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501B1 -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501B1
KR102598501B1 KR1020230025245A KR20230025245A KR102598501B1 KR 102598501 B1 KR102598501 B1 KR 102598501B1 KR 1020230025245 A KR1020230025245 A KR 1020230025245A KR 20230025245 A KR20230025245 A KR 20230025245A KR 102598501 B1 KR102598501 B1 KR 10259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block
groove
artificial intelli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영
Original Assignee
김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영 filed Critical 김남영
Priority to KR102023002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새대 내에 설치되는 각종 IoT 장치 등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현한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세대 내에 무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설치되는 무선 공유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설치되는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상기 무선 공유기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세대 내 IoT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또는 IoT 장치로 전송하는 IoT 시스템 구축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Home networking system using AI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본 발명은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I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새대 내에 설치되는 각종 IoT 장치 등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현한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세대 내에서 가전제품, 조명, 냉난방기, 도어락, 각종 센서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제어하는 기술을 말한다. 세대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인터넷이나 전화선을 통해 세대 내의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가전제품, 조명, 냉난방기, 각종 센서 등 모든 전자 기기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각종 전자 기기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대 내 단말기를 통해 제어하거나, 또는 클라우드 기반의 포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를 통해 시간 및 공간 제약없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그 원격 제어를 위해 세대 내에는 게이트웨이가 설치되곤 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처리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음성통신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음성은 인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며 또한 가장 친숙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으로, 인간과 시스템의 의사소통 수단이 키보드나 마우스에서 사용자의 음성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단순한 음성 인식의 범위를 넘어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이러한 음성 인식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세대 내 각종 기기의 제어나 정보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한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대부분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음성인식 스피커의 기본값들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제한적으로 이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5335호 (2020.01.13.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AI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새대 내에 설치되는 각종 IoT 장치 등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킹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현한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은, 세대 내에 무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설치되는 무선 공유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설치되는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상기 무선 공유기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세대 내 IoT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또는 IoT 장치로 전송하는 IoT 시스템 구축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관리 서버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무선공유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상기 식별 정보들이 유효한 경우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초한 세대 내 IoT 장치의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거나 터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스피커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 거치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음성 출력부가 안착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음성 출력부의 하단 형상에 대응하는 거치홈을 형성하는 거치 플레이트; 및 상기 거치홈의 저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거치홈에 안착되는 상기 음성 출력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음성 출력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음성 출력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안착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거치홈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지지 유닛; 및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상기 완충 유닛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상단 지지 블록;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와 후단에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상기 제1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지지 컨베이어 벨트;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전진 이동 제동부; 및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후진 이동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안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수평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수평 완충 스프링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상기 후단홈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전진 이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상부 유닛 바디;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각 기둥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되는 하부 유닛 바디; 상기 블록 안착홈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각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수직 완충 탄성체;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 및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는,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둥근 반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록 회전홈; 상기 블록 회전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반달형 블록; 하부가 상기 블록 회전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반달형 블록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저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 슬라이딩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을 지지하는 연결 기둥; 및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연결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반달형 블록은, 상기 블록 회전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블록 바디; 상기 블록 바디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의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는 지지 날개; 상기 날개 안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날개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날개 지지 스프링; 상기 날개 안착홈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날개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지지 날개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날개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블록 바디의 일측 및 타측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블록 회전홈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동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서 상기 블록 바디의 회동을 유도하는 회동 유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기둥은, 상단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저면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날개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되고 있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움직임에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유도 날개가 형성되는 상부가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바디는, 상부에 상기 기둥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 회전홈의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형성되는 축 결합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종래의 음성 인식 기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보안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 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음성 명령 또는 제어 신호가 검증된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하는 방법 및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음성 인식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인터넷 기반 할인 통합 마켓팅과 온-오프라인 광고, 기타 가맹점 및 회원관리 등이 결합된 통합 마켓팅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공지능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스피커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전진 이동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반달형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10)은, 무선 공유기(100), 인공지능 스피커(200) 및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를 포함한다.
무선 공유기(100)는, 세대 내에 무선 네트워크(N) 구축을 위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공유기(access point; AP) (100)는, 둘 혹은 그 이상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최적 경로를 설정해 주며, 데이터를 해당 경로를 따라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공지된 인터넷 접속장치이며, 인공지능 스피커(200)와 외부의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가 본 발명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공유기(100)는, SSID (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연결 정보를 가질 수 있고, 맥어드레스 (Mac address) 와 같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 검색 또는 세대 내 IoT 장치(400-1 내지 400-N)의 구동 명령을 요청하기 위한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인공지능 스피커(2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획득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음향 신호를 생성하며, 인공지능 (AI)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 음성 인식 기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양한 네트워크 음향 장치를 포괄할 수 있다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는, 인공지능 스피커(200) 및 무선 공유기(100)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세대 내 IoT 장치(400-1 내지 400-N)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인공지능 스피커(200) 또는 IoT 장치(400-1 내지 400-N)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400-1 내지 400-N)는, 각종 센서와 통신 모듈이 구비된 조명, 냉난방기, 도어락, 각종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통상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장치로 일컬어지는 다양한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며, 위치, 모션, 영상,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센서부터 원격감지, 레이더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 수단을 구비하여 유형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 장치(400-1 내지 400-N)는, 인공지능 스피커(200) 또는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고, 인공지능 스피커(200) 또는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구비된 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는, 관리 서버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인공지능 스피커(200)의 식별 정보 및 무선공유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유효성을 판단한 결과, 식별 정보들이 유효한 경우 생성되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기초한 세대 내 IoT 장치(400-1 내지 400-N)의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10)은, 종래의 음성 인식 기반의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보안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 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음성 명령 또는 제어 신호가 검증된 사용자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하는 방법 및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음성 인식 기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인공지능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공지능 스피커(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음성 수신부(220), 음성 출력부(230) 및 스피커 거치부(5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거나 터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받아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로 전송한다.
음성 수신부(220)는, 디스플레이부(2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아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로 전송한다.
음성 출력부(230)는, 디스플레이부(210)가 상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210)를 지지하는 동시에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정보를 출력한다.
스피커 거치부(500)는, 음성 출력부(23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인공지능 스피커(200)는, 단순히 음성을 출력하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로 전송하고, IoT 시스템 구축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및 화면 정보를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상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스피커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피커 거치부(50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 거치 플레이트(520) 및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6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10)는,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거치 플레이트(5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거치 플레이트(520)는, 베이스 플레이트(5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음성 출력부(230)가 안착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음성 출력부(230)의 하단 형상에 대응하는 거치홈(521)을 형성한다.
완충 지지부(600)는, 거치홈(521)의 저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거치홈(521)에 안착되는 음성 출력부(230)를 지지하는 동시에 음성 출력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피커 거치부(500)는, 음성 출력부(2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진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완충 지지부(600)는, 제1 지지 유닛(610), 제2 지지 유닛(620) 및 완충 유닛(630)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유닛(610)은, 완충 유닛(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음성 출력부(23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L1)에 안착되어 음성 출력부(23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유닛(610)은, 상단 지지 블록(611),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지지 블록(611)은, 완충 유닛(63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안착홈(L1)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는, 상단 지지 블록(611)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단 지지 블록(6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611a)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R1)와 후단에 컨베이어 설치홈(611a)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R2)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컨베이어 설치홈(611a)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제1 안착홈(L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단 지지 블록(611)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어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 블록(611)가 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가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시켜 주고, 반대로 상단 지지 블록(611)가 후진 이동함에 따라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후진 이동 제동부(614)가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노출되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시켜 주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외향면을 따라 피밀착물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못 형상의 스파이크(612a)가 반복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후진 이동 제동부(614)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제1 안착홈(L1)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후진 이동 제동부(614)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제1 안착홈(L1)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준다.
제2 지지 유닛(620)은, 완충 유닛(6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안착홈(L1)과 대향하면서 거치홈(521)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L2)된다.
여기서, 제2 지지 유닛(620)은, 상술한 제1 지지 유닛(610)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서, 제1 지지 유닛(610)의 상단 지지 블록(611),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 전진 이동 제동부(613) 및 후진 이동 제동부(61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 유닛(630)은,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지지 유닛(610)과 제2 지지 유닛(6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 유닛(630)은, 상부 유닛 바디(631), 하부 유닛 바디(632), 수직 완충 탄성체(633),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 및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를 포함한다.
상부 유닛 바디(631)는, 제1 지지 유닛(610)과 대향하면서 제1 지지 유닛(610)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63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어 하부 유닛 바디(632)의 상측에 설치된다.
하부 유닛 바디(632)는, 제2 지지 유닛(620)과 대향하면서 제2 지지 유닛(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사각 기둥(6311)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632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된다.
수직 완충 탄성체(633)는, 블록 안착홈(6321)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블록 안착홈(6321)에 안착되는 사각 기둥(6311)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사각 기둥(6311)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한다.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부 유닛 바디(631)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2 지지 유닛(620)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부(600)는, 음성 출력부(2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진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전진 이동 제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밀착 플레이트(6131), 수평 완충 스프링(6132) 및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후진 이동 제동부(614)는, 후술하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의 동일한 구성으로서, 전진 이동 제동부(613)의 밀착 플레이트(6131), 수평 완충 스프링(6132) 및 전진 이동 프레임(6133)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밀착 플레이트(6131)는, 전진 이동 프레임(6133)에 의해 지지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단 내측에 안착된다.
수평 완충 스프링(6132)은, 밀착 플레이트(6131)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6131a)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을 지지하는 동시에 밀착 플레이트(613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전진 이동 프레임(6133)은, 수평 완충 스프링(6132)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후단홈(6131a)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진 이동에 따른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밀착 플레이트(6131)를 상단 지지 블록(611)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진 이동 제동부(613)는,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지지 컨베이어 벨트(612)에 의해 구동되어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됨에 따라 상단 지지 블록(611)이 전진되는 것을 제동하는 한편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 전달되는 수평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외력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블록 회전홈(710), 반달형 블록(720), 연결 기둥(730) 및 블록 지지 스프링(7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동형 하단 지지부(634)는, 후술하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와 상하 대칭구조로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의 블록 회전홈(710), 반달형 블록(720), 연결 기둥(730) 및 블록 지지 스프링(740)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블록 회전홈(7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달형 블록(720)이 안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부 유닛 바디(631)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둥근 반달형으로 함몰 형성된다.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회전홈(7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 회전홈(7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된다.
연결 기둥(730)은, 하부가 블록 회전홈(710)으로부터 노출되는 반달형 블록(720)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7211)에 안착되고, 상단이 제1 지지 유닛(610)의 저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 슬라이딩홈(611b)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지지 유닛(610)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기둥(730)은, 상단 일측 및 타측에 저면 슬라이딩홈(611b)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611c)에 안착되어 저면 슬라이딩홈(611b)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동시에 저면 슬라이딩홈(611b)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 날개(731)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되고 있는 상단 지지 블록(611)이 움직임에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유도 날개(731)가 형성되는 상부(732)가 회동축(732a)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지지 스프링(740)은, 기둥 안착홈(7211)의 내측에 설치되어 기둥 안착홈(7211)에 안착되는 연결 기둥(73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동형 상단 지지부(700)는, 상단 지지 블록(611)이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단 지지 블록(611)이 기울어져 경사지는 경우에도 상단 지지 블록(6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단 지지 블록(611)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반달형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바디(721), 지지 날개(722),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 및 회동 유도 날개(725)를 포함한다.
블록 바디(721)는, 블록 회전홈(7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 회전홈(7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지지 날개(722),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 및 회동 유도 날개(7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 바디(721)는, 상부에 기둥 안착홈(7211)이 형성되며, 블록 회전홈(710)의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형성되는 축 결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측 및 타측의 중심축 위치에 회전을 위한 회전축(721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날개(722)는, 블록 바디(721)의 하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과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에 의해 지지되어 블록 회전홈(7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된다.
제1 날개 지지 스프링(723)은, 날개 안착홈(711)의 전단에 설치되어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 날개(722)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2 날개 지지 스프링(724)은, 날개 안착홈(711)의 후단에 설치되어 날개 안착홈(711)에 안착되어 있는 지지 날개(722)의 후단을 지지한다.
회동 유도 날개(725)는, 블록 바디(721)의 일측 및 타측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며, 블록 회전홈(710)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회동 유도홈(712)에 안착되어 블록 회전홈(710)에서 블록 바디(721)의 회동을 유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반달형 블록(720)은, 블록 회전홈(7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 회전홈(710)에서의 회전 과정에서 연결 기둥(7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역시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100: 무선 공유기
200: 인공지능 스피커
300: IoT 시스템 구축 서버

Claims (9)

  1. 세대 내에 무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설치되는 무선 공유기;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설치되는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및 상기 무선 공유기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세대 내 IoT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또는 IoT 장치로 전송하는 IoT 시스템 구축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거나 터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측에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스피커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거치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음성 출력부가 안착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음성 출력부의 하단 형상에 대응하는 거치홈을 형성하는 거치 플레이트; 및
    상기 거치홈의 저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거치홈에 안착되는 상기 음성 출력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 출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음성 출력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음성 출력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유닛;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안착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거치홈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지지 유닛; 및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상기 제2 지지 유닛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유닛;을 포함하는,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은,
    상기 완충 유닛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상단 지지 블록;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컨베이어 설치홈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거치 롤러와 후단에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 거치 롤러에 전단 및 후단의 각 내향면이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컨베이어 설치홈으로부터 노출되어 상측 외향면이 상기 제1 안착홈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지지 컨베이어 벨트;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전진 이동 제동부; 및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와 전후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후진 이동을 제동시켜 주는 후진 이동 제동부;를 포함하는,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 이동 제동부는,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단 내측에 안착되는 밀착 플레이트;
    상기 밀착 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수평 완충 스프링; 및
    상기 수평 완충 스프링에 의해 전단이 지지되어 상기 후단홈에 삽입 안착되며, 후단이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하측 외향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진 이동에 따른 상기 지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상기 상단 지지 블록의 전방으로 노출시켜 주는 전진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제1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사각 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상부 유닛 바디;
    상기 제2 지지 유닛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사각 기둥이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블록 안착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함몰 형성되는 하부 유닛 바디;
    상기 블록 안착홈의 각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사각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사각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수직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수직 완충 탄성체;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상단 지지부; 및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과 상하 방향으로의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하부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유닛의 전단 및 후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회동형 하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상단 지지부는,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유닛 바디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둥근 반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블록 회전홈;
    상기 블록 회전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측으로 둥근 반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 회전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반달형 블록;
    하부가 상기 블록 회전홈으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반달형 블록의 상부에 함몰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단이 상기 제1 지지 유닛의 저면을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저면 슬라이딩홈에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유닛을 지지하는 연결 기둥; 및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연결 기둥의 하단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20230025245A 2023-02-24 2023-02-24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259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245A KR102598501B1 (ko) 2023-02-24 2023-02-24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245A KR102598501B1 (ko) 2023-02-24 2023-02-24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501B1 true KR102598501B1 (ko) 2023-11-03

Family

ID=8874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245A KR102598501B1 (ko) 2023-02-24 2023-02-24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5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335B1 (ko) 2019-03-08 2020-01-13 주식회사 비쥬드림 음성인식 스위치 시스템
KR20200053949A (ko)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Ai 음성인식 스피커 및 세대 내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27814A (ko) * 2019-05-02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입력 입력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386224B1 (ko) * 2021-08-27 2022-04-12 화려한덕후들(주) 실시간 예약 시스템
KR102441313B1 (ko) * 2022-01-26 2022-09-06 주식회사 모건시스템 반도체 비전 검사용 산업용 컴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949A (ko) *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Ai 음성인식 스피커 및 세대 내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65335B1 (ko) 2019-03-08 2020-01-13 주식회사 비쥬드림 음성인식 스위치 시스템
KR20200127814A (ko) * 2019-05-02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입력 입력에 기초하여 타겟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타겟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386224B1 (ko) * 2021-08-27 2022-04-12 화려한덕후들(주) 실시간 예약 시스템
KR102441313B1 (ko) * 2022-01-26 2022-09-06 주식회사 모건시스템 반도체 비전 검사용 산업용 컴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48199A1 (en) Detecting presence of mobile device
US10506361B1 (en) Immersive sound effects based on tracked position
US20190363802A1 (en) Ultrasonic communications for wireless beacons
US201903427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icrolocation sensor communication
US20150042447A1 (en) Entertainment environment remote control and audio/video streaming method and system
US20140141725A1 (en) Wireless presentation system allowing automatic association and connection
KR20210078557A (ko) 리소스 지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22528060A (ja) 指示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CA2572474A1 (en) Dynamic assignment of home agent and home addres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20200382401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implement a virtual private network with probe for network connectivity
EP3861701A1 (en) Synchronous sounds for audio assistant on devices
EP3186986A1 (en) A system for output of audio and/or visual content
KR102598501B1 (ko)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WO2022178021A1 (en) Ultra-wideband control of smart streaming devices
KR101838262B1 (ko) 오디오 구역에서 사운드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EP3586241A1 (en) Privacy preserving message blinding
WO2018047666A1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送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5874829A (zh) 用于对移动网络和移动主机的分布式的和集成的移动性支持的系统和方法
KR20080049286A (ko) 이종 인터페이스 환경에서의 다중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JP4452186B2 (ja) メディアを経路指定する装置、並びにそ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1517435A (ja) 上り伝送方法及び端末
US20160078211A1 (en) Location signatures
WO2021147719A1 (zh) 资源选择方法及终端
GB2590357A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548234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ノード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