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16B1 - 전도체 단자 - Google Patents

전도체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16B1
KR102146016B1 KR1020157021570A KR20157021570A KR102146016B1 KR 102146016 B1 KR102146016 B1 KR 102146016B1 KR 1020157021570 A KR1020157021570 A KR 1020157021570A KR 20157021570 A KR20157021570 A KR 20157021570A KR 102146016 B1 KR102146016 B1 KR 10214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ousing
section
actuating elemen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848A (ko
Inventor
한스-요제프 쾰만
볼프강 게르베르딩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1848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460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1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 H01R4/4836
    • H01R4/48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66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mounted in an insulating housing having a cover providing clamp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절연 재료 하우징(2)을 갖고, 상기 절연 재료 하우징(2) 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장전식 클램핑 연결부(11)를 갖고, 절연 재료 하우징(2)에 피벗 가능하게 수용되며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관련된 스프링-장전식 클램핑 연결부(11)를 개방하도록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3)를 갖는 전도체 단자(1)가 개시된다. 작동 요소(3)는 서로 이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벗 지지 영역(23)이 절연 재료 하우징(2)으로 진입하며, 상기 피벗 지지 영역(23)으로부터의 소정의 거리에서 레버 아암을 형성하도록 횡방향 연결부(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레버 아암 위치(7a, 7b)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장전식 연결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3)가 설치되는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측부 상의 절연 재료 하우징(2)의 외부 제한 벽(10)에 의해 덮이고 관련된 스프링-장전식 클램핑 연결부(11)에 인접한 측벽부(29a, 29b)는 상기 제한 벽(10)으로부터 절연 재료 하우징(2)의 내부로 양 측부 상에서 연장한다. 각각의 작동 요소(3)가 절연 재료 하우징(2)의 방향에서 하향으로 피벗되는 폐쇄 상태일 때 작동 요소(3)의 레버 아암부(7a, 7b)는 스프링-장전식 클램핑 연결부(9) 옆에 측방향으로 위치되는 관련된 측벽부(29a, 29b)에 인접한다.

Description

전도체 단자{CONDUCTOR TERMINAL}
본 발명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갖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력 클램핑 전도체를 구비하고, 또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 요소는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전도체를 개방하도록 설계된다.
이 유형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는 예를 들어 레버 작동식 소켓 클램프로 공지된다. 그러나, 이들은 임의의 다른 전기 장치 내의 회로 보드 클램프, 일련의 클램프, 또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DE 102 37 701 B4는 소형 케이지 클램프 스프링으로 형성된 접촉 인서트 및 편평한 방식으로 연장하는 공통 전류 레일을 갖는 레버 작동식 연결 클램프를 개시한다. 각각의 케이지 클램프 스프링을 개방하기 위해, 관절연결 끼움구(articulated spigot)를 갖는 배정된 작동 레버는 절연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작동 레버의 후방 단부면은 케이지 클램프 스프링에 의해 형성된 클램핑 위치를 개방하기 위해 케이지 클램프 스프링의 상부면에 작용한다. 슬릿이 각각의 경우 작동 레버의 하부면에 제공되고 상기 슬릿은 합성 재료로 형성되는 작동 레버의 내굴곡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DE 77 19 374 U1은 비나사식 연결 클램프를 개시하고,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는 작동 레버가 이 연결 클램프 내로 돌출하며, 작동 핑거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함으로써, U형의 만곡된 리프 스프링의 클램핑 림(limb)에 영향을 주어 전기 전도체를 위해 형성되는 클램핑 위치를 개방한다.
WO 2010/133082 A1은 선형으로 변위 가능하게 작동하는 가압 장치를 갖는 작동 회로 보드 연결 클램프를 개시하고, 가압 장치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위에 놓인 횡방향 연결편 및 그 위에서 인접하되 서로 이격되는 측방향 연결편을 포함한다. 측방향 연결편은 전류 레일 및 리프 스프링의 자유 클램핑 에지에 의해 전기 전도체에 대해 형성되는 클램핑 위치를 개방하기 위해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하고 U형 리프 스프링과 협동한다.
또한, DE 10 2010 024 809 A1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적어도 하나의 탄성 클램핑 유닛을 갖는 연결 클램프를 개시한다. 탄성 클램핑 유닛은 클램핑 위치를 개방하기 위해 탄성력에 대항하는 견인력을 사용하여 작동 섹션을 통해 작동될 수 있는 탄성 클램핑 요소를 포함한다. 견인력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에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면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의 자유 공간에 위치되는 작동 레버에 의해 작용된다.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는 작동 레버 아래에 위치되지만, 상기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는 작동 요소의 피벗 가능한 로킹 레버 및 그와 협동하는 작동 레버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접근이 불가능하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한 소형인 구성이면서 요구되는 공기 통로 및 누설 통로는 항상 계속 유지되는 소형 커넥터 연결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갖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 개시된다.
피벗 가능한 작동 요소를 갖는 일반적 유형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에 대해, 작동 요소가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을 포함하고, 이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은 서로 이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벗 지지 영역에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로 돌출하며, 피벗 지지 영역에서는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횡방향 연결편에 의해 레버 아암으로 연결되는 구성이 제안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가 그 위에 배열되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측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부 경계벽에 의해 덮이고, 각각의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에 대해 양 측부 상에서 인접하는 측방향 벽 섹션이 외부 경계벽으로부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추가로, 각각의 작동 요소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방향으로 하향 피벗된 폐쇄 상태일 때, 작동 요소의 레버 아암 섹션은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놓이는 각각의 배정된 측방향 벽 섹션에 인접하는 구성이 제안된다.
작동 요소를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 및 이들 측방향 벽 섹션들을 연결하는 횡방향 연결편을 갖는 U형 브래킷의 형태로 작동 요소를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피벗 레버가 제공되고, 상기 피봇 레버의 레버 아암 섹션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로 돌출한다.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섹션을 수용하는 횡방향 연결편과 레버 아암 섹션 사이에 피벗 레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자유 공간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상부면에 관해, 즉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가 배열되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면 상에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부 경계벽에 의해 덮인다. 외부 경계벽으로부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벽 섹션의 도움으로 공기 및 누설 통로가 크게 증가되고, 상기 측방향 벽 섹션은 각각의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에 인접한 양 측부 상에 놓인다. 상기 측방향 벽 섹션들 사이에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를 수용하는 한 쌍의 측방향 벽 섹션은 관련된 외부 경계벽과 함께 U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벽 섹션을 형성한다.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측방향 벽 섹션의 연장 길이는 본질적으로 공기 및 누설 통로를 결정한다. 이는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로부터 측방향 벽 섹션의 자유 주연 에지에 걸쳐 내부 벽을 따라 그리고 외부 벽을 따라 진행한다. 작동 요소의 레버 아암 섹션에 의해, 각각의 경우 상기 레버 아암 섹션은 (작동 요소가 폐쇄 작동 상태일 때) 측방향 벽 섹션의 외부 벽과 인접하고, U형 하우징 섹션의 측방향 벽 섹션의 벽은 공기 및 누설 통로를 증가시키는데 상당히 기여한다. 측방향 벽 섹션, 및 공기 및 누설 통로를 증가시키는 그 기여도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폐쇄된 내부 및 외부벽과 쉽게 비교될 수 없다. 반대로, 이들은 배정된 작동 요소의 레버 아암 섹션과 상호 작용 방식으로 협동한다.
서로 이격되며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으로 일부 돌출하는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을 갖는 피벗 레버에 의해 제공된 자유 공간은 U형 하우징 벽 섹션이 레버 아암 섹션에 의해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자유 공간 내에 수용된다는 점에서 소형 구성에 기여한다. 따라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자유 공간 내로 돌출하는 섹션은 적어도 피벗 레버가 적어도 하나의 배정된 탄성령 클램핑 커넥터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핑 위치가 폐쇄되는 하향 피벗 상태일 때 이 자유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운다. 그 결과, U형 피벗 레버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자유 공간에 의해 그리고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의 이 섹션에 의해 채워지는 상기 자유 공간에 의해 매우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의 낮은 설치 위치를 달성하고, 동시에 요구되는 공기 및 누설 통로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측방향 벽 섹션에 의해 측방향으로 형성되면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를 수용하는 U형 단면 섹션을 갖는 하우징 벽 섹션은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측방향 벽 섹션들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는 추가 이점을 갖는다.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탄성 클램핑 요소는 작동 요소가 피벗될 때 레버 아암 섹션 상의 적절한 외형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레버 아암 섹션을 통해 횡방향 연결편으로부터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탄성 클램핑 요소로 전달되는 힘의 양은 최적이며, 이는 레버 아암 섹션이 탄성 클램핑 요소에 인접하여 놓이기 때문이다.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볼 때 또는 그 대신 레버가 폐쇄 상태인 경우 피벗 지점에 관해 횡방향 연결편의 방향에서 볼 때, 작동 힘은 피벗 지점에 관해 동일 측부 상의 횡방향 연결편을 통해, 즉 피벗 지점의 상류에서 레버 상에 작용하는 힘과 동일한 방식으로 탄성 클램핑 요소에 작용할 수 있어서, 횡방향 연결편 상에 작동 레버를 작용시키기 위한 그리고 탄성 클램핑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 및 피벗 방향은 동일하다. 이는 또한 전도체 연결 클램프가 매우 소형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점에 기여한다.
외부 경계벽으로부터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며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놓이는 측방향 벽 섹션이, 배정된 작동 요소의 피벗 지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분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이 피벗 지지 영역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섹션(영역)에서 종결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에 따라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높이에서 종결되어 있는 측방향 벽 섹션은 그 결과로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놓이는 주연 에지를 포함한다.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의 측방향 벽 섹션의 연장 길이에 의해 충분히 긴 공기 및 누설 통로가 확보된다.
이는 외부 경계벽으로부터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며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놓이는 측방향 벽 섹션이 이 전도체 삽입 개구의 측부 상의 측방향 경계벽의 섹션에서 합체되는 경우에 유리하고, 상기 섹션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전도체 삽입 개구에 걸쳐 연장한다.
각각의 배정된 작동 요소가 폐쇄 상태일 때, 각각의 경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상술한 U형 하우징 벽 섹션의 융기 섹션이 작동 요소의 자유 공간 내로 돌출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자유 공간은 횡방향 연결편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레버 아암 섹션에 의해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횡방향 연결편에 인접한 이 자유 공간은 각각의 작동 요소가 개방 상태-클램핑 위치를 개방하기 위해 작동 요소가 탄성력에 관해 반대 방향으로 상향으로 피벗되는 상태-에 있는 경우를 가능하게 하고, 클램핑 위치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작동 요소에 대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전도체 연결 클랩의 낮은 설치 위치가 달성되고, 이는 요구되는 공기 및 누설 통로가 유지되는 U형 하우징 벽 섹션의 측방향 벽 섹션에 의해 보장된다.
특히 소형이며 최적화된 전도체 연결 클램프는 융기 섹션이 작동 요소의 인접 섹션의 상부면과 일치되게 맞닿는 경우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체 연결 클램프에 대해 이용 가능한 높이가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배정된 작동 요소가 폐쇄 상태일 때 각각의 경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부 경계벽의 섹션은 자유 공간의 배정된 작동 요소의 횡방향 연결편 바로 아래에 배열되고, 자유 공간은 횡방향 연결편 및 상기 횡방향 연결편에 인접한 레버 아암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벗 레버가 폐쇄 상태일 때, 횡방향 연결편 및 상기 횡방향 연결편에 인접한 레버 아암 섹션에 의해 피벗 레버의 체적 내에 형성되는 자유 공간은 이에 따라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상부 경계벽과 함께 U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벽 섹션에 의해 그리고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하는 측방향 벽 섹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따라서, 이 자유 공간은 U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벽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이에 따라 소형 구성의 경우 공기 및 누설 통로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부 경계벽과 인접한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 사이에서 전도체 삽입 개구를 위해 중간 공간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외부 경계벽은 각각의 작동 요소가 폐쇄 상태일 때 배정된 작동 요소의 횡방향 연결편 바로 아래에 놓인다. 작동 요소가 폐쇄 상태일 때, 즉 피벗 레버가 하향 피벗될 때 전도체 삽입 개구와 횡방향 연결편 사이의 공간은 이 단계에서 절연 재료에 의해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다. 반대로, 공기 간극이 전도체 삽입 개구용 경계벽과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부 경계벽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외부 벽은 횡방향 연결편에 바로 인접하여 놓인다.
이 유형의 중간 공간은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검사 개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부 경계벽과 인접한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 사이의 이 유형의 공기 간극은 대향하여 놓인 면 상에 검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개방되고, 검사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검사 공구를 위한 인접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는 중간 공간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작동 요소의 레버 아암 섹션의 피벗 지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작동 요소가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클램핑 위치를 개방하기 위해 피벗될 때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탄성 클램핑 요소와 맞물리게 될 수 있는 작동기 외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클램핑 위치는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탄성 클램핑 요소의 클램핑 에지 및 전류 레일의 전류 레일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이 유형의 탄성 클램핑 요소는 예컨대 탄성 굴곡부, 상기 탄성 굴곡부의 일측부에 인접하는 접촉 림, 및 상기 탄성 굴곡부의 다른 측부에 인접하는 클램핑 림을 갖는 리프 스프링일 수 있고, 클램핑 림은 클램핑 에지를 형성하도록 자유 단부 영역을 포함한다. 작동 요소가 피벗될 때, 작동 외형은 클램핑 림의 섹션에 영향을 주고, 상기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이 방식으로 클램핑 에지를 전류 레일 섹션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기 위해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특히 소켓 클램프를 형성하기 위한 전도체 연결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류 레일은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전기 전도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일렬로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에 걸쳐 연장하고, 상기 전기 전도체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에서 클램핑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도움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도 1은 전도체 연결 클램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작동 요소가 개방 위치인, 도 1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작동 요소가 폐쇄 위치인, 도 1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C-C 단면에서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B-B 단면에서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A-A 단면에서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전도체 연결 클램프에 대한 작동 요소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 및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작동 요소(3)를 갖는 레버 작동식 소켓 클램프 형태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서로 인접한 전방 단부에 배열된 전도체 삽입 개구(4)는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에 구비되고, 전도체 삽입 개구에 삽입되는 전기 전도체에 대해 상기 전도체 삽입 개구를 통해 각각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미도시)로 접근할 수 있다. 도시된 하향 피벗 폐쇄 상태로부터 상향 피벗(미도시) 개방 상태로 작동 요소(3)를 피벗시키는 것으로 인해,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탄성 클램핑 요소는 작동 요소(3)에 의한 영향을 받고, 클팸핑된 전기 커넥터를 연결 또는 제거하는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탄성 클램핑 요소 및 전류 레일에 의해 클램핑 위치가 형성된다.
또한,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의 상부면에서, U형 단면을 가지며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의 외부 경계벽의 일부인 하우징 벽 섹션(5)은 각각의 경우 작동 요소(3)가 하향 피벗되는 경우에 배정된 U형 작동 요소(3)의 자유 공간(6) 내로 돌출하는 점은 명백하다. 배정된 작동 요소(3)가 하향 피벗 폐쇄 상태일 때, U형 하우징 벽부(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유 공간(6)을 채운다. 바람직하게는, U형 하우징 벽 섹션(5)은 절연 재료(1)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상부 평면과 일치되는 방식으로 상부면 상에서 맞닿고, 상기 상부면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상부 주연 에지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또는 "상단부"라는 용어는 작동 요소(3)가 피벗 가능한 작동 레버의 형태로 그 위에 배열되게 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의 면을 의미하도록 이해된다.
작동 요소(3)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7a, 7b) 및 두 개의 아암 섹션(7a, 7b)을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연결편(8)을 포함하는 점은 명백하다. 이는 U형 단면을 갖는 피벗 레버를 형성하고, 레버 아암 섹션(7a, 7b)은 그 일부가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 내로 돌출하며 미도시된 피벗 지지 영역을 형성한다. 피벗 지지 영역은 피벗 레버에 대한, 즉 작동 요소(3)에 대한 회전 축을 제공하고, 또한 탄성 클램핑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클램핑 위치를 개방하기 위해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의 탄성 클램핑 요소에 영향을 주도록 레버 아암 섹션에 연결되는 작동 외형을 제공한다.
서로 이격되고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 내로 돌출하며 절연 재료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7a, 7b)을 갖는 작동 요소(3)의 실시예에 의해, 그리고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7a, 7b)을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연결편(8)에 의해, 아주 소형이며 편평한 구조를 갖는 매우 내굴곡성인 피벗 레버가 생성된다. 횡방향 연결편(8)은 손이나 작동 공구에 의해 피벗 레버에 작동 힘을 인가하여 작동 요소(3)를 피벗시키기 위한 넓은 그립면을 제공한다.
중간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용 검사 개구로서 양 측부에서 개방되는 중간 공간이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9)과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의 외부 경계벽(10) 사이에 형성되고,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미도시)에 검사 공구가 상기 중간 공간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는 점은 더 명백하다. 원칙적으로 검사 개구를 후방면으로부터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개방된 작동 요소(3)의 영역에서의, 도 1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가 도시되며,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L)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전류 레일(12) 및 탄성 클램핑 요소(13)를 포함한다. 탄성 클램핑 요소(13)는 접촉 림(14)에 의해 전류 레일(12)에 래칭된다.
이를 위해, 전류 레일(12)은 작동 요소(3)의 방향에서 상향으로 굴곡되는 지지 섹션(15)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체 삽입이 가능한 오목부(16)를 포함한다. 이 오목부(16)는 자유 단부 상에서 유지 연결편(17)에 의해 경계가 결정되고, 탄성 클램핑 요소(13)의 접촉 림(14)은 상기 유지 연결편(17)에 대항하여 놓인다. 따라서, 탄성 클램핑 요소(13)는 유지 연결편(17)을 통해 전류 레일(12)에 고정된다. 탄성 굴곡부(18)는 접촉 림(14)에 인접하고, 클램핑 에지(20)를 갖는 클램핑 림(19)은 자유 단부에서 상기 탄성 굴곡부로부터 연장한다. 클램핑 림(19)이 그 단부 섹션에서 대략 7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로 굴곡되는 점은 명백하다. 그리고 클램핑 에지(20)를 갖는 자유 단부는 이 굴곡 섹션으로부터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다시 굴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략 90°만큼 굴곡된 섹션은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작동 요소(3)를 피벗시키는 것에 의해 미리 클램핑 위치를 개방시키지 않고 다중 스트랜드 또는 미세 스트랜드 전기 전도체의 직접적인 삽입으로 바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삽입된 전기 전도체의 자유 단부-상기 단부는 절연부가 제거됨-를 수용하는 공간은 클램핑 림(19)을 굴곡시켜 형성되고, 클램핑 림(19)은 전도체 삽입 개구(4) 위의 탄성 굴곡부(18)에 합체된다. 클램핑 림(19)은 탄성 굴곡부(18)에 인접하고, 클램핑 림(19)의 자유 단부는 클램핑 에지(20)를 포함한다. 전기 전도체(미도시)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위치는 클램핑 에지(20)와 전류 레일(10)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류 레일(12)은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L)에 대해 기울어지고, 상기 방향은 전도체 삽입 개구(4)가 연장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점은 더 명백하다. 특히 전류 레일(12)은 상부의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9) 및 대향하여 놓인 하부의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의 전방 섹션에 대해 대략 5° 내지 25°만큼 기울어진다. 이에 따라, 전기 전도체에 대해 진행 경사부가 제공되고, 또한 접촉 에지(21)가 오목부(16)로의 천이 영역의 전류 레일(12) 상에 제공되며, 탄성 클램핑 요소(13)의 클램핑 에지(20)와 함께 상기 접촉 에지는 규정된 클램핑 위치를 형성한다.
레버 아암 섹션(7a)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에 의해 포위된 공간 내로 돌출하고, 상기 레버 아암 섹션은 레버 아암 섹션(7a)의 피벗 지지 영역(23)과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세그먼트 형상 지지 섹션(22)에 장착되는 점은 더 명백하다. 작동 외형(24)이 이 피벗 지지 영역(23) 상에 제공되고, 상기 작동 외형은 탄성 클램핑 요소(13)의 클램핑 림(19)의 측방향 돌출 작동 플랩(미도시)과 협동한다. 작동 요소(3)가 개방 위치로 피벗될 때, 작동 플랩은 작동 외형(24)의 회전 이동 결과로 변위되고, 탄성 클램핑 요소(13)의 클램핑 림(19)의 클램핑 에지(20)를 전류 레일(12)로부터 이동시켜 전기 전도체에 대한 클램핑 위치를 개방한다.
단부면 세그먼트 형상의 피벗 지지 영역(23)은 세그먼트 형상 지지 섹션(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점은 명백하다. 또한 피벗 지지 영역(23)은 작동 요소(3)의 장착에 기여하는 전류 레일(12) 상에 놓인다.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이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는 점은 더 명백하다. 후방 커버 부분(25)은 래칭 포켓 및/또는 래칭 개구를 통해 전방 하우징 부분(26)과 래칭된다. 작동 요소(3) 및 관련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가 전방 하우징 부분(26)으로 삽입된 후, 상기 하우징은 후방측 커버 부분(25)의 삽입 및 래칭에 의해 폐쇄된다.
도 3은 폐쇄된 작동 요소(3)의 영역에서의, 도 1의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의 측단면도이다. 작동 요소(3)가 횡방향 연결편(8)과 함께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의 방향으로 하향 피벗되어, 횡방향 연결편(8)이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의 외부 하우징 벽(10)에 바로 인접하는 점은 명백하다. 작동 요소(3)가 하향 피벗될 때, 작동 외형(24)은 도 2의 개방 위치에 비해 대략 80 내지 90° 회전되어 탄성 클램핑 요소(13)의 탄성력의 결과로 클램핑 에지(20)가 전류 레일(12)의 아래 방향으로 변위되고, 전기 전도체가 도시된 유휴 위치에서 클램핑되지 않은 경우, 클램핑 에지(20)는 바람직하게는 탄성력의 결과로 전류 레일(12) 상에 여전히 놓이게 된다.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하우징 벽 섹션(5)-상기 하우징 벽 섹션(5)은 U형 단면을 구비함-은 횡방향 연결편(8)에 인접한 작동 요소(3)의 자유 공간(6) 내로 돌출하는 점은 더 명백하다. 레버 아암 섹션(7a, 7b)에 의해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자유 공간은 또한 횡방향 연결편(8) 아래에 제공되고, 상기 자유 공간은 또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외부 경계벽(10)의 일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이 외부 경계벽(10)은 도시된 단면도에서 중간 공간(27)에 대한 상부 경계벽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중간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는 중간 공간(27)의 전방 및 후방 단부면을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클램핑 요소(13)의 탄성 굴곡부(18)는 중간 공간(27)을 통해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검사 개구로 삽입된 검사 공구의 도움으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9)에서의 전위를 측정할 수 있다.
중간 공간(27)은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9)에 의해 대향 외부 경계벽(10)에 놓이는 측부 상에 형성되고, 전도체 삽입 개구(4)는 상기 벽에 인접한다.
도 2 및 도 3은 후술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의 단면의 A-A, B-B 및 C-C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를 통과하는 C-C 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단면도에서 좌측 작동 요소(3)는 개방되고, 우측에 놓인 작동 요소(3)는 폐쇄된다. 도 4의 도면에서 관측 방향은 전도체 삽입 개구(C)에 대응한다. C-C 단면은 섹션(7a, 7b) 상에서 레버의 피벗 지지 영역(23)을 통해 연장한다. 서로 마주보는 작동 삽입구(28)가 피벗 지지 영역(23)의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7a, 7b) 상에 배열되고, 각각의 작동 삽입구가 작동 외형(24)을 갖는 점은 명백하다. 작동 삽입구(28)는 작동 레버(3)가 폐쇄 위치에서 좌측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피벗할 때 클램핑 림(19)이 접촉 림(14)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정된 탄성 클램핑 요소(13)의 클램핑 림(19) 아래에 위치된다.
폐쇄 위치인 두 개의 우측 작동 요소(3)에 대해, 클램핑 림(19)이 접촉 림(14)에 의해 전류 레일(12)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점은 명백하다. 이는 대략 80 내지 90°의 각도로 작동 외형(24)을 피벗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U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벽 섹션(5)은 외부 경계벽(10)의 섹션, 및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의 방향에서 서로 이격 방향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측방향 벽 섹션(29a, 29b)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더 명백하다. 이들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대해 측방향으로 인접하고,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의 일부를 U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벽 섹션(5)의 내부 공간에 수용한다.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는 위쪽 방향에서 U형 하우징 벽 섹션(5)의 상부의, 외부 경계벽(10)에 의해 덮인다.
측방향 벽 섹션(29, 29b)은 레버 아암 섹션(7a, 7b)의 평면과 돌출된 작동 삽입구(28) 사이에 형성되는 피벗 지지 영역(23)의 자유 공간(30) 내로 돌출하는 점은 명백하다.
도시된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의 공기 및 누설 통로는 전위를 전달하는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3)와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의 외부면 사이에서 공기에 의해 또는 절연 재료의 표면을 통한 가장 짧은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다. 공기 및 누설 통로는 U형 하우징 벽 섹션(5)의 측방향 벽 섹션(29a)을 따라 연장한다. 절연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2)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의 외부면을 따라서 그리고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의 하부 주연 에지(31) 주위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까지 충분히 긴 것을 보장한다.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의 외부면의 길이는 이들이 바로 접근할 수 없지만 측방향으로 인접한 레버 아암 섹션(7a, 7b)을 포함하는 점에 의해 공기 및 누설 통로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관련된 자유 공간(30) 내로 돌출하는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 내의 피벗 레버의 장착을 안정화한다.
도 5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를 통과하는 B-B 단면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섹션 평면은 전도체가 삽입되는 방향(L)에서 관측될 때 접촉 림(14) 및 클램핑 림(19) 내측의 탄성 굴곡부(18)의 바로 하류에 위치된다. 이 영역에서, U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벽 섹션(5)의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각각 전도체 삽입 개구(4)의 아래 놓인 경계벽(9)에 합체되는 점은 명확하다. 탄성 굴곡부(18)를 장착하기 위해,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9) 각각은 돌출부(32)를 형성한다. 따라서 탄성 클램핑 요소(13)는 그 탄성 굴곡부가 U형 단면을 갖는 하우징 벽 섹션(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 안정적인 방식으로 위치된 상태로 수용된다. 이 공간은 레버 아암 섹션(7a, 7b)에 대해 폐쇄되고, 오직 상대적으로 긴 전도체 삽입 개구(4)를 통해 그리고 C-C 단면에서 명백한 더 짧은 연결 통로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C-C 단면에서 명백한 이들 짧은 연결 통로는 공기 및 누설 통로를 증가시키도록 측방향 벽 섹션(29a, 29b)에 의해 효과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도 6은 전도체 연결 클램프(1)를 통과하는 A-A 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중간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대한 중간 공간(27)은 상기 중간 공간을 통해 접근 가능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서의 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전방 및 후방 단부면 상의 단부면에서 각각 개방되고, 또한, 우측 및 좌측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의 경우 중간 공간(27)이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9)과,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외부 경계벽(10) 또는 돌출된 U형 하우징 벽 섹션(5) 사이에 제공된다.
규정된 공기 및 누설 통로를 유지하면서, 매우 낮은 설치 높이는, 즉, 소형 구성은 돌출된 U형 하우징 섹션(5)의 도움으로 그리고 U형 하우징 섹션(5)이 돌출되는 작동 요소(3)의 자유 공간(6)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된다. 특히 공기 및 누설 통로에 관한 규제는 표준 IEC 60947-1에서 확인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 내로 돌출하는 측방향 벽 섹션(29a, 29b)과 함께, 중간 공간(27)에 인접한 외부 경계벽(10)은 U형 단면을 가지며 배정된 작동 요소(3)의 레버 아암 섹션(7a, 7b) 및 횡방향 연결편(8)에 의해 형성된 자유 공간(6) 내로 돌출하는 하우징 벽 섹션(5)을 형성하는 점은 명백하다.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전도체 삽입 개구(4)를 포위하고 따라서 전도체 삽입 개구(4)를 형성하는 벽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측방향 섹션(29a, 29b)은 전도체 삽입 개구(4)의 이들 벽 섹션에 합체된다.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측방향 벽 및 돌출된 U형 하우징 벽 섹션(5)에 의해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의 외부 영역에, 하향 피벗 이동 동안 작동 요소(3)의 레버 아암 섹션(7a, 7b)에 대한 측방향 안내부를 제공한다. 인접한 작동 요소(3)의 두 개의 인접 레버 아암 섹션(7a, 7b)을 수용하는 중간 공간은 인접하는 돌출된 U형 하우징 벽 섹션(5)에 의해 중간 섹션에 제공된다.
도 7은 상술된 전도체 연결 클램프(1)에 대한 작동 요소(3)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대체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7a, 7b) 및 상기 레버 아암 섹션을 연결하는 횡방향 연결편(8)에 의해 전방 영역에 형성되는 작동 레버의 U형 구성을 도시한다. 레버 아암 섹션(7a, 7b)은 그 자유 단부의 방향으로 또는 횡방향 연결편(8)의 방향으로 테이퍼링된다. 이들은 작동 요소(3)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점에서, 피벗 지지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횡방향 연결편(8)에 대향하여 놓이는 세그먼트 형상 방식으로 형성된다. 대략 90°(60 내지 100°)의 각도의 작동 오목부(33)를 갖는 세그먼트 형상 작동 외형(24)은 각각의 경우 이 피벗 지지 영역(23)에 위치된다. 작동 외형(24)은 자유 공간(30)에 의해 인접하는 배정된 레버 아암 섹션(7a, 7b)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열되어,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하우징 벽 섹션(5)-상기 하우징 벽 섹션은 U형 단면을 구비함-의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이 자유 공간(30) 내로 돌출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작동 요소(3)는 관련된 작동 삽입구(28) 및 피벗 지지 영역(23)의 세그먼트 형상 단부면을 통해 그리고 또한 레버 아암 섹션(7a, 7b)의 외부면에 의해 안내되고, 또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측방향 벽 섹션(29a, 29b)-상기 측방향 벽 섹션은 중간 공간(30) 내로 돌출함-에 의해 추가적으로 안내 및 안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클램핑 요소(13)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재료 플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요소(3)가 피벗할 때 탄성 클램핑 요소를 개방하기 위해 작동 외형(24)의 작동 오목부(33)로 돌출한다.
작동 볼록부(34)가 횡방향 연결편(8)의 전방 단부면에 설치되는 점은 더 명백하다. 이는 작동 요소(3)를 피벗시키기 위해 작동 요소(3)가 손에 의해 또는 작동 공구에 의해 맞물리는 정도를 개선한다.

Claims (10)

  1. 전도체 연결 클램프(1)이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을 갖고,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 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를 갖고, 또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 내에 피벗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3)를 갖고, 상기 작동 요소는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를 개방하도록 설계되고,
    작동 요소(3)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7a, 7b)을 포함하고, 두 개의 레버 아암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벗 지지 영역(23)에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 내로 돌출하며 피벗 지지 영역(23)에서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횡방향 연결편(8)에 의해 레버 아암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 요소(3)가 그 위에 배열되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측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외부 경계벽(10)에 의해 덮이고, 각각의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대해 양 측부 상에서 인접하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외부 경계벽(10)으로부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고,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외부 경계벽(10)과 함께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하우징 벽 섹션을 형성하고, 하우징 벽 섹션은 U형 단면을 갖고, 그 사이에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를 수용하고,
    각각의 작동 요소(3)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방향에서 하향으로 피벗되는 폐쇄 상태일 때, 작동 요소(3)의 레버 아암 섹션(7a, 7b)은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놓이는 각각의 배정된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의 외부벽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놓이며 외부 경계벽(10)으로부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관련된 작동 요소(3)의 피벗 지지 영역(23)에 걸쳐 연장하며 이 피벗 지지 영역(23)에 인접하는 섹션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측방향으로 인접하여 놓이며 외부 경계벽(10)으로부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는 측방향 벽 섹션(29a, 29b)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전도체 삽입 개구(4)에 걸쳐 연장하며 이 전도체 삽입 개구(4)의 경계벽(9)에 위치되는 섹션에서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정된 작동 요소(3)가 폐쇄 상태일 때, 각각의 경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융기 섹션(5)은 작동 요소(3)의 자유 공간(6) 내로 돌출하고, 상기 자유 공간은 횡방향 연결편(8)에 인접하며 레버 아암 요소(7a, 7b)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5. 제4항에 있어서,
    융기 섹션(5)은 작동 요소(3)의 인접 섹션의 상부면과 일치되게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정된 작동 요소(3)가 폐쇄 상태일 때, 각각의 경우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외부 경계벽(10)의 섹션은 횡방향 연결편(8) 및 상기 횡방향 연결편(8)에 인접한 레버 아암 섹션(7a, 7b)에 의해 형성되는 자유 공간(6) 내의 배정된 작동 요소(3)의 연결편(8) 바로 아래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7. 제6항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외부 경계벽(10)과 전도체 삽입 개구(4)에 대한 인접한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9) 사이의 중간 공간(27)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경계벽은 각각의 작동 요소(3)가 폐쇄 상태일 때 배정된 작동 요소(3)의 횡방향 연결편(8) 바로 아래에 놓이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의 중간 공간(27)은 대향하여 놓이는 측부 상에 검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하우징(2)의 외부 경계벽(10)과 인접한 전도체 삽입 개구 경계벽(9) 사이에서 개방되고, 중간 공간(27)을 통해 검사 개구를 관통하여 안내되는 검사 공구가 인접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접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피벗 지지 영역(23)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 커넥터를 클램핑 하기 위해 작동 요소(3)가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의 클램핑 위치를 개방하도록 피벗될 때 배정된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의 탄성 클램핑 요소(13)와 맞물리게 될 수 있는 작동 외형(24)을 갖고, 상기 클램핑 위치는 클램핑 스프링(13)의 클램핑 에지(20) 및 전류 레일(12)의 전류 레일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10. 제9항에 있어서,
    전류 레일(12)은 전기 커넥터를 서로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 일렬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걸쳐 연장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력 클램핑 커넥터(11)에 클램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체 연결 클램프(1).
KR1020157021570A 2013-02-13 2014-02-12 전도체 단자 KR102146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1409.7 2013-02-13
DE102013101409.7A DE102013101409B4 (de) 2013-02-13 2013-02-13 Leiteranschlussklemme
PCT/EP2014/052717 WO2014124960A1 (de) 2013-02-13 2014-02-12 Leiteranschlusskle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848A KR20150116848A (ko) 2015-10-16
KR102146016B1 true KR102146016B1 (ko) 2020-08-20

Family

ID=5018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570A KR102146016B1 (ko) 2013-02-13 2014-02-12 전도체 단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66895B2 (ko)
EP (2) EP3588681A1 (ko)
JP (1) JP6047249B2 (ko)
KR (1) KR102146016B1 (ko)
CN (2) CN107910661B (ko)
DE (1) DE102013101409B4 (ko)
ES (1) ES2757901T3 (ko)
PL (1) PL2956995T3 (ko)
RU (2) RU2759944C2 (ko)
WO (1) WO2014124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6680B1 (en) * 2013-02-12 2016-01-05 David Kendricks Patient electrode connectors for electrocardiograph monitoring system
DE202013100635U1 (de) * 2013-02-13 2013-03-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lemmkontakt und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DE102014114026B4 (de) 2014-09-26 2023-03-3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zu deren Montage
DE102014119416B4 (de) 2014-12-22 2021-04-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zum Anklemmen wenigstens eines elektrischen Leiters
DE102014119421B4 (de) 2014-12-22 2017-02-0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Verbindungsklemme
DE102015100823B4 (de) * 2015-01-21 2021-12-0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CN204558667U (zh) * 2015-04-11 2015-08-12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连接器
DE102015107853B4 (de) * 2015-05-19 2020-08-1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CN110431716B (zh) 2017-01-06 2021-08-06 哈勃股份有限公司 具有免螺丝连接端子的电气布线装置
CN108075252B (zh) * 2017-07-12 2023-08-01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DE202017106710U1 (de) 2017-11-07 2019-02-08 Unger Kabel-Konfektionstechnik GmbH Geräteanschlussterminal für ein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
DE102018102699A1 (de) * 2018-02-07 2019-08-0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baustein zum Anschließ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sowie Einrichtung mit einem externen Stromschienenstück und einem Anschlussbaustein
DE102018110312A1 (de) * 2018-03-28 2019-10-0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8117508B4 (de) * 2018-07-19 2024-01-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8120749A1 (de) * 2018-07-24 2020-01-30 Tdk Electronics Ag Anschluss für ein elektronisches leistungsbauteil und elektronisches leistungsbauteil
US10418727B1 (en) * 2018-11-15 2019-09-17 Dinkle Enterprise Co., Ltd. Rotate-to-open clamping unit and conn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DE102018130533B3 (de) * 2018-11-30 2020-02-1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element
DE202018106896U1 (de) * 2018-12-04 2020-03-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anschlussklemme
DE202018106897U1 (de) * 2018-12-04 2020-03-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anschlussklemme
DE202018106900U1 (de) * 2018-12-04 2020-03-0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anschlussklemme
DE102019101880B4 (de) * 2019-01-25 2023-09-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lemmfeder und Leiteranschlussklemme
USD929343S1 (en) * 2019-06-27 2021-08-31 Jiangmen Krealux Electric Appliances Co., Ltd. Terminal block
USD937219S1 (en) * 2019-06-27 2021-11-30 Jiangmen Krealux Electrical Appliances Co., Ltd. Wire connector for terminal block
DE102020100218A1 (de) * 2020-01-08 2021-07-0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iteranschlussklemme
AU2021212402A1 (en) 2020-02-01 2022-09-29 Mark David Crosier Electrical cable connecting system
JP7399570B2 (ja) * 2020-03-19 2023-12-18 日東工業株式会社 端子構造
TWI732639B (zh) * 2020-07-29 2021-07-01 金筆企業股份有限公司 導線連接器
US11791573B2 (en) 2021-04-15 2023-10-17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Wire terminals and method of uses
DE102021112961A1 (de) * 2021-05-19 2022-11-2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iteranschlussklemme mit wenigstens einem Federkraftklemmanschluss
DE102021133884A1 (de) * 2021-12-20 2023-06-2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iteranschlussklemme
CN114709653A (zh) 2022-03-07 2022-07-05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WO2024005776A1 (en) * 2022-06-27 2024-01-04 Ideal Industries, Inc. Lever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3795A1 (en) * 2008-08-27 2011-09-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JP2012064351A (ja) * 2010-09-14 2012-03-2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端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719374U1 (de) 1977-06-21 1977-09-29 Fa. Hermann Kleinhuis, 5880 Luedenscheid Schraubenlose Verbindungsklemme zur Stromübertragung von elektrischen Leitern
DE8704494U1 (ko) 1987-03-26 1987-06-11 Popp + Co Gmbh, 8582 Bad Berneck, De
DE19654523C2 (de) * 1996-12-19 2003-10-09 Wago Verwaltungs Gmbh Verbindungsklemme mit mindestens zwei Klemmstellen zum Anschließen elektrischer Leiter
JP4527242B2 (ja) * 2000-05-26 2010-08-18 Idec株式会社 接続装置
DE10237701B4 (de) 2002-08-16 2010-09-1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für ein-, mehrdrähtige, insbesondere feindrähtige, elektrische Leiter
JP4289230B2 (ja) * 2004-06-25 2009-07-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FR2873859B1 (fr) * 2004-07-30 2006-12-08 Legrand Sa Appareil electrique comportant une borne a connexion automatique
JP4289258B2 (ja) 2004-08-26 2009-07-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DE102005049798A1 (de) * 2005-10-14 2007-04-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Klemme für Leiterplatten
CN100527530C (zh) * 2006-03-15 2009-08-12 松下电工株式会社 快速连接接线端装置和接线设备
DE102006019150B4 (de) * 2006-04-21 2011-06-0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EP1914839B1 (de) * 2006-10-21 2010-12-08 Abb Ag Installationsschaltgerät
JP4770697B2 (ja) 2006-10-26 2011-09-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2008108642A (ja) 2006-10-26 2008-05-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装置
JP5102480B2 (ja) 2006-11-27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DE202007002061U1 (de) * 2007-02-13 2007-05-3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Klemme
DE102007050936B4 (de) 2007-10-23 2009-07-1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102132460B (zh) * 2008-08-27 2013-09-18 菲尼克斯电气公司 电接线端子
CN101562282B (zh) 2009-05-19 2011-01-19 宁波高正电子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
JP5491837B2 (ja) * 2009-12-04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FR2955978A1 (fr) * 2010-02-01 2011-08-05 Schneider Electric Ind Sas Borne elastique de raccordement a levier
US20110207372A1 (en) * 2010-02-22 2011-08-25 Ideal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Push-In Termination
DE102010010262B9 (de) * 2010-03-03 2014-10-2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Steckverbinder
DE102010024809B4 (de) 2010-06-23 2013-07-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JP5821003B2 (ja) 2010-08-26 2015-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
DE102010048698B4 (de) * 2010-10-19 2014-12-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DE102010060252B4 (de) * 2010-10-29 2015-02-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baueinheit
CN102306875A (zh) 2011-06-24 2012-01-04 孙庆华 一种安保插
DE102011051536A1 (de) * 2011-07-04 2013-01-1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einheit einer elektrischen Anschlussklemme
DE202011104318U1 (de) * 2011-08-15 2012-08-17 Hellermanntyton Gmbh Verbindungsklemme
CN202259720U (zh) * 2011-09-19 2012-05-30 上海友邦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快速接线端子结构
DE202011106033U1 (de) * 2011-09-23 2013-01-11 Wieland Electric Gmbh Leiteranschluss
DE102011056410B4 (de) * 2011-12-14 2013-06-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202585758U (zh) * 2012-05-15 2012-12-05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接线装置
US9226680B1 (en) * 2013-02-12 2016-01-05 David Kendricks Patient electrode connectors for electrocardiograph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23795A1 (en) * 2008-08-27 2011-09-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JP2012064351A (ja) * 2010-09-14 2012-03-2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端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6995B1 (de) 2019-08-28
JP6047249B2 (ja) 2016-12-21
DE102013101409A1 (de) 2014-08-14
CN107910661B (zh) 2020-03-20
RU2018112454A (ru) 2019-02-28
RU2653697C2 (ru) 2018-05-14
KR20150116848A (ko) 2015-10-16
CN104981943A (zh) 2015-10-14
RU2015133918A (ru) 2017-03-20
ES2757901T3 (es) 2020-04-30
EP2956995A1 (de) 2015-12-23
WO2014124960A1 (de) 2014-08-21
CN107910661A (zh) 2018-04-13
CN104981943B (zh) 2018-01-05
PL2956995T3 (pl) 2020-04-30
US9466895B2 (en) 2016-10-11
JP2016507146A (ja) 2016-03-07
DE102013101409B4 (de) 2022-01-20
RU2759944C2 (ru) 2021-11-19
EP3588681A1 (de) 2020-01-01
US20150349437A1 (en) 2015-12-03
RU2018112454A3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016B1 (ko) 전도체 단자
RU274063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для провода
US9847587B2 (en) Spring-force terminal connection and plug connector
RU2652780C2 (ru) Пружинное клем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и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для проводников
RU2572567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содержащая установл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оворота вокруг поворотной оси управляющий рычаг
RU2676265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зажим и пружинный зажимной контакт для него
US9413082B2 (en) Spring force terminal connection and electric device therewith
KR102145876B1 (ko)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US11909155B2 (en)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CN109638482B (zh) 连接夹具
US77443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rotective door element
US8771004B2 (en) Miniature spring clamp
US11146018B2 (en)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US20210151908A1 (en) Plug-type connector with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U2024201817A1 (en) Conductor Terminal
US11289828B2 (en) Conductor terminal
JP4322387B2 (ja) 電気開閉装置ユニットのための接続組立体
US11355870B2 (en) Conductor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