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666B1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666B1
KR102149666B1 KR1020190037716A KR20190037716A KR102149666B1 KR 102149666 B1 KR102149666 B1 KR 102149666B1 KR 1020190037716 A KR1020190037716 A KR 1020190037716A KR 20190037716 A KR20190037716 A KR 20190037716A KR 102149666 B1 KR102149666 B1 KR 10214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ving main
tip
sliding contact
top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832A (ko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타케아키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20004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1/00Gearing for toys
    • A63H31/06Belt or st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과제] 동체의 외주 형상과, 슬라이딩 접촉 요소의 형태를 독립하여 변경 가능한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동체(40)의 조(41e)의 상면과 축부(10)의 조(17)의 하면을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하여 동체와 축부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동체(40)의 슬라이딩 접촉 요소(43f)와 축부(10)의 슬라이딩 접촉 요소(20)를 상하 방향으로 맞닿게 하여 회전 저항으로서 기능시키는 팽이 완구에서, 동체(40)는, 상기 동체(40)의 외주를 구성하고 조(41e)가 설치된 동주체(41)와, 슬라이딩 접촉 요소(43f)가 설치되고, 동주체(41) 상에 착탈 가능하고 장착 시에 동주체(41)에 고정되는 팁(43)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팽이 완구{TOY TOP}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爪) 및 기복부(起伏部)를 가지는 동체와, 조, 돌기가 설치된 누름 부재(押壓部材), 누름 부재를 상방을 향해서 힘을 가하는(付勢) 스프링, 및, 접지부를 가지는 축부를 구비하는 배틀 게임용의 팽이 완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팽이 완구는, 동체의 조와 축부의 조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동체와 축부를 상하 방향에서 맞대어, 스프링의 가하는 힘에 저항한 상태로 동체를 축부에 대해서 축심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소정량 상대 회전시키고, 동체의 조의 상면과 축부의 조의 하면을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하여 동체와 축부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기복부와 돌기를 상하 방향으로 맞닿게 하여 회전 저항으로써 기능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팽이 완구에 의하면, 상대방의 팽이 완구와의 충돌에 의해서 회전 저항에 저항하여 동체가 축부에 대해서 축심을 중심으로 상기 일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 동체의 조와 축부의 조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동체가 축부로부터 이간하여 분해된다.
일본 등록 특허 제5793631호 공보
팽이 완구의 강도는, 동체의 외주의 형상과, 동체의 기복부와 축부의 돌기와의 맞물림 상태에 의존한다.
그런데, 이러한 팽이 완구에서는, 동체 측에서는, 동체의 외주를 구성하는 동주체(胴主體)에 조와 기복부가 인접하게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었다.
따라서, 동체의 외주와, 동체의 기복부와 축부의 돌기와의 맞물림 상태의 관점으로부터 팽이 완구의 강도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조와 기복부가 형성된 동주체를 교환할 수 밖에 없었다. 조와 기복부와 같은 맞물림 요소(슬라이딩 접촉 요소의 하나)를 대신하여, 고무 등의 다른 슬라이딩 접촉 요소를 설치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동체의 외주 형상과, 슬라이딩 접촉 요소의 형태를 독립하여 변경 가능한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 수단은,
제1 조(爪) 및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를 가지는 동체와,
제2 조 및 제2 슬라이딩 접촉 요소를 가지는 축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와 상기 제2 조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를 상하 방향에서 맞대어, 힘을 가하는 부재의 가하는 힘에 저항한 상태로 상기 동체를 상기 축부에 대해서 접지부의 축심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소정량 상대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조의 상면과 상기 제2 조의 하면을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하여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슬라이딩 접촉 요소를 상하 방향으로 맞닿게 하여 회전 저항으로서 기능시키는 팽이 완구에서,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의 외주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조가 설치된 동주체(胴主體)와,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가 설치되고, 상기 동주체 상에 착탈 가능하고 장착 시에 상기 동주체에 고정되는 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서, 상기 동주체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조가 형성된 제1 돌출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팁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가 형성된 제2 돌출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동주체에 대해서 상기 팁을 고정했을 때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동주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1 수단 또는 제2 수단에서, 상기 동주체로서, 제1 외주 형상을 가지는 제1 동주체와, 제1 외주 형상과는 다른 제2 외주 형상을 가지는 제2 동주체를 구비하고, 상기 팁은, 상기 제1 동주체에 고정되었을 때와, 상기 제2 동주체에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조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가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1 동주체의 제1 돌출부와, 제2 동주체의 제1 돌출부와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를 바꾸는 등 함으로써, 이러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4 수단은, 제3 수단에서, 상기 제1 동주체에는, 상기 팁의 고정 시에 상기 제1 조로부터 제1 상하 방향 거리를 가지고 상기 팁의 하면에 맞닿게 하여 제1 규제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동주체에는, 상기 팁의 고정 시에 상기 제1 조로부터 상기 제1 상하 방향 거리와는 다른 제2 상하 방향 거리를 가지고 상기 팁의 하면에 맞닿는 제2 규제 부재가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에서, 제1 수단~제4 수단의 어느 하나의 수단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접촉 요소는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수단 또는 제2 수단에 의하면, 외주를 형성하는 동주체에 제1 조가 설치되고, 동주체에 착탈되는 팁에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가 설치되고 있으므로, 동체의 외주 형상과 슬라이딩 접촉 상태를 독립하여 바꿀 수 있다.
제3 수단에 의하면, 동일한 팁을 고정했을 경우에도, 제1 동주체에 고정되었을 때와, 제2 동주체에 고정되었을 때에, 슬라이딩 접촉 상태를 바꿀 수 있다.
제4 수단에 의하면, 제1 동주체의 제1 돌출부와, 제2 동주체의 제1 돌출부와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도, 제1 동주체에 고정되었을 때와, 제2 동주체에 고정되었을 때에, 슬라이딩 접촉 상태를 바꿀 수 있다.
제5 수단에 의하면, 동체의 외주 형상과 맞물림 상태를 독립하여 바꿀 수 있다.
[도 1]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와 런처(launcher)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축부 및 플라이 휠의 반부(半部)를 나타낸 종단 사시도이다.
[도 4] 동체의 구성 부품을 나타내고, (A)는 팁의 평면도, (B)는 메탈의 평면도, (C)는 동주체의 평면도이다.
[도 5] 동체를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동체를 하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동주체에 메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 기복부의 형상을 나타내고, (A)는 일방의 팁에 형성한 기복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B)는 타방의 팁에 형성한 기복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동주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조와 기복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A)는 일방의 동주체에서의 조와 기복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B)는 타방의 동주체에서의 조와 기복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동체와 축부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전체)
도 1은 팽이 완구 및 런처(launcher)(발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중 팽이 완구(1)는, 예를 들면, 팽이 완구끼리의 충돌을 통해서 승패를 겨루는 배틀 게임 등에 사용된다. 이 팽이 완구(1)는 축부(10), 플라이 휠(30) 및 동체(胴體)(40)를 구비하고 있다.
(세부)
1. 축부(10) 및 플라이 휠(30)
도 3은 축부(10) 및 플라이 휠(30)의 반부(半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반부에 대해서 나머지의 반부는 점대칭이 되고 있다. 또, 축부(10) 및 플라이 휠(30)의 설명에서, 상하, 좌우, 전후는 도 3에 나타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중 축부(10)는, 하단부에 접지부(11), 상하 방향 중간부에 플랜지(鍔)(12), 상단부에 원통체(13)를 구비한다.
플랜지(12)와 원통체(1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원통체(13)의 중심에는 기둥체(柱體)(14)가 설치되고 있다. 기둥체(14)의 상단부 외주에는 전후 각각에 반경 방향 외방으로 내뻗은 조(17)가 1 개씩 형성되고 있다. 이 기둥체(14)는, 축 하부(10a)에 고정해서 설치되고 있다.
축 하부(10a)의 외주면은, 플랜지(12) 측으로부터 접지부(11)의 선단 측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축경(縮徑)하고, 전체적으로 대략 역원추형(逆圓錐狀)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 축 하부(10a)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서 플랜지(12)에 고정되고 있다.
플랜지(12) 및 원통체(13)에는, 전후 각각에 구멍(孔)(15)이 1 개씩 플랜지(12) 및 원통체(13)에 걸쳐 형성되고 있다. 또, 원통체(13)의 외주면에는, 좌우 각각에 돌출부(16)가 1 개씩 형성되고 있다. 각 돌출부(16)의 외면은 플랜지(12)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상(面一)이 되고 있다.
또, 축부(10)는 환상의 누름 부재(押壓部材)(18)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 부재(18)는, 기둥체(14)의 상단부의 외측에 감합되는 형태의 환상의 상단부(18b)를 가지고 있다. 이 누름 부재(18)는, 원통체(13)의 내측에서 기둥체(14)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18)의 하단부 외주에는, 전후 각각에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는 다리부(脚部)(18a)가 1 개씩 형성되고 있다.
이 누름 부재(18)는, 각 다리부(18a)가 그것에 대응하는 구멍(15)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구멍(15)은 다리부(18a)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지만, 구멍(15)의 위쪽 테두리(上緣)에서 다리부(18a)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 누름 부재(18)는, 스프링(19)에 의해서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 누름 부재(18)의 상단부(18b)의 상면에는, 좌우 각각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조(凸條)(돌기)(20)가 1 개씩 형성되고 있다.
2. 플라이 휠(30)
플라이 휠(30)은 환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 플라이 휠(30)은 축부(10)의 부속 부품이며, 부착되었을 때에는 분해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축부(10)와 일체화되지만, 플라이 휠(30)이 없더라도 팽이 완구(1)로서 이용할 수 있다. 플라이 휠(30)의 하면 내주 측에는 축부(10)의 플랜지(12)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 단부(30a)가 형성되고 있다. 이 플라이 휠(30)의 상면에는 좌우 각각에 상방을 향해서 내뻗은 돌출부(31)가 1 개씩 형성되고 있다. 각 돌출부(31)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6)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요부(凹部)(32)가 형성되고 있다. 또, 플라이 휠(30)의 상면에는, 각 돌출부(31)의 바로 외측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편(舌片)(33)이 형성되고 있다. 설편(33)은 돌출부(31)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있다.
3. 동체(40)
도 4는 동체의 구성 부품을 나타내고, (A)는 팁의 평면도, (B)는 메탈의 평면도, (C)는 동주체의 평면도이다. 동(同) 도면에서는, 2종의 팁(43A, 43B)과, 1종의 메탈(42)과, 2종의 동주체(41A, 41B)가 나타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동체(40)는, 이러한 구성 부품 중에서 팁 및 동주체를 1개씩 선택하여 메탈과 적당하게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 메탈(42)이 없더라도 팽이 완구(1)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동주체(41) (동주체(41A, 41B)를 총칭하는 경우는 동주체(41)라고 한다.)
먼저, 동주체(41)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동주체(41A, 41B)의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주체(41A)를 예로 설명하고, 동주체(41B)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A. 공통점
도 5는 동체를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동체를 하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동주체(41A)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반상(圓盤狀)으로 형성되고 있다. 동주체(41A)의 외주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블레이드(41a)가 형성되고 있다.
동주체(41A)의 좌우에는 호상(弧狀) 슬릿(41b)이 1 개씩 형성되고 있다. 각 호상 슬릿(41b)에는 협폭(狹幅) 부분이 설치되고 있다.
동주체(41A)의 중앙부에는 대략 원형의 구멍(41c)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동주체(41A)의 하면에는, 구멍(41c)의 전후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횡단면이 호상의 돌출부(41d)가 1 개씩 설치되고 있다. 각 돌출부(41d)의 내면 하단에는 내향의 조(41e)가 형성되고 있다. 또, 인접하는 돌출부(41d)의 사이에서는 구멍(41c)의 테두리의 일부가 노치되고 있다. 이 노치 부분(41f)에는 후술의 팁(43A)의 돌출부(43e)가 배치된다.
B. 특유점
동주체(41A)의 외주에는, 외연(外緣)이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2개의 블레이드(410, 410)와, 이 2개의 블레이드(410, 410) 사이에 3개의 소(小)블레이드(411)가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410)의 외연과 소블레이드(411)의 선단은 동체(40)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1개의 가상원에 내접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 동주체(41A)에 의하면, 동주체(41A)의 외주가 원에 가깝기 때문에,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했을 때에 상대방에게 주는 충격이 비교적 작고, 또, 그 때에 자기의 팽이 완구(1)가 받는 충격도 적다.
한편, 동주체(41B)의 외주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대소(大小) 다양한 형상의 다수의 소블레이드(412)가 형성되고 있다. 이 동주체(41B)에 의하면, 외주의 기복이 크고, 소블레이드(412)의 선단의 반경 방향 위치도 고르지 않으므로,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했을 때에 상대방에게 주는 충격이 비교적 크고, 또, 그 때에 자기의 팽이 완구(1)가 받는 충격도 크다.
(2) 메탈(42)
메탈(42)은, 2개의 사다리꼴(菱形狀)의 메탈 부분(42a, 42a)을 2개 결합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결합 부분에는 6각 기둥상(柱狀)의 위치 결정용 돌기(42b)가 설치되고 있다. 또, 위치 결정용 돌기(42b)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다른 육각 기둥 부분(42c, 42c)은 두꺼운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 여기에서는 1개의 메탈(42)을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 종의 메탈을 준비해 두어도 좋다. 동주체(41)에 조립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묻지 않는다. 또, 메탈(42)은 도 7에 나타내듯이 동주체(41)에 부착되고, 동주체(41)와 팁(41A) 사이에 협지된다.
(3) 팁(43)(팁(43A, 43B)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팁(43)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팁(43)에 대해 설명한다. 또, 팁(43A, 43B)의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팁(43A)을 예로 설명하고, 팁(43B)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A. 공통점
팁(43A)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나비형(蝶形)으로 형성되고 있다. 중앙 부분에는, 상기 메탈(42)의 위치 결정용 돌기(42b)에 감합되는 위치 결정용 구멍(43a)이 형성되고 있다. 또, 팁(43A)의 중앙부 좌우에는 위치 결정용 노치(43b)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팁(43A)의 전후 방향의 단(端)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피계지편(被係止片)(43c)이 1 개씩 형성되고 있다. 각 피계지편(43c)의 내면에는 요부(凹部)(43d)가 형성되고 있다.
또, 팁(43)의 하면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43a)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횡단면이 호상의 돌출부(43e)가 좌우에 1 개씩 설치되고 있다. 이 돌출부(43e)의 하단에는 복수의 산(山)을 늘어 놓아 형성된 기복부(43f)가 형성되고 있다.
B. 특유점
2종의 팁(43A, 43B) 사이에서는, 도 8의 (A), (B)에 나타내듯이, 기복부(43f)의 산의 피치가 다르다. 산의 피치가 다른 경우에는, 피치가 큰 쪽이 1회의 충격으로 상대 회전하는 양이 커진다.
(3) 고정 장치(44)
도 9는 동주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고정 장치(44)는 동주체(41A, 41B)에 설치되고 있다. 고정 장치(44)의 공통 부분에 대해서 동주체(41A)를 예로 설명하고, 동주체(41B)의 고정 장치(44)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A. 공통점
동주체(41A)에는, 팁(43)을 동주체(4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44)가 설치되고 있다. 고정 장치(44)는, L자판(44a)과, L자판(44a)을 동주체(41)에 부착함과 동시에 팁(43)의 하면에 상면에서 맞닿아 팁(43)의 고정 높이 위치를 규제하는 누름판(44b)을 구비하고 있다.
L자판(44a)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계지부(44c)와, 계지부(44c)의 일단으로부터 연직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44d)를 구비하고 있다. 동주체(41A)에는 이 L자판(44a)의 계지부(44c)가 끼워지는 요부(41g)가 형성되고, 요부(41g) 내의 일단에는 조작부(44d)가 위로부터 삽입되는 구멍(41h)이 형성되고 있다. 그 결과, 조작부(44d)는 동주체(41A)의 하방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요부(41g) 내의 타단에는 팁(43)의 피계지부(43c)가 위로부터 삽입되는 요부(41i)가 형성되고 있다. 이 L자판(44a) 위에는 누름판(44b)을 씌울 수 있다. 누름판(44b)에는 원통형의 감합부(44e)가 2개 부설되고, 이 감합부(44e)는 동주체(41)의 감합구멍(41j)에 끼워 넣어진다. 이 상태로, 하방으로부터 삽입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누름판(44b)의 감합부(44e)에 나합(螺合)시킴으로써, 누름판(44b)이 동주체(41)에 고정된다.
그리고, 팁(43)은 누름판(44b) 위에 놓여진 상태로 고정 장치(44)에 의해 고정된다. 즉, 팁(43)의 피계지부(43c)는 동주체(41)의 요부(41i)에 위로부터 삽입되고, 요부(43d)에 계지부(44c)의 앞이 삽입됨으로써, 팁(43)이 고정된다.
B. 특유점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팁(43)의 장착 시에 팁(43)의 하면에 맞닿는 누름판(44b)은 조(41e)로부터 기복부(43f)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의 규제 부재로서 기능하고, 동주체(41A)와 동주체(41B)에서, 상기 상하 방향 거리를 다르게 하고 있다.
즉, 동주체(41A)의 누름판(44b)은, 팁(43)의 고정 시에 조(41e)로부터 제1 상하 방향 거리를 가지고 팁(43)의 하면에 맞닿고, 동주체(41B)의 누름판(44b)은, 팁(43)의 고정 시에 조(41e)로부터 제1 상하 방향 거리보다 작은 제2 상하 방향 거리를 가지고 팁(43)의 하면에 맞닿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즉, 동주체(41B)를 기조(基調)로 하는 동체(4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했을 때에 상대방에게 주는 충격이 비교적 크고, 또, 그 때에 자기의 팽이 완구(1)가 받는 충격도 크다. 그 때문에,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했을 때에 동체(40)가 축부(10)에 대해서 팽이 완구(1)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기 쉽다. 한편, 동주체(41A)를 기조로 하는 동체(4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했을 때에 상대방에게 주는 충격이 비교적 작고, 또, 그 때에 자기의 팽이 완구(1)가 받는 충격도 작다. 그 때문에,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했을 때에 동체(40)가 축부(10)에 대해서 팽이 완구(1)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 하에서, 동일 팁(43)을 이용하고, 맞물림 상태를 동일하다고 하면, 아무래도 동주체(41A)를 기조로 하는 동체(40)를 가지는 팽이 완구(1) 쪽이 동주체(41B)를 기조로 하는 동체(40)를 가지는 팽이 완구(1)에 비해 분해되기 어려워진다. 이것으로는, 대등한 배틀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동일 팁(43A)을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동주체(41B)에 장착할 때에는 맞물림의 깊이를 깊게 하여(도 10의 (A)), 분해되기 어렵게 하고, 동주체(41A)에 장착할 때에는 맞물림의 깊이를 얕게 하여(도 10의 (B)), 분해되기 쉽게 한다. 팁(43B)을 이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
다음으로, 팽이 완구(1) 전체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조(41e)와 조(17)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동체(40)와 축부(10)를 상하 방향에서 맞댄다. 그러면, 조(41e)가 누름 부재(18)를 스프링(19)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눌러 내린다. 이 상태로, 동체(40)를 축부(10)에 대해서 축심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소정량 상대 회전시킨다. 그리고, 조(41e)의 상면과 조(17)의 하면을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하여 동체(40)와 축부(10)를 결합시킨다(도 11). 이 때, 철조(20)와 기복부(43f)가 상하 방향으로 맞닿아진다.
(놀이 방법 등)
계속하여, 이 팽이 완구(1)를 사용한 놀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우선, 팽이 완구(1)의 회전력의 차지(charge)를 실시한다. 이 차지는, 도 1에 나타내는 런처(60)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런처(6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원판(圓板)을 구비하고, 그 원판을 도시하지 않은 플랫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함과 동시에, 원판의 주위에 감겨진 도시하지 않은 끈을 핸들(61)로 빼면, 원판이 회전되어, 팽이 홀더(62)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62)의 회전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포크(63)에 의해서 팽이 완구(1)에 전달되고,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포크(63)는 동체(40)의 호상(弧狀) 슬릿(41b)에 찔러 넣어지고, 포크(63)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63b)를 호상 슬릿(42b)의 협폭 부분 아래로 들어 간다. 그리고, 런처(60)의 핸들(61)을 잡아당겨 끊으면, 원판 나아가서는 팽이 홀더(62)의 회전이 정지하는 한편,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서 계속해서 회전하므로, 포크(63)의 경사면(63a)을 따라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62)로부터 벗어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사된 팽이 완구(1)가 상대방의 팽이 완구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에 의해서, 동체(40)의 하면의 기복부(43f)와 철조(20)는, 동체(40)에 대해서 축부(10)가 상대 회전을 함에 수반하여, 맞물림 위치를 변경한다. 그리고 결합 해제 위치에 이르면, 동체(40)의 조(41g)와 축부(10)의 조(17)의 계지가 해제되어, 축부(10) 내의 스프링(19)의 가하는 힘에 의해서 동체(40)가 축부(10)로부터 떨어져 나간다.
(본 발명의 변형)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맞물림 요소로서 철조(20)와 기복부(43f)를 들었지만, 양쪽 모두가 기복부라도 좋고, 동체(40) 측에 철조를, 축부(10) 측에 기복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 슬라이딩 접촉 요소인 맞물림 요소 외에, 철조(20) 및 기복부(43f)를 대신하여 고무 등의 회전 저항이 될 수 있는 그 외의 슬라이딩 접촉 요소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팁(43A)과 팁(43B)에서, 기복부(43f)의 산의 피치를 바꾸었지만, 산의 형상을 바꾸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장치(44)를 설치하여 팁(43)을 동주체(41)에 고정하도록 했지만, 팁(43)이 예를 들면 감합(嵌合)이나 탄성조(彈性爪) 등에 의해서 동주체(41)에 장착 시에 고정된다면, 특별한 고정 장치는 불필요하다.
1 팽이 완구
17 조(爪)
18 누름 부재
19 스프링
40 동체(胴體)
41, 41A, 41B 동주체(胴主體)
41e 조(爪)
42 메탈
43, 43A, 43B 팁
43f 기복부(起伏部)
44 고정 장치

Claims (5)

  1. 제1 조 및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를 가지는 동체와,
    제2 조 및 제2 슬라이딩 접촉 요소를 가지는 축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와 상기 제2 조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를 상하 방향에서 맞대어, 힘을 가하는 부재의 가하는 힘에 저항하는 상태로 상기 동체를 상기 축부에 대해서 접지부의 축심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소정량 상대 회전시키고, 상기 제1 조의 상면과 상기 제2 조의 하면을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하여 상기 동체와 상기 축부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와 상기 제2 슬라이딩 접촉 요소를 상하 방향으로 맞닿게 하여 회전 저항으로서 기능시키는 팽이 완구에서,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의 외주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조가 설치된 동주체와,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가 설치되고 상기 동주체 상에 착탈 가능하고 장착 시에 상기 동주체에 고정되는 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주체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조가 형성된 제1 돌출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팁의 중앙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가 형성된 제2 돌출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동주체에 대해서 상기 팁을 고정했을 때에,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동주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주체로서, 제1 외주 형상을 가지는 제1 동주체와, 제1 외주 형상과는 다른 제2 외주 형상을 가지는 제2 동주체를 구비하고,
    상기 팁은, 상기 제1 동주체에 고정되었을 때와, 상기 제2 동주체에 고정되었을 때에, 상기 제1 조로부터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까지의 상하 방향 거리가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주체에는, 상기 팁의 고정 시에 상기 제1 조로부터 제1 상하 방향 거리를 가지고 상기 팁의 하면에 맞닿는 제1 규제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동주체에는, 상기 팁의 고정 시에 상기 제1 조로부터 상기 제1 상하 방향 거리와는 다른 제2 상하 방향 거리를 가지고 상기 팁의 하면에 맞닿는 제2 규제 부재가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 접촉 요소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접촉 요소는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190037716A 2018-10-16 2019-04-01 팽이 완구 KR102149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94794A JP6554649B1 (ja) 2018-10-16 2018-10-16 コマ玩具
JPJP-P-2018-194794 2018-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832A KR20200042832A (ko) 2020-04-24
KR102149666B1 true KR102149666B1 (ko) 2020-08-31

Family

ID=6753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716A KR102149666B1 (ko) 2018-10-16 2019-04-01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14272A1 (ko)
JP (1) JP6554649B1 (ko)
KR (1) KR102149666B1 (ko)
CN (1) CN210728653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2354A (ja) 2001-08-28 2003-03-04 Bandai Co Ltd コマ玩具
JP2018126411A (ja) 2017-02-10 2018-08-16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2018126424A (ja) 2017-02-10 2018-08-16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300U (ja) * 2001-01-30 2001-08-10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JP3612508B2 (ja) * 2001-09-28 2005-01-19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システム
JP2004201979A (ja) * 2002-12-25 2004-07-22 Takara Co Ltd コマ玩具
JP3142474U (ja) * 2008-04-04 2008-06-1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US8210895B2 (en) * 2008-12-22 2012-07-03 Mega Brands International Magnetic top system and method
CN202315282U (zh) * 2011-10-31 2012-07-1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分离的组合式玩具陀螺
JP5793631B1 (ja) 2015-03-27 2015-10-1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5990354B1 (ja) * 2016-03-23 2016-09-1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232113B1 (ja) * 2016-10-18 2017-11-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の部品の取付け方法
JP6232112B1 (ja) * 2016-10-18 2017-11-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258541B1 (ja) * 2017-04-28 2018-01-1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346977B1 (ja) * 2017-05-29 2018-06-2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377211B1 (ja) * 2017-06-09 2018-08-2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593819B1 (ja) * 2018-07-10 2019-10-2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2354A (ja) 2001-08-28 2003-03-04 Bandai Co Ltd コマ玩具
JP2018126411A (ja) 2017-02-10 2018-08-16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2018126424A (ja) 2017-02-10 2018-08-16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14272A1 (en) 2020-04-16
KR20200042832A (ko) 2020-04-24
JP6554649B1 (ja) 2019-08-07
JP2020062137A (ja) 2020-04-23
CN210728653U (zh)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1365B1 (ja) コマ玩具
JP6258541B1 (ja) コマ玩具
JP6377211B1 (ja) コマ玩具
JP6250202B1 (ja) コマ玩具
KR101579417B1 (ko) 코마 완구
JP6431629B1 (ja) コマ玩具
KR102332707B1 (ko) 팽이 완구
JP5990354B1 (ja) コマ玩具
CN210057374U (zh) 陀螺玩具
EP3323480B1 (en) Toy top
JP6431628B1 (ja) コマ玩具
JP2018126424A (ja) コマ玩具
JP6346977B1 (ja) コマ玩具
KR20150003813A (ko) 완구 조립 세트
JP6618970B2 (ja) コマ玩具
KR102149666B1 (ko) 팽이 완구
EP3057740B1 (en) Biased pawl ratcheting wrench
CA1201586A (en) System for elastically assembling two pieces
JP6526766B2 (ja) 玩具の部品取外し構造
JP6644338B1 (ja) コマ玩具
JP6346976B1 (ja) コマ玩具
KR20210006828A (ko) 팽이 완구
CA1288447C (en) Rotating ring game
KR102429691B1 (ko) 팽이 완구
JP6250203B1 (ja) コマ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