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84B1 - 전동 릴 - Google Patents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84B1
KR102146084B1 KR1020140012138A KR20140012138A KR102146084B1 KR 102146084 B1 KR102146084 B1 KR 102146084B1 KR 1020140012138 A KR1020140012138 A KR 1020140012138A KR 20140012138 A KR20140012138 A KR 20140012138A KR 102146084 B1 KR102146084 B1 KR 102146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member
support shaft
elastic member
reel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0624A (ko
Inventor
아츠시 카와마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4013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01K89/0171Spring motors
    • A01K89/0172Spring motors actuated in response to pull on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1Drive mechanism details with feed roll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전동 릴의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정 부재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전동 릴(100)은, 릴 본체(1)와, 지지축(36a)과, 스풀(10)과, 모터(12)와, 조정 부재(5)와, 제1 탄성 부재(46)와, 릴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지지축(36a)은, 릴 본체(1)에 포함되는 케이스 부재(36)에 설치된다. 스풀(10)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12)는 릴 본체(1)에 설치되고, 스풀(10)을 회전 구동한다. 조정 부재(5)는, 지지축(36a)이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5f)을 가지고, 지지축(36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탄성 부재(46)는, 조정 부재(5)의 제1측에서 케이스 부재(36), 조정 부재(5) 및 지지축(36a)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된다. 릴 제어부(70)는, 조정 부재(5)의 회동(回動) 위치에 따라 모터(12)의 출력을 조정한다.

Description

전동 릴{ELECTRICAL FISHING REEL}
본 발명은, 전동 릴, 특히, 낚싯줄을 전방(前方)으로 방출하는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전동 릴에는, 레버 또는 회전체 형태의 모터 출력 조정용의 조정 부재가 릴 본체에 설치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릴 본체는, 핸들 측의 제1 측판(側板) 및 제1 측판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판을 가지는 프레임과, 제1 측판의 외방(外方)을 덮는 제1 측 커버와, 프레임에 재치(載置)된 수심 표시부를 가진다. 특허문헌 1의 조정 부재는,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사이에 있어서, 수심 표시부의 후부(後部)에 설치된다. 조정 부재는, 수심 표시부의 후부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정 부재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심 표시부에 양단(兩端) 지지된 회전축을 가지고 있다. 이 조정 부재를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090645호
전동 릴의 조정 부재는, 기계로서의 단순한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정 부재와는 다르다. 즉, 전동릴용의 모터의 출력의 조정은, 물고기와의 힘겨루기를 행하기 위하여, 섬세한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낚시꾼은, 조정 부재의 섬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필링(feeling)을 매우 소중히 하고 있고, 섬세한 조정 필링은 낚시꾼의 조과(釣果)에도 영향을 준다.
종래의 회동 조작에 의하여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정 부재에서는, 조정 부재의 회전이 너무 부드러우면, 조정 부재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 릴의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정 부재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릴은, 릴 본체와, 지지축과, 스풀과, 모터와, 조정 부재와, 제1 탄성 부재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지지축은 릴 본체에 설치된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는 릴 본체에 설치되고, 스풀을 회전 구동한다. 조정 부재는, 지지축이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가지고,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탄성 부재는, 조정 부재의 제1측에서 릴 본체, 조정 부재 및 지지축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어부는, 조정 부재의 회동 위치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조정한다.
이 전동 릴에서는, 조정 부재가 지지축에 제1 탄성 부재를 통하여 지지된다. 제1 탄성 부재는, 조정 부재의 제1측에서, 릴 본체, 조정 부재 및 지지축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고, 조정 부재가 지지축에 제1 탄성 부재를 통하여 지지된다. 여기에서는, 조정 부재를, 릴 본체 및 지지축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제1 탄성 부재를 통하여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의 회전을, 제1 탄성 부재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정 가능하게 되어, 조정 부재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전동 릴은, 제1 탄성 부재와 릴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와셔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제1 탄성 부재는, 제1 와셔 부재를 통하여 릴 본체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제1 탄성 부재가 릴 본체가 아니라 표면이 릴 본체보다도 매끄러운 제1 와셔 부재에 접촉하기 때문에, 마찰 저항이 일정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의 조정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되어, 조정 부재의 한층 더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조정 부재는, 제1측에 제1 탄성 부재와 접촉 및 접동하는 제1 접촉면을 가져도 무방하다. 제1 접촉면은, 릴 본체와 지지축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이다. 이 경우에는, 제1 탄성 부재가 테이퍼면에서 조정 부재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정 부재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의 힘을 제1 탄성 부재가 받을 수 있다.
관통 구멍은, 상기 지지축과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되고, 제1 접촉면은, 관통 구멍의 제1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지지축에 조정 부재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탄성 부재의 마찰 저항이 안정된다.
지지축은, 릴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캔틸레버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지지축이 캔틸레버 지지되기 때문에, 조정 부재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전동 릴은, 대경(大徑)의 머리부를 가지고, 지지축의 선단(先端)에 나사끼움 가능한 나사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조정 부재는, 나사 부재의 머리부에 의하여 빠짐 방지된다. 이 경우에는, 나사 부재의 나사끼움양에 의하여 제1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량을 조정할 수 있어,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전동 릴은, 조정 부재의 제1측과 반대의 제2측에서 나사 부재, 조정 부재 및 지지축과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가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에 의하여 양단 지지되기 때문에, 한층 더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은, O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시판의 O링을 이용하여 조정 부재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구조를 저(低)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다.
전동 릴은, 머리부와 제2 탄성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와셔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제2 탄성 부재는, 제2 와셔 부재를 통하여 나사 부재의 머리부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의 제2측에서도 제2 와셔 부재에 제2 탄성 부재가 접촉하기 때문에, 캔틸레버 지지되는 지지축에 있어서, 제2측에서도 조정 부재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일정하게 되어, 조정 부재의 조정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되고, 한층 더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조정 부재는, 제2 탄성 부재와 접촉 및 접동(摺動)하는 제2 접촉면을 가져도 무방하다. 제2 접촉면은, 나사 부재의 머리부와 지지축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이다. 이 경우에는, 제2 탄성 부재가 테이퍼면에서 조정 부재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정 부재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의 힘을 제2 탄성 부재가 받을 수 있다.
관통 구멍은 지지축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접촉면은, 관통 구멍의 제2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관통 구멍의 양측에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이 설치되기 때문에,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가 안정되게 조정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축은 릴 본체에 양단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가 릴 본체에 양단 지지되기 때문에, 조정 부재를 핸들 측 및 핸들과 반대쪽의 양 방향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된다.
전동 릴은, 조정 부재의 제1측과 반대의 제2측에서 릴 본체, 조정 부재 및 지지축과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양단 지지된 조정 부재가 제1측과 제2측에서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에 양단 지지되기 때문에, 조정 부재를 한층 더 섬세하게 조정 조작할 수 있도록 된다.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O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시판의 O링을 이용하여 조정 부재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구조를 저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다.
전동 릴은, 릴 본체와 제2 탄성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와셔 부재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제2 탄성 부재는, 제2 와셔 부재를 통하여 릴 본체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의 제2측에서도 제2 와셔 부재에 제2 탄성 부재가 접촉하기 때문에, 양단 지지되는 지지축에 있어서, 제2측에서도 조정 부재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일정하게 되고, 조정 부재의 조정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되어, 조정 부재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조정 부재는, 제2 탄성 부재와 접촉 및 접동하는 제2 접촉면을 가져도 무방하다. 제2 접촉면은 릴 본체와 지지축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이다. 이 경우에는, 제2 탄성 부재가 테이퍼면에서 조정 부재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정 부재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의 힘을 제2 탄성 부재가 받을 수 있다.
관통 구멍은 지지축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접촉면은, 관통 구멍의 제2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관통 구멍의 양측에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이 설치되기 때문에,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가 안정되게 조정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조정 부재는, 관통 구멍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접촉면과 제1 탄성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페이서(spacer)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탄성 부재가 제1 스페이서와 접촉하기 때문에, 제1측에 있어서, 조정 부재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한층 더 일정하게 되기 쉽다.
조정 부재는, 관통 구멍에 있어서, 적어도 제2 접촉면과 제2 탄성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탄성 부재가 제2 스페이서와 접촉하기 때문에, 제2측에 있어서, 조정 부재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한층 더 일정하게 되기 쉽다.
조정 부재는, 관통 구멍에 있어서, 지지축과 관통 구멍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스페이서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관통 구멍의 전체에 스페이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스페이서를 정도(精度)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조정 부재는, 모터를 정지시키는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회동하여도 무방하다. 전동 릴은, 조정 부재의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의 회동 및 조작 개시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의 회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조정 부재가 사용자의 의지에 반(反)하여 조정 개시 위치로부터 회동하기 어려워져, 모터가 갑자기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회동 규제부는, 조작 개시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가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조정 개시 위치로 회동하기 어려워져, 모터가 갑자기 정지하기 어려워진다.
회동 규제부는, 계합부(係合部)와, 위치 결정 핀을 가져도 무방하다. 계합부는, 릴 본체 및 조정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고, 조작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계합 오목부를 가진다. 위치 결정 핀은, 릴 본체 및 조정 부재의 타방에 설치되고, 계합부를 향하여 압박되고, 계합부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회동을 규제하는 경우, 압박된 위치 결정 핀에 의하여 계합부에 위치 결정 핀이 계합하여 회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회동 규제할 때에 클릭감이 얻어져, 회동 규제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다.
계합부는, 계합 오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지지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되는 원호 오목부와, 계합 오목부와 원호 오목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돌출부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계합 오목부와 원호 오목부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는 돌출부에 의하여 조정 부재의 회동이 규제된다.
계합부는 릴 본체에 설치되고, 위치 결정 핀은 조정 부재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이동하는 조정 부재에 위치 결정 핀이 설치되기 때문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 부재의 회전을, 제1 탄성 부재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에 의하여 조정 가능하게 되고, 조정 부재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2는 전동 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I-III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부의 확대도.
도 5는 전동 릴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수심 표시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절단선 VII-VII에 의한 단면도.
도 8은 제1 측 커버 및 기구 장착판을 떼어낸 상태의 전동 릴의 좌측면도.
도 9는 조정 부재의 정면도.
도 10은 홀 소자의 특성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11은 홀 소자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는 전동 릴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14는 제2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 15는 제2 실시예의 조정 부재의 단면도.
<제1 실시예>
<전동 릴의 전체 구성>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10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과 함께, 수동의 양 베어링 릴로서 사용할 때의 전원을 내부에 가지는 소형의 전동 릴이다. 또한, 전동 릴(100)은 줄 방출 길이 또는 줄 감기 길이에 따라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 기능을 가지는 릴이다.
전동 릴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수심 표시부(4)를 가지는 릴 본체(1)와, 핸들(2)과, 스풀(10)과, 클러치 조작 부재(11)와, 모터(12)와, 스풀 구동 기구(13)(도 5 참조)와, 클러치 기구(16)(도 3 참조)를 구비한다. 또한, 전동 릴(100)은, 조정 부재(5)와, 제1 탄성 부재(46)(도 4 참조)와, 제2 탄성 부재(47)(도 4 참조)와, 제1 와셔 부재(50)(도 4 참조)와, 제2 와셔 부재(52)(도 4 참조)와, 나사 부재(54)(도 4 참조)와, 회동 규제부(55)(도 6 참조)와, 릴 제어부(70)(도 12 참조)를 더 구비한다. 핸들(2)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10)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클러치 기구(16)를 온 오프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릴 본체(1)의 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12)는 릴 본체(1)에 설치되고, 스풀(10)을 회전 구동한다. 클러치 기구(16)는, 핸들(2)의 회전을 스풀(10)에 전달 가능한 클러치 온 상태와, 핸들(2)의 회전을 스풀(10)에 전달 불가능한 클러치 오프 상태로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조작에 의하여 전환 가능하다. 조정 부재(5)는 릴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정 부재(5)는, 회동 위치에 따라 모터(12)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검출자(34)는, 조정 부재(5)에 설치되고, 조정 부재(5)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위상 검출부(35)는, 검출자(34)의 위상 검출부(35)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위상을 검출 가능하다. 스풀 구동 기구(13)는, 핸들(2) 및 모터(12)의 구동력에 따라 스풀(10)을 구동한다. 릴 제어부(70)는, 모터(12)의 출력을 조정 부재(5)의 회동 위치에 따라 복수 단계로 조정하는 모터 제어부의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스풀(10)의 회전 속도가 조정 부재(5)의 회동 위치에 따라 복수 단계로 조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張力)이 조정 부재(5)의 회동 위치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조정된다. 릴 제어부(70)는, 수심 표시부(4)를 표시 제어하는 표시 제어 기능도 가진다.
<릴 본체>
릴 본체(1)는, 프레임(7)과, 제1 측 커버(8a)와, 제2 측 커버(8b)와, 전(前) 커버(9)(도 7 참조)와, 전술한 수심 표시부(4)를 구비한다. 프레임(7)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또는 금속제의 일체(一體) 형성된 부재이다. 프레임(7)은,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7c), 제2 연결 부재(7d) 및 제3 연결 부재(7e)를 가진다. 제2 측판(7b)은, 제1 측판(7a)과 좌우 방향(도 2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측 커버(8a)는, 프레임(7)의 핸들(2) 장착 측을 덮는다. 제2 측 커버(8b)는, 프레임(7)의 핸들(2) 장착 측과 반대쪽을 덮는다. 전 커버(9)는, 프레임(7)의 전부(前部)를 덮는다.
제1 측판(7a)은, 측판 본체(19a)와, 측판 본체(19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종의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 장착판(19b)을 가진다. 측판 본체(19a)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부(19c)를 가진다. 보스부(19c)에는, 부시(65)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기구 장착판(19b)은, 이하에 나타내는 각종의 기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기구 장착판(19b)은, 측판 본체(19a)의 외측면(外側面)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 본체(19a)와 제1 측 커버(8a)의 사이에, 스풀 구동 기구(13)와, 클러치 기구(16)를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20)와, 스풀(1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도 5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측 커버(8a)에는, 스풀(10)을 제동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1)가 설치되어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1)는, 후술하는 스풀축(14)의 양단을 압압(押壓)하여 스풀(10)을 제동하는 기구이다.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의 사이에는, 스풀(10)과, 클러치 기구(16)와, 스풀(10)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2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하는 나선상(螺旋狀) 홈이 형성된 트래버스 캠축(63)과 트래버스 캠축(63)의 회전에 의하여 스풀(10)의 전방에서 스풀축(14)과 평행한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낚싯줄 가이드(64)를 가진다. 트래버스 캠축(63)의 핸들(2) 측의 단부(端部)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시(65)를 통하여 보스부(19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측판(7b)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0)이 통과 가능한 원형(圓形) 개구(開口)(7f)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개구(7f)에는, 스풀(10)의 스풀축(14)의 제1단(도 3 좌단(左端))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17)가 중심 맞춤되어 장착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7)는, 제1 측판(7a)의 외측면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7)에는, 스풀축(14)의 제1단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18a)이 수납된다.
제1 연결 부재(7c)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하부(下部)를 연결한다. 제2 연결 부재(7d)는 스풀(10)의 전부를 연결한다. 제1 연결 부재(7c)는 판상(板狀)의 부분이고, 그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낚싯대에 취부(取付)하기 위한 낚싯대 장착부(7g)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낚싯대 장착부(7g)는, 프레임(7)과 별체(別體)여도 무방하다. 제2 연결 부재(7d)는, 대체로 원통상(圓筒狀)의 부분이고, 그 내부에 모터(12)(도 2 및 도 7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제3 연결 부재(7e)는, 릴 본체(1)의 후부를 연결하는 원호상으로 만곡(彎曲)한 대체로 판상의 부분이다.
제1 측 커버(8a)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보스부(8c)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스부(8c)의 후방(後方)에는, 스풀축(14)의 제2단을 지지하는 제2 보스부(8d)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측 커버(8b)는, 제2 측판(7b)의 외연부(外緣部)에 예를 들어 나사 멈춤되어 있다. 제2 측 커버(8b)의 전부(前部) 하면(下面)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 접속용의 커넥터(15)가 하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핸들(2)은 제1 측 커버(8a) 측에 설치되어 있다. 핸들(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암(2a)과, 핸들 암(2a)의 선단에 장착된 핸들 손잡이(2b)를 가지고 있다. 핸들(2)은 제1 측판(7a) 측에 장착된다. 핸들(2)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3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 커버(9)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전부 외측면의 상하 2개소에서, 예를 들어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전 커버(9)에는, 낚싯줄 통과용의 가로로 긴 개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전 커버(9)는, 수심 표시부(4)의 후술하는 케이스 부재(36)의 전하면(前下面)을 덮는다.
수심 표시부(4)는, 낚싯줄의 선단에 장착 가능한 채비의 수심을 표시 가능하다. 수심 표시부(4)는, 도 1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상부(上部)에 재치되는 케이스 부재(36)를 가진다. 케이스 부재(36)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외측면에 나사 멈춤 고정된다. 수심 표시부(4)는, 표시 조작을 행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조작 버튼을 가지는 스위치 조작부(6)를 가진다.
케이스 부재(36)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제어부(70)와, 수심 표시용의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기(72)와, 주회로 기판(74a)과, 부회로 기판(74b)과, 모터 구동 회로(76)가 수납되어 있다. 릴 제어부(7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주회로 기판(74a)에는, 표시기(72)와, 릴 제어부(70)와, 모터 구동 회로(76)가 탑재된다. 부회로 기판(74b)에는 위상 검출부(35)가 탑재된다. 부회로 기판(74b)은, 주회로 기판(74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부회로 기판(74b)은, 주회로 기판(74a)에 대하여 직교하여 케이스 부재(36)의 후부에 배치된다.
케이스 부재(36)는, 양측이 각각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36)의 제1 측판(7a) 측의 후부에는, 하부가 개구하는 기판(基板) 수용 공간(36f)이 형성된다. 이 기판 수용 공간(36f)에 부회로 기판(74b)이 수용된다. 케이스 부재(36)의 제2 측판(7b) 측의 후부는, 제2 측판(7b)의 상부 및 제2 측 커버(8b)의 상부를 덮고 있다.
<스풀>
스풀(10)은 스풀축(1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1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10a)와, 줄 감기 몸통부(10a)의 양측에 일체 형성된 대경의 제1 플랜지부(10b) 및 제2 플랜지부(10c)를 가지고 있다. 제1 플랜지부(10b)는, 제1 측판(7a) 측에 설치되고, 제2 플랜지부(10c)는 제2 측판(7b) 측에 설치된다. 스풀축(14)은, 줄 감기 몸통부(10a)의 내주부에 압입(壓入) 등의 적의(適宜)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4)의 제1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7)에 있어서 제1 베어링(18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4)의 제2단(도 3 우단(右端))은, 제1 측 커버(8a)의 제2 보스부(8d)에 제2 베어링(18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14)의 스풀 고정 부분보다 제2 베어링(18b) 측에는, 클러치 기구(16)를 구성하는 클러치 핀(16a)이 직경 방향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
클러치 기구(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핀(16a)과, 피니언 기어(32)의 도 3 좌측 단면(端面)에 직경 방향을 따라 십자로 오목하게 형성된 클러치 오목부(16b)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기구(16)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스풀 구동 기구(13)의 후술하는 제1 회전 전달 기구(24)를 구성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4) 방향을 따라, 도 3에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보다 우측의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클러치 온 위치에서는, 클러치 핀(16a)이 클러치 오목부(16b)에 계합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이 스풀축(14)에 전달되고,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온 상태가 된다. 이 클러치 온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4)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오프 위치에서는, 클러치 오목부(16b)가 클러치 핀(16a)으로부터 이반(離反)하여 피니언 기어(32)의 회전이 스풀축(14)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러치 기구(16)는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되고, 스풀(10)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제어 기구>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도 7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搖動)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클러치 제어 기구(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4) 둘레에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회동하는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캠(40)에 계합하는 클러치 요크(41)와, 클러치 캠(40)과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연결하는 클러치 플레이트(42)를 가진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클러치 캠(40)과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클러치 캠(40)은, 기구 장착판(19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러치 캠(40)은, 회동에 의하여 클러치 요크(41)를 이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캠부(40a)를 가진다.
클러치 요크(41)는, 피니언 기어(32)를 스풀축 방향으로 클러치 오프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클러치 요크(41)는, 클러치 캠(40)의 캠부(40a)에 계합하는 캠 받이부(도시하지 않음)와, 피니언 기어(32)에 계합하는 원호부(41a)를 가지고, 클러치 캠(4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하면,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스풀축 방향 외방(도 5 우측)의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2)가 축 방향 외방(도 5 우측)으로 이동하고, 피니언 기어(32)와 클러치 핀(16a)의 계합이 해제되어, 클러치 기구(16)가 클러치 오프 상태가 된다. 클러치 요크(41)는, 기구 장착판(19b)에 장착된 한 쌍의 가이드축(49)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안내된다. 클러치 요크(41)는, 가이드축(49)에 장착된 한 쌍의 코일 용수철(44)에 의하여 클러치 온 위치를 향하여 압박된다. 따라서 클러치 캠(40)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동하면, 클러치 요크(41)는,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아오고, 피니언 기어(32)가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아온다. 덧붙여, 클러치 캠(40)의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 동작은,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되돌림 기구에 의하여,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의 핸들(2)의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에 의하여도 실현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클러치 조작 부재(11)의 요동에 의하여 클러치 캠(40)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꺾어 구부려 형성된다. 클러치 플레이트(42)는, 클러치 캠(40)에 계합하는 계합부(42a)와, 계합부(42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후에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향하여 꺾이는 장착부(42b)를 가진다. 계합부(42a)는, 클러치 캠(40)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장착부(42b)는 클러치 조작 부재(11)에 고정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클러치 기구(16)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의 사이에서 릴 본체(1)의 후부에 낚싯대 장착부(7g)에 대하여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스풀(10)의 축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온 위치와,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한다. 제1 측판(7a)의 후부 및 제2 측판(7b)의 후부의 내측면(內側面)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이 각각 별도로 장착된다.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은, 폴리아세탈 등의 접동성이 높은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다. 제1 접촉판(43a) 및 제2 접촉판(43b)은,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에 각각 별도로 착탈(着脫)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스풀 구동 기구>
스풀 구동 기구(13)는, 스풀(10)을 줄 감기 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줄 감기 시에 스풀(10)에 드래그력을 발생시켜 낚싯줄의 절단을 방지한다. 스풀 구동 기구(13)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롤러 클러치 형태의 역전(逆轉) 방지부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 모터(12)와, 제1 회전 전달 기구(24)와, 제2 회전 전달 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전 전달 기구(24)는, 모터(12)의 회전을 감속하여 스풀(10)에 전달한다. 제2 회전 전달 기구(25)는, 핸들(2)의 회전을, 제1 회전 전달 기구(24)를 통하여 증속하여 스풀(10)에 전달한다.
제1 회전 전달 기구(24)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의 출력축에 연결된 도시하지 않는 유성(遊星) 감속 기구를 가진다. 유성 감속 기구의 케이스(26)의 내측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내치(內齒) 기어가 형성되고, 내치 기어의 출력이 케이스(26)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제1 기어 부재(60)에 의하여 스풀(10)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회전 전달 기구(24)는, 제1 기어 부재(60)와, 제1 기어 부재(60)에 맞물리는 제2 기어 부재(61)와, 제2 기어 부재(6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2)를 더 가진다. 제2 기어 부재(61) 및 피니언 기어(3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구 장착판(19b)과 측판 본체(19a)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기어 부재(61)는, 제1 기어 부재(60)의 회전을 피니언 기어(32)에 회전 방향을 정합시켜 전달하기 위한 중간 기어이다. 제2 기어 부재(61)는, 측판 본체(19a)의 보스부(19c) 및 기구 장착판(19b)에 구름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기어 부재(61)에는, 트래버스 캠축(63)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트래버스 캠축(63)의 제1 측판(7a) 측의 단부에는, 비원형부(63a)가 형성되고, 제2 기어 부재(61)는, 비원형부(63a)에 계합하여 트래버스 캠축(63)을 회전시킨다.
피니언 기어(32)는, 측판 본체(19a)에 장착된 제3 베어링(18c)에 의하여 제2 측판(7b)에 스풀축(14)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제어 기구(20)에 의하여 제어되어 축 방향으로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오프 위치의 사이에서 스풀축(14)의 외주 측을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요크(41)에 계합하여 스풀축(14)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회전 전달 기구(25)는, 도 5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축(30)과, 구동 기어(31)와, 제3 기어 부재(62)와, 드래그 기구(23)를 가지고 있다.
구동축(3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구 장착판(19b) 및 제1 측 커버(8a)의 제1 보스부(8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30)은, 롤러형의 원웨이(oneway) 클러치(37)에 의하여 제2 측 커버(8b)의 제1 보스부(8c)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30)은, 원웨이 클러치(37)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구동 기어(31)는, 구동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 기어(31)는, 드래그 기구(23)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0)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제동된다.
제3 기어 부재(62)는, 핸들(2)의 회전을 스풀(10)에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3 기어 부재(62)는, 유성 감속 기구의 캐리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3 기어 부재(62)는, 구동 기어(31)에 맞물리고, 핸들(2)의 회전을 유성 감속 기구의 캐리어에 전달한다. 캐리어에 전달된 회전은, 제1 기어 부재(60) 및 제2 기어 부재(61)를 통하여 피니언 기어(32)에 전달된다. 제3 기어 부재(62)로부터 제2 기어 부재(61)까지의 감속비는 대체로 「1」이다.
드래그 기구(2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37)의 내륜(內輪)(37a)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또한 내륜(37a)에 의하여 압압되는 드래그 판(38)을 가진다. 드래그 판(38)은, 구동축(3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래그 판(38)은, 드래그 좌금(座金)(39)을 통하여 구동 기어(31)를 압압한다. 드래그 기구(23)의 제동력(드래그 판(38)을 압압하는 압압력)은, 구동축(30)에 나합(螺合)하는 스타 드래그(3)에 의하여 조정된다.
<조정 부재>
조정 부재(5)는, 모터(12)의 출력을 복수 단계(예를 들어, 10단계 이상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31단계)로 조정하기 위하여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조정 부재(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7a)의 측판 본체(19a)와 제1 측 커버(8a)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부재(5)는, 수심 표시부(4)의 케이스 부재(36)의 후부의 외측면에 입설(立設)된 지지축(36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조정 부재(5)는, 제1측(도 4 좌측)이 케이스 부재(36)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측(도 4 우측)은, 제1 측 커버(8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조정 부재(5)는, 지지축(36a)에 장착된 상태로 제1 측판(7a)과 제1 측 커버(8a)의 사이에 배치된다. 조정 부재(5)는, 제1측(도 4 좌측)이 케이스 부재(36)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측(도 4 우측)은 제1 측 커버(8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지지축(36a)은, 선단면에 나사 부재(54)가 나합하는 암나사 구멍(36b)을 가진다. 나사 부재(54)는, 조정 부재(5)를 지지축(36a)에 대하여 빠짐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나사 부재(54)는 대경의 머리부(54a)를 가진다.
회동 규제부(55)는, 조정 부재(5)의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과 함께, 조정 부재(5)의 조작 개시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한다. 조작 개시 위치는, 조정 부재(5)에 의하여 모터(12)를 계지(係止)시키는 위치이다. 모터(1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이다. 회동 규제부(55)는, 케이스 부재(36)에 설치되는 계합부(56)와, 조정 부재(5)에 설치된 위치 결정 핀(57)을 가진다. 계합부(56)는, 지지축(36a)의 주위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36)의 외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원호 오목부(36c)와, 한 쌍의 계합 오목부(36d)와, 돌출부(36e)를 가진다. 한 쌍의 원호 오목부(36c)와, 한 쌍의 계합 오목부(36d)는, 각각 180°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36d)는, 구상(球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원호 오목부(36c)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계합 오목부(36d)는, 조작 개시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원호 오목부(36c)는, 조정 부재(5)의 회동 중심과 동심(同芯)의 원호로 형성되고, 조정 부재(5)의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조정 부재(5)의 회동 각도는,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80°로부터 120°의 범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동 각도는 100°이다. 다만, 조정 부재(5)의 회동 각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36e)는, 계합 오목부(36d)와 원호 오목부(36c)의 사이에, 계합 오목부(36d) 및 원호 오목부(36c)보다도 돌출하여 형성된다. 돌출부(36e)는, 조정 부재(5)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조정 부재(5)의 회동 각도가 큰 쪽이 모터(12)의 출력 조정의 1단계마다 할당할 수 있는 각도가 커지기 때문에, 출력의 조정 조작을 각 단계에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정 부재(5)의 회동 각도를 너무 크게 하면, 복수 단계에 걸쳐 조작을 신속히 행하기 어렵다. 또한, 릴 본체의 형상에 따라서는 회동 각도를 크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제약 중에서 최대한의 각도로 조정 부재(5)의 회동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 부재(5)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대체로 환상(環狀)의 부재이다. 조정 부재(5)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조작 돌기(5a)를 가진다. 조작 돌기(5a)를 제외하는 조정 부재(5)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축 방향을 따른 다수의 홈(5b)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조정 부재(5)의 외측면에는, 조정 부재(5)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 돌기(5c)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1 측 커버(8a)는, 조정 부재(5)를 제1 측 커버(8a)보다도 돌출시키기 위한 평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8e)를 가지고 있다. 규제 돌기(5c)는, 개구(8e)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조정 부재(5)의 회동 범위를 규제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부재(5)의 케이스 부재(36)와 대향하는 내측면에는, 검출자(34)를 수용하는 한 쌍의 검출자 수용부(5d)와, 조정 부재(5)를 조작 개시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한 쌍의 위치 결정 핀(57)을 수용하는 한 쌍의 위치 결정 수용부(5e)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한 쌍의 검출자 수용부(5d)와, 한 쌍의 위치 결정 수용부(5e)는, 각각 180° 간격으로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57)은, 한 쌍의 위치 결정 수용부(5e)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다. 위치 결정 핀(57)은, 한 쌍의 코일 용수철(58)에 의하여 케이스 부재(36)를 향하여 압박된다. 코일 용수철(58)은 위치 결정 수용부(5e)에 수용된다. 위치 결정 핀(57)은 반구(半球) 형상의 머리부(57a)를 가지고, 머리부(57a)가 계합 오목부(36d) 및 원호 오목부(36c)에 계합한다. 이 위치 결정 핀(57) 및 계합 오목부(36d)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 부재(5)가 조작 개시 위치에 확실히 위치 결정된다. 또한, 계합 오목부(36d)와 원호 오목부(36c)의 사이에 돌출부(36e)가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 개시 위치에 위치 결정된 조정 부재(5)가,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조정 개시 위치로부터 회동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12)가 갑자기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조정 부재(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지지축(36a)에 제1 탄성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7)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관통 구멍(5f)을 가진다. 또한 조정 부재(5)는, 관통 구멍(5f)의 제1측에 형성된 제1 접촉면(5g)과, 제2측에 형성된 제2 접촉면(5h)을 가진다. 제1 접촉면(5g)은, 제1 탄성 부재(46)와 접촉 및 접동한다. 제2 접촉면(5h)은, 제2 탄성 부재(47)와 접촉 및 접동한다. 제1 접촉면(5g)은,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36)와 지지축(36a)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이다. 제2 접촉면(5h)은, 나사 부재(54)의 머리부(54a)와 지지축(36a)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테이퍼면은, 지지축(36a)에 대하여 30도로부터 60도, 바람직하게는, 40도로부터 50도 기울어 콘상(狀)으로 형성된다.
제1 탄성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7)는, 예를 들어, NBR(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제의 O링을 이용하고 있다. 제1 탄성 부재(46)는, 조정 부재(5)의 제1측에서, 케이스 부재(36)의 외측면, 조정 부재(5) 및 지지축(36a)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 부재(46)는, 제1 와셔 부재(50)를 통하여 케이스 부재(36)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제1 탄성 부재(46)는, 지지축(36a) 및 제1 접촉면(5g)에는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제2 탄성 부재(47)는, 조정 부재(5)의 제2측에서, 나사 부재(54)의 머리부(54a), 조정 부재(5) 및 지지축(36a)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 부재(47)는, 제2 와셔 부재(52)를 통하여 머리부(54a)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47)는, 지지축(36a) 및 제2 접촉면(5h)에는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검출자>
검출자(34)는, 도 4,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부재(5)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 부재(5)의 한 쌍의 검출자 수용부(5d)에 접착 등의 적의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검출자(34)는, 한 쌍의 검출자 수용부(5d)에 각각 별도로 고정되는 제1 자석(34a)과 제2 자석(34b)을 가진다. 제1 자석(34a) 및 제2 자석(34b)은, 각각 조정 부재(5)의 축 방향을 따라 착자(着滋)된다. 제2 자석(34b)은, 제1 자석(34a)과 역방향으로 착자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자석(34a)은, 케이스 부재(36)에 대향하는 측이 N극으로 착자되고, 검출자 수용부(5d)의 저면(底面) 측이 S극으로 착자된다. 반대로 제2 자석은, 케이스 부재(36)에 대향하는 측이 S극으로 착자되고, 검출자 수용부(5d)의 저면 측이 N극으로 착자된다. 이와 같이 축 방향 착자의 제1 자석(34a)과 제2 자석(34b)을 자속 방향이 역(逆)으로 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직경 방향 착자의 자석과 같게 반응하는 검출자(34)를, 축 방향 착자가 간소한 제1 자석(34a) 및 제2 자석(34b)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위상 검출부>
위상 검출부(3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심 표시부(4)의 케이스 부재(36)의 내부에 배치된 부회로 기판(74b)에 탑재되는 홀(hall) 소자(35a)이다. 홀 소자(35a)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정 부재(5)의 회전 중심(C)에 맞추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홀 소자(35a)를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자석(34a)과 제2 자석(34b)에 의하여 생기는 자속 방향의 변화를 홀 소자(35a)가 검출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홀 소자(35a)를 이용하여, 조정 부재(5)의 회동에 의하여 변화하는 자속 방향을 검출하여 조정 부재(5)의 회전 위상을 검출할 수 있다. 홀 소자(35a)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착자의 검출자(34)의 N극이 홀 소자(35a)에 예를 들어 반원형으로 표시된 마크(35b) 측에 있을 때를 0°로 하면, 검출자(34)가 0°의 위치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 전압이 최소가 된다. 검출자(34)가 0°로부터 시계 반대 방향으로 홀 소자(35a)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출력 전압이 서서히 상승하고, 360°에 가까워지면 출력 전압이 최대가 되고, 0°로 되돌아오면 또한 최소로 되돌아온다. 이것에 의하여, 0°로부터 360°까지의 범위에서 조정 부재(5)의 회전 위상을 홀 소자(35a)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50°로부터 150° 정도(程度)의 범위에서 홀 소자(35a)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고 있다. 다만, 홀 소자(35a)의 출력 전압의 각도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30°로부터 330°의 범위 등, 홀 소자의 출력 특성에 따라 적의 선택 가능하다.
<제어계>
전동 릴(100)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12) 및 표시기(72)를 제어하는 릴 제어부(70)를 가진다. 릴 제어부(70)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릴 제어부(70)는, CPU(중앙 연산 유닛)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릴 제어부(70)에는, 위상 검출부(35)로서의 홀 소자(35a)와, 스위치 조작부(6)의 각 스위치와, 스풀 센서(7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릴 제어부(70)에는 제어 대상으로서의 표시기(72)와, 모터 구동 회로(76)와, 버저(80)와, 다른 입출력부(82)가 접속되어 있다. 스풀 센서(78)는, 스풀(10)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자석을 검출하는 한 쌍의 리드 스위치(또는 홀 소자)를 가진다. 한 쌍의 리드 스위치는 스풀(10)의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리드 스위치는, 릴 본체(1)의 스풀 지지부(17)에 설치된다. 스풀 센서(78)에 의하여, 스풀(10)의 회전수(회전 위치)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모터 구동 회로(76)는, 모터(12)를 PWM(펄스 폭 변조) 구동한다. 즉, 듀티비를 변화시켜 모터(12)를 구동한다. 버저(80)는 케이스 부재(36)의 내부에 수납된다. 버저(80)는 채비가 선반 위치에 도달하거나, 해저에 도달하거나 하면 명동(鳴動)한다. 다른 입출력부(82)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 등으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부는, 외부의 표시 장치와 수심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하다.
<전동 릴의 조작>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 릴(100)에서는, 낚시를 행할 때는, 낚시꾼은 낚싯대를 잡는 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눌러서 밑으로 내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16)가 클러치 온 상태로부터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스풀(10)이 자유 회전 상태가 되고, 채비의 자중(自重)에 의하여 낚싯줄이 해중(海中)으로 방출된다.
채비에 물고기가 걸려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낚싯대를 잡는 손의 엄지손가락의 끝으로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밀어 올림 조작한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밀어 올림 조작하면, 클러치 기구(16)가 클러치 온 상태로 전환되고, 핸들(2) 및 모터(12)에 의하여 스풀(10)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12)에 의하여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낚싯대를 잡는 손 또는 핸들(2)을 조작하는 손으로 조정 부재(5)를 조작한다. 이때, 조정 부재가 제1 측판(7a)과 제1 측 커버(8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 본체(1)의 후부에 배치된 클러치 조작 부재(11)와 조정 부재(5)가 근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서밍(thumbing) 조작하여 손의 손가락 끝으로 조정 부재(5)를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5)와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제휴하여 조작하기 쉬워진다. 또한, 캐스팅이 진행되어 낚싯줄의 감기양이 적어지면,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통하여 서밍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캐스팅 중의 서밍 조작을 낚싯줄의 감기양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조정 부재(5)를 회동 조작하면, 검출자(34)가 조정 부재(5)와 함께 회동하고, 위상 검출부(35)의 홀 소자(35a)의 출력 전압이 변화한다. 이 출력 전압의 변화에 의하여 릴 제어부(70)는 모터 구동 회로(76)를 제어하여, 모터(12)의 출력을 조정 부재(5)의 회동 위치에 따라 조정한다. 이때, 조정 부재(5)의 회전 위상을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rder) 또는 퍼텐쇼미터(potentiometer) 등의 회전 검출기를 이용하지 않고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조정 부재(5)가 조정하는 10단계 이상으로 많아져도, 조정 부재(5)의 취부 부분의 체적(體積)의 증가를 저 코스트로 억제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조정 부재(5)가 제1 탄성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7)를 통하여 지지축(36a)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부재(5)에 제1 탄성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7)에 의하여 생기는 마찰 저항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조정 부재(5)의 회전을, 제1 탄성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7)의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에 의하여 조정 가능하게 되어, 조정 부재(5)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도 13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조정 부재(105)는, 제1 접촉면(5g)과 제1 탄성 부재(46)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59)를 더 가진다. 스페이서(59)는, 제2 접촉면(5h)과 제2 탄성 부재(47) 사이 및 관통 구멍과 지지축(36a)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이고, 조정 부재(105)의 합성 수지제의 부분과, 예를 들어,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하여 제1 자석(34a) 및 제2 자석(34b)과 함께 일체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제1 탄성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7)가 금속제이고 표면이 매끄러운 스페이서(59)와 접촉하기 때문에, 조정 부재(105)의 제1측 및 제2측에 있어서, 조정 부재(105)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한층 더 일정하게 되기 쉽다.
<제2 실시예>
도 14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300)에서는, 조정 부재(205)가 릴 본체(1)에 포함되는 케이스 부재(236)의 후부에 설치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236)는, 후부에 조정 부재(205)를 수납 가능한 수납 오목부(236g)를 가진다. 지지축(236a)은 케이스 부재(236)에 양단 지지된다. 지지축(236a)은, 대경의 머리부(236h)와, 조정 부재(205)를 지지하는 축부(236i)를 가진다. 지지축(236a)은, 케이스 부재(236)의 일단(一端) 측으로부터 장착된다. 지지축(236a)은, 멈춤링(228)에 의하여 케이스 부재(236)에 대하여 빠짐 방지된다. 제1 접촉면(205g) 및 제2 접촉면(205h)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 테이퍼면이다. 또한, 제1 탄성 부재(246)는, 제1 와셔 부재(250)를 통하여 케이스 부재(236)의 수납 오목부(236g)의 일방의 벽면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제2 탄성 부재(247)는, 제2 와셔 부재(252)를 통하여 케이스 부재(236)의 수납 오목부(236g)의 타방의 벽면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여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져온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인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제1 실시예에서는, 조정 부재(5)를 제1 측판(7a)과 제1 측 커버(8a)의 사이에 배치하고, 제2 실시예에서는, 조정 부재(205)를 케이스 부재(236)의 후부에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정 부재는, 릴 본체의 어떠한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조정 부재를 제2 측판과 제2 측 커버의 사이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 위상 검출부로서 홀 소자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터리 인코더 또는 퍼텐쇼미터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합부(56)를 릴 본체(1)(케이스 부재(36))에 설치하고, 위치 결정 핀(57)을 조정 부재(5)에 설치하고 있지만, 역으로 위치 결정 핀을 릴 본체(1)(케이스 부재(36))에 설치하고, 계합부를 조정 부재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와 케이스 부재(36)(또는 236)를 제1 와셔 부재(50)(또는 25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촉시켰지만, 케이스 부재(36)에 직접 접촉시켜도 무방하다. 이것은, 제2 탄성 부재(47)(또는 247)도 마찬가지이고, 제2 탄성 부재(47)(또는 247)를 나사 부재(54)의 머리부(54a) 또는 케이스 부재(236)에 직접 접촉시켜도 무방하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 부재(46)와 제2 탄성 부재(47)를 설치하였지만, 어느 일방의 탄성 부재만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전동 릴(100)(또는 300)은, 릴 본체(1)와, 지지축(36a)(또는 236a)과, 스풀(10)과, 모터(12)와, 조정 부재(5)(또는 205)와,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와, 릴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지지축(36a)(또는 236a)은, 릴 본체(1)에 포함되는 케이스 부재(36)(또는 236)에 설치된다. 스풀(10)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모터(12)는, 릴 본체(1)에 설치되고, 스풀(10)을 회전 구동한다. 조정 부재(5)(또는 205)는, 지지축(36a)(또는 236a)이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5f)(또는 205f)을 가지고, 지지축(36a)(또는 236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는, 조정 부재(5)(또는 205)의 제1측에서 케이스 부재(36)(또는 236), 조정 부재(5)(또는 205) 및 지지축(36a)(또는 236a)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된다. 릴 제어부(70)는, 조정 부재(5)(또는 205)의 회동 위치에 따라 모터(12)의 출력을 조정한다.
이 전동 릴(100)(또는 300)에서는, 조정 부재(5)(또는 205)가 지지축(36a)(또는 236a)에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를 통하여 지지된다.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는, 조정 부재(5)(또는 205)의 제1측에서, 케이스 부재(36)(또는 236), 조정 부재(5)(또는 205) 및 지지축(36a)(또는 236a)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고, 조정 부재(5)(또는 205)가 지지축(36a)(또는 236a)에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를 통하여 지지된다. 여기에서는, 조정 부재(5)(또는 205)를, 케이스 부재(36)(또는 236) 및 지지축(36a)(또는 236a)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를 통하여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5)(또는 205)의 회전을,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정 가능하게 되어, 조정 부재(5)(또는 205)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B) 전동 릴(100)(또는 300)은,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와 케이스 부재(36)(또는 236)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와셔 부재(50)(또는 250)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는, 제1 와셔 부재(50)(또는 250)를 통하여 케이스 부재(36)(또는 236)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가 케이스 부재(36)(또는 236)가 아니라 표면이 케이스 부재(36)(또는 236)보다도 매끄러운 제1 와셔 부재(50)(또는 250)에 접촉하기 때문에, 마찰 저항이 일정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5)(또는 205)의 조정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되어, 조정 부재(5)(또는 205)의 가일층의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C) 조정 부재(5)(또는 205)는, 제1측에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와 접촉 및 접동하는 제1 접촉면(5g)(205g)을 가져도 무방하다. 제1 접촉면(5g)(또는 205g)은, 케이스 부재(36)(또는 236)와 지지축(36a)(236a)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이다. 이 경우에는,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가 테이퍼면에서 조정 부재(5)(또는 205)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정 부재(5)(또는 205)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의 힘을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가 받을 수 있다.
(D) 관통 구멍(5f)(205f)은, 지지축(36a)(236a)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1 접촉면(5g)은, 관통 구멍(5f)(205f)의 제1측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지지축(36a)(236a)에 조정 부재(5)(또는 205)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제1 탄성 부재(46)(또는 246)의 마찰 저항이 안정된다.
(E) 지지축(36a)은, 케이스 부재(36)로부터 돌출하여 캔틸레버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지지축(36a)이 캔틸레버 지지되기 때문에, 조정 부재(5)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F) 전동 릴(100)은, 대경의 머리부(54a)를 가지고, 지지축(36a)의 선단에 나사끼움 가능한 나사 부재(54)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조정 부재(5)는, 나사 부재(54)의 머리부(54a)에 의하여 빠짐 방지된다. 이 경우에는, 나사 부재(54)의 빠짐 방지량에 의하여 제1 탄성 부재(46)의 탄성 변형량을 조정할 수 있어,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G) 전동 릴(100)은, 조정 부재(5)의 제1측과 반대의 제2측에서 나사 부재(54), 조정 부재(5) 및 지지축과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47)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5)가 제1 탄성 부재(46)와 제2 탄성 부재(47)에 의하여 양단 지지되기 때문에, 한층 더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H) 제1 탄성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7)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O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시판의 O링을 이용하여 조정 부재(5)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구조를 저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다.
(I) 전동 릴(100)은, 머리부(54a)와 제2 탄성 부재(47)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와셔 부재(52)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제2 탄성 부재(47)는, 제2 와셔 부재(52)를 통하여 나사 부재(54)의 머리부(54a)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5)의 제2측에서도 제2 와셔 부재(52)에 제2 탄성 부재(47)가 접촉하기 때문에, 캔틸레버 지지되는 지지축(36a)에 있어서, 제2측에서도 조정 부재(5)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일정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5)의 조정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되어,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J) 조정 부재(5)는, 제2 탄성 부재(47)와 접촉 및 접동하는 제2 접촉면(5h)을 가져도 무방하다. 제2 접촉면(5h)은, 나사 부재(54)의 머리부(54a)와 지지축(36a)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이다. 이 경우에는, 제2 탄성 부재(47)가 테이퍼면에서 조정 부재(5)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정 부재(5)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의 힘을 제2 탄성 부재(47)가 받을 수 있다.
(K) 관통 구멍(5f)은 지지축(36a)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접촉면(5h)은, 관통 구멍(5f)의 제2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관통 구멍(5f)의 양측에 제1 접촉면(5g)과 제2 접촉면(5h)이 설치되기 때문에, 제1 탄성 부재(46) 및 제2 탄성 부재(47)가 안정되게 조정 부재(5)를 지지할 수 있다.
(L) 지지축(236a)은 케이스 부재(236)에 양단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205)가 케이스 부재(236)에 양단 지지되기 때문에, 조정 부재(205)를 핸들(2) 측 및 핸들(2)과 반대쪽의 양 방향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된다.
(M) 전동 릴(300)은, 조정 부재(205)의 제1측과 반대의 제2측에서 케이스 부재(236), 조정 부재(205) 및 지지축(236a)과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247)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양단 지지된 조정 부재(205)가 제1측과 제2측에서 제1 탄성 부재(246) 및 제2 탄성 부재(247)에 양단 지지되기 때문에, 조정 부재(205)의 한층 더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N) 제1 탄성 부재(246) 및 제2 탄성 부재(247)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O링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시판의 O링을 이용하여 조정 부재(205)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구조를 저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다.
(O) 전동 릴(300)은, 케이스 부재(236)와 제2 탄성 부재(247)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와셔 부재(252)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제2 탄성 부재(247)는, 제2 와셔 부재(252)를 통하여 케이스 부재(236)에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205)의 제2측에서도 제2 와셔 부재(252)에 제2 탄성 부재(247)가 접촉하기 때문에, 양단 지지되는 지지축(236a)에 있어서, 제2측에서도 조정 부재(5)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일정하게 되기 쉽다. 이 때문에, 조정 부재(5)의 조정 조작이 보다 부드럽게 되어, 섬세한 조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된다.
(P) 조정 부재(205)는, 제2 탄성 부재(247)와 접촉 및 접동하는 제2 접촉면(205h)을 가져도 무방하다. 제2 접촉면(205h)은, 케이스 부재(236)와 지지축(236a)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이다. 이 경우에는, 제2 탄성 부재(247)가 테이퍼면에서 조정 부재(205)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정 부재(205)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의 힘을 제2 탄성 부재(247)가 받을 수 있다.
(Q) 관통 구멍(205f)은, 지지축(236a)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제2 접촉면(205h)은, 관통 구멍(205f)의 제2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관통 구멍(205f)의 양측에 제1 접촉면(205g)과 제2 접촉면(205h)이 설치되기 때문에, 제1 탄성 부재(246) 및 제2 탄성 부재(247)가 안정되게 조정 부재(205)를 지지할 수 있다.
(R) 조정 부재(105)는, 관통 구멍(5f)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접촉면(5g)과 제1 탄성 부재(46)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페이서(59a)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탄성 부재(46)가 스페이서(59)와 접촉하기 때문에, 제1측에 있어서, 조정 부재(105)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한층 더 일정하게 되기 쉽다.
(S) 조정 부재(105)는, 관통 구멍(5f)에 있어서, 적어도 제2 접촉면(5h)과 제2 탄성 부재(47)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페이서(59b)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측에 있어서, 조정 부재(105)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한층 더 일정하게 되기 쉽다.
(T) 조정 부재(105)는, 관통 구멍(5f)에 있어서, 지지축(36a)과 관통 구멍(5f)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스페이서(59c)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접촉면(5g) 및 제2 접촉면(5h)을 포함하는 관통 구멍(5f)의 전체에 스페이서가 설치되기 때문에, 스페이서를 정도(精度) 좋게 형성할 수 있다.
(U) 조정 부재(5)는, 모터(12)를 정지시키는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회동하여도 무방하다. 전동 릴(100)은, 조정 부재(5)의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의 회동 및 조작 개시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55)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의 회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조정 부재(5)가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조정 개시 위치로부터 회동하기 어려워져, 모터(12)가 갑자기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V) 회동 규제부(55)는, 조작 개시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조정 부재(5)가 사용자의 의지에 반하여 조정 개시 위치로 회동하기 어려워져, 모터(12)가 갑자기 정지하기 어려워진다.
(W) 회동 규제부(55)는, 계합부(56)와 위치 결정 핀(57)을 가져도 무방하다. 계합부(56)는, 케이스 부재(36)에 설치되고, 조작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계합 오목부(36d)를 가진다. 위치 결정 핀(57)은, 조정 부재(5)에 설치되고, 계합부(56)를 향하여 압박되고 계합부(56)에 계합한다. 이 경우에는, 회동을 규제하는 경우, 압박된 위치 결정 핀(57)에 의하여 계합부(56)에 위치 결정 핀(57)이 계합하여 회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회동 규제할 때에 클릭감이 얻어져, 회동 규제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다.
(X) 계합부(56)는, 계합 오목부(36d)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지지축(36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원호 오목부(36c)와, 계합 오목부(36d)와 원호 오목부(36c)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돌출부(36e)를 더 가져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계합 오목부(36d)와 원호 오목부(36c)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는 돌출부(36e)에 의하여 조정 부재(5)의 회동이 규제된다.
(Y) 계합부(56)는, 케이스 부재(36)에 설치되고, 위치 결정 핀(57)은, 조정 부재(5)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이동하는 조정 부재(5)에 위치 결정 핀(57)이 설치되기 때문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1: 릴 본체
2: 핸들
4: 수심 표시부
5, 105, 205: 조정 부재
5f, 205f: 관통 구멍
5g, 205g: 제1 접촉면
5h, 205h: 제2 접촉면
7: 프레임
7a: 제1 측판
7b: 제2 측판
7g: 낚싯대 장착부
8a: 제1 측 커버
8b: 제2 측 커버
10: 스풀
12: 모터
14: 스풀축
34: 검출자
34a, 234a: 제1 자석
34b, 234b: 제2 자석
35: 위상 검출부
35a: 홀 소자
36, 236: 케이스 부재
36a, 236a: 지지축
36d: 원호 오목부
36c: 계합 오목부
36e: 돌출부
46, 246: 제1 탄성 부재
47, 247: 제2 탄성 부재
50, 250: 제1 와셔 부재
52, 252: 제2 와셔 부재
54: 나사 부재
54a: 머리부
55: 회동 규제부
57: 위치 결정 핀
59a: 제1 스페이서
59b: 제2 스페이서
59c: 제3 스페이서
70: 릴 제어부(제어부의 일례)
100, 300: 전동 릴

Claims (25)

  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지지축이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지지축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정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의 제1측에서, 상기 릴 본체,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지지축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조정 부재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전동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릴 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와셔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와셔 부재를 통하여 상기 릴 본체에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전동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1측에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접촉 및 접동(摺動)하는 제1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접촉면은, 상기 릴 본체와 상기 지지축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인, 전동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지지축과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촉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제1측에 설치되는, 전동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릴 본체로부터 돌출하여 캔틸레버 지지되는, 전동 릴.
  6. 제5항에 있어서,
    대경의 머리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축의 선단(先端)에 나사끼움 가능한 나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나사 부재의 머리부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는, 전동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의 상기 제1측과 반대의 제2측에서, 상기 나사 부재,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지지축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전동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은, O링인, 전동 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와셔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와셔 부재를 통하여 상기 나사 부재의 상기 머리부에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전동 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부재와 접촉 및 접동하는 제2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나사 부재의 머리부와 상기 지지축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인, 전동 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지지축과 간극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제2측에 설치되는, 전동 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릴 본체에 양단(兩端) 지지되는, 전동 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의 상기 제1측과 반대의 제2측에서, 상기 릴 본체,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지지축과의 사이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전동 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O링인, 전동 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와셔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와셔 부재를 통하여 상기 릴 본체에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전동 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2 탄성 부재와 접촉 및 접동하는 제2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릴 본체와 상기 지지축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경사한 테이퍼면인, 전동 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제2측에 설치되는, 전동 릴.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스페이서(spacer)를 더 가지는, 전동 릴.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접촉면과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가지는, 전동 릴.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과 상기 관통 구멍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스페이서를 더 가지는, 전동 릴.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 회동하고,
    상기 조정 부재의 상기 조작 개시 위치로부터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더 구비하는, 전동 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규제부는, 상기 조작 개시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전동 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규제부는,
    상기 릴 본체 및 상기 조정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 개시 위치에 대응하는 계합 오목부를 가지는 계합부와,
    상기 릴 본체 및 상기 조정 부재의 타방(他方)에 설치되고, 상기 계합부를 향하여 압박되고 상기 계합부에 계합하는 위치 결정 핀을 가지는, 전동 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계합 오목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圓弧狀)으로 형성되는 원호 오목부와, 상기 계합 오목부와 상기 원호 오목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돌출부를 더 가지는, 전동 릴.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는,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 핀은, 상기 조정 부재에 설치되는, 전동 릴.
KR1020140012138A 2013-05-01 2014-02-03 전동 릴 KR102146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6362 2013-05-01
JP2013096362A JP6133677B2 (ja) 2013-05-01 2013-05-01 電動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624A KR20140130624A (ko) 2014-11-11
KR102146084B1 true KR102146084B1 (ko) 2020-08-19

Family

ID=5179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138A KR102146084B1 (ko) 2013-05-01 2014-02-03 전동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33677B2 (ko)
KR (1) KR102146084B1 (ko)
CN (1) CN104126556B (ko)
TW (1) TWI6036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4066B2 (ja) * 2015-08-11 2019-05-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05104319B (zh) * 2015-08-29 2020-06-23 滕州市奥科电器有限公司 大扭矩电动鱼线轮
JP6758074B2 (ja) * 2016-04-15 2020-09-23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CN211769548U (zh) 2018-03-23 2020-10-27 米沃奇电动工具公司 拉线工具以及电动工具
JP7122167B2 (ja) * 2018-06-11 2022-08-19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CN217498314U (zh) * 2019-04-12 2022-09-27 米沃奇电动工具公司 拉线组件以及拉线盘
JP7355522B2 (ja) * 2019-05-15 2023-10-0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両軸受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702A (ja) 2003-12-18 2005-07-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7228859A (ja) * 2006-02-28 2007-09-13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3042719A (ja) 2011-08-25 2013-03-04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3025A (en) * 1979-12-17 1981-08-11 Whisenhunt Kelsie C Motorized attachment for a fishing reel
JPH06229487A (ja) * 1992-12-08 1994-08-16 Gijutsu Kaihatsu Sogo Kenkyusho:Kk 管継手
JP3157139B2 (ja) * 1993-12-28 2001-04-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2965237B2 (ja) * 1994-02-10 1999-10-1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3472516B2 (ja) * 1999-10-15 2003-12-0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3259779A (ja) * 2002-03-13 2003-09-16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スイッチ操作部
JP2004024061A (ja) * 2002-06-24 2004-01-29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5168995A (ja) * 2003-12-15 2005-06-30 Toshiba Corp 洗浄機器
JP2005302655A (ja) * 2004-04-15 2005-10-27 Alps Electric Co Ltd 回転操作型入力装置
JP2007206027A (ja) * 2006-02-06 2007-08-16 Alps Electric Co Ltd 回転操作型入力装置
JP4978413B2 (ja) * 2007-10-15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転操作部品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5382701B2 (ja) * 2009-04-09 2014-01-08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4954339B2 (ja) * 2010-06-28 2012-06-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TWI505312B (zh) * 2011-11-04 2015-10-21 Tokyo Cosmos Electric Rotary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bear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702A (ja) 2003-12-18 2005-07-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7228859A (ja) * 2006-02-28 2007-09-13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3042719A (ja) 2011-08-25 2013-03-04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624A (ko) 2014-11-11
TWI603674B (zh) 2017-11-01
JP6133677B2 (ja) 2017-05-24
CN104126556B (zh) 2017-12-15
TW201446136A (zh) 2014-12-16
JP2014217278A (ja) 2014-11-20
CN104126556A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084B1 (ko) 전동 릴
KR102097355B1 (ko) 전동 릴
TWI583306B (zh) Double bearing type reel
KR102138735B1 (ko) 전동 릴
KR102099663B1 (ko) 전동 릴
JP2014217278A5 (ko)
JP2014100078A5 (ko)
JP2014100079A5 (ko)
JP6342218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KR102216791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14113142A5 (ko)
JP6132894B2 (ja) 電動リール
JP2015002689A5 (ko)
KR102228646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17123873A (ja) 電動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