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530B1 - 센서 - Google Patents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530B1
KR102341530B1 KR1020200026520A KR20200026520A KR102341530B1 KR 102341530 B1 KR102341530 B1 KR 102341530B1 KR 1020200026520 A KR1020200026520 A KR 1020200026520A KR 20200026520 A KR20200026520 A KR 20200026520A KR 102341530 B1 KR102341530 B1 KR 10234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lexible substrate
cover
len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499A (ko
Inventor
임재정
전병덕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200026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530B1/ko
Priority to PCT/KR2020/017889 priority patent/WO2021177556A1/ko
Publication of KR2021011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ndoscope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방부;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며 빛이 투과하는 투광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 커버를 향하는 복수개의 렌즈가 장착된 렌즈 마운터; 상기 렌즈 마운터에서 상기 투광 커버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후크; 상기 후크가 통과하는 개구와, 상기 렌즈를 향하는 광 소자가 구비된 플렉시블 기판; 및 상기 후크가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상기 렌즈 마운터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SENSOR}
본 발명은 센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일정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에어리어 센서에 관한 것이다.
에어리어 센서는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area)의 감지를 목적으로 하는 센서를 말한다. 에어리어 센서는 출입구, 승강기, 무빙워크, 에스컬레이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에어리어 센서는 특정 영역에 사람 또는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이 필요한 곳에 널리 쓰일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에어리어 센서는, 광 소자가 구비된 하드 피씨비(PCB: Printed Circuit Board)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광 소자 간 피치(pitch)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JP 4628402B2 (2009.01.15. 공개) JP 2018-10789A (2018.01.18.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복수개의 광 소자간 피치를 자유로이 구현 가능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플렉시블 기판 간의 연결이 용이한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는,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며, 빛이 투과하는 투광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커버를 향하는 렌즈; 상측에 상기 렌즈가 장착되고, 저면에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하단에서 더 연장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렌즈 마운터;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안착되고, 상기 후크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는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시블 기판; 상기 렌즈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 소자;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관통한 상기 후크에 결합되어,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일부분을 상기 렌즈 마운터에 평평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부착되고 상기 후크가 통과하는 서브 개구가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고정 커버의 사이에 위치한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 및 광 소자가 구비된 플랫부; 및 서로 이웃한 한 쌍의 플랫부를 연결하며 휘어지거나 절곡된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부에는, 상기 고정 커버와 접하며 상기 후크가 통과하는 서브 개구가 형성된 보강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고정 커버의 둘레면에서부터 상기 걸림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과 연통된 절개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홀의 내둘레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후크에 가까워지게 경사진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내측 가장자리와 반경 방향으로 단차진 단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는 커넥터 및 접속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 단자는 타 플렉시블 기판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 커버는 상기 렌즈 마운터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 커버의 사이를 커버하는 절연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커버와 상기 절연 시트의 사이를 통과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커버와 상기 제1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한 보강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플렉시블 기판의 제2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타 플렉시블 기판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절연 시트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벤딩부를 형성 가능한 플렉시블 기판에 복수개의 광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기판을 제작하지 않고도 동일한 타입의 플렉시블 기판을 활용하여 다양한 피치를 적용 가능하다. 즉, 모듈화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렌즈 마운터의 후크가 고정 커버의 걸림홀에 걸림으로써 렌즈 마운터와 고정 커버가 용이하게 직접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기판을 렌즈 마운터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플랫부에는 보강판이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플랫부가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 커버에 의한 플랫부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커버에 형성된 절개홈에 의해 후크가 고정 커버의 걸림홀에 더욱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및 접속 단자가 플렉시블 기판에 구비되므로, 별도의 수 커넥터 및 케이블 없이도 복수개의 플렉시블 기판이 서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기판의 확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가 구비된 제1연결부는 절연 시트와 고정 커버의 사이를 지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 내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제1연결부가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절연 시트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에는 보강판이 부착되어, 제1연결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가 구비된 제2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타 플렉시블 기판의 제1연결부와 절연 시트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접속 단자가 커넥터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고, 제2연결부가 절연 시트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사용한 센싱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엔드 커버 및 투광 커버를 분리시킨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드 커버 및 투광 커버가 분리된 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 가이드 유닛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렉시블 기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터와 고정 커버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의 확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일 렌즈 마운터의 양 단부를 각각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광 가이드 유닛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사용한 센싱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광 센서 또는 에어리어 센서로 명명될 수 있다. 센서(100)는 센싱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센싱 시스템(1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센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시스템(10)에 포함된 한 쌍의 센서(100)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센싱 시스템(10)에 포함된 한 쌍의 센서(100) 중 일 센서(100A)는 이미터(Emitter)로 작용할 수 있고, 타 센서(100B)는 리시버(Receiver)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일 센서(100A)에서는 빛이 출사될 수 있다. 일 센서(100A)는 이미터, 발광유닛, 발광기, 투광유닛 또는 투광기로 명명될 수 있다. 일 센서(100A)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발광소자는 일 센서(100A)의 일면에 일렬 또는 복수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 센서(100B)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타 센서(100B)는 리시버, 수광유닛 또는 수광기로 명명될 수 있다. 타 센서(100B)는 복수개의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수광소자는 타 센서(100B)의 일면에 일렬 또는 복수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센서(100A)에서 출사된 빛은 타 센서(100B)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일 센서(100A)와 타 센서(100B)의 사이에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람이나 물체)가 위치하면, 일 센서(100A)에서 출사된 빛의 일부가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차단되어 타 센서(100B)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로써, 센싱 시스템(10)은 한 쌍의 센서(100) 사이에 위치한 오브젝트의 유무 및 상기 오브젝트가 위치한 영역을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다.
이하, 상하 방향과 관련된 설명은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센서(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대략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하우징(200)은 본체(300) 및 본체(300)의 양단에 체결된 한 쌍의 엔드캡(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0)는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300)는 프로파일(Profile)로 명명될 수 있다.
본체(300)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체(300)의 양단은 개방될 수 있다. 본체(300)의 개방된 양단은 엔드캡(4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캡(400)은 본체(300)의 일 단부에 체결된 일 엔드캡(400A)과, 타 단부에 체결된 타 엔드캡(400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엔드캡(400)은 본체(3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엔드캡(400)은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엔드캡(400)의 양 단부 중 본체(300) 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엔드캡(400)이 본체(300)와 체결되면 엔드캡(400)의 내부공간과 본체(300)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센서(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본체(300)의 길이는 엔드캡(40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300)의 길이가 엔드캡(4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엔드캡(400)의 길이보다 짧은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우징(200)에는 개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하우징(200)의 일면(예를 들어,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20)는 후술할 투광 커버(5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개방부(220)의 일부는 본체(300)에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광 가이드 유닛(600)의 렌즈(610)는 하우징(200)의 개방부(220)를 통해 투광 커버(500)를 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투광 커버(5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하우징(200)의 개방부(220)를 커버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빛이 투광 커버(500)를 통해 센서(100) 내부에서 외부로 출사되거나, 센서(100) 외부에서 센서 내부로 입사될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수평한 패널 형상일 수 있다. 투광 커버(500)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투광 커버(500)를 구속하는 엔드 커버(48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의 양 단부를 구속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의 양 단부를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엔드 커버(480)에 의해 투광 커버(500)와 하우징(200)의 사이의 밀폐 구조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엔드캡(400)의 상측에서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 중 일부는 투광 커버(500)의 단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 커버(480)는 일 엔드캡(400A)의 상측에 체결된 제1엔드 커버(480A)와, 타 엔드캡(400B)의 상측에 체결된 제2엔드 커버(48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 커버(48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센서(100)의 상태 정보 또는 감지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4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제1엔드 커버(480A)에 상태표시부(490)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태표시부(49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엔드캡(400A)에는 상태 표시부(490)를 향하며 빛(가시광선)을 발광시키는 광원(예를 들어, LED)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태 표시부(490)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소정 간격으로 빛을 점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태 표시부(490)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색이나 깜빡임을 통해 센서(100)의 상태 정보 또는 감지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광 가이드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광 커버(5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의 일부는 본체(3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100)가 에미터로 작용할 경우,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과 커버(500)를 통해 빛을 센서(100) 외부로 출사시킬 수 있다. 센서(100)가 리시버로 작용할 경우, 광 가이드 유닛(600)은 투과 커버(500)를 통해 입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광 가이드 유닛(600)은 렌즈(610)와, 렌즈 마운터(620)와, 광 소자(631)가 구비된 플렉시블 기판(630)(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고정 커버(64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절연 시트(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610)는 투광 커버(500)를 향할 수 있다. 렌즈(610)는 렌즈 마운터(620)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61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렌즈(610)는 센서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 또는 복수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복수개의 렌즈(610)는 일정 피치(P)만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에는 복수개의 렌즈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렌즈(610)는 상기 렌즈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부품이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렌즈(610)는 렌즈 마운터(62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는 렌즈 가이드로 명명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은 렌즈 마운터(620)에 체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은 렌즈 마운터(620)에 대해 투광 커버(50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은 렌즈 마운터(620)의 하측에 체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은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플렉시블 기판(63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은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에는 복수개의 광 소자(631)가 구비될 수 있다. 각 광 소자(631)는 각 렌즈(610)를 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렌즈 마운터(620)에는 광 소자(631)와 렌즈(610)의 사이에 위치한 통로(621)가 형성될 수 있고, 광 소자(631)는 상기 통로(621)를 통해 렌즈(610)를 향할 수 있다. 상기 통로(621)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100)가 에미터로 작용하면 광 소자(631)는 발광 소자일 수 있다. 광 소자(631)의 빛은 렌즈 마운터(620)의 통로(621)와, 렌즈(610)와, 투광 커버(5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센서(100)의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센서(100)가 리시버로 작용하면 광 소자(631)는 수광 소자일 수 있다. 센서(100) 외부의 빛은 투광 커버(500), 렌즈(610) 및 렌즈 마운터(620)의 통로(6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광 소자(631)로 입사될 수 있다.
고정 커버(640)는 플렉시블 기판(630)을 렌즈 마운터(6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커버(640)는 렌즈 마운터(620)와 체결될 수 있고, 플렉시블 기판(630)은 렌즈 마운터(620)와 고정 커버(64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각 고정 커버(640)는 각 광 소자(63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커버(640)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커버(640)가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절연 시트(650)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시트(650)는 플렉시블 기판(630)의 고정을 보조하고 플렉시블 기판(630)을 보호할 수 있다. 절연 시트(650)는 복수개의 고정 커버(640)를 하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절연 시트(650)는 복수개의 고정 커버(640)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650)는 플렉시블 기판(630) 중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고정 커버(640) 사이로 노출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메인 기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센서(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인 기판(7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하우징(200)에 내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기판(700)의 일부는 본체(3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한 쌍의 엔드캡(4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기판(730)은 단일의 기판이거나,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기판의 조합일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광 가이드 유닛(600)에 대해 투광 커버(50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광 가이드 유닛(6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메인 절연 시트(7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메인 절연 시트(710)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절연 시트(710)는 메인 기판(700)을 보호할 수 있다. 메인 절연 시트(710)는 메인 기판(700)을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메인 기판(700)은 광소자(631)가 구비된 플렉시블 기판(6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플렉시블 케이블(660)은 광소자(631)가 구비된 플렉시블 기판(630)과 메인 기판(700)을 연결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660)는 절연 시트(650)와 메인 절연 시트(710)의 사이를 지날 수 있고, 절연 시트(650) 및 메인 절연 시트(710)와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서포터(7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720)는 엔드캡(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720)는 메인 기판(700)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터(720)는 한 쌍의 엔드캡(400) 각각의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서 엔드 커버 및 투광 커버를 분리시킨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드 커버 및 투광 커버가 분리된 센서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100)는 투광 커버(500)를 하우징(200)에 부착시키는 커버 실링(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투광 커버(500)의 일면(예를 들어, 저면)의 가장자리에 접착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투광 커버(500)와 하우징(200)을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버 실링(800)은 폴리우레탄계(polyurethane)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커버 실링(800)은 탄성을 가지므로, 하우징(200)과 투광 커버(500) 사이의 틈을 신뢰성있게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 실링(800)이 고무나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센서(100)가 컴팩트해질 수 있고, 투광 커버(500)의 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부착 방식에 비해 다양한 기후적 환경 조건에서도 높은 밀폐 신뢰성을 갖는다. 또한, 접착제가 경화되어 커버 실링(800)을 형성하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양한 타입의 센서(100)를 커버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하우징(200)에는 커버 실링(800)이 배치된 커버 실링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실링(800)은 커버 실링홈(221)과 투광 커버(5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 실링홈(221)은 커버 실링(800)과 마찬가지로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실링홈(221)은 본체(300)에 형성된 제1커버 실링홈(321)과, 한 쌍의 엔드캡(400)에 형성된 제2커버 실링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0)의 양단부에 한 쌍의 엔드캡(400)이 체결되면 제1커버 실링홈(321)과 제2커버 실링홈(421)은 연결되어 커버 실링홈(22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가 하우징(2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엔드캡(400)에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대략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체결부재(C1)(예를 들어, 스크류 또는 볼트)는 엔드 커버(480)에 형성된 체결공(481)을 관통하여 엔드캡(400)에 형성된 체결홈(440)에 체결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투광 커버(500)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회피홈(482)이 형성될 수 있다. 투광 커버(500)의 단부는 회피홈(482)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투광 커버(500)의 단부는 엔드캡(400)과 엔드 커버(480)의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엔드캡(400)에는 엔드 커버(480)에 의해 커버되는 관통부(44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441)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일 수 있다.
일 엔드캡(400A)의 관통부(441)는 제1엔드 커버(480A)에 구비된 상태표시부(19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엔드캡(400)에 내장된 광원은 관통부(441)를 통해 상태 표시부(490)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일 엔드캡(400)의 관통부(441)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캡(441)(cap)이 피팅될 수 있다. 광원의 빛은 캡(441)을 지나며 확산될 수 있다.
타 엔드캡(400B)의 관통부(441)는 메인 기판(700)(도 3 참조)에 구비된 전장 부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장 부품은 리플렉터, 커넥터 또는 제어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엔드 커버(480B)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표시부가 구비되고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리플렉터(E1)는 관통공(441)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 FND(Flexible Numeric Display)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2엔드 커버(480B)만을 분리하고 관통공(441)을 통해 메인 기판(700)에 구비된 커넥터(E2) 및/또는 제어 스위치(E3)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엔드 커버(480)는 본체(300)와 엔드캡(400)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C2)를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센서(100)의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 가이드 유닛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렉시블 기판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복수개의 렌즈(610) 간의 피치(P)는 렌즈 마운터(62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렌즈 마운터(620)에 형성된 렌즈 안착부 간의 거리에 따라 복수개의 렌즈(610) 간의 피치(P)가 결정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에 구비된 복수개의 광 소자(631)는, 렌즈 마운터(620)에 장착된 복수개의 렌즈(610)를 각각 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광 소자(631) 간의 피치(P)는 복수개의 렌즈(610) 간의 피치(P)와 동일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의 일부는 휘어지거나 절곡될 수 있고, 이로써 플렉시블 기판(630)에 구비된 복수개의 광 소자(631)가 간의 피치(P)가 조절될 수 있다.
다만, 플렉시블 기판(630) 전체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플렉시블 기판(630)은 벤딩부(63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시블 기판(630)은 플랫부(632)(flat portion) 및 벤딩부(633)(bending portion)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플랫부(632)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랫부(632)에는 광 소자(631)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랫부(632)는 렌즈 마운터(620)와 고정 커버(6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고정 커버(640)는 플랫부(632)를 렌즈 마운터(6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벤딩부(633)는 서로 이웃한 한 쌍의 플랫부(632)를 연결할 수 잇다. 벤딩부(633)는 휘어지거나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633)의 길이는, 서로 이웃한 한 쌍의 플랫부(632) 사이의 거리(D)보다 길 수 있다. 즉, 벤딩부(633)의 굽힘 정도에 따라 서로 이웃한 한 쌍의 플랫부(632) 사이의 거리(D)가 결정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한 한 쌍의 플랫부(632) 사이의 거리(D)는, 벤딩부(633)가 평평해질수록 벤딩부(633)의 길이에 가까워질 수 있다.
플랫부(632)는 복수개일 수 있고, 벤딩부(633)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630)은 3개의 플랫부(632)와 2개의 벤딩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플랫부(632)에는 보강판(636)이 부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플랫부(632)의 일면에는 광 소자(631)가 구비될 수 있고, 타면에는 보강판(636)이 부착될 수 있다. 보강판(636)은 플랙시블 기판(630)보다 하드(hard)한 재질일 수 있다. 보강판(636)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플랫부(63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판(636)은 고정 커버(640)에 접할 수 있다. 즉, 보강판(636)은 플랫부(632)와 고정 커버(6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판(636)은 고정 커버(640)에 의해 플랫부(63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 커버(640)에 의한 플랫부(632)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630), 좀 더 상세히는 플랫부(632)에는 후크(624)(도 10 참조)가 통과하는 개구(632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632a)는 복수개일 수 있다.
광 소자(631)는 플랫부(632)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고, 개구(632a)는 광 소자(631)와 플랫부(632)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부(632)에 부착된 보강판(636)에는 후크(624)(도 10 참조)가 통과하는 서브 개구(636a)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개구(636a)는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개구(632a) 및 서브 개구(636a)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벤딩부(633)에도 개구(633a)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벤딩부(633)에 형성된 개구(633a)에는 렌즈 마운터(620)의 후크(624)가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플랫부(632)에 형성된 개구(632a)와 벤딩부(633)에 형성된 개구(633a)는 동일한 직경 및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개구(632a)(633a)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부분을 구부려 플렉시블 기판(630)을 렌즈 마운터(62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렌즈(610) 간 피치(P)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렌즈 마운터(620)에 대해 동일한 타입의 플렉시블 기판(630)을 호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플랙시블 기판(63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플렉시블 기판(63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플랙시블 기판(630)에는 커넥터(638) 및 접속 단자(639)가 구비될 수 있고, 일 플렉시블 기판(630A)의 접속 단자(639)는 타 플렉시블 기판(630B)의 커넥터(638)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케이블이나 수 커넥터(male connector)없이 복수개의 플렉시블 기판(63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플렉시블 기판(360)은 커넥터(638)가 구비된 제1연결부(634)와, 접속 단자(639)가 구비된 제2연결부(6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634)는 플랫부(6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634)는 고정 커버(640)와 절연 시트(650)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연결부(634)는 플랫부(632)에서 절연 시트(650)를 향해 절곡된 제1절곡부(634a)와, 상기 제1절곡부(634a)의 단부에서 고정 커버(640)와 절연 시트(650)의 사이로 연장된 제1연장부(63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634a)는 서로 이웃한 한 쌍의 고정 커버(640)의 사이를 지날 수 있다. 일례로, 제1절곡부(634a)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634b)는 제1절곡부(634a)의 단부에서 절곡될 수 있다. 제1연장부(634b)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634b)에는 커넥터(638)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638)는 접속 단자(639)가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일 수 있다. 커넥터(638)는 제1연장부(634b)와 절연 시트(6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부(634)에는 보강판(637)이 부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연장부(634b)의 일면에는 커넥터(638)가 구비될 수 있고 타면에는 보강판(637)이 부착될 수 있다.
보강판(637)은 플랙시블 기판(630)보다 하드(hard)한 재질일 수 있다. 보강판(637)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제1연장부(634b)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판(637)의 일부는 제1연장부(634b)와 고정 커버(6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판(637)은 제1연장부(634b)가 고정 커버(640)에 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연결부(635)는 플랫부(6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부(634)와 제2연결부(635)는 각각 서로 다른 플랫부(63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플렉시블 커버(630A)의 제2연결부(635)의 적어도 일부는, 타 플렉시블 커버(630B)의 제1연결부(634)와 절연 시트(6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연결부(635)는 플랫부(632)에서 절연 시트(650)를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635a)와, 상기 제2절곡부(635a)의 단부에서 타 플렉시블 커버(630B)의 제1연결부(634)와 절연 시트(650)의 사이로 연장된 제2연장부(6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절곡부(635a)는 서로 이웃한 한 쌍의 고정 커버(640)의 사이를 지날 수 있다. 일례로, 제2절곡부(635a)는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부(635b)는 제2절곡부(635a)의 단부에서 절곡될 수 있다. 제2연장부(635b)는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부(635b)에는 접속 단자(639)가 구비될 수 있다. 접속 단자(639)는 커넥터(638)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 단자(639)는 제2연장부(635b)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절연 시트(650)는 고정 커버(640)와, 벤딩부(633)와, 제1연결부(634)와, 제2연결부(635)를 함께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650)는 접속 단자(639)가 연결된 커넥터(638)를 커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마운터와 고정 커버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커버의 평면도이다.
고정 커버(640)는 렌즈 마운터(620)에서 돌출 형성된 후크(624)에 체결될 수 있다. 후크(624)는 렌즈 마운터(620)에서 투광 커버(500)의 반대편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렌즈 마운터(620)에는 플렉시블 기판(630), 좀 더 상세히는 플랫부(632)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623)가 구비될 수 있고, 후크(624)는 돌출부(623)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랫부(632)의 일면(예를 들어, 상면)은 돌출부(623)에 접하거나 인접할 수 있다. 돌출부(623)에 의해 광 소자(631)와 렌즈(610) 간 거리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의 돌출부(623)는 개구(632a)를 통과하지 않는 크기일 수 있다. 렌즈 마운터(620)의 후크(624)는 플렉시블 기판(630)에 형성된 개구(632a)를 통과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후크(624)는 플랫부(632)에 형성된 개구(632a) 및 보강판(636)에 형성된 서브 개구(636a)를 통과하여 고정 커버(640)에 체결될 수 있다.
각 고정 커버(640)에는 복수개의 후크(624)가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각 고정 커버(640)에는 4개의 후크(624)가 체결될 수 있다.
고정 커버(640)에는 후크(624)가 걸리는 걸림홀(64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커버(640)에는 복수개의 걸림홀(64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커버(640)에는, 고정 커버(640)의 둘레면에서부터 걸림홀(64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걸림홀(641)과 연통된 절개홈(64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홀(641)의 내둘레는, 플렉시블 기판(630)에서 멀어질수록 후크(624)에 가까워지게 경사진 경사면(642)과, 상기 경사면(642)의 내측 가장자리와 반경 방향으로 단차진 단차면(64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641)의 내둘레는 경사면(642)의 내측 가장자리와 단차면(643)을 연결하는 연결면(6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크(624)는 돌출부(623)에서 돌출된 돌출바(625)와, 돌출바(625)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626)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바(625)는 경사면(642) 및 연결면(644)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걸림부(626)는 단차면(64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경사면(642)는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642)은 보강판(636)의 서브 개구(636a)와 연통될 수 있다.
후크(624)와 고정 커버(640)의 체결 시, 후크(624)의 걸림부(626)는 경사면(642)을 가압하고, 이로써 고정 커버(640)의 절개홈(645)이 벌어질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626)는 경사면(642)의 내측에서 단차면(643)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고정 커버(64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벌어졌던 절개홈(645)이 다시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656)는 단차면(643)의 내측에 구속될 수 있다. 이로써, 후크(624)에 고정 커버(640)가 용이하게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절개홈(645)은 걸림홀(641)부터 고정 커버(640)의 외둘레까지 절개된 제1절개홈(646)과, 걸림홀(641)부터 고정 커버(640)에 형성된 보조홀(648)까지 절개된 제2절개홈(64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절개홈(645)이 더 용이하게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의 확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일 렌즈 마운터의 양 단부를 각각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광 가이드 유닛(600)은 서로 체결된 복수개의 렌즈 마운터(620A)(620B)(620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렌즈 마운터(620A)(620B)(620C)는 일렬로 체결될 수 있다. 다만 광 가이드 유닛(600)에 포함된 렌즈 마운터(6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복수개의 렌즈 마운터(620A)(620B)(620C)는 제1렌즈 마운터(620A)와, 제2렌즈 마운터(620B)와, 제3렌즈 마운터(62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렌즈 마운터(620B)의 일 단부에는 제1렌즈 마운터(620A)의 단부가 체결될 수 있고, 제2렌즈 마운터(620B)의 타 단부에는 제3렌즈 마운터(630C)의 단부가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렌즈 마운터(620)의 일 단부의 양측에는 연결홈(627)이 형성될 수 있고, 타 단부의 양측에는 연결 후크(628)가 형성될 수 있다. 일 렌즈 마운터(620)의 연결 후크(628)는 타 렌즈 마운터(620)의 연결홈(627)에 끼워질 수 있다. 이로써 일 렌즈 마운터(620)와 타 렌즈 마운터(620)를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홈(627)은 렌즈 마운터(620)의 일 단부의 양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홈(627)은 렌즈 마운터(62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627)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는 타 렌즈 마운터(620)의 연결 후크(628)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브(627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627a)는 렌즈 마운터(620)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렌즈 마운터(6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후크(628)는 렌즈 마운터(620)의 타 단부의 양측면에 연결되며 렌즈 마운터(6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후크(628)은 렌즈 마운터(62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후크(628)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별도의 체결부재나 공구 없이도 복수개의 렌즈 마운터(620)를 용이하게 직접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복수개의 렌즈 마운터(620)를 필요한 개수만큼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광 가이드 유닛(600)의 확장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각 렌즈 마운터(620)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촉 돌기(629)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접촉 돌기(629)는 렌즈 마운터(620)의 양 단부 중 연결 후크(628)가 형성된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돌기(629)는 렌즈 마운터(62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렌즈 마운터(620)의 접촉 돌기(629)는 타 렌즈 마운터(620)의 단부에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서로 체결된 복수개의 렌즈 마운터(620)가 길이 방향에 대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광 가이드 유닛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600')는 복수개의 렌즈(610) 사이의 피치(P')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광 가이드 유닛(600)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600')와 앞서 설명한 광 가이드 유닛(600)(도 6 참조)는 동일한 플렉시블 기판(630)을 사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600')에 포함된 플렉시블 기판(630)의 벤딩부(633)는, 앞서 설명한 광 가이드 유닛(600)에 포함된 플렉시블 기판(630)의 벤딩부(633)보다 더 많이 휘어지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 유닛(600')의 광 소자(631) 간 피치(P')는, 앞서 설명한 광 가이드 유닛(600)의 광 소자(631)간 피치(P)보다 짧을 수 있다.
즉, 벤딩부(633)의 휘어지거나 절곡된 정도에 따라 복수개의 광 소자(631) 간의 피치(P)가 간단히 조절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상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며, 빛이 투과하는 투광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커버를 향하는 렌즈;
    상측에 상기 렌즈가 장착되고, 저면에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하단에서 더 연장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렌즈 마운터;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안착되고, 상기 후크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는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시블 기판;
    상기 렌즈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 소자;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관통한 상기 후크에 결합되어,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일부분을 상기 렌즈 마운터에 평평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 부착되고 상기 후크가 통과하는 서브 개구가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고정 커버의 사이에 위치한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 및 광 소자가 구비된 플랫부; 및
    서로 이웃한 한 쌍의 플랫부를 연결하며 휘어지거나 절곡된 벤딩부를 포함하는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부에는,
    상기 고정 커버와 접하며 상기 후크가 통과하는 서브 개구가 형성된 보강판이 부착된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커버에는,
    상기 고정 커버의 둘레면에서부터 상기 걸림홀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과 연통된 절개홈이 더 형성된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의 내둘레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후크에 가까워지게 경사진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내측 가장자리와 반경 방향으로 단차진 단차면을 포함하는 센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에는 커넥터 및 접속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일 플렉시블 기판의 접속 단자는 타 플렉시블 기판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센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 커버는 상기 렌즈 마운터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센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 커버의 사이를 커버하는 절연 시트를 더 포함하는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커넥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커버와 상기 절연 시트의 사이를 통과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커버와 상기 제1연결부의 사이에 위치한 보강판이 부착된 센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은 상기 접속 단자가 구비된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일 플렉시블 기판의 제2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는 타 플렉시블 기판의 제1연결부와 상기 절연 시트의 사이에 위치한 센서.
KR1020200026520A 2020-03-03 2020-03-03 센서 KR10234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520A KR102341530B1 (ko) 2020-03-03 2020-03-03 센서
PCT/KR2020/017889 WO2021177556A1 (ko) 2020-03-03 2020-12-08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520A KR102341530B1 (ko) 2020-03-03 2020-03-03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499A KR20210111499A (ko) 2021-09-13
KR102341530B1 true KR102341530B1 (ko) 2021-12-22

Family

ID=7761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520A KR102341530B1 (ko) 2020-03-03 2020-03-03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1530B1 (ko)
WO (1) WO20211775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208A (ja) * 1999-10-29 2001-05-18 Sunx Ltd 多光軸光電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6478B4 (de) * 2004-09-30 2019-03-14 Omron Corp. Photoelektrischer Mehrstrahl-Sensor
KR100627237B1 (ko) * 2005-04-18 2006-09-25 주식회사 한영넉스 에리어 센서
JP4628402B2 (ja) 2007-06-29 2011-02-09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電センサ及び光電センサ用発光装置
KR101219193B1 (ko) * 2011-06-10 2013-01-09 주식회사 아모럭스 조명용 엘이디 구조체
KR102350915B1 (ko) * 2016-07-06 2022-01-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6763222B2 (ja) 2016-07-13 2020-09-30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208A (ja) * 1999-10-29 2001-05-18 Sunx Ltd 多光軸光電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556A1 (ko) 2021-09-10
KR20210111499A (ko)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94736C (en) Fire detector
US10621845B2 (en) Alarm device
TWI449073B (zh) 牆壁開關裝置
US10790652B2 (en) Operation device
JP6861312B2 (ja) 火災感知器
US10790651B2 (en) Operation device
KR102104475B1 (ko) 도어 스위치
KR102341530B1 (ko) 센서
US11270853B2 (en) Flat switch
EP3047202A1 (en) Compact lighting system with leds
CN108870195B (zh) 室内照明灯
US6727825B2 (en) Structure of string resistor body in an operation panel device
KR20190103814A (ko)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6655B1 (ko) 센서
US11821785B2 (en) Optical sensor assembly and front cover of optical sensor assembly
JP2006173228A (ja) 受光装置
CN111292988A (zh) 功能组件、组合件、安装组件及电子设备
CN108068731B (zh) 集成有电容型手势识别模块的车顶控制台
JP4085277B2 (ja) 火災報知設備用機器
US11035554B2 (en) Motion sensitive lamp with coupling mechanism
US11812573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voiding simultaneous use of power supplies having different terminal structures from each other
EP3525350B1 (en) Door switch
KR102211429B1 (ko)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
JP4854085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GB2617800A (en) Heat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