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205B1 -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 Google Patents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205B1
KR102143205B1 KR1020190060897A KR20190060897A KR102143205B1 KR 102143205 B1 KR102143205 B1 KR 102143205B1 KR 1020190060897 A KR1020190060897 A KR 1020190060897A KR 20190060897 A KR20190060897 A KR 20190060897A KR 102143205 B1 KR102143205 B1 KR 10214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ource
shaft
compact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신라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라에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라에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escription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 Source compactor with compressed discharge structure paving source }
본 발명은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압착기로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압착하면서 이동시켜 포장지에서 소스를 전량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포장지와 함께 버려지는 소스가 없어 음식의 조리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식재료인 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스는 비닐재로 이루어진 포장지의 입구를 통해 일정량을 충진하게 되고 입구를 밀폐하여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보관하거나 이송하게 되고, 필요시 입구를 개방하여 충진되어진 소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는 소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포장지를 가압하여 내용물인 소스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게 되고, 다르게는 포장지를 일면을 절개한 후 별도의 인출도구를 절개된 부분으로 인입시켜 소스를 퍼담은 후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스를 포장지에서 인출시키는 방식으로 소스를 배출시 포장지의 내면에 달라붙는 소스로 인해 전량 외부로 배출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음식물을 포장판매하는 공장이나 대형음식점과 같은 경우 다량의 소스가 필요하게 되므로 그만큼 포장지에 잔존하여 버려지는 소스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 제02434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소스압착기로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압착하면서 이동시켜 포장지에서 소스를 전량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포장지와 함께 버려지는 소스가 없어 음식의 조리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식재료인 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압착하여 소스를 배출시키도록 된 소스압착기로서, 지주들을 갖는 테이블본체와, 상기 테이블본체에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유닛들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유닛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설치되는 압착롤러와, 상기 테이블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압착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압착패널과, 상기 압착패널에 형성되는 사선의 경사안내패널과 상기 경사안내패널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부패널로 이루어진 소스안내부와, 상기 테이블본체에 설치되어 배출된 소스를 수거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안내하는 포장지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압착롤러에 묻은 소스를 분리시키도록 분리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분리바와, 상기 분리바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압착롤러에 맞닿게 배치되는 스크리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양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압착롤러의 회전축에 끼움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끼움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승강블럭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블럭의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에 배치되는 상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된 승강샤프트와, 상기 가이드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승강샤프트에 끼움되어, 상기 승강블럭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하우징에는 상기 승강블럭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축공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회전축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바와,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들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스안내부에는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지지하면서 상기 압착롤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포장지이송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포장지이송수단은 상기 측부패널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가이드축이 마련된 가이드실린더와, 상기 가이드축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간격연장샤프트와, 상기 간격연장샤프트의 하단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지지샤프트에 고정되고 일면에 지지축들이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지지축에 끼움되어 상기 포장지를 지지함과 아울러 안내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에 끼움되는 탄성마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스안내부에는 소스가 포장되는 포장지가 상기 압착패널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진동안내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진동안내수단은 상기 경사안내패널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시키는 하부진동전달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유닛에는 상기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전달되도록 전달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전달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하부진동전달돌기를 가압하도록 상부진동전달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는 소스압착기로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압착하면서 이동시켜 포장지에서 소스를 전량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포장지와 함께 버려지는 소스가 없어 음식의 조리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식재료인 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수거케이스의 체결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가압스프링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수거케이스의 체결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가압스프링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소스압착기라 명명함)는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압착하여 소스를 배출시키도록 된 소스압착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소스압착기(10)는 테이블본체(20)와 가이드부(30)와 압착롤러(32)와 구동부(40)와 압착패널(51)과 소스안내부(50)와 거치부(60)와 포장지지지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본체(20)는 하부에 지주들이 마련된다.
상기 지주들의 하부에는 테이블본체(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터를 더 설치하게 된다. 상기 테이블본체(2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테이블본체(20)에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유닛(31)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유닛(31)은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양 내측면에 가이드홈(311a)이 형성된 가이드하우징(311)과,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압착롤러(32)의 회전축(341)에 끼움되는 베어링(312)과, 상기 베어링(312)이 끼움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311a)에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돌기(313a)가 일체로 형성된 승강블럭(313)과,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블럭(313)의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에 배치되는 상단부에 손잡이(314a)가 마련된 승강샤프트(314)와, 상기 가이드하우징(311)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승강샤프트(314)에 끼움되어, 상기 승강블럭(313)을 도면상 하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3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은 상기 테이블본체(20)의 상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0)에는 상기 압착롤러(32)에 묻은 소스를 분리시키도록 분리부(33)가 더 마련되고, 상기 분리부(33)는 상기 가이드부(30)에 형성되는 분리바(331)와, 상기 분리바(331)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압착롤러(32)에 맞닿게 배치되는 스크리퍼(3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리바(331)는 가이드부(30)의 가이드하우징(311)들을 연결하며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크리퍼(332)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리바(331)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에는 상기 승강블럭(313)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부(34)가 더 마련되고, 상기 승강부(34)는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의 외면에 형성되는 축공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회전축(341)과,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34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바(342)와,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스토퍼(343)들과, 상기 가이드하우징(311)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341)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레버(344)로 이루어져, 상기 레버(3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바(342)가 상기 승강블럭(313)의 하부를 가압하여 상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레버(344)를 복귀를 상기 승강블럭(313)을 가압하는 가압바(342)가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블럭(313)이 상기 가압스프링(315)의 탄성에 의해 하향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압착롤러(32)는 상기 가이드유닛(31)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압착롤러(32)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착롤러(32)의 양단부에는 회전축(34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테이블본체(20)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롤러(32)를 회전시게 된다.
상기 구동부(40)는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구동축(42)에 연결되는 구동밸트(43)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밸트(43)는 상기 압착롤러(32)의 회전축(34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41)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341)에 전달하여 상기 압착롤러(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부(40)에는 상기 구동모터(41)를 구동 또는 구동종료시키도록 제어버튼을 마련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발판을 더 마련하여 사용자가 제어버튼과 제어발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1)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압착패널(51)은 상기 압착롤러(3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30)에 형성된다.
상기 압착패널(51)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하우징(311)들을 연결하며 양단부가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압착패널(51)은 상기 압착롤러(3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착롤러(32)와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된다.
이때,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의 일단을 상기 압착롤러(32)와 상기 압착패널(51) 사이에 끼우게 되는데, 상기 압착롤러(32)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끼움되어, 가압스프링(315)이 압축되므로 가압스프링(315)의 탄성에 의해 상기 압착롤러(32)가 상기 포장지를 가압하면서, 상기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압착롤러(32)가 회전하여, 포장지를 압착(가압)함과 아울러 이동시켜 충진된 소스를 포장지의 개방된 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압착롤러(32)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관을 더 끼워 접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마찰관의 탄성과 마찰에 의해 상기 포장지를 가압하면서 이송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스안내부(50)는 상기 압착패널(51)에 일체로 형성되는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지게 형성되는 사선의 경사안내패널(52)과 상기 경사안내패널(52)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부패널(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착롤러(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장지에서 배출되는 소스가 경사진 경사안내패널(52)로 이동한 후 자중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도면상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사안내패널(52)로 공급되어 이동되는 소스를 상기 측부패널(53)에 의해 걸림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패널(51)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는 탄성코일스프링들의 하단부를 인입시킨 후 용접하고 고정시키고, 상단부를 상기 결합홈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시킨 다음 탄성코일스프링의 상단부를 연결하며 연결패널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가압바를 더 융착하여 고정시켜, 상기 탄성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압바가 상기 압착롤러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압바와 상기 압착롤러 사이로 이동되는 포장지를 상기 가압바가 가압하여 소스의 배출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60)는 상기 테이블본체(20)의 지주에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배출된 소스를 수거하게 된다.
상기 거치부(60)에는 상부에 수거케이스(100)가 탈착가능하게 끼움되어, 상기 경사안내패널(52)에서 공급되는 소스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포장지지지부(70)는 상기 거치부(60)에 형성되어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안내게 된다.
상기 거치부(60)는 프레임 틀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부(60)에 하부가 용접되는 하부프레임들과 상기 하부프레임들의 상부를 연결하며 용접되어, 상기 포장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틀로 이루어진다.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의 일단을 상기 압착패널(51)과 상기 압착롤러(32) 사시에 끼운 상태에서, 포장지를 상기 포장지지지부(70)의 상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압착롤러(32)의 회전에 의해 포장지가 이동하면서 소스를 배출하게 되고 배출된 소스를 지지프레임틀을 관통하여 상기 경사안내패널(52)로 공급되며, 포장지는 상기 지지프레임틀에 지지되면서 이동하여 경사안내패널(52)로 포장지가 맞닿아 배출된 소스가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프레임틀에는 상부에 작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홈에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이송롤러를 축결합하여 회전에 의해 상기 포장지를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마찰이나 걸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스안내부(50)에는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지지하면서 상기 압착롤러(3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포장지이송수단(80)이 더 마련되고, 상기 포장지이송수단(80)은 상기 측부패널(53)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패널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가이드축이 마련된 가이드실린더(81)와, 상기 가이드축에 끼움되어 접착고정되는 고정링(82)과, 상기 고정링(82)에 상단부가 융착되어 고정되는 간격연장샤프트(83)와, 상기 간격연장샤프트(83)의 하단부에 일단이 융착되어 고정되는 지지샤프트(84)와, 상기 지지샤프트(84)에 융착되어 고정되고 일면에 지지축(851)들이 형성된 수평바(85)와, 상기 지지축(851)에 끼움되어 상기 포장지를 지지함과 아울러 안내하는 가이드롤러(86)와, 상기 가이드롤러(86)에 끼움되는 탄성마찰관(87)으로 이루어져, 이동되는 포장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실린더(8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롤러(86)가 이동하면서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포장지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포장지지지부(70)와 마찰되거나 걸림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롤러(86)에 지지되면 이동시에도 상기 포장지가 플랙시블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부가 소스에 의해 늘어져 지지프레임틀과 맞닿게 배치되는데, 상기 포장이송수단에 의해 맞닿는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상기 가이드실린더(81)에 의해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이송시켜 재차 마찰이나 걸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장지는 합성수지비닐 또는 합성수지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링(82)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스안내부(50)에는 소스가 포장되는 포장지가 상기 압착패널(51)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진동안내수단(90)이 더 마련되고, 상기 진동안내수단(90)은 상기 경사안내패널(52)의 저면에 용접되는 지지브라켓(91)과, 상기 지지브라켓(91)에 나사체결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92)와, 상기 지지브라켓(91)에 융착되어 상기 진동기(9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시키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하부진동전달돌기(9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유닛(31)에는 상기 진동기(92)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전달되도록, 전달샤프트(94)가 형성되고, 상기 전달샤프트(94)의 단부에는 상기 하부진동전달돌기(93)를 가압하도록 상부진동전달돌기(95)가 융착돠어, 상기 진동기(9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전달샤프트(94)에 절달하게 된다. 상기 상부진동전달돌기(95)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진동을 전달시키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전달샤프트(94)는 상기 가이드유닛(31)의 가이드하우징(311)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된다.
상기 진동기(92)의 진동에 의해 압착롤러(32) 및 압착패널(51)과 포장지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포장지와 지지프레임틀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소스압착기
20 : 테이블본체
30 : 가이드부
31 : 가이드유닛
311 : 가이드하우징
311a : 가이드홈
312 : 베어링
313 : 승강블럭
313a : 가이드돌기
314 : 승강샤프트
314a : 손잡이
315 : 가압스프링
32 : 압착롤러
33 : 분리부
331 : 분리바
332 : 스크리퍼
34 : 승강부
341 : 회전축
342 : 가압바
343 : 스토퍼
344 : 레버
40 : 구동부
41 : 구동모터
42 : 구동축
43 : 구동밸트
50 : 소스안내부
51 : 압착패널
52 : 경사안내패널
53 : 측부패널
60 : 거치부
70 : 포장지지지부
80 : 포장지이송수단
81 : 가이드실린더
82 : 고정링
83 : 간격연장샤프트
84 : 지지샤프트
85 : 수평바
851 : 지지축
86 : 가이드롤러
87 : 탄성마찰관
90 : 진동안내수단
91 : 지지브라켓
92 : 진동기
93 : 하부진동전달돌기
94 : 전달샤프트
95 : 상부진동전달돌기
100 : 수거케이스

Claims (5)

  1.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압착하여 소스를 배출시키도록 된 소스압착기로서,
    지주들을 갖는 테이블본체;
    상기 테이블본체에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유닛들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유닛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설치되는 압착롤러;
    상기 테이블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압착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압착패널과,
    상기 압착패널에 형성되는 사선의 경사안내패널과 상기 경사안내패널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부패널로 이루어진 소스안내부;
    상기 테이블본체에 설치되어 배출된 소스를 수거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안내하는 포장지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압착롤러에 묻은 소스를 분리시키도록 분리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되는 분리바와,
    상기 분리바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압착롤러에 맞닿게 배치되는 스크리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내부에 작동공간을 갖으며 양 내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압착롤러의 회전축에 끼움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이 끼움되고,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승강블럭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끼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승강블럭의 상부에 고정되며, 외부에 배치되는 상단부에 손잡이가 마련된 승강샤프트와,
    상기 가이드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승강샤프트에 끼움되어, 상기 승강블럭을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하우징에는 상기 승강블럭을 승강시키도록 승강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되는 축공에 관통되게 끼움되는 회전축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바와,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들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안내부에는 소스가 충진된 포장지를 지지하면서 상기 압착롤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포장지이송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포장지이송수단은 상기 측부패널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가이드축이 마련된 가이드실린더와,
    상기 가이드축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간격연장샤프트와,
    상기 간격연장샤프트의 하단부에 일단이 고정되는 지지샤프트와,
    상기 지지샤프트에 고정되고 일면에 지지축들이 형성된 수평바와,
    상기 지지축에 끼움되어 상기 포장지를 지지함과 아울러 안내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에 끼움되는 탄성마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스안내부에는 소스가 포장되는 포장지가 상기 압착패널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진동안내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진동안내수단은 상기 경사안내패널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와,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전달시키는 하부진동전달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유닛에는 상기 진동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전달되도록 전달샤프트가 형성되고,
    상기 전달샤프트의 단부에는 상기 하부진동전달돌기를 가압하도록 상부진동전달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KR1020190060897A 2019-05-23 2019-05-23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KR10214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97A KR102143205B1 (ko) 2019-05-23 2019-05-23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97A KR102143205B1 (ko) 2019-05-23 2019-05-23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205B1 true KR102143205B1 (ko) 2020-08-10

Family

ID=7204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97A KR102143205B1 (ko) 2019-05-23 2019-05-23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2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448B1 (ko) 1990-10-04 2000-02-01 크리트먼 어윈 엠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신호처리 시스템
KR20090007503A (ko) * 2003-01-16 2009-01-16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점성 재료의 짜냄 방법 및 짜냄 장치
CN108313437A (zh) * 2018-04-09 2018-07-24 唐永清 一种酱料膏体拆袋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448B1 (ko) 1990-10-04 2000-02-01 크리트먼 어윈 엠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신호처리 시스템
KR20090007503A (ko) * 2003-01-16 2009-01-16 다이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점성 재료의 짜냄 방법 및 짜냄 장치
CN108313437A (zh) * 2018-04-09 2018-07-24 唐永清 一种酱料膏体拆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6112A (zh) 医用垃圾箱倾倒装置
KR102143205B1 (ko) 포장소스 압착 배출구조를 갖는 소스압착기
CN210233224U (zh) 一种模切机的间歇式输送模切机构
CN208070156U (zh) 一种自动打包机
WO2018113428A1 (zh) 一种手持电动打包机
KR20050002211A (ko) 자동 충전 및 캡핑 장치
CN211519938U (zh) 一种多功能纸箱压平装置
CN109775053A (zh) 一种钢丝棉球包装盒塑料膜封口装置
CN211519969U (zh) 一种真空封口机构及包含该机构的槟榔包装机
CN210337091U (zh) 一种传输装置
CN209973475U (zh) 一种uv胶用外盖压紧机构
CN105947313B (zh) 自动封箱机及其胶纸压紧装置
CN208645570U (zh) 一种液压移动头式裁断机
EP3381671B1 (en) Compa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waste material and use of the compac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8652476A (zh) 一种薯类压榨设备
CN219524492U (zh) 一种袋装食品整形装置
KR20240048953A (ko) 진공 포장 장치
CN214269019U (zh) 一种纸盒包装加工用封边装置
CN220350734U (zh) 一种免接触环保垃圾桶
JPH115196A (ja) 容器圧縮機
CN211281719U (zh) 一种中药材包装封口装置
CN205499940U (zh) 换袋垃圾箱
KR101095519B1 (ko)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CN217373586U (zh) 一种废纸打包机
CN216068797U (zh) 一种瓦楞纸板废料压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