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360B1 -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360B1
KR102151360B1 KR1020190134366A KR20190134366A KR102151360B1 KR 102151360 B1 KR102151360 B1 KR 102151360B1 KR 1020190134366 A KR1020190134366 A KR 1020190134366A KR 20190134366 A KR20190134366 A KR 20190134366A KR 102151360 B1 KR102151360 B1 KR 10215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resin
weight
resin
molecular weigh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인
남기준
허성익
신지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360B1/ko
Priority to EP20881729.6A priority patent/EP4053170A4/en
Priority to PCT/KR2020/011078 priority patent/WO202108582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50Partial de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7Magnes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023/4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compounds changing molecular weight
    • C08L2023/42Depolymerisation, vis-breaking or degra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95Internal space filling-up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 개재용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 등의 기계적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가공성, 수축률,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케이블 개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Decrosslinked polyolefine resin for cable filler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 개재용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 등의 기계적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가공성, 수축률,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케이블 개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체를 구비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복수 개의 전력선 유닛(이하, '코어부'라 함)과 광유닛을 구비한 해저 케이블(submarine cable)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어부가 상기 해저 케이블의 중앙부에 대략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그 외곽을 따라 보호층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코어부가 복수 개 구비되므로 상기 해저 케이블의 진원도를 유지하기가 곤란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해저 케이블을 포설하거나, 또는 해저에 포설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에 감는 경우에 외부에서 외압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해저 케이블의 내부에 구비된 코어부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해저 케이블의 진원도를 유지하며, 상기 해저 케이블의 포설 시 또는 외압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내부의 코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용 개재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케이블용 개재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용 개재를 포함하는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통신선(100), 하나 이상의 전원선(200),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진원도를 구현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블용 개재(300), 이들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바인더(400), 금속외장(410), 외부자켓(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케이블용 개재(300)는 인장강도, 신장율 등의 기계적 특성이 불충분하여 케이블의 외장 공정시 강선의 텐션으로 인하여 개재 눌림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케이블의 진원도가 확보되지 않아 케이블 이송 및 포설시 케이블에 작용 하중이 불균일하게 분포하여 국부적으로 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고, 인장강도, 신장율 등이 우수한 소재를 적용하는 경우 가공성, 수축률, 난연성 등이 불충분하거나 케이블 개재의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케이블 개재용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 등의 기계적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가공성, 수축률,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케이블 개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소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개재용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 등의 기계적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가공성, 수축률,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케이블 개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개재용 소재로 적용되기 위해 가교 후 재활용을 위해 탈가교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이상이고, 다분산성(PDI)이 5 내지 15이며, 겔분율이 5 중량% 이하이고, 상기 탈가교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은 5 중량% 이상 25 중량% 미만이고, 분자량이 500,000 이상인 수지의 함량은 2 내지 10 중량%인,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은 상기 분자량이 500,000 이상인 수지의 함량보다 크고, 상기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은 분자량이 10,000 초과 500,000 미만인 수지의 함량의 3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인장강도는 1.3 kg/㎟ 이상이고, 신장율은 3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내지 2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한편, 가교 폴리올레핀 수지가 250 내지 350℃의 반응온도 및 5 내지 30 MPa의 반응압력 하에서 반응용매인 초임계 유체에 의해 탈가교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가교가 실란가교이고, 상기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규소(Si)의 함량이 0.05 내지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가교된적 없는 비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5:9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이상이고, 다분산성(PDI)이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용화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수지와 상용화제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50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훈타이트(huntite)(Mg3Ca(CO3)4) 및 하이드로마그네시아트(hydromagnesite)(Mg5(CO3)4(O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케이블용 개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정밀하게 제어된 분자량 분포를 통해 케이블 개재용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 등의 기계적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가공성, 수축률, 난연성 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가교된 수지를 탈가교하는 재활용을 통해 제조됨으로써 케이블 개재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케이블용 개재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개재용 소재로서 가교 후 재활용을 위해 탈가교된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교는 유기 과산화물 등의 가교제에 의한 화학가교, 실란계 가교제에 의한 실란가교(또는 수가교), 전자빔조사에 의한 조사가교 등의 가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탈가교 반응에 의해 상기 가교 폴리올레핀 수지가 탈가교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탈가교 반응은 예를 들어 특정 온도와 압력 조건 하에서 반응용매로서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탈가교 반응의 온도와 압력에 따라 상이한 분자량 분포, 특히 특정한 범위의 저분자량 수지 및 특정한 범위의 고분자량 수지의 함량, 잔존하는 가교 부분을 나타내는 겔분율 등이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압출가공성, 수축률 등이 크게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특정 온도, 압력 등의 공정조건이 적용된 탈가교 공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이상, 예를 들어 50,000 내지 250,000, 다분산성(Polydispersity index; PDI)(Mw/Mn)이 5 이상, 예를 들어 5 내지 15, 그리고 겔분율이 10% 이하, 예를 들어, 0.5 내지 5 중량%임을 전제로, 정밀하게 제어된 분자량 분포, 구체적으로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가 5 중량% 이상 2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저분자량 수지의 함량은 분자량이 500,000 이상의 고분자량 수지의 함량보다 크고, 상기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저분자량 수지의 함량은 분자량이 10,000 초과 500,000 미만인 수지의 함량의 34% 이하, 바람직하게는 24.5%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10,000 초과인 고분자량 수지의 함량이 증가하여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점도, 용융지수(melting index) 등이 저하되어 압출가공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 이상인 경우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탈가교시 350℃를 초과하는 높은 온도에서 탈가교 반응이 진행되고 이러한 경우 탈가교뿐만 아니라 고분자의 주쇄가 절단되는 열화에 의해 제조된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1.25 kg/㎟ 이상, 바람직하게는 1.3 kg/㎟ 이상의 인장강도 및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80% 이상의 신장율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분자량이 500,000 이상인 수지 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가교된적 없는 비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에 비해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등의 기계적 특성, 낮은 수출률에 의한 치수정밀도, 우수한 압출가공성 등을 구현하고, 특히 압출성형시 특정 전단속도, 예를 들어 약 100 s-1 이상에서 상기 고분자량을 갖는 수지가 압출방향으로 배향(orientation)되어 오히려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전체적인 점도를 비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점도보다 낮게 감소시킴으로써 압출가공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분산성(PDI)이 5 미만이거나 상기 500,000 이상의 고분자량을 갖는 수지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거나 10 중량% 초과인 경우 특정 전단속도 이상에서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전체적인 점도가 비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점도보다 낮게 감소되지 않아 압출 가공성이 불충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실란가교 후 탈가교된 경우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고분자 사슬에 잔존하는 실란 잔기가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난연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란 잔기의 화학 구조는 -SiOCH3, -SiOH, -Si-O-Si-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란 잔기의 규소(Si)의 함량은 상기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규소(Si)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인 경우 난연성이 향상되는 정도가 극히 미미할 수 있는 반면,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점도가 상승하는 등의 이유로 압출 성형성 등의 가공성 및 필러 로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오히려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단독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올레핀 단량체의 중합체 의한 올레핀계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는 가교 폴리올레핀 수지가 예를 들어 일축 압축기 내부에서 종래 탈가교 반응 온도보다 낮은 250 내지 350℃의 반응온도 및 5 내지 30 MPa의 반응압력 하에서 반응용매인 초임계 유체에 의해 탈가교됨으로써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용매로서 사용된 초임계 유체는 일반적인 액체나 기체 상태의 물질이 임계점이라 불리는 고온, 고압의 한계를 넘으면서 기체와 액체를 구별할 수 없는 임계 상태에 이른 물질을 지칭한다. 초임계 유체의 분자의 밀도는 액체에 가깝지만 점도는 낮아 기체에 가깝고, 확산이 빨라 열전도성이 물만큼이나 높다.
따라서, 초임계 유체를 탈가교 반응의 반응용매로 사용하면 녹아있는 분자, 즉, 용질 주변의 용매 농도가 극히 높아져 탈가교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초임계 유체로서 증류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와 가교된적 없는 비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기 비가교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비는 약 5:95 내지 50:5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이상, 그리고 다분산성(PDI)이 5 이상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등의 첨가제의 필러 로딩성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함량은 수지와 상용화제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필러 로딩성이 향상되는 수준이 미미한 반면,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훈타이트(huntite)(Mg3Ca(CO3)4) 및 하이드로마그네시아트(hydromagnesite)(Mg5(CO3)4(OH)2)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 사용되는 수산화마그네슘(Mg(OH)2) 등의 무기입자는 고표면 에너지를 갖는 친수성인 반면, 폴리올레핀 등의 수지는 저표면 에너지를 갖는 소수성이기 때문에, 상기 무기입자는 상기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좋지 않고, 기계적·전기적 특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입자는 비닐실란,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아미노폴리실록산,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가 비닐실란 등에 의해 표면 처리되는 경우, 비닐실란 등의 가수분해기가 축합반응에 의해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무기입자 표면에 화학 결합을 함으로써 부착되고, 실란기가 상기 수지와 반응하여 우수한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란기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상기 수지와 상용화제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20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난연성을 구현할 수 없는 반면, 20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성 등의 가공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화방지제, 활제 등의 기타 첨가제는 상기 수지와 상용화제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분자량 구간별 함량, 분자량 분포 및 겔분율로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따른 탈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했고, 이로부터 제조된 시편의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각각 측정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분자량
구간별
함량
10,000 이하(중량%) 19 19 19 25
10,000 초과 500,000 미만(중량%) 79 79 79 72
500,000 이상(중량%) 2 2 2 3
신재 LDPE 함량(중량%) 0 30 50 0
다분산도(PDI) 9.654 8.413 6.176 16.483
겔분율(중량%) 2.5 1.2 1.1 3.2
인장강도(kg/㎟) 1.334 1.4 1.63 1.1
신장율(%) 390 455 483 18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분산도가 15 이하, 겔분율이 5 중량% 이하임을 전제로 분자량 구간별 함량에서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실시예 1 내지 3의 탈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분자량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인 비교예 1의 탈가교 폴리에틸렌 수지에 비해 인장강도가 우수한 동시에, 특히 신장율이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12)

  1. 케이블 개재용 소재로 적용되기 위해 가교 후 재활용을 위해 탈가교된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이상이고,
    다분산성(PDI)이 5 내지 15이며,
    겔분율이 5 중량% 이하이고,
    상기 탈가교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은 5 중량% 이상 25 중량% 미만이고, 분자량이 500,000 이상인 수지의 함량은 2 내지 10 중량%이고,
    인장강도는 1.3 kg/㎟ 이상이고, 신장율은 3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은 상기 분자량이 500,000 이상인 수지의 함량보다 크고, 상기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수지의 함량은 분자량이 10,000 초과 500,000 미만인 수지의 함량의 3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내지 2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교 폴리올레핀 수지가 250 내지 350℃의 반응온도 및 5 내지 30 MPa의 반응압력 하에서 반응용매인 초임계 유체에 의해 탈가교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가 실란가교이고,
    상기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규소(Si)의 함량이 0.05 내지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8. 제1항 또는 제2항의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가교된적 없는 비가교 폴리올레핀 수지를 5:9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중량평균분자량(Mw)이 50,000 이상이고, 다분산성(PDI)이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용화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수지와 상용화제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50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훈타이트(huntite)(Mg3Ca(CO3)4) 및 하이드로마그네시아트(hydromagnesite)(Mg5(CO3)4(OH)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2. 제8항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케이블용 개재.
KR1020190134366A 2019-10-28 2019-10-28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15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66A KR102151360B1 (ko) 2019-10-28 2019-10-28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EP20881729.6A EP4053170A4 (en) 2019-10-28 2020-08-20 DEWEET POLYOLEFIN RESIN FOR CABLE FILLERS AND RESIN COMPOSITION THEREFOR
PCT/KR2020/011078 WO2021085820A1 (ko) 2019-10-28 2020-08-20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66A KR102151360B1 (ko) 2019-10-28 2019-10-28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360B1 true KR102151360B1 (ko) 2020-09-02

Family

ID=7246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366A KR102151360B1 (ko) 2019-10-28 2019-10-28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053170A4 (ko)
KR (1) KR102151360B1 (ko)
WO (1) WO2021085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370A (ko) * 2021-12-30 2023-07-10 주식회사 동명 탈가교된 재생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성형체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670A (ja) * 1997-08-12 1999-07-13 Alcatel Cit 特に電気ケーブル被覆材料から生じる架橋高分子材料のリサイクル方法
KR101125703B1 (ko) * 2008-10-23 2012-03-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폐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발포체의 재생방법
KR101482749B1 (ko) * 2013-12-30 2015-01-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임계 탈가교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는 폐가교 폴리올레핀수지를 이용한 발포 성형물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물
KR102006525B1 (ko) * 2016-10-07 2019-08-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6102A (ja) * 2001-03-01 2002-09-11 Chubu Electric Power Co Inc 架橋ポリオレフィンの再生方法
JP4674701B2 (ja) * 2005-12-14 2011-04-2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ノンハロゲン難燃樹脂組成物
KR101139475B1 (ko) * 2009-09-07 2012-04-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폐 가교 고밀도 폴리에틸렌계 파이프의 재생방법
KR101721512B1 (ko) * 2015-04-09 2017-03-3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670A (ja) * 1997-08-12 1999-07-13 Alcatel Cit 特に電気ケーブル被覆材料から生じる架橋高分子材料のリサイクル方法
KR101125703B1 (ko) * 2008-10-23 2012-03-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폐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발포체의 재생방법
KR101482749B1 (ko) * 2013-12-30 2015-01-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임계 탈가교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는 폐가교 폴리올레핀수지를 이용한 발포 성형물 제조 방법 및 발포 성형물
KR102006525B1 (ko) * 2016-10-07 2019-08-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370A (ko) * 2021-12-30 2023-07-10 주식회사 동명 탈가교된 재생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성형체 조성물
KR102642395B1 (ko) * 2021-12-30 2024-03-04 주식회사 동명 탈가교된 재생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성형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3170A1 (en) 2022-09-07
EP4053170A4 (en) 2023-11-15
WO2021085820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0739B1 (en) Energy cable
EP2935453B1 (en) Polyolefin-based compound for cable jacket with reduced shrinkage and enhanced processability
KR102151359B1 (ko)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EP3083816B1 (en) Optical fiber cable components
KR101357170B1 (ko)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머 조성물
EP2134778A1 (en) Stress/thermal cracking resistant cable sheath material
TWI658473B (zh) 經交聯電纜之脫氣方法
KR20140105745A (ko) 조성물 및 가교된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KR102151360B1 (ko) 케이블 개재용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603200B1 (ko) 전력 케이블 절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10066316A (ko)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성형품
KR102006525B1 (ko)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200077147A (ko)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력 케이블
KR101721512B1 (ko) 탈가교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580923B1 (ko) 전선의 다발 및 이의 패키징 방법
CN113840878B (zh) 交联聚合物组合物和涂布的导体
CN110540713B (zh) 阻燃聚丙烯组合物
CN112204094B (zh) 含有光稳定剂的聚合组合物
KR102341922B1 (ko) 우수한 내화 성능을 갖는 통신 케이블
US11205525B2 (en) Insulated wire
KR20210128934A (ko)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
EP2521137B1 (en) Polymer composition for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1932254B1 (ko) 비할로겐계 절연용 전선 피복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절연 전선
KR102351547B1 (ko) 내유성 및 내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선
KR102649467B1 (ko) 내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시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시스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