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519B1 -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 Google Patents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519B1
KR101095519B1 KR1020110042683A KR20110042683A KR101095519B1 KR 101095519 B1 KR101095519 B1 KR 101095519B1 KR 1020110042683 A KR1020110042683 A KR 1020110042683A KR 20110042683 A KR20110042683 A KR 20110042683A KR 101095519 B1 KR101095519 B1 KR 10109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glass
conveyor
film
curved
nip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후현
최상두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생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생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생테크
Priority to KR1020110042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100)는, 지지 기능을 하는 테이블 형상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의 전방에 필름 원단(20)이 풀려나도록 구성된 언와인딩부(120)와, 상기 언와인딩부(120)의 후방으로 풀려나는 필름 원단(20)을 절단하는 커팅부(130)와, 상기 커팅부(130)의 후방에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이형지(23)를 분리해 내면서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상기 필름(21)을 부착한 후, 전방으로 배출하는 라미네이트부(140)와,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장착되어 곡면 글래스(10)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50)를 포함하는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100)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50)는 상기 라미네이트부(140)에서 전방으로 떨어져서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150)와 상기 라미네이트부(14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110)를 관통하여 기울기 및 상승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사 컨베이어(160)가 구성되고,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각각 지지되는 전방 작동부(163) 및 후방 작동부(165)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곡면 글래스(10)가 전체적으로 휘어지면서 균열발생 및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상기 곡면 글래스(10)의 만곡부(15)에 균열발생 및 소성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Laminator for curved surface glass}
본 발명은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만곡부가 형성된 곡면 글래스의 상면에 필름을 부착하면서, 상기 곡면 글래스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의 부품인 곡면 글래스(10)는 일측 단부에 만곡부(15)가 형성된 글래스이다. 이러한 곡면 글래스(10)는 상면(13, 만곡부가 굽은 방향의 반대쪽)에 편광 기능을 하는 필름(21)을 부착함으로써, 제 기능을 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곡면 글래스(10)에 필름(21)을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가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1)로서, 도 1 내지 도 7을 통해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1)는 테이블 형상의 베이스(3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30)의 전방(곡면 글래스가 배출되는 방향)에는 필름 원단(20)이 풀려나는 언와인딩부(40, unwinding 部)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언와인딩부(40)의 후방에는 풀려서 이송되는 필름 원단(20)을 절단하는 커팅부(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팅부(50)의 후방에는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이형지(23)를 분리해 내면서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상기 필름(21)을 부착한 후, 전방으로 배출하는 라미네이트부(60, laminator 部)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라미네이트부(60)의 전방에서 커팅부(50)의 하부를 지나서 언와인딩롤(43)의 하부에 위치하는 컨베이어(70)가 구성된다.
상기 언와인딩부(40)는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에 세워진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에 장착되어 필름 원단(20)이 풀려나는 언와인딩롤(43)과, 상기 언와인딩롤(43)로부터 풀려나는 필름 원단(20)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45)이 상기 프레임(41)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50)는 언와인딩부(40)에서 공급되는 필름 원단(20)을 절단하되, 이형지(23)를 제외한 필름(21)만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언와인딩부(40)와 라미네이트부(6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컨베이어(70)의 상부에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상기 언와인딩부(40)와 라미네이트부(60)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라미네이트부(60)는 상기 베이스(30)의 상면에 세워진 프레임(61)과, 상기 프레임(61)에 지지되어 커팅부(50)에서 배출되는 필름 원단(20)을 이어받는 상부 가이드롤(6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롤(62)의 하부에는 상부 가이드롤(62)을 통해서 하부로 내려오는 필름 원단(20)을 이어받아서 전방으로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롤(63)이 상기 프레임(6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롤(63)의 전방에는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분리된 필름(21)과 곡면 글래스(10)가 함께 통과하는 상부 닙롤(64, nip roll)과 하부 닙롤(65)이 상기 프레임(6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닙롤(64)의 상부에는 밀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롤(66)이 상기 프레임(6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롤(63) 후방에는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분리된 이형지(23)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후방 가이드롤(67)이 상기 프레임(6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가이드롤(67)의 상부에는 상기 이형지(23)가 감기는 와인딩롤(68)이 상기 프레임(6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롤(63)의 전방에는 필름(21)을 하방에 위치하는 곡면 글래스(10)로 눌러주는 블레이드(69)가 상기 프레임(61)에 양측단이 지지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롤(66)과 와인딩롤(68)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닙롤(64)과 하부 닙롤(65)의 간격은 상기 곡면 글래스(10)를 압박할 수 있도록 조정되고, 상기 블레이드(69)는 진입하는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그리고, 상기 하부 닙롤(65)은 상기 만곡부(15)의 곡률반경보다 큰 반경의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배경기술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언와인딩롤(43)에서 필름 원단(20)이 가이드롤(45)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풀려나면서 배출되어 상기 커팅부(50)를 통과하면서 이형지(23)를 제외한 필름(21)만 절단된다.
이처럼, 절단된 필름 원단(20)은 상기 상부 가이드롤(62) 및 하부 가이드롤(63)을 통해서 하방으로 안내된 후, 전방에 배치된 블레이드(69)의 하방으로 진입한다. 이때 도 3에서처럼, 이형지(23)가 분리되어 상기 후방 가이드롤(67)을 통해서 상부에 장착된 와인딩롤(68)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69) 하방으로는 필름(21)만 진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곡면 글래스(10)가 상기 블레이드(69) 하부에서 필름(21)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닙롤(64)과 하부 닙롤(65)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블레이드(69)를 통해서 일차적으로 필름(21)은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 닙롤(64)과 하부 닙롤(65)을 통해서 압착이 완료된다. 이때, 곡면 글래스(10)는 만곡부(15)가 후방을 향하도록 진입한다.
이렇게 해서 필름(21)이 부착된 곡면 글래스(10)는 전방에 위치한 컨베이어(70)를 통해서 전방으로 배출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배경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수평하게 고정된 컨베이어에 곡면 글래스가 배출될 때, 상기 만곡부로 인해서 곡면 글래스는 하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전방 종단부가 컨베이어의 상면에 눌러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 균열 내지는 소성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도 6 및 도 7에서처럼 하부 닙롤의 반경이 상기 곡면 글래스의 만곡부의 곡률반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부 닙롤과 하부 닙롤을 지나면서 만곡부는 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만곡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 내지는 변형을 유발함으로써 불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는, 지지 기능을 하는 테이블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의 전방에 필름 원단이 풀려나도록 구성된 언와인딩부와, 상기 언와인딩부의 후방으로 풀려나는 필름 원단을 절단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의 후방에 상기 필름 원단으로부터 이형지를 분리해 내면서 상기 이형지에 붙어 있던 필름을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부착한 후, 전방으로 배출하는 라미네이트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장착되어 곡면 글래스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라미네이트부에서 전방으로 떨어져서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라미네이트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기울기 및 상승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사 컨베이어가 구성되고, 상기 경사 컨베이어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각각 지지되는 전방 작동부 및 후방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트부는 곡면 글래스의 상면에 필름을 압착시키는 상부 닙롤과 하부 닙롤이 상하방으로 대응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 닙롤의 반경은 상기 곡면 글래스의 만곡부의 곡률반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작동부 및 후방 작동부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는, 곡면 글래스가 상부 닙롤과 하부 닙롤을 통과할 때, 경사 컨베이어가 전방으로 하향하여 기울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휘어지면서 균열발생 및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상기 하부 닙롤의 반경이 곡면 글래스의 만곡부의 곡률반경 이하이므로, 만곡부에 균열발생 및 소성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구성된 라미네이트부의 일부를 도시하여 곡면 글래스에 필름이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의해 필름에서 이형지를 분리하면서 상기 필름을 곡면 글래스의 상면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간략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구성되는 컨베이어와 라미네이트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구성되는 라미네이트부의 일부를 통해서 필름이 부착된 곡면 글래스가 컨베이어로 배출되면서 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태를 간략하게 예시한 것으로서, 곡면 글래스가 휘어지고 상기 곡면 글래스의 만곡부가 상부 닙롤 및 하부 닙롤에 의해 펴진 상태를 도시한 간략도.
도 7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구성되는 상부 닙롤과 하부 닙롤 사이에 곡면 글래스의 만곡부가 개재되어 펴진 상태를 도시한 간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로서 전방 작동부 및 후방 작동부가 동일한 높이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로서 전방 작동부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구성되는 상부닙롤과 하부 닙롤 사이에 곡면 글래스가 진입하고 경사 글래스가 수평하게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전방 작동부가 경사 컨베이어의 전방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필름이 부착된 곡면 글래스가 배출된 후, 전방 작동부가 경사 컨베이어의 전방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구성되는 상부 닙롤과 하부 닙롤 사이에 곡면 글래스의 만곡부가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로서 전방 작동부 및 후방 작동부가 동일한 높이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로서 전방 작동부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구성되는 상부닙롤과 하부 닙롤 사이에 곡면 글래스가 진입하고 경사 글래스가 수평하게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전방 작동부가 경사 컨베이어의 전방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필름이 부착된 곡면 글래스가 배출된 후, 전방 작동부가 경사 컨베이어의 전방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에 구성되는 상부 닙롤과 하부 닙롤 사이에 곡면 글래스의 만곡부가 개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100)는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편광 기능을 하는 필름(21)을 부착하는 기계이다. 상기 곡면 글래스(10)는 모니터의 부품으로서 일측 단부에 만곡부(15)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상면(13)은 만곡부(15)가 굽은 방향의 반대쪽 면을 일컫는다.
상기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100)는 테이블 형상의 베이스(110)가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의 전방(곡면 글래스가 배출되는 방향)에는 필름 원단(20)이 풀려나는 언와인딩부(120, unwinding 部)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언와인딩부(120)의 후방에는 풀려나면서 이송되는 필름 원단(20)을 절단하는 커팅부(1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팅부(130)의 후방에는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이형지(23)를 분리해 내면서 상기 이형지(23)에 붙어 있던 필름(21)을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부착한 후, 전방으로 배출하는 라미네이트부(140, laminator 部)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장착되어 곡면 글래스(10)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50)를 포함한다.
상기 언와인딩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세워진 프레임(121)과, 상기 프레임(121)에 장착되어 필름 원단(20)이 풀려나는 언와인딩롤(123)과, 상기 언와인딩롤(123)로부터 풀려나는 필름 원단(20)을 후방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125)이 상기 프레임(121)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커팅부(130)는 언와인딩부(120)에서 공급되는 필름 원단(20)을 절단하되, 이형지(23)를 제외한 필름(21)만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언와인딩부(120)와 라미네이트부(14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컨베이어(150)의 상부에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상기 언와인딩부(120)와 라미네이트부(140)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라미네이트부(14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세워진 프레임(141)과, 상기 프레임(141)에 지지되어 커팅부(130)에서 배출되는 필름 원단(20)을 이어받는 상부 가이드롤(14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롤(142)의 하부에는 상부 가이드롤(142)을 통해서 하부로 내려오는 필름 원단(20)을 이어받아서 전방으로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롤(143)이 상기 프레임(14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롤(143)의 전방에는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분리된 필름(21)과 곡면 글래스(10)가 함께 통과하는 상부 닙롤(144, nip roll)과 하부 닙롤(145)이 상기 프레임(14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닙롤(64)의 상부에는 밀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롤(66)이 상기 프레임(14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롤(143) 후방에는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분리된 이형지(23)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후방 가이드롤(147)이 상기 프레임(14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가이드롤(147)의 상부에는 상기 이형지(23)가 감기는 와인딩롤(148)이 상기 프레임(141)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롤(143)의 전방에는 필름(21)을 하방에 위치하는 곡면 글래스(10)로 눌러주는 블레이드(149)가 상기 프레임(141)에 양측단이 지지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동롤(146)과 와인딩롤(148)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닙롤(144)과 하부 닙롤(145)의 간격은 상기 곡면 글래스(10)를 압박할 수 있도록 조정되고, 상기 블레이드(149)는 진입하는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미네이트부(140)를 통과하는 곡면 글래스(1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컨베이어(150)는 상기 라미네이트부(140)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언와인딩부(120)의 하방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150)와 상기 라미네이트부(140) 사이에는 기울기 및 높이가 자유롭게 제어되는 경사 컨베이어(160)가 더 구성된다.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하방으로 자유롭게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는 하부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각각 지지되는, 전방 작동부(163) 및 후방 작동부(165)가 구성된다.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와 컨베이어(15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면서 물건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방 작동부(163) 및 후방 작동부(165)는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지지되고 로드가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의 하부에 축이음되는 에어실린더 내지는 유압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가 가능하다. 상기 전방 작동부(163) 및 후방 작동부(165)는 전후방에서 로드의 상승 높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경사 컨베이어(160)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가 수평으로 상승했을 때, 높이는 상기 컨베이어(150)와 같도록 하여, 곡면 글래스(10)가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 닙롤(145)의 반경은 상기 곡면 글래스(10)의 만곡부(15)의 곡률반경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닙롤(145)은 상기 만곡부(15)의 하면에 수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닙롤(145)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하부에서 밀착되어 회전하는 하부 구동롤(R)이 더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서처럼, 하강해 있던 경사 컨베이어(160)가 수평한 상태로 상승하도록 한다. 이때 높이는 하부 닙롤(145)를 넘어서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름 원단(20)은 상기 언와인딩롤(43)에서 풀려나와 상기 가이드롤(45)에 안내되어 후방으로 배출되어 상기 커팅부(130)를 통과하면서 이형지(23)를 제외한 필름(21)만 절단된다.
이처럼, 절단된 필름 원단(20)은 상기 상부 가이드롤(142) 및 하부 가이드롤(143)을 통해서 하방으로 안내된 후, 전방에 배치된 블레이드(149)의 하방으로 진입한다. 이때 도 10에서처럼, 이형지(23)가 분리되어 상기 후방 가이드롤(147)을 통해서 상부에 장착된 와인딩롤(148)에 감긴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49) 하방으로는 필름(21)만 진입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곡면 글래스(10)가 상기 블레이드(149) 하부에서 필름(21)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닙롤(144)과 하부 닙롤(145)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블레이드(149)를 통해서 일차적으로 필름(21)은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 닙롤(144)과 하부 닙롤(145)을 통해서 압착이 완료된다. 이때, 곡면 글래스(10)는 만곡부(15)가 후방을 향하도록 진입한다.
이렇게 해서 필름(21)이 부착된 곡면 글래스(10)가 전방으로 배출될 때, 상기 만곡부(15)가 상부 닙롤(144)과 하부 닙롤(145)을 지나게 되면, 곡면 글래스(10)의 전방 종단(11)은 자연히 하방을 향하게 되면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작동부(163), 일례로 에어실린더의 로드를 도 11에서처럼, 하강시킨다. 그러면, 경사 컨베이어(160)는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곡면 글래스(10)의 휘어짐 없이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 작동부(163)와 후방 작동부(165)가 에어실린더일 경우, 로드가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에 축이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방 작동부(163)인 에어실린더의 로드가 상하 왕복할 때, 상기 후방 작동부(165)의 에어실린더의 로드를 중심으로 경사 컨베이어(16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이때, 상기 하부 닙롤(145)은 상기 만곡부(15)의 곡률반경 이하이기 때문에 도 13에서처럼, 만곡부(15)에 하부 닙롤(145)이 수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가 전방으로 하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만곡부(15)는 펴지지 않고 형상의 변형 없이 상부 닙롤(144)과 하부 닙롤(145)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도 12처럼, 곡면 글래스(10)가 라미네이트부(140)를 완전히 통과해서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에 배출되면,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의 전방 작동부(163)의 구동, 즉 일례로 에어실린더의 로드의 상승에 의해 경사 컨베이어(160)의 전방이 상승하여 수평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의 작동에 의해 곡면 글래스(10)는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어 상기 컨베이어(150)로 전달되어 외부로 이송된다. 물론, 이때 상기 컨베이어(150)도 구동되어 이송 작업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공정이 완료된 후, 다시 전방 작동부(163)에 의해 경사 컨베이어(160)의 전방이 하강하면서, 상기 곡면 글래스(10)를 전달받도록 구성한다.
작업이 종료되고 나서는 상기 전방 작동부(163)와 후방 작동부(165)를 구동시켜서 경사 컨베이어(160)가 수평한 상태로 하강하도록 한다. 따라서, 라미네이트부(140) 내부의 점검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곡면 글래스(10)가 상부 닙롤(144)과 하부 닙롤(145)을 통과할 때, 전체적으로 휘어지면서 균열발생 및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과 상기 만곡부(15)에 균열발생 및 소성변형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100: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110: 베이스
120: 언와인딩부 121: 프레임
123: 언와인딩롤 125: 가이드롤
130: 커팅부 140: 라미네이트부
141: 프레임 142: 상부 가이드롤
143: 하부 가이드롤 144: 상부 닙롤
145: 하부 닙롤 146: 구동롤
R: 하부 구동롤 147: 후방 가이드롤
148: 와인딩롤 149: 블레이드
150: 컨베이어 160: 경사 컨베이어ㅓ
163: 전방 작동부 165: 후방 작동부

Claims (3)

  1. 지지 기능을 하는 테이블 형상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의 전방에 필름 원단(20)이 풀려나도록 구성된 언와인딩부(120)와,
    상기 언와인딩부(120)의 후방으로 풀려나는 필름 원단(20)을 절단하는 커팅부(130)와,
    상기 커팅부(130)의 후방에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이형지(23)를 분리해 내면서 상기 이형지(23)에 붙어 있던 필름(21)을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부착한 후, 전방으로 배출하는 라미네이트부(14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장착되어 곡면 글래스(10)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50)를 포함하는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100)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50)는 상기 라미네이트부(140)에서 전방으로 떨어져서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150)와 상기 라미네이트부(14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110)를 관통하여 기울기 및 상승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사 컨베이어(160)가 구성되고,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각각 지지되는 전방 작동부(163) 및 후방 작동부(165)를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부(140)는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필름(21)을 압착시키는 상부 닙롤(144)과 하부 닙롤(145)이 상하방으로 대응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 닙롤(145)의 반경은 상기 곡면 글래스(10)의 만곡부(15)의 곡률반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2. 지지 기능을 하는 테이블 형상의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의 전방에 필름 원단(20)이 풀려나도록 구성된 언와인딩부(120)와,
    상기 언와인딩부(120)의 후방으로 풀려나는 필름 원단(20)을 절단하는 커팅부(130)와,
    상기 커팅부(130)의 후방에 상기 필름 원단(20)으로부터 이형지(23)를 분리해 내면서 상기 이형지(23)에 붙어 있던 필름(21)을 곡면 글래스(10)의 상면(13)에 부착한 후, 전방으로 배출하는 라미네이트부(14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장착되어 곡면 글래스(10)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50)를 포함하는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100)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50)는 상기 라미네이트부(140)에서 전방으로 떨어져서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150)와 상기 라미네이트부(14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110)를 관통하여 기울기 및 상승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사 컨베이어(160)가 구성되고,
    상기 경사 컨베이어(16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에 각각 지지되는 전방 작동부(163) 및 후방 작동부(165)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작동부(163) 및 후방 작동부(165)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작동부(163) 및 후방 작동부(165)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KR1020110042683A 2011-05-04 2011-05-04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KR101095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683A KR101095519B1 (ko) 2011-05-04 2011-05-04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683A KR101095519B1 (ko) 2011-05-04 2011-05-04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519B1 true KR101095519B1 (ko) 2011-12-19

Family

ID=4550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683A KR101095519B1 (ko) 2011-05-04 2011-05-04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7695A (zh) * 2014-11-27 2015-03-25 苏州市欧博锐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过塑机的纸张倾斜测量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754A (ja) * 2001-03-27 2002-10-02 Central Glass Co Ltd リバースロールコート装置およびその塗布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754A (ja) * 2001-03-27 2002-10-02 Central Glass Co Ltd リバースロールコート装置およびその塗布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7695A (zh) * 2014-11-27 2015-03-25 苏州市欧博锐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过塑机的纸张倾斜测量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45871A (zh) 一种具有包边功能的快速裁切贴膜设备
CN212887740U (zh) 石膏板包装纸切纸装置
CN203592726U (zh) 纸板多层复合生产线
KR101095519B1 (ko) 곡면 글래스용 라미네이터
CN113263736B (zh) 一种背光模组的光学复合膜组装机
CN116968306B (zh) 一种塑料薄膜纸张自动覆膜机
JP2007297063A (ja) 積層平海苔束結束方法及び積層平海苔束結束装置
JP5528889B2 (ja) 用紙折り型形成機構
CN201358399Y (zh) 编织袋热切装置
JP6043447B1 (ja) 把手紐保留装置
JP2019072789A (ja) 延反機
CN212825539U (zh) 一种剔除装置及检品机
KR101257557B1 (ko) 시트 가공 장치
CN209684973U (zh) 一种覆膜机的收纸装置
CN208724989U (zh) 一种制鞋用裁断机的出料装置
CN206704622U (zh) 一种具有包边功能的快速裁切贴膜设备
CN111846961A (zh) 一种方便夹膜玻璃的铺膜装置
CN219279073U (zh) 科技木皮贴胶带装置及安装有该装置的拉褶机构、收板机
CN216547012U (zh) 一种用于pcb板包装机的包装膜上料机构
CN220976055U (zh) 一种带预放料功能的放卷机构
CN215755534U (zh) 一种薄膜上料机构和裁剪设备
CN217050940U (zh) 一种拥有覆盖膜自动供给装置的裁剪机
CN216659102U (zh) 用于包装袋上的飘带安装装置
KR102408601B1 (ko) 자동 접지 분리식 티슈 제조장치
CN211416294U (zh) 贴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