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18B1 -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 Google Patents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18B1
KR102142918B1 KR1020200019328A KR20200019328A KR102142918B1 KR 102142918 B1 KR102142918 B1 KR 102142918B1 KR 1020200019328 A KR1020200019328 A KR 1020200019328A KR 20200019328 A KR20200019328 A KR 20200019328A KR 102142918 B1 KR102142918 B1 KR 10214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cam
slot
transf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김태수
이호성
Original Assignee
헬러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러코리아(주) filed Critical 헬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0001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8Soldering within a furn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94Heating methods for reflowing of s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2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이 가능하도록 히터모듈(102)을 구비하여 고온환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이송공간을 제공하는 오븐 하우징(101); 상기 오븐 하우징(101)에 투입되는 이송대상을 이동시키는 이송레일(103)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오븐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 레일(104); 및 상기 고정 레일(10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대상의 이송속도를 특정 구간에서 상기 이송레일(103)의 속도변화없이 가변시켜 전방으로 공급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에 사용되는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의 고온환경 하에서 제품의 이송속도를 가변하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특정위치에서 속도의 가변으로 별도의 온도가변이나 전체적인 벨트 이송속도의 변화없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플로우 오븐의 특성 상 고온에서의 동작으로 인해 액츄에이터 및 기타 동작에 필요한 자재들의 선정, 장착위치, 및 장치의 제작과 조립 등이 어려운데, 해당부품의 재질, 디자인, 및 전달구조 등을 최적화한 고온상태에서 보드를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 HAVING TRANSFERRING VELOCITY VARIATION DEVICE}
본 발명은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에 사용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환경내에서 솔더링 및 큐어링 목적으로 사용되어 고온의 오븐 내에서 이송되는 보드를 일부 구간에서 속도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플로우장치는 전자부품을 탑재한 기판을 컨베이어 이송벨트로 반송하면서 오븐(가열실)에서 가열하여 납땜 페이스트(soldering paste)를 용융시킨 후 냉각 ZONE에서 냉각 및 경화시켜 전자부품을 기판상에 납땜하는 장치로서, 주로 SMT 장비 중 콘베어로 구성되어 솔더링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며, 일반 SMT공정을 비롯해 반도체패키지 또는 반도체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및 LED 제조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플로우 오븐은 기 설정된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내부 영역들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것에 의해 솔더를 용융시키고 경화시켜 기판에 실장 탑재된 전자부품을 기판과 일체화 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기존의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에 사용되는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은 자재 품질을 위한 적정 온도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이송벨트의 전체적인 속도와 온도의 가변등으로 대응하는데, 벨트의 이송속도는 입구부터 출구까지 하나로 이어지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서의 가변이 어려우며, 온도의 가변은 그에 따른 열 에너지의 조정이 필요하고 이송시간이 변경되는 등 전체적인 제품 프로파일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플로우 오븐의 특성상 고온에서의 동작으로 인해 액츄에이터 및 기타 동작에 필요한 장치의 제작과 조립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위에서 언급된 배경기술에 기재된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10508 (등록일. 2012년12월4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에 사용되는 리플로우 오븐의 고온환경 하에서 제품의 이송속도를 가변하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특정위치에서 속도의 가변으로 별도의 온도가변이나 전체적인 벨트 이송속도의 변화없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플로우 오븐의 특성 상 고온에서의 동작으로 인해 액츄에이터 및 기타 동작에 필요한 자재들의 선정, 장착위치, 및 장치의 제작과 조립 등이 어려운데, 해당부품의 재질, 디자인, 및 전달구조 등을 최적화한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에 사용되는 리플로우 오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이 가능하도록 히터모듈(102)을 구비하여 고온환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이송공간을 제공하는 오븐 하우징(101); 상기 오븐 하우징(101)에 투입되는 이송대상을 이동시키는 이송레일(103)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오븐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 레일(104); 및 상기 고정 레일(10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대상의 이송속도를 특정 구간에서 상기 이송레일(103)의 속도변화없이 독립적으로 가변시켜 전방으로 공급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는, 상기 고정 레일에 장착되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200)에 구성되는 이동부(230);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 상에서 상기 이동부(230)를 상기 이송레일(103)의 움직임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동력 전달부(300); 및 상기 이동부(230)가 상기 동력 전달부(300)에 의해 상기 이송레일(103)의 움직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이송대상을 후면에서 접촉하여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동부(230)의 단부에 구성되는 푸셔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300)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액츄에이터(310);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피니언 기어가 구성된 회전바(210); 및 상기 회전바(210)가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기어 박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상기 고정 레일(104) 사이의 폭이 조절되는 동작에서, 상기 회전바(210)의 양측에 구성되는 상기 기어 박스(400) 및 상기 피니언 기어(205)는 상기 회전바(210)를 따라서 이동되어 폭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회전바(210)는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 박스(400)는 상기 회전바(210)가 관통하는 브라켓(404); 및 상기 브라켓(404)을 상기 베이스(200)에 고정시키는 블록(402);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404) 및 상기 블록(402)에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삽입구(410)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402)을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404)이 상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구(410)는, 상하로 설정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브라켓(404)의 내주면에 스퀘어 슬리브(50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바(210)가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를 관통하여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와 상기 브라켓(400) 사이에는 그라파이트 베어링(505)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30)는, 상기 베이스(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바(600); 상기 이송바(6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300)의 상기 피니언기어(205)와 외접하는 랙기어(325); 및 상기 이송바(600)의 일측에 고정된 가이드 블록(6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 돌출되는 돌출부(700); 및 상기 돌출부(7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6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는, 상기 가이드 블록(62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홀(615)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620) 및 상기 이송바(6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가이드 홀(615)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 사이에 그라파이트 부시(710)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가이드 블록(6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에 의해서 상부로 지지되는 샤프트 롤러(7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샤프트 롤러(705)의 회전부와 상기 가이드 블록(620)의 내주 사이에 개재되는 그라파이트 베어링(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푸셔부(350)의 이송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되는 경로에 대응되게 다양한 형태의 캠 슬롯(1000)으로 디자인이 가능한 캠 가이드부(360)를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푸셔부(350)는, 상기 이동부(230)의 선단에 고정되는 푸셔 블록(900); 상기 푸셔 블록(900)을 관통하고,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푸셔 샤프트(905); 상기 푸셔 샤프트(905)의 선단에 결합되는 푸셔(220); 및 상기 푸셔 샤프트(905)에 결합되고, 선단에는 상기 캠 슬롯(1000)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920)가 배치되는 캠암(910);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230)와 함께 상기 푸셔 블록(900) 및 상기 캠암(910)이 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캠암(910)에 구비된 상기 캠 팔로(920)워가 상기 캠 슬롯(1000)을 따라서 움직여서 상기 푸셔 샤프트(905)를 회전시키고, 상기 푸셔 샤프트(905)에 결합된 상기 푸셔(220)의 선단이 상기 이송대상의 일면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푸셔 블록(900)의 내주면과 상기 푸셔 샤프트(905)의 외주면 사이에는 그라파이트 부시(902)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푸셔부(350)는, 상기 이동부의 선단에 고정되는 푸셔 블록(900); 상기 푸셔 블록(900)에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푸셔(220); 상기 캠 슬롯(1000)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9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푸셔(220)를 상하로 움직이는 캠암(910);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230)와 함께 상기 푸셔 블록(900) 및 상기 캠암(910)이 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캠암(910)에 구비된 상기 캠 팔로워(920)가 상기 캠 슬롯(1000)을 따라 움직여서 상기 푸셔(220)가 상승하여 상기 이송대상의 일면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캠 가이드부(360)의 캠 슬롯(1000)에는, 상기 푸셔부(350)의 캠 팔로워(920)가 상기 캠 슬롯(1000)의 전방으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캠 팔로워(920)를 상승시키도록 경사슬롯(1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가이드부(360)의 캠 슬롯(1000)은, 전후방향으로 설정거리를 가지고 형성된 상부 슬롯(1450); 및 상기 상부 슬롯(1450)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설정거리를 가지고 형성되며, 전후단은 각각 상기 상부 슬롯(1450)과 연결되는 하부 슬롯(1500); 을 포함하고, 상기 캠 팔로워(920)는 상기 상부 슬롯(1450)을 따라서 전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상부 슬롯(1450)의 선단부에서 상기 하부 슬롯(1500)으로 하강하고, 하강한 상기 캠 팔로워(920)는 상기 하부 슬롯(1500)을 따라서 후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하부 슬롯(1500)의 후단부에서 상기 상부 슬롯(1450)으로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상부 슬롯(1450)과 상기 하부 슬롯(1500) 사이에 격벽(1005)이 구성되고, 일단은 상기 격벽(1005)의 후단 및 선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하부 슬롯(1500)에서 상기 상부 슬롯(1450)으로 상승한 상기 캠 팔로워(920)가 다시 상기 하부 슬롯(1500)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슬롯(1450)에서 후진하는 상기 캠 팔로워(920)를 상기 하부 슬롯(1500)으로 안내하는 캠 가이더(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고정 레일(104) 상에서 상기 베이스(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베이스(200)에 체결되는 레벨 스크류(10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은,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레일(104)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위치에 따라서 편심 부분이 상기 베이스(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편심 볼트(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에 사용되는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의 고온환경(일반적으로 150도 이상) 하에서 제품의 이송속도를 가변하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특정위치에서 속도의 가변으로 별도의 온도가변이나 전체적인 벨트 이송속도의 변화없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플로우 오븐의 특성 상 고온에서의 동작으로 인해 액츄에이터 및 기타 동작에 필요한 자재들의 선정, 장착위치, 및 장치의 제작과 조립 등이 어려운데, 해당부품의 재질, 디자인, 및 전달구조 등을 최적화한 고온상태에서 보드를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의 외부 구성도와, 전체평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의 이송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동력 전달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동력 전달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이동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이동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가이드 블록의 사시도 및 샤프트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푸셔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캠 가이드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푸셔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레벨 스크류 및 편심 볼트의 위치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편심 볼트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구성이나 작용 등 외에도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을 더 포함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의 외부 구성도와 전체평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의 이송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리플로우 오븐(100)의 일측에는 이송대상인 보드가 투입되는 입구와 보드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보드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모듈(102) 및 송풍구 등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플로우 오븐은,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이 가능한 고온환경(일반적으로 섭씨 150도 이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이송공간을 제공하는 오븐 하우징(10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플로우 오븐(100)의 구성 및 작동원리는 공지기술을 참조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송속도 가변장치(110)에 대해서 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이송속도 가변장치(110)의 확대 사시도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플로우 오븐(100)의 내부에는 보드를 이송시키는 이송레일(103)이 구성되고, 상기 이송레일(103)의 움직이는 방향에 대응하여 고정 레일(104)이 오븐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레일(104)의 일정영역에 이송속도 가변장치(110)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는, 상기 고정 레일(10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대상의 이송속도를 특정구간에서 상기 이송레일(103)의 속도변화없이 독립적으로 가변시켜 전방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레일(104)은 상기 오븐 하우징(101)에 투입되는 이송대상을 이동시키는 이송레일(103)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오븐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레일(103)은 고정레일(104)의 일측에 위치하며 이송대상을 움직이기 위한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송속도 가변장치(110)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는 베이스(200), 피니언 기어(205), 회전바(210), 이동부(230), 가이드 샤프트(215), 및 푸셔(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00)는, 앞서 상술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레일(104)의 상면과 측면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110)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액츄에이터(310)가 상기 회전바(210)의 일단을 회전시키면, 이에 결합된 상기 피니언 기어(205)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05)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230)가 상기 베이스(200) 상에서 전방으로 움직이면, 이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푸셔(220)가 안정적으로 보드(제품)를 반송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 후 보드(제품) 후면에 접촉하여 상기 보드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반대로, 상기 이동부(230)가, 상기 베이스(200) 상에서 전방으로 움직이다가 후방으로 움직이면, 방향 전환에 따라서 상기 푸셔(220)가 보드(제품)를 전방의 설정된 위치에 이송시키고, 후방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양측에 놓인 베이스(200)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정 레일(104)의 폭길이(L) 조절에 따라서 함께 조절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는, 액츄에이터(310), 동력 전달부(300), 가이드 샤프트(215), 이동부(230), 푸셔부(350), 캠 가이드부(360), 및 베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고정 레일(104)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200)의 후단 측면에는 상기 푸셔부(350)의 푸셔(22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캠 가이드부(360)가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면 후방에는 가이드 샤프트(215)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230)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왕복해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230)의 선단부에 상기 푸셔부(350)가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액츄에이터(310)는, 체인을 통해서 상기 동력 전달부(300)의 상기 회전바(210)의 일단에 구성된 스프로켓(305)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로켓(305)에 체인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통하여, 오븐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기 어려운 액츄에이터(310)를 오븐(10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종래기술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바를 일자형의 장방향으로 구성하는 구조에 비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210)의 양측에 구성되는 피니언 기어(205)는, 상기 이동부(230)에 구성된 랙기어(325)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230)를 전후방으로 움직인다.
또한, 상기 이동부(230)의 선단에 구성되는 상기 푸셔부(350)의 푸셔(220)가 보드의 후면에서 상승하여 보드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고, 다시 후방으로 리턴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동력 전달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 전달부(300)는, 보드의 이송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바(210), 상기 회전바(210)의 일단에 구성되는 스프로켓(305), 상기 베이스(200)와 대응하여 상기 회전바(210)의 양측에 구성되는 피니언 기어(205), 및 상기 피니언 기어(205)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회전바(210)를 상기 베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기어 박스(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210)와 상기 피니언 기어(205)는 함께 회전되고, 상기 기어 박스(400)는 베이스(20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기어 박스(400) 및 상기 피니언 기어(205)는 상기 회전바(210)의 길이방향으로 함께 움직임이 가능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 박스(400) 및 상기 피니언 기어(205)는 상기 회전바(210)의 양측에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바(210)의 일측에 구성된 상기 기어 박스(400) 및 상기 피니언 기어(205)를 상기 회전바(2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 오븐의 폭방향 양측에 구성되는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고정 레일(104)의 폭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박스(400)는, 상기 회전바(210)가 관통하는 브라켓(404)과 상기 브라켓(404)을 상기 베이스(200)에 결합시키는 블록(402)을 포함하고,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동력 전달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 박스(400)는, 브라켓(404)과 블록(40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브라켓(404)의 내주면에는 스퀘어 슬리브(500)가 배치되고,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를 도 4에 도시된 사각형 각파이프 구조의 회전바(210)가 관통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회전바(210)와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는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의 외주면과 상기 브라켓(404)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1그라이파이트베어링(505)이 개재되어 고온상태에서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와 상기 회전바(210)의 원활한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404)과 상기 블록(402)에는 체결구 삽입구(410)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404)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구(4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404)과 상기 블록(402) 사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의 이동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부(230)는, 이송바(600), 랙기어(325), 가이드 블록(620), 가이드 홀(615), 및 가이드 롤러(61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송바(600)는, 고정 레일(104)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하면에 상기 랙기어(325)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바(600)의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 블록(6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블록(620)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가 관통하는 가이드 홀(615)이 길이방향 양측에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620)의 측면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가이드 롤러(610)가 상하로 배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610)는 전방과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이동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200)의 외측면에는 돌출부(70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700)의 상하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 롤러(610)가 면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블록(620)에는 샤프트 롤러(705)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는 상기 샤프트 롤러(705)를 상부로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롤러(705)는 가운데가 삼각형으로 오목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 롤러(705)의 홈 형태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의 형태와 대응하여 반원형의 홈을 가질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200)의 외측면에는 돌출부(70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700)의 상하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 롤러(610)가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는 상기 가이드 블록(620)의 가이드 홀(615)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615)의 내주면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1 그라파이트 부시(710)가 개재되어 고온상태에서 슬라이딩 움직임을 용이하게 구현한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가이드 블록의 사시도 및 샤프트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620)에는 샤프트 롤러(705)가 전후방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610)도 전후방 양측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롤러(610)는 상하로도 구성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롤러(705)와 가이드 블록(620) 사이에는 제2 그라파이트 베어링(800)이 개재되어 고온상태에서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롤러(610)도 그라파이트 베어링을 통해서 고온상태에서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는, 그라파이트 재질의 부시와 베어링을 구성하여 고온상태에서 회전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셔부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푸셔부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푸셔부(350)는, 푸셔 블록(900), 푸셔 샤프트(905), 캠암(910), 캠 팔로워(920), 및 푸셔(2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푸셔 블록(900)은, 도 6에서 상술한 이송바(600)의 선단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푸셔 샤프트(905)는 상기 푸셔 블록(90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또한, 상기 푸셔 샤프트(905)는 상기 푸셔 블록(90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셔 샤프트(905)와 상기 푸셔 블록(900) 사이에는 제2 그라파이트 부시(902)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셔 샤프트(905)의 선단에는 푸셔(220)의 후단이 결합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푸셔(220)의 선단은 보드의 후면에서 상승하여 보드와 접촉한 후 상기 보드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캠암(910)의 후단은, 상기 푸셔 샤프트(905)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캠암(910)의 선단에는 상기 캠 팔로워(92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 팔로워(920)는 후술하는, 도 10에 도시된 캠 슬롯(1000) 안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롤러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바(600)와 함께 상기 푸셔 블록(900), 상기 푸셔 샤프트(905), 상기 캠암(910), 상기 캠 팔로워(920), 및 상기 푸셔(220)가 이동하면, 상기 캠 팔로워(920)가 후술하는 도 10의 캠 슬롯(1000)을 따라서 움직이고, 상기 푸셔(220)의 선단이 상하로 이동되어 보드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드가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서 반송되면, 상기 푸셔(220)가 후면부에서 이송되는 다른 보드와 충돌을 피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리턴 스프링(925)은, 상기푸셔 사프트(905)에 결합된 캠암(910)의 회전동작에서 리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푸셔(220)가 원위치로 리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성하는 푸셔부는, 푸셔(220)가 보드의 후면을 접촉하여 빠른 속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푸셔부(350)는, 후술하는 도 10의 캠 가이드부(360)를 구성하는 캠 슬롯(1000)과 연동하여 보드를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서 반송시킨 후에 후면에서 이송되어 근접해오는 보드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푸셔(220)를 도피위치에 대기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속되어 이송되는 보드를 반복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이송위치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캠 가이드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셔부(350)를 구성하는 캠 팔로워(920)가 삽입되어 움직이는 캠 슬롯(1000)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캠 가이드부(360)는 상기 베이스(200)의 후단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캠 가이드부(360)의 외측면에는 캠 슬롯(100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캠 가이드부(360)에 형성된 캠 슬롯(1000)은 제1 수평 슬롯(1100), 경사슬롯(1150), 및 제2 수평 슬롯(1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평 슬롯(1100)은 후방에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 슬롯(1200)은 후방에 길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슬롯(1150)이 상기 제1,2수평 슬롯(1100, 1200)을 연결하며, 상기 제2 수평 슬롯(1200)의 높이가 상기 제1 수평 슬롯(110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캠 가이드부(360)는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베이스(200) 상에서 상기 캠 가이드부(36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편심 볼트(1300)가 사용된다.
상기 편심 볼트(1300)는 상기 베이스(200)에 나사 체결되는데, 볼트 머리는 회전축과 편심된 구조를 가지며, 이 편심된 볼트 머리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상기 캠 가이드부(36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편심 볼트(1300)는 상기 캠 가이드부(360)의 전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캠 가이드부(360)에 형성된 캠 슬롯(1000)은 상부 슬롯(1450), 및 하부 슬롯(150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슬롯(1500)은 앞뒤 단부가 경사지게 상승되어 상기 상부 슬롯(1450)과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 슬롯(1500)과 상기 상부 슬롯(1450)이 연결되는 부분에 전후방에 각각 캠 가이더(1600)가 더 구성되고,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캠 가이더(1600)는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간 상기 캠 팔로워(920)가 역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캠 가이더(1600)는 후진하는 상기 캠 팔로워(920)를 하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캠 팔로워(920)는 상기 캠 가이더(160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슬롯(1450)과 하부 슬롯(15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캠 가이더(1600)는 상기 상부 슬롯(1450)과 상기 하부 슬롯(1500)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1005)의 후단과 선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선단에 결합된 캠 가이더(1600)는, 도 10의 (b)에서, 후진하는 상기 캠 팔로워(920)를 하강시킬 수 있고, 선단에 결합된 캠 가이더(1600)는, 도 10의 (b)에서, 전진하는 상기 캠 팔로워(92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는, 베이스(200)를 구성하는 캠 가이드부(360)의 측면에 형성되는 캠 슬롯(1000)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도 9에서 상술한 푸셔부(35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푸셔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푸셔(220)는 상기 푸셔 샤프트(905)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선단이 상승하여 보드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밀어 반송시키거나, 보드의 후면 접촉을 위해 보드 통과시 푸셔(220)가 도피가능한 위치로 하강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푸셔(220)가 보드의 일면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푸셔(220)는 상기 푸셔 블록(900)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선단이 보드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밀어 반송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푸셔(220)가 보드의 일면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보드의 후면에 접촉하는 푸셔(220)의 동작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구조의 접촉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레벨 스크류 및 편심 볼트의 위치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를 구성하는 베이스(200)의 상부에는 레벨 스크류(1005)가 더 구성되고, 상기 레벨 스크류(100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킴으로써, 고정 레일(도 1의 104)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200)의 높이를 높이거나 내릴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레벨 스크류(1005)는 상기 베이스(200)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에서 편심 볼트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는 볼트 슬롯(1015)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볼트 슬롯(1015)에 편심 볼트(1300)가 구성된다.
상기 편심 볼트(1300)는 상기 고정 레일(104)에 나사 체결되고, 볼트 머리(1010)가 회전축과 편심된 구조를 가지며, 회전위치에 따라서 볼트 머리(1010)가 상기 볼트 슬롯(1015)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베이스(200)를 상기 고정 레일(104)을 기준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구조를 갖는다.
도 12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는, 베이스(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편차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에 사용되는 리플로우 오븐(reflow oven)의 고온환경(일반적으로 150도 이상) 하에서 제품의 이송속도를 가변하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특정위치에서 속도의 가변으로 별도의 온도가변이나 전체적인 벨트 이송속도의 변화없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플로우 오븐의 특성 상 고온에서의 동작으로 인해 액츄에이터 및 기타 동작에 필요한 자재들의 선정, 장착위치, 및 장치의 제작과 조립 등이 어려운데, 해당부품의 재질, 디자인, 및 전달구조 등을 최적화한 고온상태에서 보드를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오븐 101: 오븐 하우징
102: 히터모듈 103: 이송레일
104: 고정 레일 110: 이송속도 가변장치
200: 베이스 205: 피니언 기어
210: 회전바 215: 가이드 샤프트
220: 푸셔 230: 이동부
300: 동력 전달부 305: 스프로켓
310: 액츄에이터 325: 랙기어
350: 푸셔부 360: 캠 가이드부
400: 기어 박스 402: 블록
404: 브라켓 410: 삽입구
500: 스퀘어 슬리브 505: 제1 그라파이트 베어링
800: 제2 그라파이트 베어링 600: 이송바
610: 가이드 롤러 615: 가이드 홀
620: 가이드 블록 700: 돌출부
705: 샤프트 롤러 710: 제1 그라파이트 부시
902: 제2 그라파이트 부시 900: 푸셔 블록
905: 푸셔 샤프트 910: 캠암
920: 캠 팔로워 925: 리턴 스프링
1000: 캠 슬롯 1005: 격벽
1100: 제1 수평 슬롯 1150: 경사슬롯
1200: 제2 수평 슬롯 1300: 편심 볼트
1450: 상부 슬롯 1500: 하부 슬롯
1600: 캠 가이더 1005: 레벨 스크류
1010: 볼트 머리 1015: 볼트 슬롯

Claims (22)

  1. 솔더링 및 큐어링 공정이 가능하도록 히터모듈(102)을 구비하여 고온환경을 가지며 내측으로 이송공간을 제공하는 오븐 하우징(101);
    상기 오븐 하우징(101)에 투입되는 이송대상을 이동시키는 이송레일(103)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오븐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 레일(104); 및
    상기 고정 레일(10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대상의 이송속도를 특정 구간에서 상기 이송레일(103)의 속도변화없이 독립적으로 가변시켜 전방으로 공급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속도 가변장치(110)는,
    상기 고정 레일에 장착되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200)에 구성되는 이동부(230);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 상에서 상기 이동부(230)를 상기 이송레일(103)의 움직임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동력 전달부(300); 및
    상기 이동부(230)가 상기 동력 전달부(300)에 의해 상기 이송레일(103)의 움직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이송대상을 후면에서 접촉하여 배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동부(230)의 단부에 구성되는 푸셔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300)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액츄에이터(310);
    상기 액츄에이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이동부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피니언 기어가 구성된 회전바(210); 및
    상기 회전바(210)가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기어 박스(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104) 사이의 폭이 조절되는 동작에서,
    상기 회전바(210)의 양측에 구성되는 상기 기어 박스(400) 및 상기 피니언 기어(205)는 상기 회전바(210)를 따라서 이동되어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210)는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각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400)는
    상기 회전바(210)가 관통하는 브라켓(404); 및
    상기 브라켓(404)을 상기 베이스(200)에 고정시키는 블록(402);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404) 및 상기 블록(402)에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삽입구(410)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402)을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404)이 상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구(410)는, 상하로 설정 길이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4)의 내주면에 스퀘어 슬리브(50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바(210)가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를 관통하여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퀘어 슬리브(500)와 상기 브라켓(404) 사이에는 그라파이트 베어링(505)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30)는,
    상기 베이스(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바(600);
    상기 이송바(6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부(300)의 상기 피니언기어(205)와 외접하는 랙기어(325); 및
    상기 이송바(600)의 일측에 고정된 가이드 블록(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 돌출되는 돌출부(700); 및
    상기 돌출부(7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6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6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는 상기 가이드 블록(62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홀(615)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620) 및 상기 이송바(6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615)과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 사이에는 그라파이트 부시(710)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62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215)에 의해서 상부로 지지되는 샤프트 롤러(7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롤러(705)의 회전부와 상기 가이드 블록(620)의 내주 사이에 개재되는 그라파이트 베어링(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푸셔부(350)의 이송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되는 경로에 대응되게 다양한 형태의 캠 슬롯(1000)으로 디자인이 가능한 캠 가이드부(360)를 측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350)는,
    상기 이동부(230)의 선단에 고정되는 푸셔 블록(900);
    상기 푸셔 블록(900)을 관통하고, 설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푸셔 샤프트(905);
    상기 푸셔 샤프트(905)의 선단에 결합되는 푸셔(220); 및
    상기 푸셔 샤프트(905)에 결합되고, 선단에는 상기 캠 슬롯(1000)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920)가 배치되는 캠암(910);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230)와 함께 상기 푸셔 블록(900) 및 상기 캠암(910)이 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캠암(910)에 구비된 상기 캠 팔로워(920)가 상기 캠 슬롯(1000)을 따라서 움직여서 상기 푸셔 샤프트(905)를 회전시키고, 상기 푸셔 샤프트(905)에 결합된 상기 푸셔(220)의 선단이 상기 이송대상의 일면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블록(900)의 내주면과 상기 푸셔 샤프트(905)의 외주면 사이에는 그라파이트 부시(902)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부(350)는,
    상기 이동부의 선단에 고정되는 푸셔 블록(900);
    상기 푸셔 블록(900)에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푸셔(220);
    상기 캠 슬롯(1000)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920)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푸셔(220)를 상하로 움직이는 캠암(910);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230)와 함께 상기 푸셔 블록(900) 및 상기 캠암(910)이 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캠암(910)에 구비된 상기 캠 팔로워(920)가 상기 캠 슬롯(1000)을 따라서 움직여서 상기 푸셔(220)가 상승하여 상기 이송대상의 일면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캠 가이드부(360)의 캠 슬롯(1000)에는, 상기 푸셔부(350)의 캠 팔로워(920)가 상기 캠 슬롯(1000)의 전방으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캠 팔로워(920)를 상승시키도록 경사슬롯(1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캠 가이드부(360)의 캠 슬롯(1000)은,
    전후방향으로 설정거리를 가지고 형성된 상부 슬롯(1450); 및
    상기 상부 슬롯(1450)의 하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설정거리를 가지고 형성되며, 전후단은 각각 상기 상부 슬롯(1450)과 연결되는 하부 슬롯(1500); 을 포함하고,
    상기 캠 슬롯(1000)에 삽입되는 캠 팔로워(920)는 상기 상부 슬롯(1450)을 따라서 전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상부 슬롯(1450)의 선단부에서 상기 하부 슬롯(1500)으로 하강하고, 하강한 상기 캠 팔로워(920)는 상기 하부 슬롯(1500)을 따라서 후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하부 슬롯(1500)의 후단부에서 상기 상부 슬롯(1450)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롯(1450)과 상기 하부 슬롯(1500) 사이에 격벽(1005)이 구성되고,
    일단은 상기 격벽(1005)의 후단 및 선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하부 슬롯(1500)에서 상기 상부 슬롯(1450)으로 상승한 상기 캠 팔로워(920)가 다시 상기 하부 슬롯(1500)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슬롯(1450)에서 후진하는 상기 캠 팔로워(920)를 상기 하부 슬롯(1500)으로 안내하는 캠 가이더(1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104) 상에서 상기 베이스(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베이스(200)에 체결되는 레벨 스크류(10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의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레일(104)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위치에 따라서 편심 부분이 상기 베이스(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편심 볼트(1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KR1020200019328A 2020-02-17 2020-02-17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KR102142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28A KR102142918B1 (ko) 2020-02-17 2020-02-17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28A KR102142918B1 (ko) 2020-02-17 2020-02-17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918B1 true KR102142918B1 (ko) 2020-08-10

Family

ID=7204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328A KR102142918B1 (ko) 2020-02-17 2020-02-17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4551A (ja) * 1993-01-23 1994-08-12 Sony Corp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の温度制御方法
KR101210508B1 (ko) 2012-07-23 2012-12-11 헬러코리아(주) 수평경화오븐
KR20180082069A (ko) *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티에스엠 회로기판 처짐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리플로우 납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4551A (ja) * 1993-01-23 1994-08-12 Sony Corp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の温度制御方法
KR101210508B1 (ko) 2012-07-23 2012-12-11 헬러코리아(주) 수평경화오븐
KR20180082069A (ko) *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티에스엠 회로기판 처짐방지구조를 포함하는 리플로우 납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0669B2 (ja) はんだウェーブ幅を変更するように自動で調節可能な摺動プレートを備えるウェーブはんだノズル
US5922230A (en) Automatic reflow soldering apparatus
KR102142918B1 (ko) 이송속도 가변장치를 구비한 리플로우 오븐
JP6118254B2 (ja) 搬送装置
EP2800462B1 (en) Heat processing device
JP2008226981A (ja) リフロー装置
JP6271096B2 (ja) 熱処理装置
CN101257822B (zh) 食品的加热装置
JP2018059209A (ja) 熱処理装置
KR20040045379A (ko) 땜납 리플로우 오븐
KR101156646B1 (ko) 수직형 경화 오븐
JP4447482B2 (ja) ウオーキングビーム式熱処理装置
KR20120124201A (ko) 인쇄회로기판의 부분 자동 납땜 장치
KR101229069B1 (ko) 아이알 리플로우 솔더링 시스템
JPH1098263A (ja) 半田付け装置および半田付け方法
CN114429927B (zh) 一种半导体芯片用自动共晶机
JP2001274541A (ja) リフロー炉
JP2003031940A (ja) リフロー半田装置
JP2018082112A (ja) 搬送加熱装置
JP3953797B2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
JP2001007506A (ja) リフローハンダ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5128133A (ja) リフロー半田付け装置
JP2023093040A (ja) 半田付け装置、および半田付け方法
CN117622777A (zh) 一种回流焊炉的分段式网带输送机构
JP2010109300A (ja) リフロ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