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188B1 -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188B1
KR102309188B1 KR1020210047099A KR20210047099A KR102309188B1 KR 102309188 B1 KR102309188 B1 KR 102309188B1 KR 1020210047099 A KR1020210047099 A KR 1020210047099A KR 20210047099 A KR20210047099 A KR 20210047099A KR 102309188 B1 KR102309188 B1 KR 102309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ulator
fixed
electric pol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완
Original Assignee
(주)다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다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47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 시 신축형의 현수애자가 전체 길이를 연장시킴에 따라, 차량 충돌로 인한 전주의 기울기 변화 시 해당 전주에 가설된 배전케이블의 장력 증가가 억제되면서 장력 변화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은 신축형 현수애자부,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 충돌 감지부 및 제어부, 카메라모듈, 저장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는 고정 애자유닛, 가동 애자유닛, 신축 유닛 및 로킹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돌 감지부는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 메인 실린더 유닛,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 센서 실린더 유닛, 접촉감지센서 및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Distribution line connection system for electric pole alongside a road}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도로변에 가설되는 배전선로의 연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 시 신축형의 현수애자가 전체 길이를 연장시킴에 따라, 차량 충돌로 인한 전주의 기울기 변화 시 해당 전주에 가설된 배전케이블의 장력 증가가 억제되면서 장력 변화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주,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완철, 상기 완철에 현수애자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배전케이블, 상기 배전케이블을 연결하는 점퍼선 및 상기 점퍼선을 완철에 대하여 절연 상태로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가공배전선로는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경우도 많으며, 이로 인해 도로변을 따라 설치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들은 해당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의한 충돌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로변의 전주에 대한 차량 충돌 시 그 충돌하는 힘에 의해 해당 전주가 기울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해당 전주 및 이와 인접한 전주의 현수애자 간을 연결한 배전케이블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하면서 해당 현수애자들 및 배전케이블 간의 접속 상태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45803호(2019.05.02.공고), “배전선로의 고정 완금 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574122호(2015.12.03.공고),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 장치구조” 한국 등록특허 제10-1793023호(2017.11.02.공고), “배선용 가공선로 피복구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 시 신축형의 현수애자가 전체 길이를 연장시킴에 따라, 차량 충돌로 인한 전주의 기울기 변화 시 해당 전주에 가설된 배전케이블의 장력 증가가 억제되면서 장력 변화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하는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하여 해당 전주가 기울어짐과 함께 해당 현수애자 구성이 전체 길이를 연장한 상황에서, 해당 배전케이블 및 점퍼선 간 접속점의 이동이 해당 점퍼선의 길이 신장 기능을 통해 보상될 수 있도록 한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하여 해당 전주가 기울어짐과 함께 해당 현수애자 구성이 전체 길이를 연장한 상황에서, 해당 현수애자의 현재 영상데이터 및 길이 연장이 진행되기 전 최초 설치 시의 영상데이터가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에 자동 전송됨으로써, 통합상황실에서 차량 충돌로 인한 전주의 기울어진 정도 및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 정도 그리고 점퍼선의 장력 변화 정도를 육안을 통해 대략적으로 예상하면서 해당 전주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의 필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은, 도로변(R)을 따라 가공배전선로(10)를 가설하기 위해 상기 도로변(R)에 설치된 전주(11)의 완철(12)에 설치되고,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구성하는 단위 배전케이블(13)의 길이 방향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전주(11)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상기 전주(11)의 기울기 변화로 인한 상기 단위 배전케이블(13)의 장력 증가를 줄이도록 전체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와, 상기 단위 배전케이블(13) 및 이웃하는 다른 단위 배전케이블(13)을 접속하기 위한 점퍼선(14)의 신축 기능 발휘를 위해 상기 완철(12)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길이 연장 시 상기 점퍼선(14)의 신장이 이루어지게 하는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200)와, 상기 전주(11)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차량의 충돌하는 힘이 상기 전주(11)에 전달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에 차량 충돌 상황이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주(11)에 설치되는 충돌 감지부(300)와, 상기 충돌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를 전체 길이가 연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 시 신축형의 현수애자가 전체 길이를 연장시킴에 따라, 차량 충돌로 인한 전주의 기울기 변화 시 해당 전주에 가설된 배전케이블의 장력 증가가 억제되면서 장력 변화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하여 해당 전주가 기울어짐과 함께 해당 현수애자 구성이 전체 길이를 연장한 상황에서, 해당 배전케이블 및 점퍼선 간 접속점의 이동이 해당 점퍼선의 길이 신장 기능을 통해 보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로변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전주에 차량이 충돌하여 해당 전주가 기울어짐과 함께 해당 현수애자 구성이 전체 길이를 연장한 상황에서, 해당 현수애자의 현재 영상데이터 및 길이 연장이 진행되기 전 최초 설치 시의 영상데이터가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에 자동 전송됨에 따라, 통합상황실에서 차량 충돌로 인한 전주의 기울어진 정도 및 배전케이블의 장력 변화 정도 그리고 점퍼선의 장력 변화 정도를 육안을 통해 대략적으로 예상하면서 해당 전주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의 필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서 신축형 현수애자부 및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를 예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서 신축형 현수애자부 및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를 예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서 충돌 감지부를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의 동작을 신축형 현수애자부 중심으로 간략하게 예시한 평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서 신축형 현수애자부 및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서 신축형 현수애자부 및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서 충돌 감지부를 예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의 동작을 신축형 현수애자부 중심으로 간략하게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은 신축형 현수애자부(100),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200), 충돌 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은 카메라모듈(500), 저장부(600) 및 무선통신모듈(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축형 현수애자부(100)는 도로변(R) 전주(11)의 완철(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신축형 현수애자부(100)는 도로변(R)을 따라 가공배전선로(10)를 가설하기 위해 도로변(R)에 설치된 전주(11)의 완철(12)에 설치되며, 이러한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에 가공배전선로(10)를 구성하는 단위 배전케이블(13)의 길이 방향 일단이 연결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의 신축형 현수애자부(100)는 고정 애자유닛(110), 가동 애자유닛(120), 신축 유닛(130) 및 로킹 유닛(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애자유닛(110)은 완철(12)에 고정 설치된다.
가동 애자유닛(120)은 평상시에는 고정 애자유닛(110)에 결합된 상태이고, 해당 전주(11)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동 상태로 전환되며, 이를 위해 가동 애자유닛(120)은 후술되는 신축 유닛(130)을 통해 고정 애자유닛(110)과 연결되는 동시에 로킹 유닛(140)을 통해 고정 애자유닛(110)에 결합된다.
즉, 신축 유닛(130)은 가동 애자유닛(120)을 고정 애자유닛(110)에 연결하며, 이에 따라 가동 애자유닛(120)은 로킹 유닛(140)의 로킹 기능으로부터 해제 시 고정 애자유닛(110)에 대한 결합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신축 유닛(130)의 신축성을 기반으로 가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신축 유닛(130)이 길이 방향의 일단을 고정 애자유닛(110)에 고정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타단을 가동 애자유닛(120)에 고정하는 고탄성 밴드의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로킹 유닛(140)은 가동 애자유닛(120)을 고정 애자유닛(110)에 고정하는 것을 기본 모드로 하며,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정 애자유닛(110)에 가동 애자유닛(120)을 고정시킨 상태를 해제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로킹 유닛(140)이 고정 애자유닛(110), 가동 애자유닛(120)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도록 완철(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포스트(141) 및 이러한 한 쌍의 지지포스트(141)에 각각 설치되는 로킹장치(142)를 포함하고, 가동 애자유닛(120)에는 로킹장치(142)들의 로커(142a)가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로킹홈(121)이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로킹홈(121)에 각각 로킹장치(142)들의 로커(142a)가 삽입되어 가동 애자유닛(120)의 고정 애자유닛(110)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200)는 가공배전선로(10)의 단위 배전케이블(13) 및 이웃하는 다른 단위 배전케이블(13)을 접속하기 위한 점퍼선(14)의 신축 기능 발휘를 위해 완철(12)에 설치된다. 즉,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200)는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길이 연장 시 이에 맞춰 점퍼선(14)의 신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200)가 점퍼선 지지포스트(210) 및 탄성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점퍼선 지지포스트(210)는 단위 배전케이블(13)과 40∼50°의 각도를 형성하는 상태로 완철(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점퍼선 지지포스트(210)는 완철(12)을 모체로 각각 설치되는 라인포스트애자(150) 및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사이에서 사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퍼선 지지포스트(210)는 점퍼선(14)의 통행을 위한 전선홀(2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긴 장홀 형태로 형성된다.
탄성부재(220)는 점퍼선 지지포스트(210)의 전선홀(211) 상부에서 전선홀(211)에 삽입된 점퍼선(14)을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길이 연장이 없는 상태에서 점퍼선(14)이 전선홀(211)의 아래쪽에 위치토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20)로 인해 점퍼선(14)은 전선홀(211)의 하단을 통과하여 라인포스트애자(15)로 연결되고,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길이 연장에 따라 단위 배전케이블(13) 및 점퍼선(14) 간 접속 부위(이하 “전선 접속점”이라 함)가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길이 연장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시, 점퍼선(14)은 탄성부재(220)의 탄성을 이기고 전선홀(211)의 상측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전선 접속점 이동에 따른 라인포스트애자(15) 및 상기 전선 접속점 간 연결 거리의 확장을 보상하게 된다.
충돌 감지부(300)는 전주(11)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차량의 충돌하는 힘이 전주(11)에 전달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에 차량 충돌 상황이 감지될 수 있도록 전주(11)에 설치된다.
그리고 충돌 감지부는(300)는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 메인 실린더 유닛(320),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 센서 실린더 유닛(340), 접촉감지센서(350) 및 통신모듈(3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는 전주(11)의 하부에 전주(11) 둘레 중 일부 구간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며, 이때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는 가공배전선로(10)가 도로변(R)을 따라 가설되는 해당 도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메인 실린더 유닛(320)은 실린더 본체(321)의 길이 방향 일단이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에 고정되고, 작동로드(322)의 선단이 후술되는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실린더 본체(321)의 내부에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작동로드(32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사람의 충돌 내지 인력에 의해서는 압축되지 않고 차량이 충돌하는 힘에 의해서만 압축될 수 있는 수준의 탄성으로 이루어진다.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는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와 마주보도록 메인 실린더 유닛(320)의 작동로드(322) 선단에 고정된다.
센서 실린더 유닛(340)은, 메인 실린더 유닛(320)의 실린더 본체(321)에 형성되어 실린더 본체의 기능을 하는 로드 수용홈(미도시) 및 이러한 로드 수용홈에 삽입되는 작동로드(342) 그리고 로드 수용홈에 설치되어 작동로드(34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센서 실린더 유닛(340)은 작동로드(342)의 선단이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와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접촉감지센서(350)는 센서 실린더 유닛(340)의 작동로드(342) 선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접촉감지센서(350)는 충돌 감지부(300)에 대한 차량 충돌로 인해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가 전주(11) 쪽으로 밀릴 때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때 접촉감지센서(350)는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가 전주(11) 쪽으로 밀리기 시작하는 초기에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의 접촉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통신모듈(360)은 접촉감지센서(350)에 대한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의 접촉 신호를 접촉감지센서(350)로부터 수신 후 후술되는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400)는 충돌 감지부(300)를 통한 차량 충돌 감지 신호에 따라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로킹장치(142)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400)는 충돌 감지부(300)의 차량 충돌 감지 신호에 따라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로킹장치(142)를 가동 애자유닛(120)에 대한 로킹 해제 상태로 제어한다.
카메라모듈(500)은 신축형 현수애자부(100)를 촬영하도록 전주(11)의 완철(12)에 설치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500)은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축형 현수애자부(100)를 촬영 후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저장부(600)는 전주(11)의 신규 설치 내지 재설치 시 카메라모듈(500)을 통해 촬영된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충돌 감지부(300)를 통한 차량 충돌 감지 신호에 따라 카메라모듈(500)을 제어하여 가동 애자유닛(120)이 로킹장치(142)로부터 로킹 해제된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현재 영상데이터를 카메라모듈(500)로부터 수신하고, 이와 같이 수신된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현재 영상데이터 및 저장부(600)에 기저장된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영상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700)을 통해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1000)에 전송하며, 이렇게 전송되는 영상데이터에 전주(11)별로 발급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합관리서버(1000)가 설치된 통합상황실에서는 전송되는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영상데이터들을 토대로 해당 전주(11)의 차량 충돌로 인한 기울어진 정도 그리고 단위 배전케이블(13)의 장력 변화 정도 및 그에 따른 점퍼선(14)의 장력 변화 정도를 육안을 통해 대략적으로 예상할 수 있고, 이를 해당 전주(11)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에 필요한 참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도로변(R)을 따라 가설되는 가공배전선로(10)의 전주(11)에 차량이 충돌 시 이러한 충돌을 감지하는 차량 충돌부(3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신축형 현수애자부(100)가 전체 길이를 연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로 인해 전주(11)의 기울기가 변하더라도 전주(11)에 가설된 단위 배전케이블(13)의 장력 증가가 억제되면서 장력 변화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신축형 현수애자부(100)가 그 가동 애자유닛(120)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길이 연장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해당 단위 배전케이블(13) 및 점퍼선(14) 간 전선 접속점의 이동이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200)를 통한 해당 점퍼선(14)의 길이 신장을 통해 보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가공배전선로 11 : 전주
12 : 완철 13 : 단위 배전케이블
14 : 점퍼선 15 : 라인포스트애자
100 : 신축형 현수애자부 110 : 고정 애자유닛
120 : 가동 애자유닛 121 : 로킹홈
130 : 신축 유닛 140 : 로킹 유닛
141 : 지지포스트 142 : 로킹장치
142a : 로커 200 :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
210 : 점퍼선 지지포스트 211 : 전선홀
220 : 탄성부재 300 : 충돌 위험 감지부
310 :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 320 : 메인 실린더 유닛
321 : 실린더 본체 322 : 작동로드
330 :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 340 : 센서 실린더 유닛
342 : 작동로드 350 : 접촉감지센서
360 : 통신모듈 400 : 제어부
500 : 카메라모듈 600 : 저장부
700 : 무선통신모듈 1000 : 통합관리서버

Claims (1)

  1. 도로변(R)을 따라 가공배전선로(10)를 가설하기 위해 상기 도로변(R)에 설치된 전주(11)의 완철(12)에 설치되는 고정 애자유닛(110)과;
    상기 고정 애자유닛(110)과 신축 유닛(130)을 통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애자유닛(110)에 로킹 유닛(140)을 통해 고정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 애자유닛(110)에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전주(11)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동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가공배전선로(10)를 구성하는 단위 배전케이블(13)의 길이 방향 일단이 연결되는 가동 애자유닛(120)과;
    상기 가동 애자유닛(120)을 상기 고정 애자유닛(110)에 연결하며, 고탄성 밴드의 형태인 상기 신축 유닛(130)과;
    상기 가동 애자유닛(120)을 상기 고정 애자유닛(110)에 고정하는 것을 기본 모드로 하며,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정 애자유닛(110)에 가동 애자유닛(120)을 고정시킨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의 상기 로킹 유닛(140);을 포함하며,
    상기 전주(11)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상기 전주(11)의 기울기 변화로 인한 상기 단위 배전케이블(13)의 장력 증가를 줄이도록 전체 길이의 연장이 이루어지는 신축형 현수애자부(100):
    상기 단위 배전케이블(13) 및 이웃하는 다른 단위 배전케이블(13)을 접속하기 위한 점퍼선(14)의 신축 기능 발휘를 위해 상기 완철(12)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길이 연장 시 상기 점퍼선(14)의 신장이 이루어지게 하는 점퍼선 신장용 지지부(200):
    상기 전주(11)의 하부에 전주(11) 둘레 중 일부 구간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가공배전선로(10)가 상기 도로변(R)을 따라 가설되는 해당 도로의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와;
    실린더 본체(321)의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에 고정되고, 작동로드(322)의 선단이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에 고정되는 메인 실린더 유닛(320)과;
    상기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와 마주보도록 상기 메인 실린더 유닛(320)의 작동로드(322) 선단에 고정되는 상기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와;
    상기 메인 실린더 유닛(320)의 실린더 본체(321)에 형성되어 실린더 본체의 기능을 하는 로드 수용홈 및 상기 로드 수용홈에 삽입되는 작동로드(342) 그리고 상기 로드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342)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로드(342)의 선단이 상기 고정식 호형 플레이트(310)와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센서 실린더 유닛(340)과;
    상기 센서 실린더 유닛(340)의 작동로드(342) 선단에 설치되며, 차량 충돌로 인해 상기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가 전주(11) 쪽으로 밀릴 때 상기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의 접촉감지센서(350)와;
    상기 접촉감지센서(350)에 대한 상기 가동식 호형 플레이트(330)의 접촉 신호를 상기 접촉감지센서(350)로부터 수신 후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통신모듈(360)을 포함하며,
    상기 전주(11)에 대한 차량 충돌 시 차량의 충돌하는 힘이 상기 전주(11)에 전달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에 차량 충돌 상황이 감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주(11)에 설치되는 충돌 감지부(300):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를 촬영하도록 상기 전주(11)의 완철(12)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를 촬영 후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카메라모듈(500):
    전주(11)의 신규 설치 내지 재설치 시 상기 카메라모듈(500)을 통해 촬영된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600): 및
    상기 충돌 감지부(300)의 차량 충돌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로킹장치(142)를 상기 가동 애자유닛(120)에 대한 로킹 해제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충돌 감지부(300)를 통한 차량 충돌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500)을 제어하여 상기 가동 애자유닛(120)이 상기 로킹장치(142)로부터 로킹 해제된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현재 영상데이터를 상기 카메라모듈(500)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현재 영상데이터 및 상기 저장부(600)에 기저장된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영상데이터를 무선통신모듈(700)을 통해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1000)에 전송하되, 전송되는 영상데이터에 전주(11)별로 발급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상기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1000)가 설치된 통합상황실에서는 전송되는 상기 신축형 현수애자부(100)의 영상데이터들을 토대로 해당 전주(11)의 차량 충돌로 인한 기울어진 정도 그리고 해당 단위 배전케이블(13)의 장력 변화 정도 및 해당 점퍼선(14)의 장력 변화 정도를 육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전주(11)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에 필요한 참조 자료로 활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KR1020210047099A 2021-04-12 2021-04-12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KR10230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99A KR102309188B1 (ko) 2021-04-12 2021-04-12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99A KR102309188B1 (ko) 2021-04-12 2021-04-12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188B1 true KR102309188B1 (ko) 2021-10-07

Family

ID=7860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99A KR102309188B1 (ko) 2021-04-12 2021-04-12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1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122B1 (ko) 2015-08-04 2015-12-03 견금자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 장치구조
KR101793023B1 (ko) 2017-04-07 2017-11-02 정경하 배선용 가공선로 피복구조
KR101945803B1 (ko) 2018-04-10 2019-05-02 미래전기기술단(주) 배전선로의 고정 완금 장치
KR102078987B1 (ko) * 2018-11-13 2020-02-19 한국전력공사 전신주용 충격 감지장치
KR102149816B1 (ko) * 2020-07-31 2020-09-01 (주)다솔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KR102171536B1 (ko) * 2020-04-22 2020-10-29 한일전기감리 주식회사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122B1 (ko) 2015-08-04 2015-12-03 견금자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 장치구조
KR101793023B1 (ko) 2017-04-07 2017-11-02 정경하 배선용 가공선로 피복구조
KR101945803B1 (ko) 2018-04-10 2019-05-02 미래전기기술단(주) 배전선로의 고정 완금 장치
KR102078987B1 (ko) * 2018-11-13 2020-02-19 한국전력공사 전신주용 충격 감지장치
KR102171536B1 (ko) * 2020-04-22 2020-10-29 한일전기감리 주식회사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시스템
KR102149816B1 (ko) * 2020-07-31 2020-09-01 (주)다솔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로 전주의 충격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999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US20120111682A1 (en) Aerial assembly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 ground vehicle provided with an upper collecting structure
KR102084137B1 (ko) 가공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시스템
EP2801744B1 (en) Mount for a wired device
KR102155107B1 (ko)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309188B1 (ko) 도로변 전주의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KR100933937B1 (ko)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KR101455281B1 (ko) 가공 송전선로용 복도체 고정장치
KR102491958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WO2019177253A1 (ko)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2029360B1 (ko)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AU2015249876B2 (en) Temporary transfer bus
KR101954841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1303212B1 (ko) 가로시설물 제어함의 전원선 안전장치
KR102052538B1 (ko) 장력 유지가 가능한 송전선로의 철탑구조
JPH07111722A (ja) 送電鉄塔における誘雷装置
KR102171539B1 (ko) 특고압 배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시스템
KR101713311B1 (ko)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2076158B1 (ko) 지중 배전선로용 단말장치 거치대
JP3026617U (ja) 高架照明車の照明器用電力ケーブル処理装置
KR102573042B1 (ko) 배전선로 단선 검출 및 복구장치 및 이를 갖는 배전선로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JP7200685B2 (ja) 分岐架線接続構造
KR102394385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인자
CN102538498A (zh) 窑炉断辊位置检测装置
JPH0713128Y2 (ja) 耐雷ホーン碍子装置用の碍子取付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