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057B1 -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057B1
KR101825057B1 KR1020160084765A KR20160084765A KR101825057B1 KR 101825057 B1 KR101825057 B1 KR 101825057B1 KR 1020160084765 A KR1020160084765 A KR 1020160084765A KR 20160084765 A KR20160084765 A KR 20160084765A KR 101825057 B1 KR101825057 B1 KR 10182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occupant
seat
cover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977A (ko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이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화 filed Critical 이용화
Priority to KR1020160084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0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3Lumbar supports portable with attachment to the back-rest
    • B60N2/48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3Head-rests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몸체와 상기 몸체를 감싸는 커버로 구성되고, 차량 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받침대가 개시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시트의 등받이에 접촉하는 등 받침부; 및 상기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접촉하고, 상기 등 받침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목/후두부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후두부 받침부의 측단면에서 전면 측의 윤곽 라인은 탑승자의 후두부에서 목으로 이어지는 윤곽 라인에 대응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Integral support attached to car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충격으로부터 탑승자의 목과 머리를 동시에 보호하면서 자세를 편하게 해줄 수 있는 일체형 받침대에 관련한다.
자동차의 좌석, 특히 승용차 또는 승합차의 앞좌석 또는 버스의 좌석 등에는 탑승자의 후두부를 편안하게 받쳐주거나, 사고시 후두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 키기 위한 헤드 레스트(head rest)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헤드 레스트는 후두부 아래쪽의 뒷목 부분을 받쳐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탑승자, 특히 운전자는 장시간의 여행 또는 운전에 의한 피로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특히, 운전자는 운전에 집중하는 동안 후두부가 헤드 레스트로부터 떨어지게 되는데, 이는 운전자의 뒷목 부분에 큰 무리를 주어 목디스크와 같은 질환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두부 및 뒷목 부분을 지지해주는 부분이 없음으로 인해 작은 접촉사고에 의해서도 탑승자가 크게 다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11908호에서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자동차 탑승자의 뒷목 및 후두부를 동시에 받쳐주어 탑승자의 편안한 운전 또는 여행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뒷목을 받치는 부분과 후두부를 받치는 부분의 간격이 탑승자의 뒷목에 의해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헤드레스트 장착형 쿠션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의할 경우, 뒷목과 후두부를 동시에 받칠 수는 있지만 탑승자의 등 부분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상기의 장착형 쿠션의 측면 윤곽이 사람의 후두부와 목으로 이어지는 윤곽과 전혀 달라 탑승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 시트의 등받이는 통상 경사를 이룬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상기의 장착형 쿠션을 사용할 경우 오히려 탑승자의 목이 꺾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의 후두부와 목 그리고 등을 동시에 지지하여 탑승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일체형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시트의 등받이가 경사진 상태에서도 탑승자의 후두부와 목을 편안하고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일체형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몸체와 상기 몸체를 감싸는 커버로 구성되고, 차량 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받침대로서, 상기 시트의 등받이에 접촉하는 등 받침부; 및 상기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접촉하고, 상기 등 받침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목/후두부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후두부 받침부의 측단면에서 전면 측의 윤곽 라인은 탑승자의 후두부에서 목으로 이어지는 윤곽 라인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 받침부의 전면에는 일정한 깊이와 크기를 갖는 후두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탑승자의 후두부의 일부가 상기 커버를 개재하여 상기 후두부 수용홈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등 받침부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을 따라 충진부가 돌출되어 연장되어 상기 탑승자의 등에 형성된 골에 접촉하여 상기 골을 채운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후두부 받침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등 받침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목/후두부 받침부는 상기 등 받침부와의 경계에서 상기 등 받침부와 같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후두부 수용홈에서 커버가 몸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후두부 수용홈의 공간이 개재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도 후두부 수용홈이 완충 작용을 하여 탑승자의 후두부가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두부 수용홈에 의해 해당 부분의 커버가 약간 들어간 상태로 후두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차량의 좌우 흔들림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의 경우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후두부가 헤드 레스트에 의해 지지될 때, 헤드 레스트와 탑승자의 목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채워 탑승자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후두부 받침부의 단면에서 전면 측은 탑승자의 후두부와 목으로 구성되는 윤곽 라인과 대략 유사한 윤곽 라인을 갖기 때문에, 후두부 받침부가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탑승자의 목은 C자 형태로 휘는데 목 받침부가 대략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휜 상태 그대로 목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받침대를 시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받침대(100)는 차량 시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탑승자의 접촉 부위에 대응하여 후두부 받침부(110), 목 받침부(120) 및 등 받침부(140)로 구분된다.
따라서, 일정한 높이를 갖는 등 받침부(140)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목 받침부(120)와 후두부 받침부(110)가 일체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받침대(10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차량 시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폭은 시트의 폭보다 약간 작거나 같을 수 있고, 높이는 대략 탑승자의 허리 위쪽까지 지지하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받침대(100)는 몸체(101)와 몸체(101)를 감싸는 커버(102)로 구성되는데, 몸체(101)는 메모리 폼이나 스폰지 등의 쿠션 재질로 구성되고, 커버(102)는 천이나 가죽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후두부 받침부(110)는 탑승자의 머리의 뒤통수(후두부)와 접촉하여 지지하는데, 후두부 받침부(110)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깊이와 면적의 후두부 수용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커버(102)가 몸체(101)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커버(102)와 몸체(101) 사이에 후두부 수용홈(112)의 공간이 개재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여도 후두부 수용홈(112)이 완충 작용을 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후두부가 충격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후두부 수용홈(112)에 의해 해당 부분의 커버(102)가 약간 들어간 상태로 후두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차량의 좌우 흔들림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의 경우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목 받침부(120)는 후두부 받침부(110)와 일체로 제작되어 차량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목/후두부 받침부(130)로 사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목/후두부 받침부(13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져서 등 받침부(140)와의 경계에서는 등 받침부(140)와 같은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탑승자의 후두부가 헤드 레스트에 의해 지지될 때, 헤드 레스트와 탑승자의 목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채워 탑승자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목/후두부 받침부(130)의 단면에서 전면 측은 탑승자의 후두부와 목으로 구성되는 윤곽 라인과 대략 유사한 윤곽 라인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후두부 받침부(110)가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탑승자의 목이 C자 형태로 휘지만 목 받침부(120)가 대략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휜 상태 그대로 목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목/후두부 받침부(130)의 후면에는 받침대(100)를 차량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스트랩(132)이 설치될 수 있는데, 가령 각 스트랩(132)의 끝에는 매직 테이프가 설치되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의 스트랩(132) 이외에도 받침대(100)를 헤드 레스트에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 받침부(140)는 목/후두부 받침부(130)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구비하며, 높이방향으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든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통상 탑승자의 어깨는 운전중 앞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어깨와 차량시트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데, 일정한 두께를 갖는 등 받침부(140)의 어깨 부분(144)이 어깨와 차량시트 사이에 간격을 채우면서 탑승자의 어깨를 지지하기 때문에 탑승자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등 받침부(140)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을 따라 충진부(142)가 돌출되어 연장된다. 통상, 인체의 등 가운데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골이 형성되는데, 충진부(142)는 탑승자의 등에 형성된 골에 접촉하여 골을 채우게 됨으로써 탑승자는 시트에 밀착되는 느낌을 얻을 수 있고, 부가적으로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받침대를 시트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받침대(100)는, 상기한 것처럼, 스트랩(132)에 의해 헤드 레스트(10)에 고정되고, 목/후두부 받침부(130)는 헤드 레스트(10)에 접촉하고 등 받침부(140)는 시트 등받이(20)에 접촉한다.
탑승자가 시트 좌석(30)에 앉으면, 탑승자 머리의 후두부가 커버(102)를 개재하여 후두부 수용홈(112)에 약간 들어간 상태에서 C형으로 휘어진 목은 목 받침부(120)에 의해 완벽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목/후두부 받침부(130)와 등 받침부(140)의 경계 부분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어 헤드 레스트(10)/시트 등받이(20)와 탑승자의 목/어깨 부분 사이에 간격을 채워 탑승자의 등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받침대
101: 몸체
102: 커버
110: 후두부 받침부
120: 목 받침부
130: 목/후두부 받침부
140: 등 받침부
142: 충진부

Claims (4)

  1. 몸체와 상기 몸체를 감싸는 커버로 구성되고, 차량 시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받침대로서,
    상기 몸체는,
    상기 시트의 등받이에 접촉하는 등 받침부; 및
    상기 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접촉하고, 상기 등 받침부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목/후두부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후두부 받침부의 측단면에서 전면 측의 윤곽 라인은 탑승자의 후두부에서 목으로 이어지는 윤곽 라인에 대응하고,
    상기 목 받침부의 전면에는 일정한 깊이와 크기를 갖는 후두부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후두부 수용홈을 상기 커버로 덮어 상기 커버와 상기 후두부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완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 공간이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커버에 접촉된 탑승자의 후두부를 상기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등 받침부의 폭 방향의 중간 부분을 따라 충진부가 돌출되어 연장되어 상기 탑승자의 등에 형성된 골에 접촉하여 상기 골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4. 청구항 1에서,
    상기 목/후두부 받침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등 받침부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며, 상기 목/후두부 받침부는 상기 등 받침부와의 경계에서 상기 등 받침부와 같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KR1020160084765A 2016-07-05 2016-07-05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KR10182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65A KR101825057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65A KR101825057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77A KR20180004977A (ko) 2018-01-15
KR101825057B1 true KR101825057B1 (ko) 2018-02-02

Family

ID=6100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765A KR101825057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0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812A (ja) * 2003-05-06 2004-11-25 Bireda Hanbai Kk 腰痛防止用クッショ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9812A (ja) * 2003-05-06 2004-11-25 Bireda Hanbai Kk 腰痛防止用クッ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977A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570B2 (en) Protective headrest
US3627379A (en) Backrest for a seat especially of a motor vehicle
JP5925575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3080266U (ja) ヘッドレスト装置
EP0677423A1 (en) Neck support for a vehicle seat
US3706472A (en) Head rest with energy absorbing head pad, particularly for vehicle seats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KR101825057B1 (ko)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일체형 받침대
JP6053657B2 (ja) 車両用シートの頚支持装置
JP3146000U (ja) 乗物用枕、及び、これを備えた乗物用の座席シート
KR20150067644A (ko) 자동차 헤드 레스트용 베개
CN203567584U (zh) 一种带“u”形头靠槽及填充块的新型座椅
JP5712877B2 (ja) 自動車用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KR102150237B1 (ko) 차량용 목 받침쿠션
KR20100051939A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CN217864031U (zh) 一种防驾驶前倾安全系带装置及车辆
US3515434A (en) Seat arrangement
CN206067974U (zh) 一种电动自行车婴儿座椅
CN209650103U (zh) 座垫缓冲结构及安全座椅
JP2006110221A (ja) 車両用シート
CN209870200U (zh) 一种汽车安全辅助装置
JP2000210161A (ja) 車両用シ―トのシ―トバック
KR102170934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CN216002305U (zh) 儿童安全座椅头枕
KR20140064586A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