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237B1 - 차량용 목 받침쿠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목 받침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237B1
KR102150237B1 KR1020200063900A KR20200063900A KR102150237B1 KR 102150237 B1 KR102150237 B1 KR 102150237B1 KR 1020200063900 A KR1020200063900 A KR 1020200063900A KR 20200063900 A KR20200063900 A KR 20200063900A KR 102150237 B1 KR102150237 B1 KR 102150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neck support
driver
height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률
Original Assignee
김정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률 filed Critical 김정률
Priority to KR102020006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2Head-rests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목 받침쿠션에 관한 것으로, 제1 및 제2목 받침부로 구성된 목 받침부와, 상기 목 받침부의 후방측 상부를 형성하며, 쿠션부의 장착시 헤드레스트의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목 받침부의 후방측 하부를 형성하며 좌석시트의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2안착부로 구성된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쿠션부를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하는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목 받침쿠션{Car neck support cushion}
본 발명은 차량용 목 받침쿠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좌석시트와 헤드레스트 사이에 안착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안정적인 위치에서 사용자의 목을 받칠 수 있어 목 받침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앉은키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목 부분을 받쳐주면서 목의 피로도를 저하시키고, 편안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목 받침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트의 등받이 상부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추돌 사고 시 탑승자의 목이 순간적으로 뒤로 꺾여 목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로서, 운전 중에 머리를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운전자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운전자가 운전할 때 헤드레스트에 자신의 머리를 기댄 채로 운전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장시간 운전시 운전자는 만성적으로 피로를 느끼게 되며, 심한 경우 거북목 증후근 형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운전 중에는 헤드레스트에 머리를 기대지 않기 때문에, 사고로 인해 갑작스럽게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헤드레스트가 어느 정도 충격을 완화시켜주기는 하지만 머리가 헤드레스트에 충돌함에 따라 목에도 상단한 충격이 전달되어 목을 다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목의 안락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자동차 사고시 목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헤드레스트 외에 별도의 목 받침대를 설치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목 받침대의 경우에는 별다른 특징 없이 시트 위에 고정되어 있을 뿐, 대부분 각도나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없고, 재질 또한 딱딱한 경우가 많아 탑승자의 목과 머리 부분의 통증 유발에 따른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24056호에는 좌석부와 등받이부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 중앙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운전자들의 머리와 목을 지지하도록 된 쿠션을 갖는 장방형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면 부위에 운전자의 두부를 받쳐주게 형성된 경사면부와 이 경사면부로부터 만곡을 이루며 연장되어 운전자의 경추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반구면부로 이루어진 두부 보호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받침구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단순히 헤드레스트를 제거한 후 등받이부에 결합되거나, 헤드레스트의 전방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헤드레스트의 외관에 대한 변형만을 제공하고 있고, 헤드레스트 만의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 즉 운전자의 목 부분에 대한 지지력 제공 효과가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고, 특히 운전자들 마다 각각 다른 키 높이에 따라 동일한 목 부분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없어 목 받침구로서의 기능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2405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좌석시트와 헤드레스트 사이에 안착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안정적인 위치에서 사용자의 목을 받칠 수 있어 목 받침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용 목 받침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앉은키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목 부분을 받쳐주면서 목의 피로도를 저하시키고, 편안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차량용 목 받침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높이가 160cm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밀착되는 제1목 받침부 및 160cm 미만의 키 높이를 가지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밀착되는 제2목 받침부로 구성된 목 받침부와, 상기 목 받침부의 후방측 상부를 형성하며, 쿠션부의 장착시 헤드레스트의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목 받침부의 후방측 하부를 형성하며 좌석시트의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2안착부로 구성된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쿠션부를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하는 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목 받침부는, 상단부가 상기 제1안착부와의 경계지점(C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2목 받침부의 상단부와의 경계지점(C3)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는 경우, 상단부가 상기 경계지점(C1)과 경계지점(C3) 사이의 중앙부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목 받침부는, 상단부가 상기 경계지점(C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2안착부와의 경계지점(C2)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경계지점(C2)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접한 위치에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목 받침부는 운전자의 키 높이에 따라 상기 쿠션부의 전방 하부를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쿠션부의 전방 상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목 받침부는, 상기 제1목 받침부의 수직 길이(높이)에 대한 수치 비율과 상기 제2목 받침부의 수직 길이에 대한 수치 비율이 각각 1: 1.5~1.8의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목 받침부의 폭(넓이)에 대한 수치 비율과 상기 제2목 받침부의 폭에 대한 수치 비율이 각각 1 : 2의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부는, 가죽 재질의 외피;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어 이 경추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전방 쿠션부재; 상기 전방 쿠션부재로 경추로부터 전달된 압력을 분산시키는 후방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의 수직 길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직 보강판과, 상기 후방 쿠션부재를 상부 및 하부로 분할하여 상기 경추의 압력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목 받침쿠션에는, 상기 운전자의 키 높이가 181c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안착부가 안정적으로 좌석시트에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좌석시트와 헤드레스트 사이에 안착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헤드레스트의 기능성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위치에서 사용자의 목을 받칠 수 있어 목 받침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앉은키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와 무관하게 목 부분을 받쳐주면서 목의 피로도를 저하시키고, 편안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목 받침쿠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목 받침쿠션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목 받침쿠션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목 받침쿠션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목 받침쿠션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목 받침쿠션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목 받침쿠션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받침쿠션은 차량의 좌석시트의 상부면과 헤드레스트의 하부면 사이에 안착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전방으로 운전자의 목, 특히 목의 경추 부분이 밀착되면서 운전시 목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하여 목의 피로감을 저하시키는 쿠션부(100)와, 이 쿠션부(100)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쿠션부(100)를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쿠션부(100)는 헤드레스트와 운전자의 목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워주면서 장시간 운전시 운전자의 긴장된 목 근육의 피로도를 저하시키고 높아진 경추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것으로, 경추 부분이 접촉되며,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목 받침부(102)와, 목 받침부(102)의 후방측 상부를 형성하며 쿠션부(100)의 장착이 이루어질 때, 헤드레스트의 하부면이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1안착부(104) 및 제1안착부(104)의 하부에 구성되고, 목 받침부(102)의 후방측 하부를 형성하며 쿠션부(100)의 장착시, 좌석시트의 상부면이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제2안착부(106)로 구성된다.
여기서, 목 받침부(102)는 운전자의 키 높이에 따라 경추 부분과의 접촉 부분이 상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키 높이가 160cm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밀착되는 제1목 받침부(102a)와 160cm 미만의 키 높이를 가지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밀착되는 제2목 받침부(102b)로 구성된다.
이때, 제1목 받침부(102a)는 상단부가 제1안착부(104)와의 경계지점(C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단부가 제2목 받침부(102b)의 상단부와의 경계지점(C3)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전방으로 소정의 호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목 받침부(102a)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는 경우, 상단부가 제1안착부(104)와의 경계지점(C1)과 제2목 받침부(102b)의 상단부와의 경계지점(C3) 사이의 중앙부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목 받침부(102)는 전방으로 소정의 호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 소정의 호에 있어서 가장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점에 해당하는 분기점이 제2목 받침부(102b)의 상단부와의 경계지점(C3)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헤드레스트에 장착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경계지점(C3)의 상부면이 운전자의 경추 부분과 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2목 받침부(102b)는 운전자의 키 높이가 160cm 미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운전자의 경추 부분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단부가 제1목 받침부(102a)의 하단부와의 경계지점(C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단부가 제2안착부(106)와의 경계지점(C2)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소정의 호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목 받침부(102b)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는 경우, 제2안착부(106)와의 경계지점(C2)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접한 위치에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목 받침부(102b)는 운전자의 키 높이에 따라 쿠션부(100)의 전방 하부를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쿠션부(100)의 전방 상부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및 제2목 받침부(102a, 102b)는 수직 길이(높이)가 일정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목 받침부(102a)의 수직 길이에 대한 수치 비율(A1)과 제2목 받침부(102b)의 수직 길이에 대한 수치 비율(A2)이 각각 1: 1.5~1.8의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목 받침부(102a, 102b)는 폭(넓이)에 대한 비율이 일정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목 받침부(102a)의 폭에 대한 수치 비율(B1)과 제2목 받침부(102b)의 폭에 대한 수치 비율(B2)이 각각 1 : 2의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는, 제1 및 제2목 받침부(102a, 102b)와 운전자의 경추 부분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경추 부분의 접촉시 운전자의 목과의 접촉 면적을 가장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쿠션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경추 부분과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외피(110)와, 외피(110)에 의해 감싸지며, 운전자에게 소정의 쿠션력을 제공하는 전방 쿠션부재(120)와, 전방 쿠션부재(120)의 후방부에 구성되고, 이 전방 쿠션부재(120) 보다 높은 밀도로 이루어져 쿠션부(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후방 쿠션부재(130)와, 전방 및 후방 쿠션부재(120, 130) 사이에 구성되며, 전방 쿠션부재(120)의 압축을 지지하는 한편, 쿠션부(100)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저는 보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외피(110)는 통상의 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방 쿠션부재(120)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어 이 경추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흡수하여 후방 쿠션부재(120)측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90kg/m3~115kg/m3의 밀도를 가지는 고밀도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후방 쿠션부재(130)는 전방 쿠션부재(120)로 경추로부터 전달된 압력을 분산시켜 전방 쿠션부재(120)의 형상 복원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후방 쿠션부재(130)는 전방 쿠션부재(120)와 마찬가지로 고밀도 메모리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115kg/m3~135kg/m3의 밀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부재(140)는 전방 쿠션부재(120)의 후방부가 밀착되며, 이 전방 쿠션부재(120)가 운전자의 경추에 의해 압축이 이루어질 때 이를 지지하고, 쿠션부(100)의 수직 길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직 보강판(142)과, 수직 보강판(142)의 후방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후방 쿠션부재(130)를 상부 및 하부로 분할하여 전방 쿠션부재(120)로부터 전달되는 경추의 압력을 후방 쿠션부재(130)의 상부 및 하부로 전달하면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리브(144) 및 지지리브(144)의 단부에 구성되고, 밴드부(200)의 결합밴드(210)와 외피(110)의 결합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고정판(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수직 보강판(142)은 제1 및 제2목 받침부(102a, 102b)에 형성된 호와 동일한 호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쿠션부(100)는 운전자가 오랜 시간, 오랜 기간 사용해도 변형 없이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잘 흡수하고, 꺼짐 현상이 없어 운전자의 체형에 맞춰 운전자의 경추 부분에 대한 받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쿠션부(100)에는 운전자의 키 높이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되고, 쿠션부(100)의 제2안착부(106)가 안정적으로 좌석시트에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15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15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키 높이가 181cm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좌석시트의 상단부와 제2안착부(106) 사이의 공간을 메워줄 수 있도록 좌석시트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후방부 양측으로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축을 감싸는 삽입부(154)가 형성되고, 그 상부면으로 제2안착부(106)가 안착되는 받침부(1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받침부재(150)는 운전자의 키 높이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81cm~185cm 인 경우에는 하나만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되고, 186cm~190cm인 경우에는 두 개의 받침부재(150)가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좌석시트의 제조회사, 종류에 따라 177cm 이상인 경우에도 받침부재(150)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밴드부(200)는 쿠션부(100)를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시켜 차량의 주행중 헤드레스트와 좌석시트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쿠션부(100)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결합밴드(210)와, 이 결합밴드(210)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단부에 밴드 고정클립(240)이 구성되는 연결밴드(230) 및 결합밴드(210)의 나측부에 구성되고, 밴드 고정클립(240)에 의해 연결밴드(230)와 연결 및 고정되는 고정밴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밴드(220)는 연결축의 외면을 감싸면서 밴드 고정클립(240)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이 밴드 고정클립(240)한 고정밴드(220)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밴드(220)와 밴드 고정클립(240) 및 고정밴드(220)와 연결축 간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키는 결합수단(250)이 구성된다.
이때, 결합수단(250)은 고정밴드(220)의 내측면에 대한 단부와 고정밴드(220)의 외면부에 각각 구성되고, 고정밴드(220)의 내측면에 대한 단부에 형성된 결합수단(250)이 고정밴드(220)의 외면부의 일정 위치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밴드부(200)에는 연결밴드(230)의 길이가 짧아 헤드레스트와의 연결이 용이하지 못하는 경우, 연결밴드(230), 또는 고정밴드(220)의 길이를 연장시켜 헤드레스트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연장밴드(미도시)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밴드 역시 통상의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받침쿠션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밴드부(200)를 통해 쿠션부(100)를 고정시키면서 쿠션부(100)의 제2안착부(106)가 좌석시트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후 헤드레스트를 하측 및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헤드레스트의 하단부가 쿠션부(100)의 제1안착부(104)에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쿠션부(100)의 장착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받침쿠션은 그 설치 및 분리 또한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헤드레스트의 조절만으로도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받침쿠션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키 높이가 160c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목 받침부(102b)가 쿠션부(1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헤드레스트의 하단부가 제2안착부(106)에 안착되고, 좌석시트의 상부 전방부가 제1안착부(104)와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목 받침쿠션은 운전자의 키 높이에 따라 별도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1목 받침부(102a)와 제2목 받침부(102b)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으로도 작은 키의 운전자에 대한 경추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해당하는 운전자의 목의 피로도를 저하시키고, 편안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목 받침부(102b) 역시 좌석시트의 제조회사, 종류에 따라 160cm 이상인 경우에도 쿠션부(100)의 상부에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쿠션부 102: 목 받침부
102a: 제1목 받침부 102b: 제2목 받침부
104: 제1안착부 106: 제2안착부
110: 외피 120: 전방 쿠션부재
130: 후방 쿠션부재 140: 보강부재
150: 받침부재 200: 밴드부재
210: 결합밴드 220: 고정밴드
230: 연결밴드 240: 밴드 고정클립
250: 결합수단

Claims (6)

  1.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밀착되는 제1 및 제2목 받침부로 구성된 목 받침부와, 상기 목 받침부의 후방측 상부를 형성하며, 쿠션부의 장착시 헤드레스트의 하부면이 밀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목 받침부의 후방측 하부를 형성하며 좌석시트의 상부면이 밀착되는 제2안착부로 구성된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후방부에 결합되며, 상기 쿠션부를 헤드레스트의 연결축에 고정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목 받침부는, 키 높이가 160cm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밀착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제1안착부와의 경계지점(C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2목 받침부의 상단부와의 경계지점(C3)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는 경우, 상단부가 상기 경계지점(C1)과 경계지점(C3) 사이의 중앙부가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목 받침부는, 키 높이가 160cm 미만의 키 높이를 가지는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밀착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경계지점(C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2안착부와의 경계지점(C2)까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는 경우, 상기 경계지점(C2)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접한 위치에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받침쿠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목 받침부는 운전자의 키 높이에 따라 상기 쿠션부의 전방 하부를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쿠션부의 전방 상부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받침쿠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목 받침부는,
    상기 제1목 받침부의 수직 길이(높이)에 대한 수치 비율과 상기 제2목 받침부의 수직 길이에 대한 수치 비율이 각각 1: 1.5~1.8의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목 받침부의 폭(넓이)에 대한 수치 비율과 상기 제2목 받침부의 폭에 대한 수치 비율이 각각 1 : 2의 비율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받침쿠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외피;
    운전자의 경추 부분이 접촉되어 이 경추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전방 쿠션부재;
    상기 전방 쿠션부재로 경추로부터 전달된 압력을 분산시키는 후방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의 수직 길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직 보강판과, 상기 후방 쿠션부재를 상부 및 하부로 분할하여 상기 경추의 압력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보강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받침쿠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목 받침쿠션에는,
    상기 운전자의 키 높이가 181c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안착부가 안정적으로 좌석시트에 안착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더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하나, 또는 둘 이상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목 받침쿠션.
KR1020200063900A 2020-05-27 2020-05-27 차량용 목 받침쿠션 KR102150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900A KR102150237B1 (ko) 2020-05-27 2020-05-27 차량용 목 받침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900A KR102150237B1 (ko) 2020-05-27 2020-05-27 차량용 목 받침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237B1 true KR102150237B1 (ko) 2020-08-31

Family

ID=7223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900A KR102150237B1 (ko) 2020-05-27 2020-05-27 차량용 목 받침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2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775Y1 (ko) * 2003-03-27 2003-06-25 황인성 차량 프런트시트용 안전베개
KR200324056Y1 (ko) 2003-05-29 2003-08-21 강석종 차량용 목 받침구
KR20150057830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정빈산업 목쿠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775Y1 (ko) * 2003-03-27 2003-06-25 황인성 차량 프런트시트용 안전베개
KR200324056Y1 (ko) 2003-05-29 2003-08-21 강석종 차량용 목 받침구
KR20150057830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정빈산업 목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947B1 (en)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headrest
KR101678400B1 (ko) 요추 지지부를 구비한 차량 시트
US3650561A (en) Headrest
US3706472A (en) Head rest with energy absorbing head pad, particularly for vehicle seats
US20150183353A1 (en) Car seat for protecting vertebral column
KR102150237B1 (ko) 차량용 목 받침쿠션
KR101664651B1 (ko)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KR101051608B1 (ko) 차량용 시트의 보조 헤드레스트
KR20100051939A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2170934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3146000U (ja) 乗物用枕、及び、これを備えた乗物用の座席シート
KR101825057B1 (ko)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CN211918457U (zh) 一种车用颈部靠枕
CN220700971U (zh) 一种可调高度的头枕
KR20200048682A (ko) 차량 시트의 패드리스 헤드레스트
JP4488854B2 (ja) 車両用シート
CN112677847B (zh) 一种汽车座椅头枕多角度调节装置
KR100454124B1 (ko) 경추보호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506025B1 (ko) 길이 가변형 헤드 레스트가 구비된 시트
CN209938387U (zh) 一种车载辅助座椅及车载座椅
JPS61226341A (ja) シ−ト装置
JP4713162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155541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100534945B1 (ko) 목 상해 방지용 자동차 시트의 처짐 방지 구조
KR200190927Y1 (ko) 자동차용 시트카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