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237B1 - 에리어 센서 - Google Patents

에리어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237B1
KR100627237B1 KR1020050032017A KR20050032017A KR100627237B1 KR 100627237 B1 KR100627237 B1 KR 100627237B1 KR 1020050032017 A KR1020050032017 A KR 1020050032017A KR 20050032017 A KR20050032017 A KR 20050032017A KR 100627237 B1 KR100627237 B1 KR 100627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rea sens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elem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to KR102005003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Abstract

본 발명은 에리어 센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스의 일면 양측부에 각각 통과홈을 형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에리어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전면에 복수의 광축이 형성되고, 상기 광축의 일측으로 표시창이 형성되며 후면 양측부에 통과홈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광축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렌즈와, 상기 렌즈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소자베이스와, 상기 소자베이스에 적층됨과 아울러 연결된 전선이 상기 통과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적층되는 쉴드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이다.
케이스, 렌즈, 소자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쉴드판, 덮개

Description

에리어 센서{AREA SENSOR}
도 1은 종래에 따른 에리어 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에리어 센서의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에리어 센서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리어 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리어 센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리어 센서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리어 센서의 배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광축
12: 표시창 13; 통과홈
20: 렌즈 30: 소자베이스
40: 인쇄회로기판 50: 쉴드판
60: 덮개
본 발명은 에리어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일면 양측부에 각각 통과홈을 형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에리어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리어 센서는 다수의 광원(Multi beam)을 사용하여 특정 영역(area) 검출을 목적으로 하는 범용 포토센서의 확장으로서 산업 현장의 영역 검출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에리어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축(1a)이 형성되고, 상기 광측(1a)의 일측에 표시창(1b)이 결합되어진 케이스(1)와, 상기 광축(1a)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렌즈(2)와, 상기 렌즈(2)가 본딩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고정되는 소자베이스(3)와, 상기 소자베이스(3)에 적층되어 회로가 인쇄되어진 인쇄회로기판(4)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에 적층되는 쉴드판(5)과, 상기 케이스(1)의 양측에 결합되는 마감커버(6)(7)와, 상기 마감커버(6)(7) 사이에 고정되는 덮개(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자베이스(3)는 도전성 페인트를 도포하여 정전기 등을 차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에 표시창(1b)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표시창에 U.V 접착제를 바른 상태에서 케이스(1)에 고정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표시창(1b)이 케이스(1)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에 결합되는 마감커버(6)(7) 중 어느 하나에는 인쇄회 로기판(4)에 연결되어진 전선이 통과하는 통과홈(7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에리어 센서는 인쇄회로기판(4)에 연결된 전선이 마감커버(7)의 통과홈을 통해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센싱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리어 센서는 케이스(1)에 별도의 마감커버(6)(7)가 조립하여야 되고, 상하측으로 서로 다른 마감커버(6)(7)를 고정함으로서,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에리어 센서는 소자베이스(3)에 도전성 페인트를 도포하도록 하고, 케이스(1)에 표시창(1b)을 고정하기 위해서 표시창(1b)에 U.V 접착제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여 제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스의 일면 양측부에 각각 통과홈을 형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에리어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내측에서 통과창을 결합하도록 하고,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소자베이스에 니켈도금하도록 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에리어 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복수의 광축이 형성되고, 상기 광축의 일측으로 표시창이 설치되며, 후면 양측부에 통과홈이 각각 형성된 케이 스와, 상기 광축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렌즈와, 상기 렌즈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소자베이스와, 상기 소자베이스에 적층됨과 아울러 연결된 전선이 상기 통과홈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적층되는 쉴드판과,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창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끼워맞춤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자베이스는 니켈도금하여 도전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리어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리어 센서는 전면에 복수의 광축(11)이 형성되고, 상기 광축(11)의 일측으로 표시창(12)이 설치되며, 후면 양측부에 통과홈(13)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광축(11)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렌즈(20)와, 상기 렌즈(20)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소자베이스(30)와, 상기 소자베이스(30)에 적층됨과 아울러 연결된 전선이 상기 통과홈(1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인쇄회로기판(4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 적층되는 쉴드판(50)과,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덮개(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케이스(10)의 양측부에 통과홈(13)을 각각 형성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마감커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수광부와 발광부에 따라 어느 위치로도 전선을 인출하도록 하여 설치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창(12)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끼워맞춤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U.V 접착제 등의 도포 및 자외선의 조사등이 필요없어 제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자베이스(30)는 니켈도금하여 도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으로서, 외부노이즈를 차단하게 된다.
즉, 인쇄회로기판(40)의 일측은 니켈도금한 소자베이스(30)가 위치되고, 타측에는 쉴드판(50)이 위치시켜 외부 노이즈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광축(11)은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4광축으로 도시하였지만, 8광축, 12광축, 16광축 및 20광축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리어 센서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표시창(12)을 끼워맞춤하게 되고, 광축(11)에 렌즈(20)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광축(11)에 렌즈(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소자베이스(30)를 케이스(10) 내부에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소자베이스(30)는 니켈도금하여 제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자베이스(30)의 상측에 인쇄회로기판(40)을 안착시키게 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서 연결되어진 전선을 케이스(10)의 양측에 형성된 통과홈(13) 중 어느 일측을 통해 외부로 인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40)의 상측에는 쉴드판(50)을 결합시켜 소자베이스(30)와 함께 외부 노이즈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쉴드판(50)의 상측으로 덮개(60)를 고정하게 되면 에리어 센서의 조립이 완성되고, 이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에리어 센서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분되어지고,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고, 다수의 광원(Multi beam)으로 특정 영역(area) 검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리어 센서는 케이스의 일면 양측부에 각각 통과홈을 형성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리어 센서는 케이스의 내측에서 통과창을 결합하도록 하고,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소자베이스에 니켈도금하도록 하여 제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3)

  1. 전면에 복수의 광축(11)이 형성되고, 상기 광축(11)의 일측으로 표시창(12)이 설치되며, 후면 양측부에 통과홈(13)이 각각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광축(11)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렌즈(20)와,
    상기 렌즈(20)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소자베이스(30)와,
    상기 소자베이스(30)에 적층됨과 아울러 연결된 전선이 상기 통과홈(13)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인쇄회로기판(4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40)에 적층되는 쉴드판(50)과,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덮개(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리어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12)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리어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베이스(30)는 니켈도금하여 도전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리어 센서.
KR1020050032017A 2005-04-18 2005-04-18 에리어 센서 KR10062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17A KR100627237B1 (ko) 2005-04-18 2005-04-18 에리어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017A KR100627237B1 (ko) 2005-04-18 2005-04-18 에리어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237B1 true KR100627237B1 (ko) 2006-09-25

Family

ID=3762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017A KR100627237B1 (ko) 2005-04-18 2005-04-18 에리어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2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80B1 (ko) 2006-06-23 2007-11-22 주식회사 한영넉스 에리어 센서
WO2021177556A1 (ko) * 2020-03-03 2021-09-10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597A (ja) 1999-11-30 2001-06-08 Sunx Ltd 多光軸光電スイッチ
JP2003037284A (ja) 2001-07-25 2003-02-07 Keyence Corp 多光軸光電センサ及びこれに含まれる投光器及び受光器
JP2003317586A (ja) 2002-04-25 2003-11-07 Sunx Ltd 多光軸光電センサの投光ユニット及び受光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5597A (ja) 1999-11-30 2001-06-08 Sunx Ltd 多光軸光電スイッチ
JP2003037284A (ja) 2001-07-25 2003-02-07 Keyence Corp 多光軸光電センサ及びこれに含まれる投光器及び受光器
JP2003317586A (ja) 2002-04-25 2003-11-07 Sunx Ltd 多光軸光電センサの投光ユニット及び受光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80B1 (ko) 2006-06-23 2007-11-22 주식회사 한영넉스 에리어 센서
WO2021177556A1 (ko) * 2020-03-03 2021-09-10 주식회사 오토닉스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8307B2 (en) Infrared ray detector
CN103502862A (zh) 光学连接器
KR20130046341A (ko) 적외선 터치 스크린용 프레임 부품 및 적외선 터치 스크린
KR100627237B1 (ko) 에리어 센서
JPH1145155A (ja) タッチスイッチ装置
US20120162135A1 (en) Optical touch apparatus
JP2023507945A (ja) 太陽電池パネルが装着可能なルーバー組立体
JP2019158877A (ja) 放射センサ、車両センサ装置、および組立方法
JP5645237B2 (ja) 赤外線検出器
JP5537840B2 (ja) 光センサ
JP2009110815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0215836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111510522B (zh) 屏幕边框、显示屏模组和终端
WO2019176284A1 (ja) 限定反射型センサ
JP4125422B2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
WO2017024437A1 (en) Optical fingerprint imaging system and optical assembly thereof
CN210515594U (zh) 一种光电式烟感迷宫
JP3926808B2 (ja) 導光体及び光学的位置検出装置
ES2906256T3 (es) Soporte de componentes con cámaras de contacto para un dispositivo optoelectrónico
JP5103207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その取付構造およびその取付部材
JPS6262235A (ja) ピロ電気式検出器
KR100862117B1 (ko) 연기식 화재감지기
JP3862743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WO2011013510A1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3684604B2 (ja) 光電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