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521A -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9521A KR20210059521A KR1020190147059A KR20190147059A KR20210059521A KR 20210059521 A KR20210059521 A KR 20210059521A KR 1020190147059 A KR1020190147059 A KR 1020190147059A KR 20190147059 A KR20190147059 A KR 20190147059A KR 20210059521 A KR20210059521 A KR 202100595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inner space
- pressure sensor
- outside
- sensing el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하우징(10)이 외관을 형성하고,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 센싱소자(32)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을 차폐하는 커버(36)에 일체로 형성된 튜브연결부(38)의 일직선으로 된 연통로(39)를 통해 전달된 압력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의 압력 균형을 맞추기 위해 벤트유로(14)가 있다. 상기 벤트유로(14)는 서로 직교하는 연결유로부(16)와 확개유로부(18)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유로부(16)의 입구에는 멤브레인(35)이 설치되어 공기만 벤트유료(14)를 통해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확개유로부(18)는 하우징(10) 바닥의 보강리브(24) 사이로 개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센서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튜브의 변형에 따른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는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장치들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들은 주로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것이 대부분이나, 최근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장치도 채용되고 있다. 즉,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했을 때, 머리나 상체가 차체에 2차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행자보호용 에어백이 그것이다.
보행자가 자동차에 충돌할 때는 일반적으로 범퍼에 하체 부분이 먼저 충돌하게 되고, 자동차의 진행 및/또는 보행자의 넘어짐이 발생하면서 보행자의 머리와 상체가 차체에 2차로 충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범퍼에 보행자가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 신호를 기초로 프론트 윈드쉴드 글래스 근처에서 에어백이 나오도록 하여 보행자의 머리를 포함한 상체가 차체에 충돌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범퍼의 내부에 범퍼를 따라 연장되는 튜브를 두고, 상기 튜브의 양단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보행자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발생하는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변화를 상기 압력센서가 검출하여 보행자의 충돌을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센서에서는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이 평상시에 대기압으로 맞춰져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압력센서 내부를 통과하는 유로를 통해 튜브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켜 튜브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맞추는 경우, 압력센서 내부를 통과하는 벤트유로를 포함하는 유로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막혀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벤트유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력이 벤트유로에 설치된 멤브레인에 작용하여 멤브레인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튜브와 센싱소자 사이의 연통로가 일직선으로 되지 않아 튜브에서 전달되어 오는 유체의 압력변화가 유체의 유동손실에 의해 상대적으로 늦게 센싱소자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센서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벤트유로에 대한 외부에서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센서의 벤트유로 출구측에서 이물질이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센서를 구성하는 부품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튜브에서 발생하는 압력변화가 센싱소자로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바닥에 장착편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된 튜브연결부와,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공기만이 유동되도록 하는 벤트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로로 전달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싱소자와,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유로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연결유로부와, 상기 연결유로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확개유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유로부의 입구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벤트유로 사이에서 공기만이 통과되게 하는 멤브레인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유로부와 확개유로부는 직교한다.
상기 확개유로부는 유동단면적이 하류로 갈수록 넓어지게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튜브연결부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연결부 내부의 연통로는 상기 센싱소자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통로의 출구와 상기 센싱소자의 사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시일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센싱소자로 압력변화가 전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바닥에 장착편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차폐하고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튜브연결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로로 전달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싱소자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공기만이 유동되도록 하는 벤트유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벤트유로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연결유로부와, 상기 연결유로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유로부와 직교하는 확개유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확개유로부는 유동단면적이 하류로 갈수록 넓어지게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확개유로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보강리브의 사이 공간으로 하류부가 개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압력센서의 하우징에 형성된 장착편에 의해 압력센서가 자동차에 장착되는데, 상기 장착편과 자동차의 장착부가 마주보는 쪽으로 벤트유로가 개방되어 있어서 외부에서 벤트유로로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사용중이 아닌 물류중에도 상기 벤트유로가 서로 직교하는 연결유로부와 확개유로부로 형성되어 있어, 연결유로부에 있는 멤브레인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트유로의 확개유로부의 내면이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사를 가지고, 그 경사영역중 일부는 중력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므로 이물질들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벤튜유로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커버에 튜브와의 연결을 위한 튜브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는 하우징과 별개로 만들어져서 초음파용착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어서, 커버에 튜브연결부를 둠에 의해 사출성형시에 하우징의 제조를 위한 금형이 간소화될 수 있어, 압력센서의 하우징과 커버의 제조를 위한 금형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범퍼에 설치되는 튜브와 연결되는 연통로가 센싱소자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튜브 내에 있는 유체의 압력변화의 전달에 손실이 최소화된다. 즉, 유체의 흐름경로인 연통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므로 유체의 압력변화를 센싱소자가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D3-D3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압력센서를 장착부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D5-D5선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D3-D3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압력센서를 장착부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D5-D5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압력센서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을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선단 쪽으로 개방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6)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한 벤트유로(14)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다. 상기 벤트유로(14)는 상기 내부공간(12)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 즉 하우징(10)의 바닥쪽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벤트유로(14)는 연결유로부(16)와 확개유로부(18)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유로부(16)는 상기 하우징(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확개유로부(18)는 상기 연결유로부(16)에 직교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에 해당되는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개유로부(18)는 그 출구가 하우징(10)의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확개유로부(18)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면이 경사면(19)으로되어 이물질이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면(19)의 경사에 의해 먼지나 수분 등이 외부로 잘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면(19)에 의해 상기 확개유로부(18)는 하류로 갈수록 유동단면적이 넓어진다.
상기 확개유로부(18)는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바닥에 해당되는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압력센서가 자동차에 장착되었을 때, 자동차의 장착부 표면과 마주보게 된다. 따라서, 압력센서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불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장착편(20)이 있다. 상기 장착편(20)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 양측에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장착편(20)에는 장착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22)에는 별도의 금속부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공(22)을 관통하여 체결볼트가 위치되어 자동차의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장착편(20)의 바닥과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24)들이 있다. 상기 보강리브(24)들은 자동차의 장착부 표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4)는 상기 장착편(20)과 하우징(1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리브(24)들 사이를 통해 상기 확개유로부(18)가 개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는 커넥터부(26)가 있다. 상기 커넥터부(26)에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어 압력센서에 측정한 압력변화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부(26)의 내부에는 삽입공간(28)이 있다. 상기 삽입공간(28)에는 터미널(30)의 일측이 위치된다. 상기 삽입공간(28)에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30)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공간(28) 내에 있지만, 상기 터미널(30)의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내에 있다. 상기 터미널(30)은 상기 내부공간(12)에서 센싱소자(32)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된다. 물론 상기 내부공간(12)에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이 있어서, 센싱소자(32)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터미널(30)이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어 전기적 연결이 수행될 수도 있다.
센싱소자(32)는 튜브에 가해진 충격에 따른 튜브 내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센싱소자(3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내에 위치된다. 상기 센싱소자(32)의 일측 표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시일(34)이 설치된다. 상기 시일(34)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이고 중앙을 관통하여 관통공(34')이 있다. 상기 시일(34)이 상기 센싱소자(32)의 일측 표면 가장자리를 둘러 밀착되고, 상기 관통공(34')을 통해서 튜브 내의 유체가 센싱소자(32)로 이동된다. 상기 시일(34)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는 상기 벤트유로(14)입구에 멤브레인(35)이 설치된다. 상기 멤브레인(35)은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수분 등 다른 이물질은 통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멤브레인(35)은 상기 내부공간(12)과 벤트유로(14)의 연결유로부(16) 사이에서 공기만이 유동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차폐하는 것은 커버(36)이다. 상기 커버(36)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입구형상과 대응되게 원형으로 된다. 상기 커버(36)는 원판형상으로 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입구를 차폐한다. 상기 커버(36)도 상기 하우징(10)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36)의 내면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통로파이프(37)가 있다. 상기 연통로파이프(37)는 상기 센싱소자(32)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연통로파이프(37)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튜브연결부(38)에 내에 형성된 연통로(39)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통로(39)는 튜브연결부(38)에 연결된 튜브에서 전달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가 된다. 상기 연통로(39)는 상기 시일(34)의 관통공(34')과 연통된다. 상기 연통로파이프(37)의 끝부분은 상기 시일(34)의 관통공(34') 가장자리에 밀착된다.
상기 커버(36)의 외면에는 튜브연결부(38)가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연결부(38)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연통로(39)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로(39)는 튜브와 상기 내부공간(12), 보다 정확하게는 시일(34)의 관통공(34')을 연통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터미널(30)이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된다. 물론 하우징(10)의 제조 후에 상기 터미널(3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30)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12) 내에 있고, 상기 터미널(30)의 타단부는 상기 커넥터부(26)의 삽입공간(28) 내에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터미널(30)의 타단부에 센싱소자(32)가 안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벤트유로(14)의 연결유로부(16) 입구에는 멤브레인(35)이 설치된다.
상기 센싱소자(32) 상에 시일(34)이 안착된다. 상기 시일(34)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4)에 형성된 가이드(도면부호 부여않음)에 의해 가장자리가 안내되어 설치된다. 상기 시일(34)이 센싱소자(32)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6)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입구에 장착되어 하우징(10)과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0)과 커버(36)의 결합은 초음파용착 등의 방법으로 가능하다.
상기 커버(36)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통로파이프(37)의 선단이 상기 시일(34)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로(39)가 상기 시일(34)의 관통공(34')을 통해 상기 센싱소자(32)와 직접 연결된다. 특히 상기 연통로(39)는 직선경로를 가져서 튜브에서의 압력변화가 센싱소자(32)로 거의 손실없이 그대로 전달되어 측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멤브레인(35)은 상기 내부공간(14)이 벤트유로(14)를 통해 외부로 연통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멤브레인(35)의 존재 때문에 벤트유로(14)를 통해서는 공기만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벤트유로(14)를 통해서는 외부의 압력과 상기 내부공간(12)의 압력이 동일하게 되도록 된다. 튜브에 충격이 가해져서 압력변화가 발생하여 상기 내부공간(12)의 압력변화가 발생하면, 상기 벤트유로(14)를 통해 외부와 균형을 맞추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공간(12)이 외부에 비해 압력이 높아지면 내부공간(12)의 공기가 상기 벤트유로(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튜브에 발생하는 압력변화는 상기 센싱소자(32)를 통해 감지되고, 이 것은 상기 커넥터부(26)에 결합되어 있는 상대 커넥터로 상기 터미널(30)을 통해 전달된다. 상대 커넥터가 전달받은 압력변화는 자동차의 제어부로 전달되어 필요한 동작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벤트유로(14)의 확개유로부(18)는 하류로 가면서 점차 유동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면(19)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확개유로부(18)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전달되면, 상기 연결유로부(16)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경사면(19)에 의해 확개유로부(18)의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수분이 상기 연결유로부(16)나 확개유로부(18)에서 응축되어 물방울로 되면 상기 확개유로부(18)를 통해서 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물과 먼지 등에 의해 상기 벤트유로(14)가 막히는 문제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하우징
12: 내부공간
14: 벤트유로 16: 연결유로부
18: 확개유로부 20: 장착편
22: 장착공 24: 보강리브
26: 커넥터부 28: 삽입공간
30: 터미널 32: 센싱소자
34: 시일 34': 관통공
36: 커버 38: 튜브연결부
39: 연통로
14: 벤트유로 16: 연결유로부
18: 확개유로부 20: 장착편
22: 장착공 24: 보강리브
26: 커넥터부 28: 삽입공간
30: 터미널 32: 센싱소자
34: 시일 34': 관통공
36: 커버 38: 튜브연결부
39: 연통로
Claims (10)
-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바닥에 장착편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형성된 튜브연결부와,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공기만이 유동되도록 하는 벤트유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로로 전달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싱소자와,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유로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연결유로부와, 상기 연결유로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확개유로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부의 입구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벤트유로 사이에서 공기만이 통과되게 하는 멤브레인이 설치되는 압력센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부와 확개유로부는 직교하는 압력센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유로부는 유동단면적이 하류로 갈수록 넓어지게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압력센서.
-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연결부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연결부 내부의 연통로는 상기 센싱소자까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압력센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의 출구와 상기 센싱소자의 사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시일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센싱소자로 압력변화가 전달되는 압력센서.
-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바닥에 장착편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를 차폐하고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로가 일직선으로 형성된 튜브연결부가 형성된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통로로 전달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싱소자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공기만이 유동되도록 하는 벤트유로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벤트유로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연결유로부와, 상기 연결유로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유로부와 직교하는 확개유로부를 포함하는 압력센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유로부는 유동단면적이 하류로 갈수록 넓어지게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압력센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유로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보강리브의 사이 공간으로 하류부가 개방되는 압력센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059A KR20210059521A (ko) | 2019-11-15 | 2019-11-15 | 압력센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059A KR20210059521A (ko) | 2019-11-15 | 2019-11-15 | 압력센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9521A true KR20210059521A (ko) | 2021-05-25 |
Family
ID=76145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7059A KR20210059521A (ko) | 2019-11-15 | 2019-11-15 | 압력센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5952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32776A (zh) * | 2021-07-20 | 2021-09-24 | 杭州慧亿科技有限公司 | 通风管道内风压检测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769B1 (ko) | 2014-04-01 | 2015-01-1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압력센서 |
-
2019
- 2019-11-15 KR KR1020190147059A patent/KR2021005952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3769B1 (ko) | 2014-04-01 | 2015-01-1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압력센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32776A (zh) * | 2021-07-20 | 2021-09-24 | 杭州慧亿科技有限公司 | 通风管道内风压检测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6046B1 (ko) | 압력센서 | |
US9470595B2 (en) | Apparatus for dry side mounting a crash pressure sensor | |
US7331238B2 (en) | Pressure detection device | |
US7454976B2 (en) | Pressure sensor for a vehicle | |
CN105180984B (zh) | 用于卡扣配合安装碰撞传感器的设备 | |
US6647793B2 (en) | Sensor module having a housing which can be fitted on a wall | |
US7605691B2 (en) | Collision detection system | |
JP4589855B2 (ja) | 衝突物保護装置 | |
CN100453367C (zh) | 探测碰撞用的压力传感器 | |
US20090038399A1 (en) | Pressure sensor | |
US9992882B2 (en) | Electronic control unit | |
US20070272029A1 (en) | Pressure sensor | |
KR102637239B1 (ko) | 차량용 압력감지장치 | |
KR20210059521A (ko) | 압력센서 | |
CN113226824A (zh) | 加速器装置 | |
KR101483769B1 (ko) | 압력센서 | |
US6000110A (en) | Buckle for safety belts in vehicles | |
KR102277840B1 (ko) | 압력센서 | |
US7143650B2 (en) | Pressure sensor | |
WO2012008174A1 (ja) | 車両のランプユニットの防水構造 | |
US10896792B2 (en) | Instrument panel structure | |
KR102676657B1 (ko) | 압력센서 | |
JP2009160958A (ja) | 衝突検出システム | |
JP2018122648A (ja) | チューブ式衝突検知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衝突検知装置 | |
US20240360704A1 (en) | Electronic switch subassembly to be assembled to an inner side of a vehicle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