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244B1 -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244B1
KR102146244B1 KR1020130019508A KR20130019508A KR102146244B1 KR 102146244 B1 KR102146244 B1 KR 102146244B1 KR 1020130019508 A KR1020130019508 A KR 1020130019508A KR 20130019508 A KR20130019508 A KR 20130019508A KR 102146244 B1 KR102146244 B1 KR 10214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s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display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344A (ko
Inventor
이호영
김민주
문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9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244B1/ko
Priority to US14/105,735 priority patent/US20140245234A1/en
Priority to EP20167237.5A priority patent/EP3696653B1/en
Priority to CN201910635265.1A priority patent/CN110333758B/zh
Priority to EP14156094.6A priority patent/EP2770424B1/en
Priority to CN201410060098.XA priority patent/CN104007892B/zh
Priority to JP2015559191A priority patent/JP2016511471A/ja
Priority to AU2014219558A priority patent/AU2014219558B2/en
Priority to RU2015140072A priority patent/RU2667496C2/ru
Priority to BR112015020243-8A priority patent/BR112015020243B1/pt
Priority to PCT/KR2014/001471 priority patent/WO2014129862A1/en
Priority to MX2015010598A priority patent/MX353242B/es
Publication of KR2014010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44A/ko
Priority to US16/227,823 priority patent/US10775896B2/en
Priority to JP2019007979A priority patent/JP681685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객체들이 각각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 중 상기 동작 관련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들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 관련 입력에는 휴대 단말 자체의 움직임, 사용자의 입김, 제스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된 상태로 동작 관련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만 재배열된다. 이때, 나머지 영역들에 표시되는 객체들은 터치된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의 속성에 대응하여 검색된 객체들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손쉽게 레이아웃의 영역들 뿐만 아니라 그 영역들의 구성요소들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METHDO FOR CONTROLLING DISPLAY OF A PLURALITY OF OBJECTS ACCORDING TO INPUT RELATED TO OPERATION FOR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 상에서 복수의 객체들의 표시를 휴대 단말의 모션(motion)에 의해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패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보드나 마우스가 없이도 사용자 명령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어, 휴대 단말, 네비게이션 장치, TV,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등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휴대 단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많은 휴대 단말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휴대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휴대 단말에는 상기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상기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 내에는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키들(shortcut keys)이 아이콘 형태로 휴대 단말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 단말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터치스크린 상에는 상기 단축키들 이외에도 위젯, 사진 및 문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비쥬얼 객체들이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에서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비쥬얼 객체들이 많아짐에 따라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휴대 단말 내에는 많은 비쥬얼 객체들이 저장되어 있고, 휴대 단말에 구비된 소형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는 객체들의 개수는 매우 한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는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상기 화면을 통하여 표시될 수많은 비쥬얼 객체들(visual objects)을 분류하고 정리할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를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미흡하며,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비쥬얼 객체들은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 위치 이동, 삭제 등과 같은 관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다수의 객체들의 표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의 화면을 편집(Edit) 환경의 화면으로 전환 시킨 후, 삭제 또는 수정하기 위한 명령을 반복하여 입력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있고, 이와 같은 편집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객체들이 배치되는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들을 사용자의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의 모션을 이용하여 다수의 객체들의 배열 및 그 객체들이 배치되는 레이아웃의 표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기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이 각각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 중 상기 동작 관련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들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이 각각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을 검출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 중 상기 동작 관련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들을 변경한 후, 상기 변경된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변경된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서 그 휴대 단말의 모션에 의해 복수의 객체들의 배치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휴대 단말의 모션 입력을 통해 객체들이 배치되는 레이아웃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객체의 속성을 고려하여 그 속성에 대응하는 객체들로 구성된 레이아웃 즉, 목적에 부합하는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어, 전체로서의 통일된 질서 감각이 있는 맞춤형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왕복 모션 방향에 따라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이 변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김에 따라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이 변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아웃의 배열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된 객체의 속성에 따라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에 표시되는 객체들이 변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휴대용(hand-held)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되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장치, 텔레비전(TV),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등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은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폰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휴대 단말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객체들이 각각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 중 상기 동작 관련 입력에 대응하는 영역들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 관련 입력에는 휴대 단말 자체의 움직임, 사용자의 입김, 제스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된 상태로 동작 관련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만 재배열된다. 이때, 나머지 영역들에 표시되는 객체들은 터치된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의 속성에 대응하여 검색된 객체들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손쉽게 레이아웃의 영역들 뿐만 아니라 그 영역들의 구성요소들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통신 모듈(12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도크(Cradle/Dock),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 단말 또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서버 중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 및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한다.
통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모듈(121), 서브 통신 모듈(130) 및 방송통신 모듈(141)을 포함한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100)의 카메라 모듈(150)은 휴대 단말(100)의 주 용도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카메라(151, 152)의 줌 인/줌 아웃을 위한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줌 인/줌 아웃을 위해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촬영을 위해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소자(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90) 상에 복수의 객체 또는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 유닛(168),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가능한 사용자 입력 수단이 어느 하나의 객체를 터치하거나, 그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터치 스크린(190)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객체를 식별한다.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은 객체를 직접 터치하는 직접 터치 입력과, 미리 설정된 인식 거리 이내로 객체에 접근하지만 객체를 직접 터치하지 않는 간접 터치 입력인 호버링 입력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 유닛(168)을 터치 스크린(19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입력 유닛(168)의 연직 하방에 위치하는 객체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 외에, 카메라 모듈(150)을 통한 제스처 입력, 버튼(161) 또는 키패드(166)를 통한 스위치/버튼 입력, 마이크(162)를 통한 음성 입력 등을 포함한다.
객체 또는 아이템(또는 기능 아이템)은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메뉴, 문서, 위젯, 사진, 동영상, 이메일, SMS 메시지 및 MMS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사용자 입력 수단에 의해 선택, 실행, 삭제, 취소, 저장 및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템은 버튼, 아이콘(또는 단축 아이콘), 썸네일 영상 또는 휴대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저장하고 있는 폴더를 포괄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아이템은 영상(image), 텍스트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축 아이콘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휴대 단말(1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통화, 연락처, 메뉴 등의 빠른 실행을 위해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로서,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 또는 선택이 입력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 유닛(168)이 터치 스크린(190)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호버링(Hovering) 이벤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아이템에 대해, 또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는 이러한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는 진동 패턴 자체, 진동 패턴의 식별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제어 신호는 단순히 진동 생성의 요청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100)이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휴대 단말(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과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통신 모듈(130)을 통해서 제어부(110)는 햅틱 패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 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하는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휴대 단말(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는 각각 렌즈계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제1 및 제2 카메라(151, 152)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6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62),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잭(167) 및 입력 유닛(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160)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터치 스크린(190) 상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소리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방송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통화 연결음,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100)은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소자(164)가 동작한다. 진동 소자(164)는 상기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 단말(100)과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거나,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은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휴대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휴대 단말(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있고,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즉,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를 통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휴대 단말(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의 회전, 휴대 단말(100)의 가속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휴대 단말(100)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GPS 모듈(157)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카메라 센서도 센서 모듈(170)에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모션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tilt sensor)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100)의 왕복 모션, 움직임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센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모션 센서를 통해 출력되는 센싱 데이터 즉, 모션 정보는 방향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의 경우, 적어도 하나에서 많게는 3개의 방향(x, y, z 축)을 기준으로 각 기준 축 방향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여 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의 기준 축은 휴대 단말(100)에 대한 방향에 따른 축(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의 상하(z 축), 좌우(x 축), 앞뒤 방향(y 축))이거나, 중력 방향에 대한 방향에 따른 축(중력방향(z 축) 및 그에 수직인 방향(x, y 축))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170)은 감지되는 각속도, 속도 등을 시간에 따라 적분하여 휴대 단말(100)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각, 방향, 속도, 이동 거리, 위치, 궤적 등을 연산하는 연산부(도면에 표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고, 계산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연산부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연산부는 궤적 등을 계산하거나 모션 방향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감지된 가속도 등의 특정 대역의 신호를 저지 또는 통과시키는 주파수 필터(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170)은 연산부를 포함하는 경우 휴대 단말(100)이 움직이는 방향이나 각도를 계산하여 이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으나, 움직임 방향이나 각도의 계산은 제어부(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움직이는 방향은 기본적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휴대 단말(100)이 사용자 방향으로 수평으로 당겨지는 앞 방향과 수평으로 밀려지는 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이 기준축을 중심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른 기울어짐 방향도 모션 방향에 포함된다. 휴대 단말(100)이 움직이는 각도는 현재의 위치를 0도로 가정하고, 휴대 단말(100)이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각도를 계산할 경우 휴대 단말(100)이 움직이는 대각선 방향에 대해서도 모션 방향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김에 따라 레이아웃의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명령으로 사용자의 입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입김 검출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김 검출 센서는 휴대 단말(100)의 외관에 부착되며, 그 위치에서의 흡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사용자의 입김 또는 바람을 검출한다. 이러한 입김 검출 센서는 사용자의 입김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풍속 센서일 수 있으며, 이 풍속 센서는 사용자의 입김 세기에 따라 일정하게 올라가는 출력값을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다르게는 입김 검출 센서는 사용자 입김을 감지할 수 있는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의 경우에도 그 입김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출력값을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휴대 단말(100)까지의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또는 터치 스크린(190)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네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어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휴대 단말(1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합성 영상 제공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휴대 단말(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즉,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 스크린(190)과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과의 직접 접촉 없이 사용자 입력 수단을 검출할 수 있는 인식 거리(예를 들어, 1cm) 이내에 사용자 입력 수단이 위치하는 경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에서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인식할 수 있는 거리 또는 간격은 휴대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직접 터치 이벤트와, 간접 터치 이벤트(즉, 호버링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직접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아날로그 값으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포함)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손가락 및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을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손가락 및 입력 유닛(168)의 터치나 접근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지,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직접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객체가 선택 또는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위치뿐만 아니라 호버링 간격 또는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190)을 누르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확인된 압력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의 전면(101) 중앙에는 터치 스크린(190)이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190)은 휴대 단말(100)의 전면(101)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휴대 단말(100)의 전원을 켰을 때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휴대 단말(100)이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질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메인 메뉴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 전환키(191-4)를 선택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에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 상태, 수신 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휴대 단말(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터치 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61a)이 선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 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 스크린(190) 상에 표시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표시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전면(101)의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후면(103)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측면(102)에는 예를 들어 전원/잠금 버튼(161d), 볼륨 증가 버튼(161f) 및 볼륨 감소 버튼(161g)을 갖는 볼륨 버튼(1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휴대 단말(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하단 측면에는 입력 유닛(168)이 장착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휴대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출 및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100)에서 다수의 비쥬얼 객체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예를 들어, 포토 앨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레이아웃의 일정 개수의 영역들마다 사진들이 배치되는 화면에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플릭킹(flicking) 또는 드래그(drag)하는 제스처에 의해 그 화면의 페이지들을 넘겨가면서 수많은 사진들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그 사진들의 배치 및 그 사진들이 표시되는 영역들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편집 화면 상에서 레이아웃을 편집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사용자는 서로 관련되어 있는 사진들은 특정 폴더에 모아둠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들 또는 서로 관련된 사진들을 손쉽고 빠르게 찾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비쥬얼 객체들이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되는 레이아웃을 휴대 단말의 모션에 따라 쉽고 빠르게 변경하며,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면 그 객체의 속성을 고려하여 관련 객체들이 표시되는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5 내지 도 8을 예시하여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을 변경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스토리 앨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 일정 개수의 영역들로 구분되는 레이아웃을 표시한 후 그 레이아웃의 구성 요소들을 변경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의 모션에 따른 레이아웃의 구성 요소를 변경하는 방법은 다양한 표시 화면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0)는 400단계에서 터치스크린(190) 상에 객체들이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은 그리드(grid), 프레임, 구역 등의 용어로도 칭할 수 있다.
도 5(a)에서는, 예를 들어, 객체들이 A, B, C, D 영역들로 구성되는 레이아웃을 가지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각 영역들에 표시 가능한 객체들은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문자(레터링, 활자), 기호 등의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컨텐츠 예컨대, 텍스트,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 위젯들, 다양한 파일 형식의 문서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 및 폴더들 등과 같은 다양한 비쥬얼 객체들(visual objects)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선택된 일부 비쥬얼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서와 같은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을 손에 쥔 채로 흔들 경우 레이아웃의 영역들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405단계에서 센서 모듈(170)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100)의 왕복 모션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휴대 단말(100)의 왕복 모션이 검출되는 경우 410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왕복 모션의 방향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센서 모듈(170)을 통해 수집되는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휴대 단말(100)의 왕복 모션 방향이 상하, 좌우, 대각선 중 어느 방향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어, 415단계에서 제어부(110)는 검출된 왕복 모션의 방향에 따라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을 변경하며, 420단계에서 변경된 영역들로 재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도 5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 경우 좌우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들 간의 배열이 달라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손에 쥔 채로 좌우 방향으로 일정 횟수 예컨대, 1 ~ 2회 정도 흔들 경우 레이아웃의 영역들 중 좌우에 각각 위치한 영역들 간의 배열이 변경된다. 도 5(a)에서는 A, B, C, D 영역들 중 좌우 방향(500)으로의 왕복 모션에 따라 변경 가능한 영역들은 B, C 영역들이 해당되며, 좌우 방향(500)으로의 왕복 모션이 수행된 이후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C 영역들의 배치가 서로 바뀌게 된다. 즉, 도 5(a)의 B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도 5(b)의 B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며, 도 5(a)의 C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도 5(b)의 C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도 6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 경우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들 간의 배열이 달라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6(a)에서와 같이 A, B, C, D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하 방향(600)으로의 왕복 모션이 수행된 이후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영역들 간에 배열이 변경된다. 상하 방향(600)으로의 왕복 모션이 수행됨에 따라 도 6(a)의 B, C 영역들이 도 6(b)의 상단 영역으로 이동하며, 도 6(a)의 하단 영역에 해당하는 D 영역도 도 6(b)의 중앙 영역 즉, D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6(a)의 A 영역은 도 6(b)의 하단 영역 즉, A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영역들의 배열 규칙은 도 10 및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서는 대각선 방향으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 경우 대각선 방향에 대응하는 영역들 간의 배열이 달라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a)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대각선 방향(700)으로의 왕복 모션이 수행된 이후에는 도 7(a)의 A 영역은 도 7(b)의 A 영역으로 이동되며, 도 7(a)의 D 영역은 도 7(b)의 D 영역으로 이동된다.
한편, 도 8에서는 휴대 단말(100)을 흔들 경우 터치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 간의 배열이 달라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8(a)에서는 A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대각선 방향(805)으로 휴대 단말(100)을 흔드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면 도 8(a)에서 터치가 유지되는 A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B, C, D 영역들은 그 배열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라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듦에 따라 그 터치된 영역만 고정되게 되는데, 둘 이상의 영역에 대한 터치가 유지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양손으로 휴대 단말(100)을 쥐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을 특정 방향으로 흔들기에 불편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사용자 방향으로 수평으로 당기거나 수평으로 미는 모션, 기울임 모션 등을 이용하여 레아아웃의 구성을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좌우, 상하, 대각선 방향으로 휴대 단말(100)을 흔드는 왕복 모션에 따라 레이아웃의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수평으로 당기거나 수평으로 미는 모션, 기울임 모션, 회전 모션 등 다양한 모션을 이용하여 레아아웃의 구성을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8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션을 사용하여 레이아웃의 구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레이아웃의 구성을 변경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김을 사용하여 레이아웃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김에 따라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이 변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a)에서와 같이 A,B, C, D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이 표시되는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김을 화면 방향(900)을 향해 불면, 도 9(b)에서와 같이 마치 종이가 날리듯이 그 입김에 반응하여 A, B, C, D 영역들이 날리는 화면이 출력된다. 이어, 그 입김에 반응하여 도 9(c)에서는 도 9(b)에서와 달리 A, B, C, D 영역들의 배열이 달라지는 화면을 예시하며, 도 9(d)에서는 배열이 변경된 A, B, C, D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이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9(a) 내지 도 9(d)에서는 사용자가 입김을 부는 행위 중 단순하고 직접적인 "종이를 불다"라는 점을 고려한 응용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입김을 불었을 때 그 입김에 반응하여 종이가 날리듯 각 영역들이 날리는 인터액티브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마치 실제로 종이를 입으로 불어 날리듯이 화면의 영역들을 제어하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입김을 세게 부느냐 또는 약하게 부느냐에 따라 화면 출력 내용이 결정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페이지를 넘기는 듯한 손 제스처 등 미리 설정된 제스처 검출에 의해서도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의 검출은 카메라 센서, 조도 센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5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모션 또는 입김을 이용하여 레이아웃을 재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카메라 센서, 조도 센서 등 다양한 동작 관련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레이아웃의 재구성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100)을 흔들거나 화면에 입김을 불기만 하면, 그 휴대 단말(100)의 모션 또는 입김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던 영상이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버튼 조작없이도 손쉽고 빠르게 객체들을 정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동감있는 영상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들을 재배열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은 배열 규칙을 사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역 크기에 따라 그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들이 변경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 크기에 따른 배열 규칙은 큰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작은 영역으로 이동되며, 작은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큰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방식이다. 도 10(a)에서와 같이, A 영역의 크기가 가장 크며, B, C 영역들은 A 영역에 비해 크기가 작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a)의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모션 예컨대, 상하 방향으로의 왕복 모션이 검출되면, 도 10(a)의 큰 크기의 A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도 10(b)의 작은 크기의 A 영역으로 이동(1000)되며, 이와 반대로 도 10(a)의 작은 크기의 C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도 10(b)의 작은 크기의 C 영역으로 이동(1005)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은 배열 규칙에 따라 도 10(a)의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모션이 검출될 때마다 도 10(b)부터 도 10(d)에서와 같은 순서로 레이아웃의 구성이 변경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속성에 따라 그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들이 변경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로로 촬영한 사진과 세로로 촬영한 사진의 경우 각각 가로 형태의 영역 및 세로 형태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1(a)에서는 가로 형태의 A 영역, 세로 형태의 B,C 영역을 예시하고 있는데, A 영역에는 가로 객체(1100)가 할당되어 표시되며, B, C 영역에는 각각 세로 객체(1102, 1105)가 할당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 형태인지 세로 형태인지 등에 대한 객체의 속성은 그 객체의 고유한 속성으로, 사전에 알 수 있는 사항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그 객체 속성을 고려하여 그 객체 속성에 대응하는 영역에 해당 객체를 배치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스마트 앨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표시해야 할 객체의 수를 판단하여, 페이지마다 여러 형태의 영역들을 가지는 복수개의 레이아웃들 중 그 객체의 수 및 그 객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레이아웃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1(a)의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모션이 검출되면 도 11(b)에서와 같이 영역들의 배치가 변경된 레이아웃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11(a)의 C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가 세로 객체일 경우에는 도 11(b)의 C 영역으로 이동되더라도 그 세로 객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1(b)에서 세로 객체(1105)의 일부분(1110)만 잘려져 보이지 않을 뿐, 그 세로 객체(1105)를 C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 다시 모션이 검출되면 도 11(c)에서와 같은 배치를 가지는 레이아웃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1(b)의 B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는 이전 도 11(a)의 B 영역에 표시되던 세로 객체(1105)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도 11(c)의 B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되는 갓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11(b)의 A 영역에 표시되는 객체는 도 11(a)의 A 영역에 표시되던 가로 객체(1100)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도 11(d)의 A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없다. 즉, 도 11(d)의 A 영역에 가로 객체(1100)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가로 객체(110)의 일부분(115)이 잘려지더라도 그 가로 객체(1100)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A 영역에는 여백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비율이 맞지 않는 영역은 객체 배치시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객체의 속성에 맞는 영역들로 레이아웃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11(d)의 레이아웃은 레이아웃의 변경을 위한 선택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와 같이 객체의 속성을 고려할 경우 예컨대, 인물 사진(portrait), 풍경(landscape)의 비율을 최대한 유지하여 각 영역에 배치되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지면에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3을 예시하여 설명을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터치된 객체의 속성에 따라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에 표시되는 객체들을 변경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1200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의 터치스크린(190) 상에 객체들이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이어, 1205단계에서 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터치된 경우 1210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100)의 왕복 모션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왕복 모션이 검출되면, 1215단계에서 상기 터치된 영역에서 그 영역에 속한 객체의 속성에 대응하는 객체들을 검색한다. 반면, 1205 단계 및 1210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터치되지 않거나 터치된 상태에서 왕복 모션이 검출되지 않으면, 1200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 제어부(110)는 1220단계에서 상기 터치된 객체가 표시되는 영역만 고정한 채 나머지 영역들에 검색된 객체들을 배치하며, 1225단계에서 검색된 객체들이 배치된 영역들로 재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반면, 왕복 모션이 검출되지 않으면 1200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레이아웃의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 전술한 바에서는 관련 객체를 검색하는 1215 단계는 터치가 유지된 상태로 왕복 모션이 검출된 이후 즉, 1210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어느 하나의 영역 상에 터치가 발생하면 그 영역에 속한 객체와 관련된 객체들을 검색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3(a)에서는 지도 영역, A, B, C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예시하고 있다. 만일 사용자가 지도 영역을 터치한 후 그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게 되면, 도 13(b)에서와 같이 그 터치된 영역에 속한 객체의 속성을 기준으로 검색된 관련 객체들이 각 영역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영역에서 '뉴욕 타임스퀘어 광장'을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 경우, 도 13(b)에서는 '뉴욕 타임스퀘어 광장'과 관련된 속성을 가지는 객체들 예컨대, 그 장소에서 촬영한 사진, 그 장소 관련 뉴스, 그 장소에서 추천할만한 어플리케이션 항목 등의 객체들이 각 영역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에서는 휴대 단말(100)을 흔들 때 터치된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객체들이 현재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도록 재배열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예를 들어, 위치 기반으로 객체들을 정렬하는 방식 이외에 인물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식, 소셜 네트워크 기반으로 객체들을 정렬하는 방식 등 객체 속성에 따라 관련 객체들을 정렬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
구체적으로, 인물을 기준으로 정렬하는 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인물이 표시되는 사진의 경우 그 인물을 터치한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게 되면, 그 터치된 인물과 관련된 사진들이 현재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도록 재배열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인물 사진의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인물만 특정할 수 있으며, 그 특정된 인물을 터치한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게 되면, 그 특정 인물 관련 사진들이 검색되어 재배열된 영역들 각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기반으로 객체들을 정렬하는 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페이스북 피드(facebook feed) 기능을 선택한 경우 해당 페이스북 피드가 해당 페이지의 레이아웃의 영역들에 맞게 재배열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이어지는 도면이다. 이하,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데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5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그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1400단계에서 휴대 단말(100)의 터치스크린(190) 상에 객체들이 표시되는 영역들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이어, 1405단계에서 영역 개수 변경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볼륨키와 같은 특정키를 누르거나 화면 상단의 액션 바에 표시되는 옵션 기능을 통해 영역 개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이어, 영역 개수 변경 요청이 있으면 1410단계에서 영역 개수 조절을 위한 아이콘들을 표시한다. 만일 영역 개수 변경 요청이 없으면 1400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1415단계에서 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아이콘들 중 하나가 터치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1415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1410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4b의 1420단계에서 영역 추가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로 왕복 모션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그렇다면 1425단계에서 현재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에 다음 페이지의 레이아웃의 영역들을 추가하며, 1440단계에서 추가된 영역들을 포함하여 재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이때, 영역 추가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로 왕복 모션이 반복적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왕복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영역이 하나씩 추가된다.
도 15에서는 휴대 단말(100)의 모션에 따라 레이아웃의 영역들 간에 배열이 변경될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의 수도 조절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5(a)에서 영역 개수 조절 요청이 입력되면 도 15(b)에서와 같이 영역 추가 아이콘(1510) 및 영역 감소 아이콘(1500)이 표시된다. 만일 사용자가 영역 추가 아이콘(1510)을 터치한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게 되면, 도 15(c)에서와 같이 D 영역이 추가되면서 A, B, C 영역들이 재배열되며, 다시 휴대 단말(100)을 흔들게 되면, 도 15(d)에서와 같이 E 영역이 추가되며 나머지 영역들이 재배열된다.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모션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5(e)에서와 같은 구성의 레이아웃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한 페이지에 표시되는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가 늘어나게 되면, 전체 표시할 객체의 수는 정해져 있으므로, 전체 페이지의 수는 줄어들게 될 것이다.
반면 영역 추가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은 경우 1430단계에서 영역 감소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로 왕복 모션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영역 감소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로 왕복 모션이 검출되면, 1435단계에서 현재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로부터 하나의 영역을 제거한 후, 1440단계에서 상기 제거된 영역들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로 재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이때, 영역 감소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로 왕복 모션이 반복적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왕복 모션이 발생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영역이 하나씩 제거된다.
만일 도 15(f)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영역 감소 아이콘(1500)을 터치한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게 되면, 도 15(g)에서와 같이 D 영역이 제거되면서 A, B, C 영역들이 재배열된다. 이때, 도 15(g)의 영역 감소 아이콘(1500)을 터치한 상태로 사용자가 다시 휴대 단말(100)을 흔들게 되면, 최소 영역의 개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도 15(h)에서와 같이 영역들의 수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그 영역들의 배열만 달라지게 된다. 이후, 일정 시간 동안 모션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5(i)에서와 같은 구성의 레이아웃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한 페이지에 표시되는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가 줄어들게 되면, 일정 개수의 객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전체 페이지의 수는 늘어나게 될 것이다.
반면, 1430단계에서 영역 추가/감소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은 상태로 왕복 모션이 검출되는 경우 1445단계에서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왕복 모션의 방향에 따라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을 변경하며, 1450단계에서 변경된 영역들로 재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전술한 바에서는 해당 페이지의 영역들의 수를 아이콘을 이용하여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업/다운 볼륨키를 이용하여 영역 추가 또는 삭제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볼륨 업 키를 누른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 경우 영역이 추가되며, 볼륨 다운키를 누른 상태로 휴대 단말(100)을 흔들 경우 영역이 제거되는 방식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영역들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데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7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1600단계 및 1605단계는 도 4의 400단계 및 405단계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1610단계에서 왕복 모션의 횟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 1615단계에서 현재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영역들에 다음 페이지의 레이아웃의 일정 개수의 영역들을 추가한다. 그리고나서 1620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추가된 영역들을 포함하여 재구성된 레이아웃을 표시한다. 이때, 왕복 모션의 횟수에 따라 추가되는 영역의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7(a)는 현재 페이지의 레이아웃이 A, B, C, D 영역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17(b)는 다음 페이지의 레이아웃이 E, F, G, H, I 영역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현재 페이지는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페이지를 의미하며, 다음 페이지는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190) 상을 플릭킹(flicking) 또는 드래그(drag)하는 제스처에 의해 표시될 페이지이다. 따라서 도 17(a)에서와 같은 현재 페이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왕복 모션이 검출되면, 그 왕복 모션의 횟수에 따라 도 17(b)의 다음 페이지의 E, F 영역이 도 17(c)에서와 같이 현재 페이지의 영역들에 추가됨과 동시에 그 왕복 모션의 방향에 따라 A, B, C, D 영역들이 재배열된다. 이때, 하나씩 또는 미리 정해진 개수 단위로 영역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페이지의 영역이 추가됨에 따라 도 17(b)의 다음 페이지에 표시되던 E, F 영역 각각에 표시되던 객체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F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의 모션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들 즉, 영역들/객체들을 원하는 방식으로 정렬하는 것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휴대 단말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휴대 단말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5)

  1.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개의 객체들을 상기 휴대 단말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 내의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한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쉐이킹 모션에 따라 이동시킬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쉐이킹 모션 동안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없이도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들의 위치는 유지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관련 입력은, 사용자 입김, 제스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의 상하, 좌우,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쉐이킹 모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상기 쉐이킹 모션의 방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객체가 터치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터치된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들의 위치들을 재배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터치된 객체의 속성을 근거로 관련 객체들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객체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객체가 인물 사진인 경우,
    상기 인물과 관련된 사진들을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사진들이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각각에 대한 가로 및 세로 형태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배치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영역 크기가 가장 작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며, 상기 영역 크기가 가장 작은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상기 가장 작은 크기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의 횟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의 횟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일정 개수의 객체를 추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개수의 객체는,
    다음 페이지를 구성하는 일정 개수의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에 대한 수 조절 요청이 있으면,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에 대한 수 조절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에 대한 수 조절 아이콘이 터치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이 검출되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13.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센서 모듈과,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객체들이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 모듈에 의한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을 검출하고,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쉐이킹 모션에 따라 이동시킬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쉐이킹 모션 동안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없이도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들의 위치는 유지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을 더 수신하고,
    상기 동작 관련 입력은, 사용자 입김, 제스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 상기 사용자 입김을 검출하는 입김 검출 센서, 상기 제스처를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 검출 시 상기 휴대 단말의 상하, 좌우,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쉐이킹 모션 방향을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검출된 쉐이킹 모션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상기 쉐이킹 모션의 방향에 대응하는 객체들의 위치들을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객체가 선택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들의 위치들을 재배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이 검출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의 속성을 근거로 관련 객체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객체들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객체가 인물 사진인 경우,
    상기 인물과 관련된 사진들을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사진들이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각각에 대한 가로 및 세로 형태 속성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 중 영역 크기가 가장 큰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영역 크기가 가장 작은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며, 상기 영역 크기가 가장 작은 영역에 표시되던 객체는 상기 가장 작은 크기의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검출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의 횟수가 일정 개수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쉐이킹 모션의 횟수가 일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일정 개수의 객체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개수의 객체는, 다음 페이지를 구성하는 일정 개수의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에 대한 수 조절 요청이 있으면,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에 대한 수 조절을 위한 아이콘을 표시한 후, 상기 복수개의 객체들에 대한 수 조절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의 쉐이킹 모션이 검출되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가 또는 삭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휴대 단말.
KR1020130019508A 2013-02-22 2013-02-22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102146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508A KR102146244B1 (ko) 2013-02-22 2013-02-22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US14/105,735 US20140245234A1 (en) 2013-02-22 2013-12-13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ultiple objects depending on input related to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CN201910635265.1A CN110333758B (zh) 2013-02-22 2014-02-21 用于控制多个对象的显示的方法及其移动终端
EP14156094.6A EP2770424B1 (en) 2013-02-22 2014-02-21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ultiple objects depending on input related to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CN201410060098.XA CN104007892B (zh) 2013-02-22 2014-02-21 用于控制多个对象的显示的方法及其移动终端
EP20167237.5A EP3696653B1 (en) 2013-02-22 2014-02-21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ultiple objects depending on input related to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JP2015559191A JP2016511471A (ja) 2013-02-22 2014-02-24 携帯端末に対する動作関連入力によって複数個のオブジェクトの表示を制御する方法及び携帯端末
AU2014219558A AU2014219558B2 (en) 2013-02-22 2014-02-24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ultiple objects depending on input related to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RU2015140072A RU2667496C2 (ru) 2013-02-22 2014-02-24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ображением нескольких объектов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ввода, связанного с работой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этого
BR112015020243-8A BR112015020243B1 (pt) 2013-02-22 2014-02-24 Método de controlar uma exibição de uma pluralidade de objetos de acordo com um movimento de um terminal móvel, e terminal móvel para o mesmo
PCT/KR2014/001471 WO2014129862A1 (en) 2013-02-22 2014-02-24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ultiple objects depending on input related to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MX2015010598A MX353242B (es) 2013-02-22 2014-02-24 Método para controlar la exhibición de múltiples objetos dependiendo de una entrada relacionada con la operación de una terminal móvil y una terminal móvil para el mismo.
US16/227,823 US10775896B2 (en) 2013-02-22 2018-12-20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ultiple objects depending on input related to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JP2019007979A JP6816858B2 (ja) 2013-02-22 2019-01-21 携帯端末に対する動作関連入力によって複数個のオブジェクトの表示を制御する方法及び携帯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508A KR102146244B1 (ko) 2013-02-22 2013-02-22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44A KR20140105344A (ko) 2014-09-01
KR102146244B1 true KR102146244B1 (ko) 2020-08-21

Family

ID=5015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508A KR102146244B1 (ko) 2013-02-22 2013-02-22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40245234A1 (ko)
EP (2) EP3696653B1 (ko)
JP (2) JP2016511471A (ko)
KR (1) KR102146244B1 (ko)
CN (2) CN104007892B (ko)
AU (1) AU2014219558B2 (ko)
BR (1) BR112015020243B1 (ko)
MX (1) MX353242B (ko)
RU (1) RU2667496C2 (ko)
WO (1) WO2014129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4508S1 (en) * 2013-01-25 2015-12-01 Htc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4850332B (zh) * 2015-03-19 2018-10-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终端控制方法以及智能终端
JP6609971B2 (ja) * 2015-04-06 2019-11-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データフォーマット変換プログラム、方法、装置
CN104850341B (zh) * 2015-04-24 2019-02-2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应用图标显示方法
CN105843497A (zh) * 2015-06-29 2016-08-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桌面图标批量处理的方法和一种移动终端
CN105183338B (zh) * 2015-07-20 2019-02-01 西安拾忆信息科技有限公司 对象处理方法
CN105069217A (zh) * 2015-07-31 2015-11-18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道路动态分区模型的城市救援仿真方法
JP2017102618A (ja) * 2015-11-30 2017-06-08 株式会社ニコン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CN105892648B (zh) * 2016-03-24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图标的显示方法及用户终端
KR101673536B1 (ko) * 2016-04-08 2016-11-07 (주)버즈빌 잠금 화면을 이용한 메시지 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7291364B (zh) * 2016-04-13 2020-10-02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和终端设备
CN107817941B (zh) * 2016-09-14 2022-12-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保存方法和装置
CN106569549B (zh) * 2016-10-17 2023-04-07 广州第贰人类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液晶触摸屏的显示方法及装置
CN107015721A (zh) 2016-10-20 2017-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应用界面的管理方法和装置
CN107291277B (zh) * 2017-08-14 2019-09-03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误触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295363B1 (ja) 2017-08-22 2018-03-1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CN108089730B (zh) * 2017-12-18 2021-06-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交互页面的实现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JP7013859B2 (ja) * 2017-12-27 2022-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操作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8646931B (zh) * 2018-03-21 2022-10-14 深圳市创梦天地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JP6585234B2 (ja) * 2018-05-30 2019-10-0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KR102469722B1 (ko) * 2018-09-21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492346B (zh) * 2019-01-21 2020-07-07 中南大学 一种轨道列车碰撞仿真简化模型的构建方法
CN109976689B (zh) * 2019-03-05 2022-03-04 河南泰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利用智能手机对分布式拼接处理器进行快速配置的方法与装置
US11023124B1 (en) * 2019-12-18 2021-06-01 Motorola Mobility Llc Processing user input received during a display orientation change of a mobile device
CN111641797B (zh) * 2020-05-25 2022-02-1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通话界面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KR102435695B1 (ko) * 2021-08-18 2022-08-24 정진현 스마트 피트니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6849A (zh) * 2012-04-20 2012-10-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菜单布局处理方法及装置
JP5107453B1 (ja) * 2011-08-11 2012-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操作画面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5492A (ja) * 2002-05-27 2003-12-05 Sony Corp 携帯電子機器
US20060101352A1 (en) * 2003-01-14 2006-05-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arranging views on a computer screen
WO2004063923A1 (en) * 2003-01-15 2004-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arranging views on a computer screen
JP2004240757A (ja) * 2003-02-06 2004-08-26 Nec Corp 名刺作成管理システム
US7370284B2 (en) 2003-11-18 2008-05-06 Laszlo Systems, In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multiple applications
JP2007094378A (ja) 2005-08-31 2007-04-12 Seiko Epson Corp 携帯型表示装置、携帯型表示装置の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614037B2 (ja) 2007-03-26 2014-10-29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用プログラム
US8112720B2 (en) * 2007-04-05 2012-02-07 Nap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d graphically associating programmatically-generated media item recommendations related to a user's socially recommended media items
JP5097435B2 (ja) * 2007-04-24 2012-12-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7979809B2 (en) * 2007-05-11 2011-07-12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d movement of object to display edge
KR101403839B1 (ko) * 2007-08-16 2014-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제어방법
US9261979B2 (en) * 2007-08-20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Gesture-based mobile interaction
US8312373B2 (en) 2007-10-18 2012-11-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ffecting an arrangement of selectable items
US8423076B2 (en) * 2008-02-01 2013-04-16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20090327272A1 (en) * 2008-06-30 2009-12-31 Rami Koivun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Multiple Data Types
KR101524616B1 (ko) * 2008-07-07 201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이로센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0116B1 (ko) 2008-09-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컨텐츠 탐색 및 실행방법과 이를 이용한 장치
US8191011B2 (en) * 2008-09-18 2012-05-29 Microsoft Corporation Motion activated content control for media system
US8584031B2 (en) *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US8788977B2 (en) * 2008-11-20 2014-07-22 Amazon Technologies, Inc.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US8558803B2 (en) * 2008-11-28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9424578B2 (en) * 2009-02-24 2016-08-23 Ebay Inc.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gesture functions at a device
KR101640460B1 (ko) *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601389B2 (en) * 2009-04-30 2013-12-03 Apple Inc. Scrollable menus and toolbars
JP4757933B2 (ja) * 2009-06-26 2011-08-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の動作方法
US20110016423A1 (en) 2009-07-16 2011-01-20 Synopsys, Inc. Generating widgets for use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5626749B2 (ja) * 2009-07-29 2014-11-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文字情報変換システム
KR101657117B1 (ko) * 2009-08-11 201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354914A1 (en) * 2010-01-19 2011-08-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125870A (ko) * 2010-05-14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954099B2 (en) 2010-06-16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Layout design of proximity sensors to enable shortcuts
US8972879B2 (en) * 2010-07-30 2015-03-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ordering the front-to-back positions of objects
KR20120013727A (ko)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757527A1 (en) * 2010-11-12 2012-05-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tion gestures interfa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2066591A1 (ja) * 2010-11-15 2012-05-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メニュー表示方法、コンテンツ画像表示方法、機能実行方法
JP2012118652A (ja) * 2010-11-30 2012-06-21 Sharp Corp メニュー表示制御装置
JP4972712B1 (ja) * 2010-12-07 2012-07-11 株式会社 資生堂 非可視化情報を用いた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非可視化情報の埋込装置、認識装置、埋込方法、認識方法、埋込プログラム、及び認識プログラム
US8982045B2 (en) * 2010-12-17 2015-03-17 Microsoft Corporation Using movement of a computing device to enhance interpretation of input events produced when interacting with the computing device
US9178981B2 (en) * 2010-12-2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therein
KR101740439B1 (ko) * 2010-12-23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2112277A1 (en) * 2011-01-26 2012-08-23 Novodigit Sarl Breath-sensitive digital interface
KR101691478B1 (ko) * 2011-02-09 2016-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입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64333B1 (ko) * 2011-03-21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 변경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844999B2 (ja) * 2011-05-19 2016-01-20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5829040B2 (ja) * 2011-04-11 2015-12-09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生成方法
JP5815275B2 (ja) 2011-04-26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29697A (ko) 2011-05-20 2012-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문자메시지 관리 방법
EP2715500A4 (en) 2011-05-25 2015-04-29 Nokia Corp DEVICE, PROCEDURE,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KR101844222B1 (ko) * 2011-05-27 2018-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제어 방법
CN103189833A (zh) * 2011-06-08 2013-07-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文字输入装置及显示变更方法
US20130125069A1 (en) 2011-09-06 2013-05-16 Lubomir D. Bourdev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Labeling of a Collection of Images
KR101888457B1 (ko) * 2011-11-16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4071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154951A1 (en) * 2011-12-15 2013-06-20 Nokia Corporation Performing a Function
AU2011265428B2 (en) * 2011-12-21 2014-08-14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lecting a user interface object
US20130219277A1 (en) * 2012-02-21 2013-08-22 Mobotap Inc. Gesture and Voice Controlled Browser
KR101952682B1 (ko) * 2012-04-23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92234B1 (ko) * 2012-08-03 2020-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40059472A1 (en) * 2012-08-24 2014-02-27 Recon Instrument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KR20140051012A (ko) * 2012-10-22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US11372536B2 (en) *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8994827B2 (en) * 2012-11-20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68410A (ko) * 2012-11-28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물리 엔진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70040A (ko) * 2012-11-30 201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82000A (ko) * 2012-12-21 2014-07-02 주식회사 팬택 관련 어플리케이션 제공 단말 및 방법
KR20140085061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97820A (ko) * 2013-01-30 2014-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웹페이지 내의 특정 객체의 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132644B2 (ja) * 2013-04-24 2017-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7453B1 (ja) * 2011-08-11 2012-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操作画面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2736849A (zh) * 2012-04-20 2012-10-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菜单布局处理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0424A2 (en) 2014-08-27
CN110333758B (zh) 2024-02-13
JP6816858B2 (ja) 2021-01-20
WO2014129862A1 (en) 2014-08-28
BR112015020243B1 (pt) 2022-11-29
JP2019083048A (ja) 2019-05-30
KR20140105344A (ko) 2014-09-01
CN104007892B (zh) 2019-08-09
CN104007892A (zh) 2014-08-27
AU2014219558A1 (en) 2015-07-30
US20190121443A1 (en) 2019-04-25
MX2015010598A (es) 2015-12-16
MX353242B (es) 2018-01-05
BR112015020243A2 (pt) 2017-07-18
JP2016511471A (ja) 2016-04-14
US10775896B2 (en) 2020-09-15
EP3696653A1 (en) 2020-08-19
AU2014219558B2 (en) 2017-04-27
CN110333758A (zh) 2019-10-15
RU2015140072A (ru) 2017-03-28
RU2667496C2 (ru) 2018-09-21
EP2770424B1 (en) 2020-04-01
US20140245234A1 (en) 2014-08-28
EP3696653B1 (en) 2022-04-06
EP2770424A3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244B1 (ko) 휴대 단말에 대한 동작 관련 입력에 따라 복수개의 객체들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US9582168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thumbnail image of panoramic photo
US10635295B2 (en)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touch screens and screen change method for the device
US9261995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object by using multi-touch with related reference point
KR102139526B1 (ko) 전자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실행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8952B1 (ko) 휴대 단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US20140317555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shortcut icon window
US20140258866A1 (en) Mobile apparatus providing preview by detecting rubbing ges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024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3555A (ko) 휴대 장치의 잠금 화면 상에서 빠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KR201400733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1803295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KR20140142081A (ko) 그룹 리코딩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2022050B1 (ko)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8091B1 (ko)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86819B1 (ko) 노트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92106A (ko) 터치 스크린 상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과 저장 매체
KR20140102905A (ko)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02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00086653A (ko)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5655A (ko)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12544A (ko) 전자 장치의 방향 기능 입력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