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46B1 -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46B1
KR102146046B1 KR1020190034599A KR20190034599A KR102146046B1 KR 102146046 B1 KR102146046 B1 KR 102146046B1 KR 1020190034599 A KR1020190034599 A KR 1020190034599A KR 20190034599 A KR20190034599 A KR 20190034599A KR 102146046 B1 KR102146046 B1 KR 102146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sensing element
communication path
pressure senso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46B1/ko
Priority to JP2021557057A priority patent/JP2022527746A/ja
Priority to DE112020001432.0T priority patent/DE112020001432T5/de
Priority to PCT/KR2020/003775 priority patent/WO2020197168A1/ko
Priority to US17/437,559 priority patent/US118525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6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or deleterious influence of the measured medium on the measuring device or vice versa
    • G01L19/0672Leakage or rupture protection or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38Fluidic connecting means being part of the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46Fluidic connecting means using isolation memb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61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01L19/0084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센서에는 본체하우징(10)과 커버하우징(30)이 있다. 상기 본체하우징(10)에 내부공간(16)이 있고, 이 내부공간(16)에 센싱소자(29)가 있는 기판(28)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하우징(30)에는 시일(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센싱소자(29)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을 둘러싸서 센싱소자가 연통로(33)와는 연통되지만 센싱소자(29)가 설치된 내부공간(16)과는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연통로(33)는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센싱소자(29)까지 유체의 흐름이 굴곡없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연통로(33)의 일측에 연통되게 배출유로(36)가 형성되어 연통로(33)와 연통된 튜브 내부가 항상 대기압으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 연통로(33)의 하류에는 유입오리피스(34)가 있고 배출유로(36)의 하류에는 배출오리피스(37)가 있어서 유체의 유동이 신속하게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센서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튜브의 변형에 따른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는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장치들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들은 주로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나, 최근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도 채용되고 있다. 즉,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했을 때, 머리나 상체가 차체에 2차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행자보호용 에어백이 그것이다.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할 때는 일반적으로 범퍼에 하체 부분이 먼저 충돌하게 되고, 자동차의 진행 및/또는 보행자의 넘어짐이 발생하면서 보행자의 머리와 상체가 차체에 2차로 충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범퍼에 보행자가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 신호를 기초로 프론트 윈드쉴드 글래스 근처에서 에어백이 나오도록 하여 보행자의 머리를 포함한 상체가 차체에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범퍼의 내부에 범퍼를 따라 연장되는 튜브를 두고, 상기 튜브의 양단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보행자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발생하는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변화를 상기 압력센서가 검출하여 보행자의 충돌을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센서에서는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이 평상시에 대기압으로 맞춰져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압력센서 내부를 통과하는 유로를 통해 튜브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켜 튜브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맞추는 경우, 압력센서 내부를 통과하는 벤트유로를 포함하는 유로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막혀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부와 튜브 사이의 기압을 맞추기 위한 압력센서 내부의 유로가 일직선으로 되지 않으므로 인해 해당 유로의 많은 부분에서 유로 막힘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튜브와 센싱소자 사이의 연통로가 일직선으로 되지 않아 튜브에서 전달되어 오는 유체의 압력변화가 유체의 유동손실에 의해 상대적으로 늦게 센싱소자로 전달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3769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센서 내부의 기판이 외부와 완전히 격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센서의 벤트유로가 압력센서의 내부와는 별개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센서의 센싱소자와 튜브가 일직선의 연통로를 통해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튜브에서 압력센서의 센싱소자 및/또는 벤트유로로 보다 빨리 유체의 압력변화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있으며 터미널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있고 타단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내부에 있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센싱소자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하우징과 센싱소자의 일측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시일이 구비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과 일직선으로 연통되어 하류부 끝에서 상기 센싱소자와 직접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하우징에 형성된 튜브연결부 내부에 형성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에 연통되는 동시에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연통로에 연결된 튜브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게 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에서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배출유로로 이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멤브레인을 상기 배출구 내에 구비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로의 하류부에는 유입오리피스가 있어서 상기 센싱소자로 유체의 유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배출구는 하류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넓어져 상기 배출구의 내면에는 외부를 향해 수분을 배출하도록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시일에는 상기 센싱소자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로가 구획되도록 하여 상기 연통로가 상기 센싱소자의 일면과 직접 연통되게 하는 소자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시일은 상기 커버하우징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삭제
상기 배출유로의 하류부에는 배출오리피스가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를 통한 유체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시일의 센서안착부는 상기 센싱소자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을 둘러싸 밀착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본체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커버하우징 및 커버하우징에 있는 시일에 의해서 외부와 완전히 밀폐된다. 특히 내부공간에 설치된 기판에 있는 센싱소자의 일면은 상기 내부공간 외부인 연통로와 연통되지만 상기 센싱소자를 둘러싸는 소자안착부에 의해 상기 연통로와 내부공간이 차단되므로 외부와 내부공간이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의 영향을 내부공간의 부품이 전혀 받지 않게 되어 압력센서의 동작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튜브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배출유로가 튜브에 연결된 튜브연결부 내부의 연통로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과는 상관없이 되어 있다. 따라서 벤트유로에 의해 내부공간의 부품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역시 압력센서의 동작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범퍼에 설치되는 튜브와 연결되는 연통로가 센싱소자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튜브 내에 있는 유체의 압력변화의 전달에 손실이 최소화된다. 즉, 유체의 흐름경로인 연통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므로 유체의 압력변화를 센싱소자가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튜브 내의 유체는 충돌충격에 의해 상기 연통로를 통해 센싱소자로 전달되는데, 연통로의 하류에 유입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어 보다 신속하게 센싱소자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센싱소자가 압력변화를 센싱하는데 상대적으로 시간이 짧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본체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압력센서의 골격과 일부 외관을 본체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을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일측을 바닥판(12)이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측벽(14)이 있다. 상기 바닥판(12)과 측벽(14)에 의해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 내부공간(16)이 만들어진다. 상기 내부공간(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28)이 설치되고 이 기판(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26)의 일부분이 위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하우징(30)과 시일(40)에 의해 외부와 밀폐된다. 상기 내부공간(16)에는 다수개의 지지대(1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8)는 기판(28)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측벽(14)의 외면에는 결합돌기(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하우징(30)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돌기(20)는 본 실시례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양측 측벽(14)의 외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0)는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한쌍을 이뤄 측벽(14)에 구비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일측에는 커넥터부(22)가 있다. 상기 커넥터부(22)는 압력센서와 외부와의 신호연결을 위한 것으로,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부(22)의 내부에는 결합공간(24)이 상기 커넥터부(22)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24)의 내부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결합공간(24)의 내부에는 터미널(26)의 타측 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26)은 상기 본체하우징(10)을 제작할 때 일체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터미널(26)이 상기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 일체로 있고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16)에 타측 단부는 상기 결합공간(24)에 위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6)의 지지대(18) 상에는 기판(28)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28)에는 압력센서를 구성하는 회로가 형성되고 압력을 감지하는 센싱소자(29)가 설치된다. 상기 센싱소자(29)가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기판(28)의 회로와 상기 터미널(26)을 통해 상대 커넥터로 전달하게 된다.
커버하우징(30)은 상기 본체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16)을 외부와 차폐한다. 상기 커버하우징(30)도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하우징(30)의 일측에는 튜브연결부(32)가 돌출된다. 상기 튜브연결부(32)의 내부에는 연통로(33)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로(33)의 일단부에는 상기 기판(28)에 설치된 센싱소자(29)가 위치된다. 상기 연통로(33)는 상기 튜브연결부(32)의 선단부에서부터 시작해서 상기 본체하우징(10)에 있는 센싱소자(29)의 일측 표면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연통로(33)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된다. 즉, 상기 연통로(33)의 입구에서 상기 센싱소자(29)까지 굴곡이 없이 연통로(33)가 일직선으로 된다. 이는 튜브 내의 유체압력 변화가 상기 센싱소자(29)로 지체없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통로(33)의 하류부에는 유입오리피스(34)가 있다. 상기 유입오리피스(34)는 상기 센싱소자(29)로 유동되는 유체가 보다 빨리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유입오리피스(34)를 기준으로 상기 연통로(33) 내에서 유동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도록 되어 유체의 압력은 낮아지고 유속은 빨라지도록 하여 상기 연통로(33) 내에서 유체의 유동이 보다 빠르게 일어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통로(33)의 일측에서 외부로 배출유로(36)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유로((36)는 평상시에 튜브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통로(33)를 압력센서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게 한다. 상기 배출유로(36)의 하류부에는 배출오리피스(37)가 있다. 상기 배출오리피스(37)는 상기 배출유로(36)에서 유체의 유동이 빨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오리피스(37)의 전후의 유동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배출오리피스(37)의 유동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오리피스(37)를 지난 위치에는 배출관(38)이 있고, 상기 배출관(38)에는 배출구(39)가 있다. 상기 배출구(39)는 상기 배출유로(36)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상기 배출구(39)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배출오리피스(37) 전의 배출유로(36)의 유동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배출유로(36)가 주변의 물체 등에 의해 배출구(39)에서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상기 배출구(39)의 내부로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크게 배출구(39)의 유동단면적을 만들지는 않는 것이 좋다.
상기 배출구(39) 내에서 상기 배출오리피스(37)에는 멤브레인(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40)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물이나 먼지는 통과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멤브레인(40)이 있음으로 해서 외부에서 물이나 먼지가 상기 배출구(39)를 통해 배출유로(37) 및 연통로(33) 등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39)의 내면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출구(39)의 유동단면적은 하류로 갈수록 넓어지게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배출구(39)의 내면에 결로에 의해 수분이 발생하더라도 배출구(39)의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외부의 수분이 상기 배출유로(36)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커버하우징(30) 내에는 시일(41)이 있다. 상기 시일(41)은 상기 커버하우징(30)에 일체로 된다. 예를 들면,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시일(41)이 상기 커버하우징(30)에 일체가 되도록 한다. 상기 시일(41)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커버하우징(30)이 상기 본체하우징(10)에 결합되면 상기 내부공간(16)이 외부에 대해 밀봉되도록 한다. 상기 시일(41)에는 소자안착부(42)가 있다. 상기 소자안착부(42)는 상기 센싱소자(29)의 전면 가장자리와 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센싱소자(29)의 일측 표면이 상기 연통로(33)와 연통되면서 상기 내부공간(16)은 상기 연통로(33)와 연통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소자안착부(42)가 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시일(41)이 상기 내부공간(16)과 외부의 밀봉을 위해서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측벽(14) 선단 전체에 밀착되도록 형상이 만들어지고, 일부는 상기 커버하우징(30)에 형성되는 배출유로(36)의 반대쪽 부분을 밀봉할 수 있도록 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하우징(30)에는 다수개의 결합편(44)이 있다. 상기 결합편(44)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결합돌기(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갯수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44)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결합돌기(20)가 위치하도록 결합공(45)이 있다. 상기 결합공(45)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편(44)을 관통하여 형성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홈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커버하우징(30)에는 장착브라켓(46)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6)은 상기 커버하우징(30)의 외부를 둘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6)은 압력센서를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장착브라켓(46)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배출관(38)이 있는 쪽, 상기 튜브연결부(32)가 있는 쪽 그리고 상기 본체하우징(10)과 결합되는 쪽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46)에는 개방윈도우(48)가 있어서 상기 결합편(44)들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0)에는 터미널(26)이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된다. 상기 터미널(26)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16) 내에 있고, 상기 터미널(26)의 타단부는 상기 결합공간(24) 내에 있다. 상기 내부공간(16)의 지지대(18)에 기판(28)이 안착되는데, 상기 기판(28)에는 센싱소자(29)가 실장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기판(28)을 상기 지지대(18) 상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터미널(26)의 일단부가 상기 기판(28)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커버하우징(30)에는 시일(41)이 일체로 되는데, 상기 시일(41)은 미리 만들어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하우징(30)을 만들기 위한 금형에 인서트되어 커버하우징(30)과 시일(41)이 일체로 된다. 상기 시일(41)이 일체로 된 상기 커버하우징(30)을 상기 본체하우징(10)에 결합하면, 상기 시일(41)의 소자안착부(42)는 상기 센싱소자(29)의 측면과 상면(기판(28)을 기준으로)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시일(41)의 나머지 부분들은 상기 본체하우징(10)의 측벽(14)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6)이 외부와 밀폐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0)과 커버하우징(30)의 결합은 상기 결합편(44)의 결합공(45)에 상기 결합돌기(20)가 안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돌기(20)가 상기 결합공(45)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편(44)이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자동차의 범퍼 내에 설치되는 튜브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압력센서의 상기 튜브연결부(32)가 튜브에 결합된다. 상기 압력센서는 자동차의 고정부, 예를 들면 범퍼나 차체에 상기 장착브라켓(46)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연결부(32)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에 있는 장착브라켓(46)이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튜브도 거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부(22)에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어 상기 기판(28)에 있는 센싱소자(29)의 감지값을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압력센서가 튜브와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튜브에 보행자 충돌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튜브 내부에 있는 유체에 압력변화가 발생한다. 상기 압력변화에 따른 유체의 이동은 상기 튜브에서 상기 연통로(33)로 이어지고, 상기 연통로(33)를 통과하여 상기 센싱소자(29)로 유체의 압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상기 센싱소자(29)에서의 감지가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소자(29)에서 감지된 값은 상기 터미널(26)을 통해 상대 커넥터로 전달되어 외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 센싱소자(29)의 감지값이 전달됨에 의해 이후의 동작이 이루어져 보행자 에어백이 동작해야 할 조건이 되면 보행자 에어백이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로(33)의 하류부에는 유입오리피스(34)가 있는데, 상기 유입오리피스(34)는 이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도록 하여 신속하게 센싱소자(29)에서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평상시에 튜브의 내부는 대기압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출유로(36)가 상기 연통로(33)와 연통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유로(36)는 상기 배출오리피스(37)와 배출구(39)를 통해서 외부와 연통되는데, 상기 배출오리피스(37)에 의해 유체가 신속하게 배출구(39)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36)와 배출구(39)를 통해 외부와 상기 연통로(33)가 연통되어 있음으로 해서, 튜브 내부가 평상시에는 대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36)와 배출구(39)의 사이에 있는 배출오리피스(37)에 설치된 멤브레인(40)은 공기는 통과할 수 있지만 물과 먼지 등의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유로(36)를 통해서 상기 연통로(33)로 물과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물과 먼지 등에 의해 상기 연통로(33)가 막히거나 센싱소자(29)의 동작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배출구(39) 내면의 경사는 상기 배출구(39) 내에 발생한 수분을 배출구(39)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상기 멤브레인(40) 쪽으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16)은 상기 커버하우징(30)에 있는 시일(41)과 상기 커버하우징(30)에 의해 외부와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간(16)에 있는 기판(28)은 외부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되어 오동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전혀 없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하우징 12: 바닥판
14: 측벽 16: 내부공간
18: 지지대 20: 결합돌기
22: 커넥터부 24: 결합공간
26: 터미널 28: 기판
29: 센싱소자 30: 커버하우징
32: 튜브연결부 33: 연통로
34: 유입오리피스 36: 배출유로
37: 배출오리피스 38: 배출관
39: 배출구 40: 멤브레인
41: 시일 42: 소자안착부
44: 결합편 45: 결합공
46: 장착브라켓 48: 개방윈도우

Claims (9)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있으며 터미널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있고 타단부는 상기 커넥터부의 내부에 있는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센싱소자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본체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하우징과 센싱소자의 일측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시일이 구비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과 일직선으로 연통되어 하류부 끝에서 상기 센싱소자와 직접 연통되도록 상기 커버하우징에 형성된 튜브연결부 내부에 형성되는 연통로와,
    상기 연통로에 연통되는 동시에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연통로에 연결된 튜브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게 하는 배출유로와,
    상기 배출유로에서 연장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배출유로로 이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멤브레인을 상기 배출구 내에 구비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로의 하류부에는 유입오리피스가 있어서 상기 센싱소자로 유체의 유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배출구는 하류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넓어져 상기 배출구의 내면에는 외부를 향해 수분을 배출하도록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시일에는 상기 센싱소자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로가 구획되도록 하여 상기 연통로가 상기 센싱소자의 일면과 직접 연통되게 하는 소자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시일은 상기 커버하우징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압력센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의 하류부에는 배출오리피스가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를 통한 유체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력센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배출유로와 배출구 사이에 있는 배출오리피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 내에 위치하는 압력센서.
  8. 제 1 항, 제 3 항,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의 센서안착부는 상기 센싱소자의 상면 가장자리와 측면을 둘러싸 밀착되는 압력센서.
  9. 삭제
KR1020190034599A 2019-03-26 2019-03-26 압력센서 KR102146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99A KR102146046B1 (ko) 2019-03-26 2019-03-26 압력센서
JP2021557057A JP2022527746A (ja) 2019-03-26 2020-03-19 圧力センサ
DE112020001432.0T DE112020001432T5 (de) 2019-03-26 2020-03-19 Drucksensor
PCT/KR2020/003775 WO2020197168A1 (ko) 2019-03-26 2020-03-19 압력센서
US17/437,559 US11852552B2 (en) 2019-03-26 2020-03-19 Pressure sensor with a communicating passage in a straight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99A KR102146046B1 (ko) 2019-03-26 2019-03-26 압력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46B1 true KR102146046B1 (ko) 2020-08-19

Family

ID=7229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599A KR102146046B1 (ko) 2019-03-26 2019-03-26 압력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52552B2 (ko)
JP (1) JP2022527746A (ko)
KR (1) KR102146046B1 (ko)
DE (1) DE112020001432T5 (ko)
WO (1) WO202019716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962A (ko) * 2020-03-03 2021-10-07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KR20220052226A (ko) 2020-10-20 2022-04-27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KR20220052463A (ko) 2020-10-21 2022-04-28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20220061753A (ko) 2020-11-06 2022-05-13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신호전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센서 유닛
KR102408569B1 (ko) 2021-01-25 2022-06-1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20220105992A (ko) 2021-01-21 2022-07-28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20230091432A (ko) 2021-12-16 2023-06-23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20230168469A (ko) 2022-06-07 2023-12-1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4402B (zh) * 2022-03-02 2022-06-03 东莞市华芯联科技有限公司 一种压力传感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952A (ja) * 1992-10-06 1994-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圧力センサ
JPH10206261A (ja) * 1997-01-27 1998-08-07 Denso Corp 圧力センサ
KR101483769B1 (ko) 2014-04-01 2015-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JP2016506522A (ja) * 2012-12-27 2016-03-03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検出装置、および検出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20160195413A1 (en) * 2012-12-27 2016-07-07 Robert Bosch Gmbh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tection device
KR20160147503A (ko) *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압력센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7106928A (ja) * 2012-12-27 2017-06-15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圧力センサ装置並びに圧力センサ装置を組み立て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9993A1 (en) * 2005-05-06 2006-11-08 STMicroelectronics S.r.l. Integrated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2007114001A (ja) * 2005-10-19 2007-05-10 Denso Corp 圧力センサ
JP2007121196A (ja) * 2005-10-31 2007-05-17 Denso Corp 圧力センサ
JP5759942B2 (ja) * 2012-06-15 2015-08-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熱式流量計
JP2014085299A (ja) * 2012-10-26 2014-05-12 Denso Corp 圧力センサ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208534A1 (de) * 2012-12-27 2014-07-0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nsorgehäuses sowie entsprechendes Sensorgehäuse
JP2015083937A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圧力センサ
US9470595B2 (en) * 2014-08-29 2016-10-18 Trw Automotive U.S. Llc Apparatus for dry side mounting a crash pressure sensor
KR20170079582A (ko) 2015-12-30 2017-07-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10571354B2 (en) * 2016-08-24 2020-02-25 Nxp Usa, Inc. System, test chamber, and method for response time measurement of a pressure sens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952A (ja) * 1992-10-06 1994-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圧力センサ
JPH10206261A (ja) * 1997-01-27 1998-08-07 Denso Corp 圧力センサ
JP2016506522A (ja) * 2012-12-27 2016-03-03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検出装置、および検出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20160195413A1 (en) * 2012-12-27 2016-07-07 Robert Bosch Gmbh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tection device
JP2017106928A (ja) * 2012-12-27 2017-06-15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Robert Bosch Gmbh 圧力センサ装置並びに圧力センサ装置を組み立てる方法
KR101483769B1 (ko) 2014-04-01 2015-01-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KR20160147503A (ko) *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압력센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962A (ko) * 2020-03-03 2021-10-07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KR102456655B1 (ko) 2020-03-03 2022-10-21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KR20220052226A (ko) 2020-10-20 2022-04-27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KR20220052463A (ko) 2020-10-21 2022-04-28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20220061753A (ko) 2020-11-06 2022-05-13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신호전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압력 센서 유닛
KR20220105992A (ko) 2021-01-21 2022-07-28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102408569B1 (ko) 2021-01-25 2022-06-1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20230091432A (ko) 2021-12-16 2023-06-23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20240007771A (ko) 2021-12-16 2024-01-16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KR20230168469A (ko) 2022-06-07 2023-12-1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압력 센서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7746A (ja) 2022-06-06
US11852552B2 (en) 2023-12-26
WO2020197168A1 (ko) 2020-10-01
DE112020001432T5 (de) 2021-12-23
US20220163419A1 (en)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046B1 (ko) 압력센서
JP6367475B2 (ja) 衝突圧力センサの乾燥側取付けのための装置
US7331238B2 (en) Pressure detection device
US7398670B2 (en)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collision
US7526963B2 (en) Pressure sensor having a pressure detecting element and a circuit board on opposite sides of a housing
JP4534856B2 (ja) サイドドア衝突検出システム
CN105180984B (zh) 用于卡扣配合安装碰撞传感器的设备
US7454976B2 (en) Pressure sensor for a vehicle
EP2023112B1 (en) Pressure sensor
US20070103283A1 (en) Collision detection system
US7406875B2 (en) Pressure sensor for a vehicle
US11965969B2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of a sensor apparatus
KR101483769B1 (ko) 압력센서
JP2009300364A (ja) 側面衝突検出装置
US8353214B2 (en) Pressure sensor for side-impact sensing and method for forming a surface of a protective material for a pressure sensor
KR20210059521A (ko) 압력센서
KR102046526B1 (ko) 압력센서
JP6980107B2 (ja) 車両の乗員保護システム用の圧力センサ
KR100887684B1 (ko) 차량용 압력 측면충돌센서
JP2018122648A (ja) チューブ式衝突検知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衝突検知装置
KR20240049691A (ko)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JP6863266B2 (ja) 圧力センサおよび圧力センサを備えた移動装置
JP2002071412A (ja) 空気流量測定装置
JP2017078631A (ja) 圧力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