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850B1 -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850B1
KR102418850B1 KR1020220052518A KR20220052518A KR102418850B1 KR 102418850 B1 KR102418850 B1 KR 102418850B1 KR 1020220052518 A KR1020220052518 A KR 1020220052518A KR 20220052518 A KR20220052518 A KR 20220052518A KR 102418850 B1 KR102418850 B1 KR 10241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support
magnetic member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원
최성욱
민세희
김태은
유수민
전세희
송하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비에스
Priority to KR102022005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을 처방하는 약품처방부와, 의약품의 품질을 분석하는 품질분석부를 포함하는 의약품서버; 및 상기 의약품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처방한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제조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에 맞추어 기능성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Manufacturing and selling system of functional foods}
본 발명은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개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육체적, 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추구하는 소위 웰빙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개인의 건강 및 다이어트를 위한 맞춤형 식품 내지 식단에 대한 요구 및 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의 체질이나 생체리듬 등을 고려한 맞춤형 식품 내지 식단을 처방받는다 하더라도 이를 실생활에서 실천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마트 등에서 쇼핑할 때나 외식을 위해 식당을 검색할 때에도 처방받은 맞춤형 식품 또는 식단에 기초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22785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와 기저질환에 맞춘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을 처방받을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은, 개인에 맞추어 기능성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을 처방하는 약품처방부와, 의약품의 품질을 분석하는 품질분석부를 포함하는 의약품서버; 및 상기 의약품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처방한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제조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품처방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상담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답에 맞추어 의약품 처방에 필요로 하는 필수 질문 항목을 제공하는 상담진행부; 상기 상담진행부의 질문에 따라 입력되는 답을 기반으로 하여 입력한 사용자의 현재 증상을 분석하는 증상분석부; 상기 증상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증상과 입력한 사용자의 기저질환, 알러지를 포함한 정보를 고려하여 맞춤형 의약품을 처방하고, 처방 결과에 따라 의약품을 제공받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상기 제조서버로부터 제공된 결제 정보에 맞추어 결제 화면을 제공하는 결과처방부; 및 상기 증상분석부로 입력되는 정보 및 상기 결과처방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과처방부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율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DB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서버는, 상기 의약품서버와 통신하여 제조 정보를 제공받는 제2 통신부; 상기 의약품서버를 통해 제조해야 하는 의약품의 정보에 따라 제조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을 포함한 제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 제공하도록 입력 받는 제조안내부; 및 상기 의약품서버를 통해 처방된 의약품의 종류에 따라 결제되는 금액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 제공하도록 입력 받는 결제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는, 의약품 처방을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처방에 필요로 하는 필수 질문 항목을 출력하고, 출력한 질문에 따른 답을 입력 받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문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후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조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출력 용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부 및 상기 출력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DB관리부는, 상기 결과처방부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확률을 분석하고, 결제 확률이 입력된 기준 미만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의 증상분석의 정확성과 의약품 처방의 선호성을 높이도록 상기 필수 질문 항목을 수정하도록 관리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단지지부;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바; 및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바와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는, 내측 양단에 위치한 바닥면과 접촉되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의 양단이 수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는,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기둥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가 관통 삽입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은, 상기 하단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후 하단지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하단지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부 표면 일측에 제1 지지바가 고정 결합되는 수평이동바; 상기 수평이동바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부 표면에 상기 제2 지지바가 결합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위치조정부와 상기 제2 지지바에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정부를 수평이동바 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2 지지바와 위치조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 상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이동바는, 상기 하단지지부와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가 하단지지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수평이동바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수평이동바를 상기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이동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바 고정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에 구비되는 끼움부와, 상기 수평이동바에 천공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어 억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품질 분석 시스템은, 기능성 식품을 선별하도록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품질 분석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을 처방하는 약품처방부와, 의약품의 품질을 분석하는 품질분석부를 포함하는 의약품서버; 및 상기 의약품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처방한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제조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품질분석부는, 품질 분석이 필요하여 입력되는 의약품의 품목을 등록하는 품목등록부; 상기 품목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의약품의 품목을 공인된 연구소로 의뢰하는 분석의뢰부; 상기 연구소로부터 분석 완료된 결과를 제공 받고, 분석 완료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법적 기준 및 내부 기준에 따라 통과 가능성을 검토하는 결과검토부; 해당 의약품의 판매 금액을 입력 받고, 입력된 판매 금액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익, 기업에 판매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익을 분석하는 수익분석부; 및 상기 결과검토부에서 제공받는 분석 결과와 의약품의 정보를 개인소비자 또는 기업에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제공하는 자료공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는, 의약품 처방을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처방에 필요로 하는 필수 질문 항목을 출력하고, 출력한 질문에 따른 답을 입력 받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문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후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조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출력 용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부 및 상기 출력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단지지부;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바; 및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바와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는, 내측 양단에 위치한 바닥면과 접촉되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의 양단이 수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단지지부는,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기둥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가 관통 삽입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둥은, 상기 하단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후 하단지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하단지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부 표면 일측에 제1 지지바가 고정 결합되는 수평이동바; 상기 수평이동바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부 표면에 상기 제2 지지바가 결합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위치조정부와 상기 제2 지지바에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정부를 수평이동바 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2 지지바와 위치조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 상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이동바는, 상기 하단지지부와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가 하단지지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수평이동바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수평이동바를 상기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이동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바 고정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에 구비되는 끼움부와, 상기 수평이동바에 천공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어 억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와 기저질환에 맞춘 기능성 식품 또는 의약품을 처방받을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하단의 기둥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기둥부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키오스크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는 키오스크의 위치를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고정되어 있는 키오스크의 높이를 변경하지 않아도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는 제1 자성부재와 제2 자성부재가 상호 간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키오스크 위치지지부재의 하단지지부를 자기부상식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2 지지부에 구비된 제2 밀착패드와, 키오스크 위치지지부재의 하단지지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에 구비된 제1 밀착패드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의 키오스크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10)은 개인에 맞추어 기능성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10)은 의약품서버(100), 사용자 단말기(300), 키오스크부(500) 및 제조서버(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키오스크부(500)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5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을 처방하는 약품처방부(110)와, 의약품의 품질을 분석하는 품질분석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의약품서버(100)는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 뿐만 아니라 맞춤형 기능성 식품을 처방해줄 수도 있다.
제조서버(900)는 의약품서버(100)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500)로부터 처방한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500)로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처방부(110)는 제1 통신부(111), 상담진행부(113), 증상분석부(115), 결과처방부(117) 및 DB관리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1)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500)와 통신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담진행부(113)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500)를 통해 상담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답에 맞추어 의약품 처방에 필요로 하는 필수 질문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증상분석부(115)는 상담진행부(113)의 질문에 따라 입력되는 답을 기반으로 하여 입력한 사용자의 현재 증상을 분석할 수 있다.
결과처방부(117)는 증상분석부(115)를 통해 분석한 증상과 입력한 사용자의 기저질환, 알러지를 포함한 정보를 고려하여 맞춤형 의약품을 처방하고, 처방 결과에 따라 의약품을 제공받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상기 제조서버(900)로부터 제공된 결제 정보에 맞추어 결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DB관리부(119)는 증상분석부(115)로 입력되는 정보 및 상기 결과처방부(117)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과처방부(117)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율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관리부(119)는 결과처방부(117)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확률을 분석하고, 결제 확률이 입력된 기준 미만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의 증상분석의 정확성과 의약품 처방의 선호성을 높이도록 상기 필수 질문 항목을 수정하도록 관리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품질분석부(190)는 품목등록부(191), 분석의뢰부(193), 결과검토부(195), 수익분석부(197) 및 자료공개부(199)를 포함할 수 있다.
품목등록부(191)는 품질 분석이 필요하여 입력되는 의약품의 품목을 등록할 수 있다.
분석의뢰부(193)는 품목등록부(191)를 통해 등록된 의약품의 품목을 공인된 연구소로 의뢰할 수 있다.
결과검토부(195)는 연구소로부터 분석 완료된 결과를 제공 받고, 분석 완료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법적 기준 및 내부 기준에 따라 통과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다.
수익분석부(197)는 해당 의약품의 판매 금액을 입력 받고, 입력된 판매 금액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익, 기업에 판매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익을 분석할 수 있다.
자료공개부(199)는 결과검토부(195)에서 제공받는 분석 결과와 의약품의 정보를 개인소비자 또는 기업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의 제조서버(900)는 제2 통신부(910), 제조안내부(930) 및 결제안내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910)는 의약품서버(100)와 통신하여 제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조안내부(930)는 의약품서버(100)를 통해 제조해야 하는 의약품의 정보에 따라 제조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을 포함한 제조 정보를 상기 의약품서버(100)로 제공하도록 입력 받을 수 있다.
결제안내부(950)는 의약품서버(100)를 통해 처방된 의약품의 종류에 따라 결제되는 금액 정보를 상기 의약품서버(100)로 제공하도록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부(500)는 스크린부(510), 출력부(550) 및 기둥부(590)를 포함할 수 있고, 위치지지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부(510)는 의약품 처방을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처방에 필요로 하는 필수 질문 항목을 출력하고, 출력한 질문에 따른 답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출력부(550)는 스크린부(5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부(5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문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후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조서버(900)로부터 제공되는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출력 용지로 출력할 수 있다.
기둥부(590)는 출력부(55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부(510) 및 상기 출력부(55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위치지지부재(600)는 후술하는 도 7 내지 도 12와 함께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의 키오스크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의 키오스크부(500)는 기둥부(590)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600)는 하단지지부(601), 제1 지지바(610) 그리고 제2 지지바(62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600)는 기둥부(590)의 하부에 삽입 장착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하단지지부(601)는 단면이 대체로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할 기둥부(59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단지지부(601)는 기둥부(59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 등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고, 하단지지부(601)는 기둥부(590)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키오스크부(500)를 거치할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단지지부(601)의 내측 양단에는 기둥부(590)가 상단에 위치한 채 바닥면과 접촉되는 완충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616)의 중앙에는 기둥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기둥(미도시)에는 완충부(616)의 기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미도시)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즉, 완충부(616)는 중앙에 위치한 기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부(미도시)를 통하여 바닥면과 접촉되더라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616)는 하단지지부(601)의 양단 내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볼트(619)에 의해 하단지지부(60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616)에 의해, 하단지지부(601)가 기둥부(590)가 상단에 위치한 상대에서 바닥면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 하게 될 수 있다.
하단지지부(601)의 상부 표면에는 거치되는 기둥부(590)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제1 지지바(610)와 제2 지지바(620)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바(610)와 제2 지지바(620)는 하단지지부(601) 상부 표면에 용접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바(610)와 제2 지지바(620)는 상단부에 거치되는 기둥부(590)의 너비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지지바(610)와 제2 지지바(620) 중 최소한 어느 하나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단지지부(601)는 수평이동바(630), 위치조정부(640), 위치고정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이동바(630)는 제2 지지바(620)의 수평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단지지부(601)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되어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하단지지부(601)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단지지부(601)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이동바(630)의 둘레에는 수평이동바(6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위치조정부(64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위치조정부(640)는 내측에 수평이동바(630)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구비된 납작한 블록 형상이거나, 수평이동바(630)의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금속 판 또는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치조정부(640)는 수평이동바(630)를 둘러싸고, 수평이동바(630)와 하단지지부(60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이동바(63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위치조정부(640)의 상부 표면에는 제2 지지바(6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바(620)는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위치조정부(640)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간격 조절 후 위치가 정해지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부(650)에 의해 위치조정부(640)과 함께 수평이동바(63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위치고정부(650)는 제2 지지바(620)와 위치조정부(64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 및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정부(640)와 제2 지지바(620)의 하부 수평 절곡 부분에 각각 위치고정부(650)가 관통 가능한 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각 관통홈(미도시)에 위치고정부(650)가 관통하여 너트 및 볼트가 서로 맞물려 조여져, 제2 지지바(620)와 위치조정부(640)가 수평이동바(630)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지지바(620)의 이동시에는 고정볼트(154)를 약간 풀어 위치조정부(640)과 수평이동바(63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 후 위치조정부(640)을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동후에는 다시 고정볼트(154)를 조 여 위치조정부(640) 및 제2 지지바(620)를 수평이동바(630)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지지바(62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제1 지지바(610)는 수평이동바(630)에 용접 기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도 있고, 제2 지지바(620)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지지바(610) 및 제2 지지바(620)는 기둥부(59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장착되어 기둥부(590)의 양단을 수용한 채로 키오스크부(500)를 거치하며, 하단지지부(601) 하부에 구비된 완충부(616)에 의해 하단지지부(601) 자체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위치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지지바(620)가 수평이동바(6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기둥부(590)의 너비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평이동바(630)를 하단지지부(601)와 고정 결합하지 않고, 수평이동바(630)가 하단지지부(60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수평이동바(630)와 하단지지부(601)를 경첩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동바(630)를 하단지지부(601) 상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평이동바(6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동바 고정부재(6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바 고정부재(660)는 하단지지부(601)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끼움부(662)와, 수평이동바(630)에 천공된 끼움홈(66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이동바(630)를 하단지지부(601) 상에 장착하는 경우에 끼움부(662)가 끼움홈(663)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할 수 있고, 수평이동바(630)를 회동시켜 하단지지부(60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끼움부(662)를 끼움홈(66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를 위하여, 끼움부(662)는 끼움홈(663)에 억지 끼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되, 끼움홈(66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키오스크부(500)의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키오스크부(5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키오스크부(500) 거치가 필요 하지 않은 경우 이동바 고정부재(660)를 회동시킴으로써 키오스크부(500)의 기둥부(590)를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6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동바 고정부재(660)로 끼움부 결합 수단을 예로 들었으나, 수평이동바(630)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채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800)는 제1 지지부(810)와, 승강부(820)와, 제2 지지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는 모서리절곡부(9114)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서리절곡부(9114)에 밀착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제1 밀착패드(811)와, 제1 밀착패드(811)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내부홈(8121)이 형성된 제1 프레임(812)과, 제1 프레임(81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밀착패드(811) 상에 설치되는 직립지지부(813)와, 제1 프레임(812)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재(814) 및 제1 자성부재(814)을 지지하는 자성부재 지지부(8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밀착패드(811)는 하면이 모서리절곡부(9114)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 지지부(830)와 승강부(820)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밀착패드(811)는 직립지지부(813)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812)은 내부에 제1 내부홈(812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제1 프레임(812)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자성부재(814)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턱(8125)이 형성될 수 있다.
직립지지부(813)는 제1 프레임(812) 하부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812)을 모서리절곡부(9114)에 수직으로 밀착 고정되어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812)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성부재(814)는 제1 프레임(812)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며, 후술하는 자성부재 지지부(815)에 의해 제1 프레임(812)의 상부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부재 지지부(815)는 제1 자성부재(814)를 제1 프레임(812)의 상부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제1 프레임(812)의 제1 내부홈(8121)에 설치되어 제1 자성부재(814)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탄성지지부(8151)를 적용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8151)는 제1 프레임(812)의 제1 내부홈(8121)에 삽입되어 제1 자성부재(814)를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2 지지부(830)에 비교적 큰 하중이나 외력이 작용하여 승강부(820)에 설치된 제2 자성부재(822)가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동하는 경우, 이와 대응되는 제1 자성부재(814) 또한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830)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자성부재(81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승강부(820)는 제1 지지부(8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지지부(810)에 설치된 제1 자성부재(814)와의 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지지부(810) 상에 자기 부상하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812)이 내측으로 통과 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내부홈(8211)이 형성된 제2 프레임(821)과, 제2 프레임(821)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성부재(822)와, 제2 내부홈(8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제2 자성부재(822) 안착되는 자성부재 안착부(823)와, 제2 자성부재(822)가 제2 프레임(82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프레임(8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자성부재(822)를 제2 프레임(821) 내부에 구속시키는 자성부재 구속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21)은 내부에 제2 내부홈(821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제2 지지부(83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821)의 내부에는 제2 자성부재(822)을 지지하기 위해 제2 내부홈(8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 내부홈(8211)의 중심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자성부재 안착부(823)가 구비되고, 제 2하우징(210)의 상단과 자성부재 안착부(823) 사이에 대응되는 제2 내부홈(8211)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자성부재 구속부(824)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성부재(822)는 제1 지지부(810)에 설치된 제1 자성부재(814)에 대해 반발력 즉, 척력이 발생하도록 제2 내부홈(8211) 내부에 삽입되고, 자성부재 안착부(82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자성부재 구속부(824)는 자성부재 안착부(823) 상에 안착된 제2 자성부재(822)가 제1 자성부재(814)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제2 프레임(82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프레임(8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자성부재(822)를 제2 프레임(821) 내부의 일정 높이에 구속시킨다.
자성부재 구속부(824)는 제2 내부홈(8211)에 삽입될 수 있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 내부홈(8211)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된 구속부 본체(8241)와, 구속부 본체(8241)의 상부로부터 구속부 본체(8241)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확장되어 구속부 본체(8241)를 제2 내부홈(8211)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구속부 상부(8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속부 상부(8242)는 후술하는 제3 프레임(83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830)는 승강부(82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프레임(821)이 내측으로 통과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제3중공(311)이 형성되고 제2 프레임(821)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3 프레임(831)과, 제3 프레임(83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지지부(830)의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832)와, 제3 프레임(831)의 상부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 밀착패드(8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831)은 내부에 제3중공(311)이 형성되되 상부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2 프레임(821)의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지지부(832)는 모서리절곡부(9114)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3 프레임(83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9121)의 완충부(800)는 제1 자성부재(814)와 제2 자성부재(822)가 상호 간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거치부(911)의 모서리절곡부(9114)을 자기부상식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2 지지부(830)에 구비된 제2 밀착패드(833)와, 모서리절곡부(9114)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810)에 구비된 제1 밀착패드(811)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제2 지지부(830)를 제1 지지부(810)에 대해 회전시켜 완충부(800)의 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하중이나 외력이 완충부(800)에 작용할 때 제1 자성부재(814)를 하방으로 소정 폭 밀려나도록 지지하는 자성부재 지지부(815)를 통한 완충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소음 및 진동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제2 체결부(9121)의 완충부(800)는 승강부(820)에서 제1 지지부(81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승강부(820)가 제1 지지부(810)를 따라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Claims (3)

  1. 개인에 맞추어 기능성 식품을 추천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 또는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을 처방하는 약품처방부와, 의약품의 품질을 분석하는 품질분석부를 포함하는 의약품서버; 및
    상기 의약품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처방한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구매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제조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약품처방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와 통신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상담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답에 맞추어 의약품 처방에 필요로 하는 필수 질문 항목을 제공하는 상담진행부;
    상기 상담진행부의 질문에 따라 입력되는 답을 기반으로 하여 입력한 사용자의 현재 증상을 분석하는 증상분석부;
    상기 증상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증상과 입력한 사용자의 기저질환, 알러지를 포함한 정보를 고려하여 맞춤형 의약품을 처방하고, 처방 결과에 따라 의약품을 제공받기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상기 제조서버로부터 제공된 결제 정보에 맞추어 결제 화면을 제공하는 결과처방부; 및
    상기 증상분석부로 입력되는 정보 및 상기 결과처방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과처방부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율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DB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서버는,
    상기 의약품서버와 통신하여 제조 정보를 제공받는 제2 통신부;
    상기 의약품서버를 통해 제조해야 하는 의약품의 정보에 따라 제조 완료까지 걸리는 시간을 포함한 제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 제공하도록 입력 받는 제조안내부; 및
    상기 의약품서버를 통해 처방된 의약품의 종류에 따라 결제되는 금액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기 키오스크부로 제공하도록 입력 받는 결제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부는,
    의약품 처방을 희망하는 사용자로부터 의약품 처방에 필요로 하는 필수 질문 항목을 출력하고, 출력한 질문에 따른 답을 입력 받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문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후 맞춤형 기능성 의약품의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조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제조 및 결제 정보를 출력 용지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스크린부 및 상기 출력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DB관리부는,
    상기 결과처방부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확률을 분석하고, 결제 확률이 입력된 기준 미만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의 증상분석의 정확성과 의약품 처방의 선호성을 높이도록 상기 필수 질문 항목을 수정하도록 관리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하부에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의 너비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하단지지부;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바; 및
    상기 기둥부를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바와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부는,
    내측 양단에 위치한 바닥면과 접촉되는 완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기둥부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의 양단이 수용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단지지부는,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완충부는,
    중앙에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기둥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가 관통 삽입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둥은,
    상기 하단지지부의 좌우 양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후 하단지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하단지지부 표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부 표면 일측에 제1 지지바가 고정 결합되는 수평이동바;
    상기 수평이동바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부 표면에 상기 제2 지지바가 결합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에 고정 및 고정 해제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위치조정부와 상기 제2 지지바에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홈,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조정부를 수평이동바 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2 지지바와 위치조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관통홈과,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회전 결합에 의해 조여지는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바와 상기 위치조정부를 상기 수평이동바 상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평이동바는,
    상기 하단지지부와 경첩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평이동바가 하단지지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키오스크부 위치지지부재는,
    상기 수평이동바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수평이동바를 상기 하단지지부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이동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바 고정부재는,
    상기 하단지지부에 구비되는 끼움부와, 상기 수평이동바에 천공되고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어 억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완충부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내측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지지부의 내측 양단에 밀착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제1 밀착패드, 상기 제1 밀착패드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내부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밀착패드 상에 설치되는 직립지지부, 상기 제1 프레임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재 및 상기 제1 자성부재를 지지하는 자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재와의 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자기 부상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이 내측으로 통과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내부홈이 형성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성부재, 상기 내부홈의 내주면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제2 자성부재가 안착되는 자성부재 안착부, 상기 제2 자성부재가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자성부재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부에 구속시키는 자성부재 구속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내측으로 통과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3 프레임, 상기 제3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 상기 제3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 밀착패드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착패드는,
    타측면이 상기 하단지지부의 내측 양단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승강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직립지지부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제1 내부홈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1 자성부재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직립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하단지지부의 내측 양단에 수직으로 밀착 고정되어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자성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며, 상기 자성부재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 일정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부재 지지부는,
    상기 제1 자성부재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1 내부홈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자성부재를 지지하는 것으로 탄성지지부를 적용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제1 내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자성부재를 일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지지부에 비교적 큰 하중이나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승강부에 설치된 상기 제2 자성부재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대응되는 상기 제1 자성부재도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동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부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부재의 위치를 복귀시키고,
    제2 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제2 내부홈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지지부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2 자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내부홈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내부홈의 중심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상기 자성부재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에 설치된 상기 제1 자성부재에 대해 반발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내부홈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자성부재 안착부 상에 안착되고,
    상기 자성부재 구속부는,
    상기 자성부재 안착부 상에 안착된 상기 제2 자성부재가 상기 제1 자성부재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자성부재를 상기 제2 프레임 내부의 일정 높이에 구속시키고,
    상기 자성부재 구속부는,
    상기 제2 내부홈에 삽입될 수 있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2 내부홈의 나사산에 결합 가능하게 나사산이 형성된 구속부 본체와, 상기 구속부 본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구속부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확장되어 상기 구속부 본체를 상기 제2 내부홈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상기 구속부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 상부는,
    상기 제3 프레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프레임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상부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하단지지부의 내측 양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3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2518A 2022-04-28 2022-04-28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KR10241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18A KR102418850B1 (ko) 2022-04-28 2022-04-28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518A KR102418850B1 (ko) 2022-04-28 2022-04-28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850B1 true KR102418850B1 (ko) 2022-07-11

Family

ID=8239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518A KR102418850B1 (ko) 2022-04-28 2022-04-28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8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770B1 (ko) * 2006-11-17 2007-06-13 주식회사 에버케어 통합 건강 관리를 통한 건강식품 처방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723467B1 (ko) * 2016-08-19 2017-04-05 김길수 건강식품의 온라인 주문, 제조 및 판매 방법
JP2017092793A (ja) * 2015-11-13 2017-05-25 日本フォームサービス株式会社 移動用モニタースタンド
KR102153445B1 (ko) * 2020-04-21 2020-09-08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KR102278538B1 (ko) 2019-06-14 2021-07-16 주식회사 파미니티 인공지능을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의약품 또는 식품 처방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770B1 (ko) * 2006-11-17 2007-06-13 주식회사 에버케어 통합 건강 관리를 통한 건강식품 처방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JP2017092793A (ja) * 2015-11-13 2017-05-25 日本フォームサービス株式会社 移動用モニタースタンド
KR101723467B1 (ko) * 2016-08-19 2017-04-05 김길수 건강식품의 온라인 주문, 제조 및 판매 방법
KR102278538B1 (ko) 2019-06-14 2021-07-16 주식회사 파미니티 인공지능을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의약품 또는 식품 처방 장치 및 시스템
KR102153445B1 (ko) * 2020-04-21 2020-09-08 주식회사 에스알커뮤니케이션즈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850B1 (ko) 기능성 식품의 제조 및 판매 시스템
Nikolaus et al. Morvan syndrome associated with CASPR2 and LGI1 antibodies in a child
KR102418858B1 (ko) 품질 분석 시스템
Golomb et al. Recurrent hemiplegia, normal MRI, and NOTCH3 mutation in a 14-year-old: is this early CADASIL?
Berg et al. Restricted driving for people with epilepsy
Agbayewa Occurrence and effects of personality disorders in depression: Are they the same in the old and young?
Van der Heijden et al. Implications of Inflammatory Processes on a Developing Central Nervous System in Childhood‐Onset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Esiri et al. Peripheral neuropathy in Creutzfeldt-Jakob disease
Sandoe et al. Interictal Burden of Migraine: Correlations with Other Measures of Migraine Burden and Effects of Galcanezumab Migraine-Preventive Treatment (1914)
Percy et al. Trofinetide for the Treatment of Girls Aged Two to Four Years with Rett Syndrome: Final Results from the Open-label DAFFODIL Study (S37. 003)
Mullin et al. Long-term safety of rimegepant 75 mg for the acute treatment of migraine in adults with a history of triptan treatment failure (5142)
Ewida et al. An unusual late presentation of anti-NMDA Receptor (NMDA-R) Autoimmune Encephalitis following Herpes Simplex Virus (HSV) Encephalitis (P2. 2-014)
Hong et al. Teaching NeuroImages: MRI findings in an infant with cavitating leukoencephalopathy
Rosenfeld et al. Dose Adjustments to Concomitant Antiseizure Medications: Post-hoc Analysis of a Phase 3, Open-Label Study of Cenobamate for Treatment of Uncontrolled Focal Seizures (1755)
Rosenberg et al. Miosis and internal ophthalmoplegia as a manifestation of partial seizures
Dave et al. Treatment Outcomes During Brivaracetam Treatment by Seizure Freedom Status at Baseline: Post hoc Analysis of a Real-world, US Study (P14-1.001)
McQueen et al. O3. 7. EFFECT OF N-ACETYLCYSTEINE ON BRAIN GLUTAMATE LEVELS AND RESTING PERFUSION IN SCHIZOPHRENIA
Mannett et al. Delayed Leukoencephalopathy after an Opioid-related Acute Amnestic Syndrome (P2-6.003)
Singh et al. APOE ɛ4 Influences Within and Between Network Functional Connectivity in Atypical Alzheimer Disease (P11-6.006)
Turner et al. Preference for rimegepant and improved clinical global impression of change among adults with a history of triptan treatment failure: results from a long-term open-label safety study (5084)
Day et al. Diagnostic Applications of Cerebrospinal Fluid Biomarkers in Patients with Rapidly Progressive Dementia (P6-9.003)
Shir et al. Diagnostic Value of Clinical Phenotype and Clinical Tests in Early Creutzfeldt-Jakob Disease (S38. 010)
Plotzker et al. Predictors of treatment-responsiveness in cerebral amyloid angiopathy with related inflammation (3000)
Kia et al. Effects of Vertical-Axial Dominant and Multi-Axial Vibration on Postural Stability
Basaia et al. Motor Cerebro-Cerebellar Networks Breakdown Among Different Subtypes of Parkinson’s Disease (P1-1. Virtu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