (11)

  1.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입력받아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개인 단말기로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입력받아 예약 요청을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품 예약을 전송받을 경우 해당 상품의 예약 가부를 확인하며, 상품 예약이 가능한 경우 상품의 예약을 수행한 뒤 상품 예약의 완료를 전송하고, 상품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상품 예약의 불허를 전송하는 주문 접수 단말기; 및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의 예약 요청이 전송되는 경우 예약을 원하는 상품을 취급하는 가맹점을 선별한 뒤 해당 가맹점에 설치되는 주문 접수 단말기로 상품의 예약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주문 접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품 예약의 완료 또는 상품 예약의 불허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예약 중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직립되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케이스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어 전방에서 상품 예약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하는 신장 감지 센서; 및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되는 스크린 안착홈에 설치되며, 예약할 상품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품의 예약을 입력받으며, 상기 신장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신장 정보에 대응하여 상단이 상기 스크린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거나 상기 스크린 안착홈으로 삽입되면서 틸팅 각도가 조절되는 틸팅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 안착홈에 설치되는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일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를 상기 스크린 안착홈으로부터 노출시켜 주는 제1 틸팅 구동부;
    상기 제1 틸팅 구동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를 상기 스크린 안착홈으로부터 노출시켜 주는 제2 틸팅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틸팅 구동부는,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틸팅 모터;
    상기 틸팅 모터의 구동축에 직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 바아; 및
    일단이 상기 고정 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안착홈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전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전단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하부 전단에 모듈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듈 지지부는,
    상기 스크린 안착홈의 하부 전단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연장홈;
    상기 하부 연장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 및
    상기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 전단의 경사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수평 지지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상기 하부 연장홈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수평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방향의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과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및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완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완충 모듈은,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지지 프레임;
    서로 대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를 지지하는 제4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2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1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보다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제1 경유 롤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되,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경유 롤러; 및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지지 롤러, 상기 제2 지지 롤러, 상기 제3 지지 롤러, 상기 제4 지지 롤러, 상기 제1 경유 롤러 및 상기 제2 경유 롤러를 차례로 경유한 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 벨트;를 포함하는, 실시간 예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큐브 형상의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되는 각 프레임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큐브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실시간 예약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제1 지지 롤러의 전단 및 후단을 상기 제2 수직 지지대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큐브 지지 스프링이 일측에 설치되는, 실시간 예약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상기 제1 수평 지지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상부 벽체;
    상기 상부 벽체와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수평 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기 상부 벽체의 하부 안착되기 위한 벽체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벽체; 및
    상기 벽체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벽체의 하측을 지지하는 벽체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실시간 예약 시스템.
KR1020210113724A 2021-08-27 2021-08-27 실시간 예약 시스템 KR10238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24A KR102386224B1 (ko) 2021-08-27 2021-08-27 실시간 예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24A KR102386224B1 (ko) 2021-08-27 2021-08-27 실시간 예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224B1 true KR102386224B1 (ko) 2022-04-12

Family

ID=8118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724A KR102386224B1 (ko) 2021-08-27 2021-08-27 실시간 예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2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160B1 (ko) * 2023-08-28 2023-11-01 (주)퍼스트솔루션즈 클래임 방지를 위한 영상 저장이 가능한 키오스크 장치
KR102598501B1 (ko) * 2023-02-24 2023-11-03 김남영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2644015B1 (ko) * 2023-03-16 2024-03-05 양선원 Ai 알고리즘 기반 개인 성향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426A (ko) * 2004-04-29 200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90006762A (ko) 2007-07-11 2009-01-1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코일 유닛 및 전자 기기
KR20100007683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200020474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나우버스킹 무선 통신 기반의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53445B1 (ko) * 2020-04-21 2020-09-08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KR20210000078A (ko) * 2019-06-24 2021-01-0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제어 시스템
KR20210077931A (ko) * 2019-12-18 2021-06-28 박찬식 모바일 자동 주문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객장 주문 무인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426A (ko) * 2004-04-29 200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90006762A (ko) 2007-07-11 2009-01-1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코일 유닛 및 전자 기기
KR20100007683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200020474A (ko) * 2018-08-17 2020-02-26 주식회사 나우버스킹 무선 통신 기반의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0078A (ko) * 2019-06-24 2021-01-0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개인 맞춤형 조절이 가능한 키오스크 및 그 제어 시스템
KR20210077931A (ko) * 2019-12-18 2021-06-28 박찬식 모바일 자동 주문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객장 주문 무인화 시스템
KR102153445B1 (ko) * 2020-04-21 2020-09-08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01B1 (ko) * 2023-02-24 2023-11-03 김남영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2644015B1 (ko) * 2023-03-16 2024-03-05 양선원 Ai 알고리즘 기반 개인 성향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596160B1 (ko) * 2023-08-28 2023-11-01 (주)퍼스트솔루션즈 클래임 방지를 위한 영상 저장이 가능한 키오스크 장치
KR102606172B1 (ko) * 2023-08-28 2023-11-30 (주)퍼스트솔루션즈 사용자 행동 분석을 위한 키오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224B1 (ko) 실시간 예약 시스템
US9639889B2 (en) Discovery engine storefront
CN104903848B (zh) 向用户设备路由通知
US20170013414A1 (en) Determining Indoor Location of Devices Using Reference Points and Sensors
US11148042B2 (en) Geo location questing
CA3141115A1 (en) Store of the future
KR20190020853A (ko) 확장된 인벤토리의 자동 위치 기반 발견 기법
WO2013065817A1 (ja) 広告サーバ、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用プログラム
US20180343539A1 (en) Service metric data management
CN104243578B (zh) 基于数字全景的本地化信息呈现与交互系统及设备
EP2862372B1 (en) File server, method and system for optimising wireless data downloads
JP6322471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728952B1 (ko) 근거리무선통신 기기 환경하에서의 음식메뉴 주문방법
CN105389681A (zh) 一种自助提货方法及系统
KR102499674B1 (ko) 의류 제조 판매 시스템
CN106600345A (zh) 一种基于wifi路由器的广告投放方法和系统
US11681996B2 (en) Scale having a machine-readable code display
KR102455777B1 (ko) 인공지능 기반 굿즈 쇼핑몰 제공 시스템
US20170228837A1 (en) Digital Airport Shopping System
KR102501592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온라인 의류 판매 시스템
US20150363856A1 (en) Portable wireless information unit for providing data to and receiving data from mobile devices
US20180232066A1 (en) Method for recognizing table for electronic menu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14760B1 (ko) 메뉴 주문 시스템
KR102497098B1 (ko) 재고량을 고려한 제품 주문 시스템
US20200402056A1 (en) Mobile ordering and payment solution based on wi-fi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