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816B1 -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816B1
KR102149816B1 KR1020200095959A KR20200095959A KR102149816B1 KR 102149816 B1 KR102149816 B1 KR 102149816B1 KR 1020200095959 A KR1020200095959 A KR 1020200095959A KR 20200095959 A KR20200095959 A KR 20200095959A KR 102149816 B1 KR102149816 B1 KR 10214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lectric pole
collision
pole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완
Original Assignee
(주)다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다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9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를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할 수 있는 상황에서, 보호패널이 자동 작동됨과 동시에 이러한 보호패널이 차량의 충돌하는 힘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해당 차량 및 전주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함에 따라, 도로변 전주의 차량 충돌로 인한 기울어짐 내지 넘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동시에 충돌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보다 잘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은 제1 충격흡수부, 제2 충격흡수부, 충돌 위험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충격흡수부 및 제2 충격흡수부는 각각 보호패널 및 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유압실린더, 유압탱크, 유압펌프, 오일 회수탱그, 바이패스관, 바이패스 밸브, 오일 회수관 및 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Shock prevention system for telegraph pole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를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할 수 있는 상황에서, 보호패널이 자동 작동됨과 동시에 이러한 보호패널이 차량의 충돌하는 힘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해당 차량 및 전주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함에 따라, 도로변 전주의 차량 충돌로 인한 기울어짐 내지 넘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동시에 충돌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보다 잘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주,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 상기 완철에 현수애자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단위배전선, 상기 단위배전선을 연결하는 점퍼선 및 상기 점퍼선을 완철에 대하여 절연 상태로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공배전선로는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경우도 많고, 이에 따라 도로변에 설치되는 전주는 해당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추돌 위험에 항시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대한 차량 추돌 시 해당 전주가 크게 기울거나 심한 경우 넘어지기도 하며, 이는 정전 사고로 이어져 주변 지역에 대한 전기 공급이 중단되면서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는 동시에 그 복구를 위해 많은 경제적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는 다른 측면으로써, 전주는 통상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되어 땅속에 비교적 깊이 매립되므로, 자동차 추돌 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크게 다칠 수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번호 제10-2024239호(2019.09.23.공고), “배전선로의 전신주 보호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 번호 제10-2078987호(2020.02.19.공고), “전신주용 충격 감지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 번호 제10-1877256호(2018.07.11.공고), “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송전, 배전, 변전용 전신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도를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할 수 있는 상황에서, 보호패널이 자동 작동됨과 동시에 이러한 보호패널이 차량의 충돌하는 힘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해당 차량 및 전주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함에 따라, 도로변 전주의 차량 충돌로 인한 기울어짐 내지 넘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동시에 충돌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보다 잘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은, 차도(R)를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10)에 상기 전주(10)의 횡단면보다 반지름이 큰 가상의 동심원(C)을 기준으로 상기 동심원(C)을 90° 간격으로 분할한 4개의 호(A) 중 서로 마주보는 두 호(A)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동심원(C)의 중심 및 상기 차도(R)의 폭 방향 중앙을 최단 거리로 직선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L)과 40°∼50°의 예각을 형성하는 가상의 사선(D)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상기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사이인 동시에 상기 전주(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차도 쪽의 상기 제1 보호패널(110)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완충 작용을 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전주(10)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을 포함하며, 인도 쪽의 상기 제1 보호패널(110)은 지면에 고정되는 제1 충격흡수부(100)와, 상기 제1 충격흡수부(10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심원(C)의 네 호(A) 중 상기 제1 충격흡수부(100)가 설치되지 않은 두 호(A)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충격흡수부(200)와, 상기 차도(R)를 따라 주행 중인 차량의 상기 전주(10)에 대한 충돌을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충돌 위험 감지부(300)와, 상기 충돌 위험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충격흡수부(100) 또는 제2 충격흡수부(2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도를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할 수 있는 상황에서, 보호패널이 자동 작동됨과 동시에 이러한 보호패널이 차량의 충돌하는 힘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해당 차량 및 전주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도로변 전주의 차량 충돌로 인한 기울어짐 내지 넘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동시에 충돌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보다 잘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을 평면도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제1 및 제2 충격흡수부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제1 충격흡수부의 제1 충격흡수유닛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평면도로 예시한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을 평면도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제1 및 제2 충격흡수부를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제1 충격흡수부의 제1 충격흡수유닛을 예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은 제1 충격흡수부(100), 제2 충격흡수부(200), 충돌 위험 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충격흡수부(100)는 차도(R)를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1 충격흡수부(100)는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및 한 쌍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은 전주(10)의 횡단면보다 반지름이 큰 가상의 동심원(C)을 기준으로 상기 동심원(C)을 90° 간격으로 분할한 4개의 호(A) 중 서로 마주보는 두 호(A)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서로 마주보는 두 호(A) 중 한쪽 호(A)에 해당되는 위치에 하나의 제1 보호패널(110)이 설치되고, 반대쪽 호(A)에 해당되는 위치에 다른 하나의 제1 보호패널(11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은 상기 동심원(C)의 중심 및 차도(R)의 폭 방향 중앙을 최단 거리로 직선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L)과 40°∼50°의 예각을 형성하는 가상의 사선(D)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중 인도 쪽의 제1 보호패널(110)은 지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인도 쪽의 제1 보호패널(110)은 하단으로부터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의 매립 지주(111)가 형성되어 이러한 매립 지주(111)들을 통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한 쌍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은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사이인 동시에 전주(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된다. 부연 설명하면, 전주(10)를 중심으로 일측에 하나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이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사이에 설치되고, 전주(10)를 중심으로 타측에 다른 하나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이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은 차도(R) 쪽의 제1 보호패널(110)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완충 작용을 하도록 작동하여 전주(10)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 각각은 유압실린더(121), 유압탱크(122), 유압펌프(123), 오일 회수탱크(124), 바이패스관(125), 바이패스 밸브(126), 오일 회수관(127) 및 완충스프링(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압실린더(121)는 피스톤형 내지 플런저형 중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피스톤형을 예로 설명한다. 즉, 유압실린더(121)는 인도 쪽의 제1 보호패널(110)에 고정되며, 피스톤로드(121b)의 선단이 차도 쪽의 제1 보호패널(110)에 고정된다.
유압탱크(122)는 유압실린더(121)에 공급되기 위한 오일이 저장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유압탱크(122)가 지중에 매입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압펌프(123)는 유압탱크(122)의 오일을 유압실린더(121)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유압펌프(123)는 후술되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여 유압탱크(122)의 오일을 유압실린더(121)로 공급한다.
오일 회수탱크(124)는 유압실린더(121)에 공급된 오일이 유압탱크(122)로 바로 회수되지 않고 바이패스되면서 회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오일 회수탱크(124)는 이어서 설명되는 바이패스관(125) 및 바이패스 밸브(126) 그리고 오일회수관(127)을 통해 유압실린더(121)의 오일을 바이패스 방식으로 유압탱크(122)에 회수시킨다. 그리고 오일 회수탱크(124)는 오일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유압실린더(121)의 오일 용량에 비해 절반 정도의 수준이 되도록 형성된다.
바이패스관(125)은 유압실린더(121)의 내부와 오일 회수탱크(124)의 내부를 연결하며, 바이패스 밸브(126)는 이러한 바이패스관(125)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바이패스 밸브(126)는 후술되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개폐 작동을 한다. 또한, 오일회수관(127)은 오일 회수탱크(124)의 내부와 유압탱크(122)의 내부를 연결한다.
완충스프링(128)은 유압실린더(121)의 피스톤(121a) 배면 및 유압실린더(121)의 후방 쪽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완충 기능을 하며, 이때 완충스프링(128)은 최대 압축 시의 두께가 제1 충격흡수유닛(120)의 작동 전 차도 쪽의 제1 보호패널(110) 및 전주(10) 간 거리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다. 이는 전주(10)를 향해 충돌해 오는 차량이 차도 쪽의 제1 보호패널(110)을 그 최초 설치된 상태 이상으로 인도 쪽을 향해 밀고 들어오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2 충격흡수부(200)는 제1 충격흡수부(10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2 충격흡수부(200)는 상술한 동심원(C)의 네 호(A) 중 제1 충격흡수부(100)가 설치되지 않은 두 호(A)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제2 충격흡수부(200)는 한 쌍의 제2 보호패널(210) 및 한 쌍의 제2 충격흡수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제2 보호패널(210) 및 한 쌍의 제2 충격흡수유닛(220)의 세부 구성은 제1 충격흡수부(100)의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및 한 쌍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부연 설명하면, 제2 충격흡수유닛(220)은 유압펌프(223), 바이패스 밸브(226)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2 충격흡수유닛(220)의 세부 구성 역시 제1 충격흡수유닛(120)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충돌 위험 감지부(300)는 차도(R)를 따라 주행 중인 차량의 전주(10)에 대한 충돌을 사전에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충돌 위험 감지부(300)는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의 배치 기준이 되는 상술한 가상의 사선(D) 방향과 동일한 촬상 각도로 전주(10)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모듈(310) 및 한 쌍의 제2 보호패널(210)의 배치 기준이 되는 가상의 사선(D) 방향과 동일한 촬상 각도로 전주(10)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충돌 위험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1 충격흡수부(100) 또는 제2 충격흡수부(200)를 작동시킨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어부(400)는 차도 쪽 제1 보호패널(110)을 향해 충돌해 오는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제1 기준영상이 사전에 저장되고, 차도 쪽 제2 보호패널(210)을 향해 충돌해 오는 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제2 기준영상이 사전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제1 기준영상 및 제2 기준영상은 차량의 정면에 대한 영상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충돌 위험 감지부(300)의 제1 카메라모듈(3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데이터 및 기저장된 상기 제1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차도 쪽 제1 보호패널(110)을 향해 충돌해 오는 차량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충돌 위험 감지부(300)의 제2 카메라모듈(3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데이터 및 기저장된 상기 제2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차도 쪽 제2 보호패널(210)을 향해 충돌해 오는 차량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별한다.
부연 설명하면, 제1 카메라모듈(310) 및 제2 카메라모듈(320)은 각각 차도(R)의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촬상 각도를 형성한 것이므로, 이러한 제1 카메라모듈(310) 및 제2 카메라모듈(320)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데이터에는 차도(R)를 주행 중인 차량이 측면 중심으로 촬영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제1 카메라모듈(31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차도(R)를 주행 중인 차량이 정면 중심으로 촬영될 경우 해당 차량이 차도 쪽 제1 보호패널(110)을 향해 충돌해 오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카메라모듈(32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에 차도(R)를 주행 중인 차량이 정면 중심으로 촬영될 경우 해당 차량이 차도(R) 쪽 제2 보호패널(210)을 향해 충돌해 오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평면도로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충격흡수부(100) 및 이와 연계되는 충돌 위험 감지부(300)의 제1 카메라모듈(310)을 예로 설명하며, 이를 토대로 제2 충격흡수부(200) 및 이와 연계되는 충돌 위험 감지부(300)의 제2 카메라모듈(320)을 통한 작용이 이해되면 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R)를 따라 주행 중인 차량이 추돌 사고 등의 이유로 해당 차도를 따라 설치된 가공배전선로의 전주(10)를 향해 충돌해 오면, 해당 차량의 영상데이터가 충돌 위험 감지부(300)의 제1 카메라모듈(310)를 통해 실시간 획득됨과 동시에 제어부(4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제1 카메라모듈(310)의 영상데이터 및 상술한 사전 설정된 제1 기준영상의 비교를 통해 차량이 전주(10)를 향해 충돌해 오는 것으로 판단 후 제1 충격흡수부(100)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 충격흡수유닛(120)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제1 충격흡수유닛(120)의 유압펌프(123)가 작동되면서 유압실린더(121)의 피스톤(121a)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121)의 피스톤로드(121b)와 결합된 차도(R) 쪽의 제1 보호패널(110)이 차도 방향으로 전진되면서 차량의 충돌하는 힘을 받아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 보호패널(110)이 차량의 충돌하는 힘을 받아내는 과정에서, 제1 충격흡수유닛(120)의 바이패스 밸브(126)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된 상태이므로, 유압실린더(121) 내의 오일이 바이패스관(125), 오일 회수탱크(124) 및 오일 회수관(127)을 경유하면서 유압탱크(122)로 회수되고, 이때 오일 회수탱크(124)의 오일 수용 용량이 유압실린더(121)의 오일 수용 용량에 비해 절반 수준이므로, 제1 보호패널(110)은 차량의 충돌하는 힘에 대해 소정의 저항하는 힘을 발휘하면서 후진을 하게 된다. 또한, 제1 보호패널(110)이 일정 거리 후진된 후에는 유압실린더(121) 내의 완충스프링(128)이 차량의 충돌하는 힘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하고, 이러한 완충스프링(128)은 상술한 것처럼 최대 압축 시의 두께가 제1 충격흡수유닛(120)의 작동 전 차도 쪽의 제1 보호패널(110) 및 전주(10) 간 거리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 것이므로, 제1 보호패널(110)은 최초 설치된 상태 이상으로의 후진이 방지되면서 완충스프링(128)의 완충 작용을 받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은, 차도를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할 수 있는 상황에서, 보호패널이 자동 작동됨과 동시에 이러한 보호패널이 차량의 충돌하는 힘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면서 해당 차량 및 전주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함에 따라, 도로변 전주의 차량 충돌로 인한 기울어짐 내지 넘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동시에 충돌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보다 잘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전주 100 : 제1 충격흡수부
110 : 제1 보호패널 111 : 매립 지주
120 : 제1 충격흡수유닛 121 : 유압실린더
121a : 피스톤 121b : 피스톤로드
122 : 유압탱크 123 : 유압펌프
124 : 오일 회수탱크 125 : 바이패스관
126 : 바이패스 밸브 127 : 오일 회수관
128 : 완충스프링 200 : 제2 충격흡수부
210 : 제2 보호패널 220 : 제2 충격흡수유닛
300 : 충돌 위험 감지부 310 : 제1 카메라모듈
320 : 제2 카메라모듈 400 : 제어부
R : 차도 C : 동심원
A : 호 L : 기준선
D : 사선

Claims (1)

  1. 차도(R)를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10)에 상기 전주(10)의 횡단면보다 반지름이 큰 가상의 동심원(C)을 기준으로 상기 동심원(C)을 90° 간격으로 분할한 4개의 호(A) 중 서로 마주보는 두 호(A)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동심원(C)의 중심 및 상기 차도(R)의 폭 방향 중앙을 최단 거리로 직선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L)과 40°∼50°의 예각을 형성하는 가상의 사선(D)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과, 상기 한 쌍의 제1 보호패널(110) 사이인 동시에 상기 전주(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고 차도 쪽의 상기 제1 보호패널(110)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완충 작용을 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전주(10)에 대한 충격을 방지하는 한 쌍의 제1 충격흡수유닛(120)을 포함하며, 인도 쪽의 상기 제1 보호패널(110)은 지면에 고정되는 제1 충격흡수부(100);
    상기 제1 충격흡수부(10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심원(C)의 네 호(A) 중 상기 제1 충격흡수부(100)가 설치되지 않은 두 호(A)에 해당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충격흡수부(200);
    상기 차도(R)를 따라 주행 중인 차량의 상기 전주(10)에 대한 충돌을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충돌 위험 감지부(300);
    상기 충돌 위험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충격흡수부(100) 또는 제2 충격흡수부(2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KR1020200095959A 2020-07-31 2020-07-31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KR10214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59A KR102149816B1 (ko) 2020-07-31 2020-07-31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59A KR102149816B1 (ko) 2020-07-31 2020-07-31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816B1 true KR102149816B1 (ko) 2020-09-01

Family

ID=7245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959A KR102149816B1 (ko) 2020-07-31 2020-07-31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188B1 (ko) * 2021-04-12 2021-10-07 (주)다솔엔지니어링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56B1 (ko) 2018-03-14 2018-07-11 주식회사 양일테크 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송전, 배전, 변전용 전신주
KR102024239B1 (ko) 2019-02-15 2019-09-23 (주)미동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신주 보호장치
KR102078987B1 (ko) 2018-11-13 2020-02-19 한국전력공사 전신주용 충격 감지장치
KR102125247B1 (ko) * 2019-06-28 2020-06-24 (주)대일티이씨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추돌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56B1 (ko) 2018-03-14 2018-07-11 주식회사 양일테크 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는 송전, 배전, 변전용 전신주
KR102078987B1 (ko) 2018-11-13 2020-02-19 한국전력공사 전신주용 충격 감지장치
KR102024239B1 (ko) 2019-02-15 2019-09-23 (주)미동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신주 보호장치
KR102125247B1 (ko) * 2019-06-28 2020-06-24 (주)대일티이씨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추돌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188B1 (ko) * 2021-04-12 2021-10-07 (주)다솔엔지니어링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8017C2 (ru) Выдвижной элемент жесткости переднего буфе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защиты пешехода
KR102149816B1 (ko)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KR101153856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CN109898441B (zh) 市政工程用防撞护栏
CN102979051A (zh) 一种双层单波梁钢护栏
CN106828348A (zh) 一种车辆底盘智能保护系统
WO2018188860A1 (en) A safe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vehicles
CN206736797U (zh) 一种公路三级减震防撞护栏
DE10201321322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nellen Kollisionsvorbereitungeines Kraftfahrzeugs
CN109295896B (zh) 岔道口道路防撞装置
CN215907606U (zh) 便于安装的公路工程用防护结构
CN207210991U (zh) 一种防撞缓冲警示导向车
CN206171373U (zh) 轻型防暴车防撞保险杠
KR20200029889A (ko) 시위대 진입방지를 위한 시위 진압 차량의 전방위 차벽 시스템
CN108608885A (zh) 一种防撞式电动汽车充电桩
CN206678915U (zh) 一种车辆底盘智能保护系统
CN209456937U (zh) 一种新型聚能梁防撞护栏
AU662838B2 (en) Protection device for front part of cab of large-sized dump truck
CN205276175U (zh) 护栏单元和护栏
CN208379505U (zh) 一种具有缓存撞击力的道路桥梁安全防护栏
KR101695017B1 (ko) 완충수단을 갖는 차량 방호용 난간 및 시공방법
CN207062742U (zh) 一种桥梁行人保护结构
CN112813885B (zh) 一种公路防撞防损护栏
KR200228230Y1 (ko) 철재방호 울타리
CN212847310U (zh) 一种倒车入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