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691A -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691A
KR20240049691A KR1020220128319A KR20220128319A KR20240049691A KR 20240049691 A KR20240049691 A KR 20240049691A KR 1020220128319 A KR1020220128319 A KR 1020220128319A KR 20220128319 A KR20220128319 A KR 20220128319A KR 20240049691 A KR20240049691 A KR 20240049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ip
housing
pcb board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근
김영철
백창현
오상호
조윤성
서용남
김수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691A/ko
Priority to PCT/KR2023/014905 priority patent/WO2024076090A1/ko
Publication of KR2024004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69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1/4266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for measuring solar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센서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팁센서부의 공기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온도 센싱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감지하는 일사 센서를 포함하는 팁센서부; 및 상기 팁센서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PCB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PCB 기판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측에는, 상기 팁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하부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팁센서부의 공기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vehicle interior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센서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팁센서부의 공기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온도 센싱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실내온도 감지센서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센서 내부로 흡입하여 유동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기 흡입식 실내온도 감지센서와 공기를 흡입하지 않고 차량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공기 비흡입식 실내온도 감지센서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 흡입식 실내온도 감지센서는 차량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므로 측정 온도의 신뢰성이 높고 센싱 로직이 비교적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공기를 센서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그릴 형상이 필요하여 외관이 불리하고,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유동 발생 장치 등이 필요하여 원가 경쟁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공기 비흡입식 실내온도 감지센서는 그릴 형상이 불필요하여 외관 형상의 자유도가 높고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원가 경쟁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비흡입식 실내온도 감지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를 측정하는 IR 센서 및 빛 감지를 위한 포토 센서가 함께 패키징되는 팁센서부(1)와, 팁센서부(1)의 IR 센서와 PCB 부위의 온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구비되는 온도 센서인 NTC가 탑재되는 PCB(2) 및 상기 PCB(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PCB(2)의 NTC를 포함한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하우징(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 하우징(3)은 플라스틱 혹은 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PCB(2) 소자 및 팁센서부(1)의 일정 부분을 밀봉하여 보호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팁센서부(1)의 IR 센서와 NTC가 커버 하우징(3)의 밀봉 구조에 의해 외부 공기와 격리가 되어 주변 온도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밀봉 구조에 의해 각 온도 센서인 IR 센서와 NTC는 주변 온도의 변화에 반응하는 시간이 늦어지게 되고 이러한 반응 지연 시간으로 인해 사용자가 목적하는 즉각적인 온도 제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6981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센서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센서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팁센서부의 공기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온도 센싱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CB 기판을 보호하는 사출물을 제거하고 PCB 기판 상에 컨포멀 코팅층 형성함으로써 PCB 기판 상의 제 2 온도 센서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입되는 수분으로부터 PCB 기판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감지하는 일사 센서를 포함하는 팁센서부; 및 상기 팁센서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PCB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PCB 기판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측에는, 상기 팁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하부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팁센서부의 공기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팁센서부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일사 센서 및 상기 PCB 기판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1 온도 센서의 일부 및 일사 센서의 일부를 수용하는 팁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팁하우징은 원통 형상의 전방 몸체와, 상기 전방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후방 몸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팁하우징의 후방 몸체 하부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 일측을 포함하여 절개됨에 따라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부는, 상기 팁하우징의 일정 부분을 수용하도록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팁하우징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선단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팁하우징의 후방 몸체와 상기 선단부의 내벽면 간을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센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선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로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U'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고, 폭은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부 직경에 대해 1/5 내지 1/2 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절개부는, 상기 팁하우징의 후방 몸체 하부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 일측 지점 보다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측으로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PCB 기판 상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팁센서부와 PCB 기판 내의 온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제 2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는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측은, 상기 센서 하우징이 배치될 시에 센서 하우징의 선단측에서 중력 방향으로 최하부 지점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는 PCB 기판; 및 상기 PCB 기판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감지하는 일사 센서를 포함하는 팁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PCB 기판에는, 상기 팁센서부와 PCB 기판 내의 온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제 2 온도 센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PCB 기판은, 유입되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부에 컨포멀 코팅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센서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팁센서부의 공기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온도 센싱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절개부가 팁하우징의 후방 몸체보다 더 중앙측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센서 하우징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제 1 연통부가 형성되어, 센서 하우징 내의 PCB 기판에 설치되는 제 2 온도 센서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센서 하우징 내측과 외측 간 온도 차를 감소시켜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PCB 기판을 보호하는 사출물을 제거하고 PCB 기판 상에 컨포멀 코팅층 형성함에 따라 PCB 기판 상의 제 2 온도 센서의 반응 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입되는 수분으로부터 PCB 기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단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감지센서의 센싱 정보 전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선단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감지센서의 센싱 정보 전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1000)는 크게 PCB 기판(100)과, 상기 PCB 기판(100)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감지하는 일사 센서를 포함하는 팁센서부(200) 및 상기 팁센서부(20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PCB 기판(100)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센서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PCB 기판(100)은 전방측에 상기 팁센서부(200)와 커넥터부(240)와 결합되어 팁센서부(200)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 즉, 차량의 실내 온도와 일사량 정보를 전달받도록 구성되며, 팁센서부(200)와 PCB 기판(100) 내의 온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PCB 기판 상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제 2 온도 센서(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PCB 기판(100)의 후방부에는 팁센서부(200) 및 제 2 온도 센서(110)에서 측정된 센싱 정보를 차량의 내부 시스템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핀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팁센서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PCB 기판(10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차량의 실내온도 및 차량의 실내 일사량 정보를 센싱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팁센서부(200)는 차량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210)와, 차량의 실내 일사량 정보를 감지하는 일사 센서(220)와, PCB 기판(10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1 온도 센서(210)의 일부 및 일사 센서(220)의 일부를 수용하는 팁하우징(230) 및 제 1 온도 센서(210)와 일사 센서(220)가 PCB 기판(100)에 연결되는 연결부로서 센싱 정보가 PCB 기판(10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커넥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팁하우징(230)은 원통 형상의 전방 몸체(231)와, 전방 몸체(2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후방 몸체(232)로 구성되는데, 이때 후방 몸체(232)는 전방 몸체(231) 보다 외측으로 확장된 간섭면(232a)이 형성됨에 따라 후술할 팁하우징(230)과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부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해당 간섭면(232a)에 충돌하여 간섭면(232a)을 따라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후방 몸체(232)의 간섭면(232a)을 통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하부측으로 안내하여 센서 하우징(300)의 절개부(3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 하우징(300)은 상기 팁센서부(20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PCB 기판(100)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부(310)는 팁하우징(230)의 일정 부분을 수용하도록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절개부(3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부(311)는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부(310) 하부측에 형성되고, 팁하우징(230)의 후방 몸체(232) 하부 일측과 대향하는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부(310) 하부측을 포함하여 절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절개부(311)가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부(310) 하부측, 즉 센서 하우징(300)이 배치될 시에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측에서 중력 방향으로 하부측에 형성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팁하우징(230)과 센서 하우징(300) 사이로 유입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후방 몸체(232)의 간섭면(232a)을 따라 중력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하다가 센서 하우징(300)의 절개부(3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절개부(311)는 팁하우징(230)과 센서 하우징의 선단부(31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배출하는 것 이외에도 팁하우징(230)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켜 팁센서부(200)의 센싱 민감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311)가 형성됨에 따라 외부와 센서 하우징(300) 내부 간을 연통하게 하는 공간인 제 1 연통부(314)가 함께 형성되게 된다.
이를 통해 외부 공기가 센서 하우징(300) 내로 쉽게 유입될 수 있어 센서 하우징(300) 내에 위치하는 PCB 기판(100)의 제 2 온도 센서(110)가 기존 밀폐 타입의 실내온도 감지센서와 비교할 때 보다 외부 공기의 온도 변화에 높은 반응 민감도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기존 밀폐 타입의 실내온도 감지센서의 경우, 센서 하우징(300) 내의 온도와 센서 하우징(300) 외부의 온도 차가 클 경우, 공기의 응결에 따른 결로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절개부(311) 및 제 1 연통부(314)를 통해 센서 하우징(300) 내측과 외측 간에 공기 연통이 가능해짐에 따라 온도 차가 감소되어 결로가 발생되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절개부(311)는 'U'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절개부의 폭(311_W)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부(310) 직경에 대해 1/5 내지 1/2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개부의 폭(311_W)은 너무 크면 절개부(311)를 통해 센서 하우징(30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어 이물질 차단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너무 작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팁하우징(230)의 간섭면(232a)을 따라 안내되는 이물질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의 크기가 작아 팁센서부(200)의 센싱 민감도 증대 폭이 작아지는 문제도 함께 가지게 된다.
또한 절개부(311)는, 상기 팁하우징(230)의 후방 몸체(232) 하부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부(310) 하부 지점 보다 센서 하우징(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측으로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절개부(311)의 깊이 즉, 절개부의 최우측 지점(311_R)은 후방 몸체(232) 보다 더 중심측에 위치되어야 후방 몸체(232)의 간섭면(232a)을 따라 안내되는 이물질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전술한 제 1 연통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센서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 유동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온도 센서(110)의 센싱 민감도 향상 및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측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들이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300)의 선단부(310)의 내벽면(312)은 팁하우징(23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선단부(310)의 내벽면(312)에는 팁하우징(230)의 후방 몸체(232)와 접하거나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내벽면(312)에는 팁하우징(230)과 센서 하우징(300) 간을 이격시켜 외부 공기가 센서 하우징(30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로(313)가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로(313)는 센서 하우징(3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며, 내벽면(312)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방 몸체(232)가 센서 하우징 선단부(310)의 내벽면(312)에 접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외부 공기가 센서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연통 공간인 제 2 연통부(315)를 형성시키게 된다.
전술한 제 1 연통부(314)와 마찬가지로 돌출로(313)를 통해 제 2 연통부(315)를 형성시킴에 따라 PCB 기판(100)에 설치되는 제 2 온도 센서(110)의 온도 센싱 민감도를 향상시키고, 센서 하우징 선단부(310)의 내, 외부 간 온도 차를 감소시켜 응결로 인한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400)은 본 발명의 실내온도 감지센서(1000)가 차량의 대시 보드 등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하우징으로서 조립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팁센서부(200)의 제 1 온도 센서(210) 및 일사 센서(220)는 팁하우징(230)의 일측 표면의 온도 및 일사량을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연결핀부(120)에 의해 연결되는 별도의 제어부(C)로 전달하고, PCB 기판(100)에 설치되는 제 2 온도 센서(110) 또한 PCB 기판 상의 온도를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제어부(C)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C)는 보다 정확한 차량의 실내온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1000)는 PCB 기판(110) 및 PCB 기판(100)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팁하우징(230)의 일측 외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210)와, 팁하우징(230)의 일측 외부면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감지하는 일사 센서(220)를 포함하는 팁센서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감지센서(10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센서 하우징(300)이 생략되며, 이에 따라 팁센서부(200)가 외부 공기와 전면에 걸쳐 접촉되고, PCB 기판(100) 상의 제 2 온도 센서(110) 또한 외부 공기와 접촉하도록 노출됨에 따라 외부 온도의 변화에 높은 반응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센싱 하우징(300)이 생략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PCB 기판(100)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포함한 이물질로부터 PCB 기판(100) 상에 각종 소자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PCB 기판(100)에는, 적어도 일부에 컨포멀 코팅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컨포멀 코팅은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보드(PCB) 또는 기타 전자 부품에 적용되어 입자, 습기, 가스 및 기타 오염이나 부식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부터 이들을 보호하는 얇은 보호 폴리머 레이어이며, 이러한 컨포멀 코팅제로는 일예로 Momentive의 ECC3011 및 ECC3051S 실리콘 컨포멀 코팅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PCB 기판(100)에 탑재되는 PCB 부품 및 PCB 기판의 표면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 PCB 기판
110 : 제 2 온도 센서 120 : 연결핀부
200 : 팁센서부
210 : 제 1 온도 센서 220 : 일사 센서
230 : 팁하우징 231 : 전방 몸체
232 : 후방 몸체 232a : 간섭면
240 : 커넥터부
300 : 센서 하우징
310 : 선단부 311 : 절개부
311_W : 절개부의 폭 311_R : 절개부의 최우측 지점
312 : 내벽면 313 : 돌출로
314 : 제 1 연통부 315 : 제 2 연통부
400 : 고정 브라켓
1000 : 실내온도 감지센서

Claims (10)

  1. PCB 기판;
    상기 PCB 기판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감지하는 일사 센서를 포함하는 팁센서부; 및
    상기 팁센서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PCB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PCB 기판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측에는,
    상기 팁하우징과 상기 센서 하우징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하부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팁센서부의 공기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센서부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일사 센서 및
    상기 PCB 기판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1 온도 센서의 일부 및 일사 센서의 일부를 수용하는 팁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팁하우징은
    원통 형상의 전방 몸체와,
    상기 전방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후방 몸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팁하우징의 후방 몸체 하부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 일측을 포함하여 절개됨에 따라 형성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부는,
    상기 팁하우징의 일정 부분을 수용하도록 상,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팁하우징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선단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팁하우징의 후방 몸체와 상기 선단부의 내벽면 간을 이격시키기 위해 상기 센서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선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로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U'자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고, 폭은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부 직경에 대해 1/5 내지 1/2 로 형성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팁하우징의 후방 몸체 하부 일측과 대향하는 상기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 일측 지점 보다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측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 상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며, 상기 팁센서부와 PCB 기판 내의 온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제 2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가 형성되는 센서 하우징의 선단 하부측은,
    상기 센서 하우징이 배치될 시에 센서 하우징의 선단측에서 중력 방향으로 최하부 지점을 포함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9. PCB 기판; 및
    상기 PCB 기판의 전방측에 연결되고,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팁하우징의 일측 외부면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감지하는 일사 센서를 포함하는 팁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PCB 기판에는,
    상기 팁센서부와 PCB 기판 내의 온도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제 2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은,
    유입되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부에 컨포멀 코팅층이 형성되는,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KR1020220128319A 2022-10-07 2022-10-07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KR20240049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19A KR20240049691A (ko) 2022-10-07 2022-10-07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PCT/KR2023/014905 WO2024076090A1 (ko) 2022-10-07 2023-09-26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19A KR20240049691A (ko) 2022-10-07 2022-10-07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691A true KR20240049691A (ko) 2024-04-17

Family

ID=9060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319A KR20240049691A (ko) 2022-10-07 2022-10-07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9691A (ko)
WO (1) WO202407609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13B1 (ko) 2007-01-08 2007-10-23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일체형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9909B2 (en) * 2012-03-02 2014-10-14 Amphenol Thermometrics, Inc. Flexible cable for low profile electrical device
KR20180068373A (ko) * 2016-12-13 2018-06-22 주식회사 원진일렉트로닉스 러버 실을 구비한 차량 내부온도 검출 장치
KR102416643B1 (ko) * 2017-12-07 2022-07-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온도 센서
JP6964063B2 (ja) * 2018-11-28 2021-11-10 長野計器株式会社 センサアッシーおよび物理量測定装置
KR102311921B1 (ko) * 2021-04-21 2021-10-13 주식회사 인포월드 전도도센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지하수 모니터링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13B1 (ko) 2007-01-08 2007-10-23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차량용 일체형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6090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5437B1 (en) Fire sensor
US6003379A (en) Pressure sensor device
EP2023112B1 (en) Pressure sensor
KR102146046B1 (ko) 압력센서
US20120304752A1 (en) Sensor system for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US20090009348A1 (en) Photoelectric smoke sensor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6949940B (zh) 用于感测流动的流体介质至少一个流动特性的传感器装置
KR20240049691A (ko) 차량의 실내온도 감지센서
US7189363B2 (en) Gas detector
JP3944697B2 (ja) 光電式煙感知器
KR101483769B1 (ko) 압력센서
CN111148972B (zh) 物理量检测装置
CN216628445U (zh) 悬崖传感器和扫地机器人
JP2003335186A (ja) 車載用電子機器の筐体構造及び組合せ構造
CN210690332U (zh) 油烟检测组件和厨房装置
CN111183338B (zh) 物理量检测装置
CN111795755B (zh) 传感器设备、用于制造传感器设备的方法和交通工具
JP3823739B2 (ja) 火災感知器
JP2006253262A (ja) 電子機器用筺体
JP2015011004A (ja) 圧力センサ
JP2002181651A (ja) 圧力センサ
CN110617526B (zh) 厨房装置
JP3747805B2 (ja) 浴室内監視装置
KR102603059B1 (ko) 차량의 실내온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JP7312050B2 (ja) 熱感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