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655B1 - 센서 - Google Patents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655B1
KR102456655B1 KR1020210129276A KR20210129276A KR102456655B1 KR 102456655 B1 KR102456655 B1 KR 102456655B1 KR 1020210129276 A KR1020210129276 A KR 1020210129276A KR 20210129276 A KR20210129276 A KR 20210129276A KR 102456655 B1 KR102456655 B1 KR 10245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ap
sensor
cover
groov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962A (ko
Inventor
박선영
김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21012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65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체결된 한 쌍의 엔드캡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광 커버; 상기 투광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는 커버 실링; 상기 본체와 상기 엔드캡의 사이에 구비되는 캡 실링;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돌출되고, 상기 엔드캡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SENSOR}
본 발명은 센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일정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에어리어 센서에 관한 것이다.
에어리어 센서는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area)의 감지를 목적으로 하는 센서를 말한다. 에어리어 센서는 출입구, 승강기,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에어리어 센서는 특정 영역에 사람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곳에 널리 쓰일 수 있다.
센서 또는 에어리어 센서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센서 또는 에어리어 센서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 또는 에어리어 센서가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또는 실내에 설치되더라도), 습도가 높은 외기 또는 물에 의해 센서의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최근에, 외부 환경에 의한 센서의 성능저하 또는 내구성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JP 4628402B2 (2009.01.15. 공개) JP 2018-10789A (2018.01.18.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밀폐성이 향상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컴팩트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체결된 한 쌍의 엔드캡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광 커버; 상기 투광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는 커버 실링; 상기 본체와 상기 엔드캡의 사이에 구비되는 캡 실링;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돌출되고, 상기 엔드캡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실링 및 캡 실링이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고무나 우레탄 재질을 포함하는 패킹을 사용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센서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투광 커버의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부착 방식에 비해 다양한 기후적 환경 조건에서도 높은 밀폐 신뢰성을 갖는다.
또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양한 타입의 센서를 커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캡 실링홈에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하여 캡 실링이 형성된 이후에 엔드캡과 본체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캡 실링이 엔드캡과 본체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실링홈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캡 실링에 닿도록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캡 실링과 커버 실링이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센서의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엔드캡의 개구 및 멤브레인에 의해, 방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센서의 내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 가능하다. 이로써 온도 변화에 의한 센서의 동작 이상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드캡의 가이드부 및 돌출부에 의해 본체에 대한 엔드캡의 결합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와 엔드캡이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엔드캡의 사출 후에 잔류 응력으로 엔드캡이 오므라들어 본체와의 조립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사용한 센싱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엔드 커버 및 투광 커버를 분리시킨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드캡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2의 C-C'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엔드캡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D-D'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제조방법의 순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사용한 센싱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광 센서 또는 에어리어 센서로 명명될 수 있다. 센서(100)는 센싱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센싱 시스템(1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시스템(10)에 포함된 한 쌍의 센서(10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센싱 시스템(10)에 포함된 한 쌍의 센서(100) 중 일 센서(100A)는 이미터(Emitter)로 작용할 수 있고, 타 센서(100B)는 리시버(Receiver)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일 센서(100A)에서는 빛이 출사될 수 있다. 일 센서(100A)는 이미터, 발광유닛, 발광기, 투광유닛 또는 투광기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센서(100A)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일 센서(100A)의 일면에 일렬 또는 복수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 센서(100B)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타 센서(100B)는 리시버, 수광유닛 또는 수광기로 명명될 수 있다. 타 센서(100B)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광소자는 타 센서(100B)의 일면에 일렬 또는 복수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센서(100A)에서 출사된 빛은 타 센서(100B)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일 센서(100A)와 타 센서(100B)의 사이에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람이나 물체)가 위치하면, 일 센서(100A)에서 출사된 빛의 일부가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차단되어 타 센서(100B)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로써, 센싱 시스템(10)은 한 쌍의 센서(100) 사이에 위치한 오브젝트의 유무 및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한 영역을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다.
이하, 상하 방향과 관련된 설명은 도 2 내지 도 9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엔드 커버 및 투광 커버를 분리시킨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센서(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대략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하우징(200)은 본체(300) 및 본체(300)의 양단에 체결된 한 쌍의 엔드캡(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0)는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300)는 프로파일(Profile)로 명명될 수 있다.
본체(300)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300)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본체(300)의 개방된 양단은 엔드캡(4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캡(400)은 본체(300)의 일 단부에 체결된 일 엔드캡(400A)과, 타 단부에 체결된 타 엔드캡(400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엔드캡(400)은 본체(3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엔드캡(400)은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엔드캡(400)의 양 단부 중 본체(300) 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엔드캡(400)이 본체(300)와 체결되면 엔드캡(400)의 내부공간과 본체(300)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센서(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본체(300)의 길이는 엔드캡(4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엔드캡(40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센서(100)의 길이가 짧아지고 컴팩트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300)의 길이가 엔드캡(400)의 길이보다 긴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우징(200)에는 개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하우징(200)의 일면(예를 들어,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후술할 투광 커버(5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개방부(220)의 일부는 본체(300)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광 가이드 유닛(600)의 렌즈(610)는 하우징(200)의 개방부(220)를 통해 투광 커버(500)를 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개방부는 본체(300)에 형성된 제1개방부(320)(도 4 참조)와, 엔드캡(400)에 형성된 제2개방부(420)(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0)의 양단에 한 쌍의 엔드캡(400)이 체결되면 제1개방부(320)와 한 쌍의 제2개방부(420)가 연결되어 개방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투광 커버(5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하우징(200)의 개방부(220)를 커버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빛이 투광 커버(500)를 통해 센서(100) 내부에서 외부로 출사되거나, 센서(100) 외부에서 센서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수평한 패널 형상일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투광 커버(500)를 구속하는 엔드 커버(48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의 양 단부를 구속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의 양 단부를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엔드 커버(480)에 의해 투광 커버(500)와 하우징(200)의 사이의 밀폐 구조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엔드캡(400)의 상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 중 일부는 투광 커버(500)의 단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일 엔드캡(400A)의 상측에 체결된 제1엔드 커버(480A)와, 타 엔드캡(400B)의 상측에 체결된 제2엔드 커버(48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 커버(48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센서(100)의 상태 정보 또는 감지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4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제1엔드 커버(480A)에 상태표시부(490)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태표시부(49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엔드캡(400A)에는 상태 표시부(490)를 향하며 빛(가시광선)을 발광시키는 광원(예를 들어, LED)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태 표시부(490)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소정 간격으로 빛을 점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태 표시부(490)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색이나 깜빡임을 통해 센서(100)의 상태 정보 또는 감지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광 가이드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광 커버(5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의 일부는 본체(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100)가 에미터로 작용할 경우,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과 커버(500)를 통해 빛을 센서(100)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다. 센서(100)가 리시버로 작용할 경우,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과 커버(500)를 통해 입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광 가이드 유닛(600)은 렌즈(610)와, 렌즈 마운터(620)와, 광 소자(631)(도 5 및 도 7 참조)가 구비된 기판(630)(도 5 및 도 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610)는 투광 커버(500)를 향할 수 있다. 렌즈(610)는 렌즈 마운터(620)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6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렌즈(610)는 센서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 또는 복수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에는 복수개의 렌즈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렌즈(610)는 상기 렌즈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부품이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렌즈(610)는 렌즈 마운터(62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는 렌즈 가이드로 명명될 수 있다.
기판(630)은 렌즈 마운터(620)에 체결될 수 있다. 기판(630)은 렌즈 마운터(620)에 대해 투광 커버(50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630)은 렌즈 마운터(620)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기판(630)은 단일의 기판이거나,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기판의 조합일 수 있다.
기판(630)은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기판(630)에는 복수개의 광 소자(631)가 구비될 수 있다. 각 광 소자(631)는 각 렌즈(610)를 향할 수 있다.
센서(100)가 에미터로 작용하면 광 소자(631)는 발광 소자일 수 있다. 광 소자(631)의 빛은 렌즈(610)와, 투광 커버(5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센서(100)의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센서(100)가 리시버로 작용하면 광 소자(631)는 수광 소자일 수 있다. 센서(100) 외부의 빛은 투광 커버(500), 렌즈(6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광 소자(631)로 입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메인 기판(700)(도 5 및 도 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센서(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인 기판(7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하우징(200)에 내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기판(700)의 일부는 본체(3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기판(730)은 단일의 기판이거나,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기판의 조합일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광 가이드 유닛(600)에 대해 투광 커버(50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광 가이드 유닛(6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서포터(720)(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720)는 엔드캡(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720)는 메인 기판(700)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720)는 한 쌍의 엔드캡(400) 각각의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투광 커버(500)를 하우징(200)에 부착시키는 커버 실링(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투광 커버(500)의 일면(예를 들어, 저면)의 가장자리에 접착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투광 커버(500)와 하우징(200)을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버 실링(800)은 폴리우레탄계(polyurethane)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커버 실링(800)은 탄성을 가지므로, 하우징(200)과 투광 커버(500) 사이의 틈을 신뢰성있게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 실링(800)이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서(100)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투광 커버(500)의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부착 방식에 비해 다양한 기후적 환경 조건에서도 높은 밀폐 신뢰성을 갖는다. 또한, 접착제가 경화되어 커버 실링(800)을 형성하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양한 타입의 센서(100)를 커버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하우징(200)에는 커버 실링(800)이 배치된 커버 실링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커버 실링홈(221)과 투광 커버(5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실링홈(221)은 커버 실링(800)과 마찬가지로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실링홈(221)은 본체(300)에 형성된 제1커버 실링홈(321)과, 한 쌍의 엔드캡(400)에 형성된 제2커버 실링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0)의 양단부에 한 쌍의 엔드캡(400)이 체결되면 제1커버 실링홈(321)과 제2커버 실링홈(421)은 연결되어 커버 실링홈(22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가 하우징(2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엔드캡(400)에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대략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재(C1)(예를 들어, 스크류 또는 볼트)는 엔드 커버(480)에 형성된 체결공(481)을 관통하여 엔드캡(400)에 형성된 체결홈(440)에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회피홈(482)이 형성될 수 있다. 투광 커버(500)의 단부는 회피홈(482)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투광 커버(500)의 단부는 엔드캡(400)과 엔드 커버(480)의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엔드 커버(480)에 의해 커버되는 관통부(44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441)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일 수 있다.
일 엔드캡(400A)의 관통부(441)는 제1엔드 커버(480A)에 구비된 상태표시부(19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엔드캡(400)에 내장된 광원은 관통부(441)를 통해 상태 표시부(490)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일 엔드캡(400)의 관통부(441)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캡(441)(cap)이 피팅될 수 있다. 광원의 빛은 캡(441)을 지나며 확산될 수 있다.
타 엔드캡(400B)의 관통부(441)는 메인 기판(700)(도 3 참조)에 구비된 전장 부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장 부품은 리플렉터, 커넥터 또는 제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엔드 커버(480B)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리플렉터(E1)는 관통공(441)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 FND(Flexible Numeric Display)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2엔드 커버(480B)만을 분리하고 관통공(441)을 통해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커넥터(E2) 및/또는 제어 스위치(E3)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본체(300)와 엔드캡(40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C2)를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센서(100)의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체(300)는 제1내부 공간(310) 및 제1내부 공간(310)과 연통된 제1개방부(320)을 가질 수 있다.
제1내부 공간(310) 및 제1개방부(320)는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양단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개방부(320)는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내부 공간(310)의 폭은 제1개방부(320)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제1개방부(320)는 투광 커버(5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투광 커버(500)는 커버 실링(800)에 의해 본체(300)에 부착될 수 있다.
본체(300)에는 커버 실링(800)이 배치되는 제1커버 실링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 실링홈(321)은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 실링홈(321)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 제1커버 실링홈(321)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300)에는 제1개방부(320)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며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어퍼 리브(321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어퍼 리브(321a)의 상면에는 제1커버 실링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어퍼 리브(321a)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어퍼 리브(321a)는 투광 커버(5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어퍼 리브(321a)는 투광 커버(500)가 본체(300)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광 커버(500)의 파손 위험성이 줄어들고 본체(300)와 투광 커버(500)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체(300)에는 렌즈 마운터(620)가 장착되는 제1장착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홈(323)은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장착홈(323)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 제1장착홈(323)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300)에는 제1개방부(320)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며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로어 리브(323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로어 리브(323a)는 제1어퍼 리브(321a)의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장착홈(323)은 제1어퍼 리브(321a)와 제1로어 리브(323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로어 리브(323a)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렌즈 마운터(620)에는 수평하게 돌출되며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출 리브(62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리브(622)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장착홈(323), 즉 제1어퍼 리브(321a)와 제1로어 리브(323a)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광 가이드 유닛(620)이 본체(300)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렌즈(610) 중 일부 렌즈(610)는 제1개방부(320), 좀 더 상세히는 한 쌍의 제1어퍼 리브(321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마운터(620)의 상측 일부는 제1개방부(320)에 위치하고, 하측 일부는 제1내부 공간(31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광 소자(631)가 구비된 기판(630)의 일부는 제1내부 공간(310)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300)에는 메인 기판(700)가 피팅되는 피팅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피팅홈(311)은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피팅홈(311)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 피팅홈(311)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300)에는 제1내부 공간(310)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고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리브(311a)가 구비될 수 있다. 각 피팅홈(311)은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311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로어 리브(323a)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센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팅홈(311)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 기판(700)이 본체(30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체(300)에는 가이드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312)에는 엔드캡(400)의 가이드 돌기(429)(도 6 참조)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홈(312)은 제1내부공간(310)과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홈(312)은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312)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 가이드홈(312)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300)에는 제1내부 공간(310)을 향해 하측으로 돌출되며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리브(312a)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홈(312)은 가이드 리브(312a)와 본체(30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312a)는 제1로어 리브(323a)과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312a)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300)에는 단차부(313)이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313)에는 엔드캡(400)의 돌출부(428)(도 6 참조)가 피팅될 수 있다.
단차부(313)는 제1내부 공간(310)을 정의하는 본체(300)의 내측 저면에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313)는 엔드캡(400)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단차부(313)는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단이 개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차부(313)가 본체(300)의 양단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드캡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2의 C-C'에 대한 단면도이다.
각 엔드캡(400)는 제2내부 공간(410) 및 제2내부 공간(410)과 연통된 제2개방부(420)을 가질 수 있다.
제2내부 공간(410) 및 제2개방부(420)는 엔드캡(4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본체(300) 측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개방부(420)는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내부 공간(410)의 폭은 제2개방부(420)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센서(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2내부 공간(410)은 본체(300)의 제1내부공간(310)과 연통될 수 있고, 제2개방부(420)는 본체(300)의 제1개방부(320)와 연통될 수 있다.
제2개방부(420)는 투광 커버(5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투광 커버(500)는 커버 실링(800)에 의해 엔드캡(400)에 부착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커버 실링(800)이 배치되는 제2커버 실링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 실링홈(421)은 U자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커버 실링홈(421)은 엔드캡(4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의 장홈과, 상기 한 쌍의 장홈의 외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 실링홈(421)의 양단은 본체(300)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300)와 엔드캡(400)이 체결되면 제2커버 실링홈(421)은 한 쌍의 제1커버 실링홈(321)을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폐루프를 이루는 커버 실링홈(221)(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엔드캡(400)에는 제2개방부(420)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며 엔드캡(4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어퍼 리브(421a)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어퍼 리브(421a)의 상면에는 제2커버 실링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어퍼 리브(421a)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리브와, 상기 한 쌍의 리브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어퍼 리브(421a)는 투광 커버(50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어퍼 리브(421a)는 투광 커버(500)가 엔드캡(400)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광 커버(500)의 파손 위험성이 줄어들고 엔드캡(400)와 투광 커버(500)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후술할 캡 실링(900)(도 8 참조)이 배치되는 캡 실링홈(401)이 형성될 수 있다. 캡 실링홈(401)은 엔드캡(400)의 본체(300)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30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캡 실링홈(401)은 폐루프의 상측 일부가 컷아웃된 형상일 수 있다. 캡 실링홈(401)은 제2커버 실링홈(421)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캡 실링홈(401)은 커버 실링홈(221)(도 5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캡 실링홈(401)은 U자형 홈과, 상기 U자형 홈의 양측 상단에서 제2커버 실링홈(421)까지 이어지는 어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렌즈 마운터(620)가 장착되는 제2장착홈(4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홈(423)은 엔드캡(4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장착홈(423)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 제2장착홈(323)의 본체(300) 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300)와 엔드캡(400)이 체결되면 제2장착홈(423)은 제1장착홈(323)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엔드캡(400)에는 제2개방부(420)를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며 엔드캡(4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로어 리브(423a)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로어 리브(423a)는 제2어퍼 리브(421a)의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2장착홈(423)은 제2어퍼 리브(421a)와 제2로어 리브(423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로어 리브(423a)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의 돌출 리브(622)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장착홈(423), 즉 제2어퍼 리브(421a)와 제2로어 리브(423a)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광 가이드 유닛(620)이 엔드캡(400)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렌즈(610) 중 일부 렌즈(610)는 제2개방부(420), 좀 더 상세히는 한 쌍의 제2어퍼 리브(421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마운터(620)의 상측 일부는 제2개방부(420)에 위치하고, 하측 일부는 제2내부 공간(41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광 소자(631)가 구비된 기판(630)의 일부는 제2내부 공간(410)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엔드캡(400)에는 가이드 돌기(429)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29)는 본체(300)의 가이드 홈(312)(도 4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29) 및 가이드 홈(312)에 의해 본체(300)와 엔드캡(400)이 원활하고 신뢰성있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엔드캡(400)의 사출 후에 잔류 응력으로 엔드캡(400)이 오므라들어 본체(300)와의 조립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29)는 엔드캡(400)의 본체(300)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29)는 본체(3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29)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429)는 렌즈 마운터(6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29)는 캡 실링홈(401)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429)는 제2내부 공간(410) 및 제2개방부(420)의 단부 가장자리와 캡 실링홈(40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이드 돌기(429)는 제2내부 공간(410)의 단부 가장자리보다 상측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2개방부(420)의 단부 가장자리보다 외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엔드캡(400)에는 돌출부(428)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28)은 본체(300)의 단차부(313)(도 4 참조)에 피팅될 수 있다. 돌출부(428) 및 단차부(313)에 의해 본체(300)와 엔드캡(400)이 더욱 원활하고 신뢰성있게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428)는 제2내부 공간(410)을 정의하는 엔드캡(400)의 내측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돌출부(428)는 본체(3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28)는 수평한 판형일 수 있다. 단차부(313)는 엔드캡(400)을 향해 개방되므로, 돌출부(428)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차부(313)에 삽입되어 피팅될 수 있다.
한편, 엔드캡(4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412)는 엔드캡(400)에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제2내부공간(410)을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개구(412)는 엔드캡(400)의 저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개구(412)를 커버하는 멤브레인(430)이 구비될 수 있다. 멤브레인(430)은 엔드캡(400)의 내부에서 개구(412)를 커버할 수 있다.
멤브레인(430)은 수분은 차단하고 공기를 통과시키는 다공성 막일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430)은 개구(412)를 통해 수분이 엔드캡(40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개구(412)를 통해 엔드캡(400)의 내압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100)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센서(100)의 내압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온도 변화에 의한 센서(100)의 동작 이상이나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높은 방수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멤브레인(430)이 안착되는 안착홈(413)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412)는 안착홈(413)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413)은 제2내부공간(410)을 정의하는 엔드캡(400)의 내측 저면에서 하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413)의 본체(300) 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안착홈(413)의 일부는 앞서 설명한 돌출부(42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기판(700)을 지지하는 서포터(720)는 엔드캡(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720)는 엔드캡(4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720)의 단면은 대략 U자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포터(720)는 수평한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휘어져 메인 기판(700)에 연결된 한 쌍의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서포터(720)가 연결되는 걸림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포터(720)의 저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걸림부(7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부(721)는 걸림홈(411)에 걸릴 수 있다.
걸림홈(411)은 엔드캡(40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걸림홈(411)은 엔드캡(400)의 내측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411)은 엔드캡(4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411)은 상하 방향에 대해 걸림부(411)에 걸릴 수 있다.
걸림홈(411)의 본체(300) 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721)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홈(411)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홈(411) 및 걸림부(721)는 각각 서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홈(411) 및 한 쌍의 걸림부(721)는 각각 안착홈(413) 및 그에 안착된 멤브레인(43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430)의 적어도 일부는 서포터(7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멤브레인(430)과 서포터(720)의 저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엔드캡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2의 D-D'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본체(300)와 엔드캡(400)의 사이에 구비된 캡 실링(900)을 포함할 수 있다. 캡 실링(900)은 엔드캡(400)에 부착되고 본체(300)에 비접착될 수 있다. 캡 실링(900)은 엔드캡(400)에 형성된 캡 실링홈(401)에 배치될 수 있다.
캡 실링(900)은 엔드캡(400), 좀 더 상세히는 캡 실링홈(401)에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캡 실링(900)은 폴리우레탄계(polyurethane)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캡 실링(900)은 탄성을 가지므로, 본체(300)과 엔드캡(400) 사이의 틈을 신뢰성있게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서(100)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캡 실링(900)이 엔드캡(400)에 대한 캡 실링(900)의 부착이 용이하고, 이중 사출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캡 실링(900)은 폐루프의 상측 일부가 컷아웃된 형상일 수 있다. 캡 실링(900)은 커버 실링(800)과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캡 실링(900)의 양단은 커버 실링(8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캡 실링(900)은 커버 실링(800)과 연결되므로, 센서(100)의 기밀성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 캡 실링(900)은 U자형 실링과, 상기 U자형 실링의 양측 상단에서 커버 실링(900)까지 이어지는 어퍼 실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300)와 엔드캡(400)은 볼트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C2)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300)에는 엔드캡(400)을 향하는 복수개의 체결홈(330)(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330)은 본체(300)의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330)은 본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본체(300)를 향하는 복수개의 체결공(430)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430)은 엔드캡(400)의 본체(300)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430)은 엔드캡(4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C2)는 엔드캡(400)의 체결공(430)을 통과하여 본체(300)의 체결홈(33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300)와 엔드캡(400)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캡 실링(900)은 본체(300)와 엔드캡(400)의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제조방법의 순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의 제조방법은, 엔드캡(400)에 형성된 캡 실링홈(401)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10); 캡 실링홈(401)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S20); 경화된 접착제가 엔드캡(400)과 본체(300)의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엔드캡(400)을 본체(300)의 단부에 체결하는 단계(S30); 본체(300) 및 엔드캡(400)에 형성되며 폐루프 형상을 갖는 커버 실링홈(221)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40); 및 커버 실링홈(221)에 도포된 접착제에 투광 커버(500)를 접착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00)의 제조방법은 엔드캡(400)에 엔드 커버(480)를 체결시키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 실링홈(401)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10) 시에, 상기 접착제는 폴리에틸렌계 접착제일 수 있다.
캡 실링홈(401)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S20) 시에, 캡 실링홈(401)에 도포된 접착제는 경화되어 캡 실링(9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엔드캡(400)을 본체(300)의 단부에 체결하는 단계(S30) 시에, 광 가이드 유닛(600)는 본체(300)에 장착된 상태일 수 있고, 메인 기판(700) 및 서포터(720)은 엔드캡(400)에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엔드캡(400)의 안착홈(413)에는 멤브레인(430)이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엔드캡(400)을 본체(300)의 단부에 체결하는 단계(S30)는, 엔드캡(40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29)(도 6 참조)를 본체(300)에 형성된 가이드홈(312)(도 4 참조)에 삽입하는 과정; 및 가이드 돌기(429)가 가이드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C2)에 의해 엔드캡(400)을 본체(300)에 체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429)가 가이드 홈(312)에 삽입되면 엔드캡(400)의 돌출부(428)(도 6 참조)는 본체(300)의 단차부(313)(도 4 참조)에 피팅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428)가 단차부(313)에 피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C2)에 의해 엔드캡(400)이 본체(3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300)와 엔드캡(400)의 결합 위치가 가이드된 상태에서 양 부품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커버 실링홈(221)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40) 시에, 상기 접착제는 폴리에틸렌계 접착제일 수 있다. 커버 실링홈(221)에 도포된 접착제는, 캡 실링홈(401)에 배치된 캡 실링(900)에 닿도록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캡 실링(900)과 커버 실링(800)이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커버 실링홈(221)에 도포된 접착제에 투광 커버(500)를 접착시키는 단계(S50) 시에, 투광 커버(500)는 하우징(200)에 형성된 개방부(220)를 커버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커버 실링홈(221)에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되기 이전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실링홈(221)에 도포된 접착제는 투광 커버(500)를 하우징(200)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경화되어 커버 실링(800)을 형성할 수 있고, 캡 실링(9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엔드캡(400)에 엔드 커버(480)를 체결시키는 단계(S60) 시에,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체결부재(C1)에 의해 엔드캡(400)에 체결될 수 있고, 투광 커버(500)의 양 단부를 각각 구속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센싱 시스템 100: 센서
200: 하우징 300: 본체
400: 엔드캡 500: 투광 커버
600: 광 가이드 유닛 700: 메인 기판
800: 커버 실링 900: 캡 실링

Claims (11)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에 체결된 한 쌍의 엔드캡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는 투광 커버;
    상기 투광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는 커버 실링;
    상기 본체와 상기 엔드캡의 사이에 구비되는 캡 실링;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가 돌출되고,
    상기 엔드캡의 바닥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한 쌍의 엔드캡 내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상기 엔드캡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센터부와,
    상기 센터부의 양 단부에서 상측으로 벤딩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기판의 양 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벤딩부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한 쌍이 제공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부는 상기 센터부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한 쌍의 걸림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엔드캡의 내부 바닥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6. 제 5 항에 잇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센터부의 저면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져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홈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외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커버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에는 상기 멤브레인이 놓이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는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상기 엔드캡의 일 단부에서 상기 본체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단차부에 피팅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센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에 형성되고 상기 캡 실링이 배치되는 캡 실링홈; 및
    어느 일부는 상기 한 쌍의 엔드캡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 실링이 배치되는 커버 실링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 실링홈과 상기 커버 실링홈은 하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측면에는 상기 메인 기판의 양 측단부가 끼워지는 피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KR1020210129276A 2020-03-03 2021-09-29 센서 KR10245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276A KR102456655B1 (ko) 2020-03-03 2021-09-29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519A KR20210111498A (ko) 2020-03-03 2020-03-03 센서
KR1020210129276A KR102456655B1 (ko) 2020-03-03 2021-09-29 센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519A Division KR20210111498A (ko) 2020-03-03 2020-03-03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962A KR20210120962A (ko) 2021-10-07
KR102456655B1 true KR102456655B1 (ko) 2022-10-21

Family

ID=777967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519A KR20210111498A (ko) 2020-03-03 2020-03-03 센서
KR1020210129276A KR102456655B1 (ko) 2020-03-03 2021-09-29 센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519A KR20210111498A (ko) 2020-03-03 2020-03-03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1149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5005A (ja) * 2015-03-31 2016-11-1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KR101799657B1 (ko) * 2012-12-27 2017-11-20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JP2018010789A (ja) * 2016-07-13 2018-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KR102146046B1 (ko) 2019-03-26 2020-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402B2 (ja) 2007-06-29 2011-02-09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電センサ及び光電センサ用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657B1 (ko) * 2012-12-27 2017-11-20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JP2016195005A (ja) * 2015-03-31 2016-11-1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8010789A (ja) * 2016-07-13 2018-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KR102146046B1 (ko) 2019-03-26 2020-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962A (ko) 2021-10-07
KR20210111498A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0652B2 (en) Operation device
EP3270189B1 (en) Multiple-optical-axis photoelectric sensor
US8436742B2 (en) Indicator
KR20180067819A (ko) 바 타입 엘이디 방수 조명기구
KR102456655B1 (ko) 센서
US20190341759A1 (en) Operation device
JP6887898B2 (ja) 炎感知器
JP4766670B2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JP2012198757A (ja) 熱感知器
US9915420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sealed optics
KR102341530B1 (ko) 센서
US11821785B2 (en) Optical sensor assembly and front cover of optical sensor assembly
US20220155110A1 (en) Sensor
KR101799657B1 (ko) 다광축 광전 센서 및 실링 부재
US9741214B2 (en) Indication apparatus
KR102230860B1 (ko) 센서
JP7383097B2 (ja) 灯具
CN221871986U (zh) 移动机器人
CN216772494U (zh) 门禁控制器
CN220707487U (zh) 显示光感集成结构和空调室内机
JP7054491B2 (ja) 長尺led発光体の筐体端部におけるキャップ構造
JP7546446B2 (ja) 照明装置
US11175433B2 (en) Multi optical axis sensor
CN117975818A (zh) 一种显示屏
KR102305946B1 (ko) 검출 장치 및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