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542B1 -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542B1
KR102142542B1 KR1020180030178A KR20180030178A KR102142542B1 KR 102142542 B1 KR102142542 B1 KR 102142542B1 KR 1020180030178 A KR1020180030178 A KR 1020180030178A KR 20180030178 A KR20180030178 A KR 20180030178A KR 102142542 B1 KR102142542 B1 KR 10214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ignal
unit
mix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758A (ko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Priority to KR102018003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542B1/ko
Priority to PCT/KR2019/002941 priority patent/WO2019177388A1/ko
Publication of KR2019010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4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by additional modu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in which amplitudes at successive sample points of a tone waveform are stored in one or more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55Musical effects
    • G10H2210/265Acoustic effect simulation, i.e. volume, spatial, resonance or reverberation effects added to a musical sound, usually by appropriate filtering or delays
    • G10H2210/281Reverberation or echo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21Time division multiplexing, with different channels in different time slots, the data in the time slots may be in digital or analog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복수 개의 음원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제공받는 제1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셋톱박스모듈, 셋톱박스모듈에 상기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전송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마이크부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셋톱박스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입력 받아 디지털 신호인 영상디지털신호로 출력하고 음원데이터를 입력 받아 음원아날로그신호로 변환 시킨 후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마이크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여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음원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본체부, 본체부에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전송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본체부에서 영상디지털신호와 음원디지털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하는 영상사운드출력부, 본체부에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출력부 및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영상음성출력부에 출력된 상기 영상데이터의 코드정보를 읽은 후, 제1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Apparatus of Karaoke Platform}
본 발명은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OTT, IP Set top box 등의 기존 기기를 이용하여 노래방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들어 가족들이 집에 함께 모여 노래를 부르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유희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사람들이 좀 더 즐겁게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고, 흥을 돋울 수 있는 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스피커에 노래가 저장된 기기 그리고 마이크를 각각 연결하여 사용하는 노래반주기기가 있다.
또한, 가정에서는 OTT, IP Set top box에 노래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함으로써 노래방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OTT, IP Set top box는 노래방을 기반으로 제작된 장치가 아니어서 반주와 영상만을 단순히 제공하기 때문에 노래방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어 실제 사용자들로부터 노래방 분위기를 전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OTT, IP Set top box의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을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로 입력받아 비디오 신호는 그대로 패스시켜 모니터로 출력하고, 노래방 반주 신호는 마이크회로로 입력된 음성을 효과 처리하여 믹싱 출력함으로써 OTT, IP Set top box에서도 노래방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698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본 발명은, 인터넷 연결되어 새로운 음악 컨텐츠를 쉽게 업데이트하며, 모니터 및 TV 등의 영상 출력장치와 간편하게 연결되는 셋톱박스와 연결되어 셋톱박스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에 대해서는 영상 출력장치로 그대로 출력하고, 음악데이터에 대해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과 믹싱하여 출력하는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복수 개의 음원데이터와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어플리케이션(11)이 설치된 셋톱박스모듈;
상기 셋톱박스모듈과
적어도 하나의 제1마이크와 적어도 하나의 제2마이크를 포함하여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부와 연결되며,
직류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셋톱박스모듈에서 상기 음원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음원데이터를 음원아날로그신호로 변화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와,
상기 음원아날로그신호를 음원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부와,
상기 다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마이크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음원음성믹싱모듈과,
상기 제1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제1음성신호와 상기 제2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제2음성신호를 믹싱(Mixing)하는 음성믹싱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셋톱박스모듈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음원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원디지털신호를 시리얼클럭(SCL: Serial Clock)에 맞춰 출력하며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본체부;
상기 셋톱박스모듈 및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셋톱박스모듈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코드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음원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영상사운드출력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출력부; 및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영상사운드출력부에 출력된 상기 영상데이터의 코드정보를 읽은 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영상사운드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원디지털신호와 상기 사운드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원아날로그신호 간 시간 차가 발생될 때, 상기 음원디지털신호가 기준시간(Standard time)보다 앞서 시작되면 앞선음원디지털신호를 지연시켜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와 동기화 시키고,
상기 음원디지털신호가 기준시간(Standard time)보다 지연되어 시작되면 지연음원디지털신호를 앞당겨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와 동기화 시켜, 음원디지털신호와 믹싱아날로그신호 간 동일한 시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시간튜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는,
상기 본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마이크는,
상기 본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는,
가변저항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간 차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해 음성신호의 반사작용으로 음성신호의 진폭과 시간 차를 가지며 에코신호를 출력하는 에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믹싱모듈은,
상기 에코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에코신호를 상기 제1음성신호와 상기 제2음성신호와 믹싱하고,
상기 코드정보는,
QR(Quick Response)코드가 되며,
상기 영상데이터는,
음원데이터의 제목 및 음원데이터의 가수가 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은,
상기 QR코드를 읽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어,
상기 음원데이터의 제목 및 상기 음원데이터의 가수의 문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문자의 정렬 순서를 변경 가능한,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는 셋톱박스에서 영상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받아, 영상데이터는 고품질의 화질로 출력하고, 음성데이터는 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믹싱해 임장감(臨場感) 있는 사운드로 출력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음성데이터와 음성신호가 믹싱된 신호에 에코신호를 다시 믹싱하고, 영상사운드출력부와 사운드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간 시간 차를 최소화하여, 더욱 임장감 있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 플랫폼은 QR코드를 통하여, 영상사운드출력부와 단말기가 동기화되어 단말기를 통해, 영상사운드출력부에서 특정 음원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음원의 순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의 구성요소 간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요소 간 관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로도의 작동상태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상사운드출력부와 사운드출력부 간 출력신호를 동기화하는 과정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일례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을 비롯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된 내용을 기반하여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는 것을 포괄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기술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기재된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 후,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의 구성요소 간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요소 간 관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본체부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셋톱박스모듈(10)에 본체부(20)가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이하 HDMI)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본체부(20)에서 셋톱박스모듈(10)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는 영상사운드출력부(30)에서 고품질의 화질로 출력하고, 음성데이터는 마이크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믹싱하여 사운드출력부(40)에서 고음질로 출력한다.
이러한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는 영상데이터를 고화질로 출력하고, 음성데이터를 임장감(臨場感)있도록 출력하여, 마치 사용자가 무대에서 화면을 보면 노래를 부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는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사운드출력부(30)에 제2어플리케이션(32)을 설치하고, 제2어플리케이션(32)에 의해 형성되는 QR코드를 단말기(50)가 스캐닝하며 제1어플리케이션(11)과 제2어플리케이션(32)이 동기화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는 단말기(50)에서 영상사운드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음원데이터를 용이하게 선택하고, 선택된 음원데이터의 순서를 쉽게 변경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는 제1어플리케이션(11)이 설치된 셋톱박스모듈(10), 셋톱박스모듈(10)과 HDMI 케이블로 연결되고, 마이크부(21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본체부(20), 본체부(20)와 HDMI 케이블로 연결된 영상사운드출력부(30), 폰플러그잭 타입으로 연결되는 사운드출력부(40) 및 제1어플리케이션(11)과 동기화되는 제2어플리케이션(32)이 설치된 단말기(50)를 포함한다.
특히,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의 본체부(20)는 음원데이터를 음원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21), 음원아날로그신호를 음원디지털신호(SDS, 도 5참조)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부(22) 및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마이크부(210)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Mixing)하여, 믹싱아날로그신호(MAS, 도 5참조)를 출력하는 음원음성믹싱모듈(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음원음성믹싱모듈(23)은 복수 개의 사운드출력부(4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복수 개의 음성믹싱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음원음성믹싱모듈(23)은 제1사운드출력부에 전달되는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제1음성믹싱부(23L)와 제2사운드추력부에 전달되는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제2음성믹싱부(23R)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는 영상사운드출력부(30) 및 사운드출력부(4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가 임장감 있게 출력될 수 있도록 에코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는 영상사운드출력부(30) 및 사운드출력부(4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간 재생 시간을 맞추기 위한 시간튜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0)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셋톱박스모듈(10)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인터넷을 통해 복수 개의 음원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제공받는 제1어플리케이션(11)이 내부에 설치된 장치이다. 셋톱박스모듈(10)은 종래에 사용되는 셋톱박스 즉, Over Top Top(OTT), STB(Set-Top Box) 등에 제1어플리케이션(11)이 설치된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셋톱박스모듈(10)은 음원데이터와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받고, HDMI 케이블로 연결된 본체부(20)에 영상데이터와 음원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전송한다.
본체부(20)는 HDMI 케이블로 연결된 셋톱박스모듈(10)에서 전송되는 영상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음원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 그리고 다시 디지털신호등으로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체부(20)는 HDMI 케이블로 연결된다. 본체부(20)는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영상사운드출력부(30)로 전송하고, 음원데이터를 음원디지털신호로 제1차 변환하며, 변환된 음원디지털신호를 음원아날로그신호로 제2차변환한다. 이후, 변환된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마이크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믹싱하여 사운드출력부(40)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체부(20)의 세부 구성요소 및 작동상태에 대해서는 도 4를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영상사운드출력부(30)는 셋톱박스모듈(10)에서 전송하는 영상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고, 본체부(20)에서 가공된 음원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사운드출력부(30)는 HDMI가 연결 가능한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가 될 수 있다.
영상사운드출력부(30)는 셋톱박스모듈(10)에서 전송하는 영상데이터에 있어, 제1어플리케이션(11)의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코드정보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읽혀 질 수 있는 QR(Quick Response)코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50)에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50)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휴대용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50)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 다른 어플리케이션 즉, 제2어플리케이션(32) 다운 받을 수 있다. 단말기(50)는 제2어플리케이션(32)을 구동시켜, 제1어플리케이션(11)의 정보를 읽은 후, 제1어플리케이션(11)과 제2어플리케이션(32)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
단말기(50)는 제2어플리케이션(32)을 통해 제1어플리케이션(11) 작동을 제어하며, 제1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된 영상데이터의 문자 일례로, 음원데이터의 제목 및 음원데이터의 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문자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사운드출력부(40)는 셋톱박스모듈(10)에서 전송하는 음원데이터가, 본체부(20)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한다. 사운드출력부(40)는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복수 개로 확장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출력부(20)는 제1사운드출력부와 제2사운드출력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사운드출력부는 본체부(20)를 기준으로 왼쪽에 설치되는 사운드출력부가 될 수 있고, 제2사운드출력부는 본체부(20)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설치되는 사운드출력부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체부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회로도의 작동상태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체부(20)는 전원공급부(6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된다. 본체부(20)는 전원공급부(60) 직류전압 5V, 1.8V 및 3.3V가 인가되면,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21)를 통해 셋톱박스모듈(10)에서 전달되는 음원데이터를 음원아날로그신호로 안정적으로 변환시키고,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부(22)를 통해 변환된 음원아날로그신호를 음원디지털신호로 안정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20)는 변환된 음원디지털신호를 시리얼클럭(SCL: Serial Clock)에 맞춰 영상사운드출력부(30)에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0)는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21)와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부(22) 사이에 음원음성믹싱모듈(23)을 포함하고 있어,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21)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마이크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음원아날로그신호의 음율에 음성신호인 목소리가 잘 조합된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된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사운드출력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는 출력단에 증폭기를 포함하고 있어,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한 후, 사운드출력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더욱이, 본체부(20)는 복수 개의 마이크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마이크에서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믹싱 한 후,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믹싱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부(20)는 제1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마이크(211)가 무선으로 연결되고, 제2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마이크(212)가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음성신호와 제2음성신호를 믹싱하는 음성믹싱모듈(24)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마이크(211)는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일례로, 제1a마이크(211a), 제1b마이크(211b)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20)는 제1마이크(211)가 복수 개로 형성되면, 제1a마이크(211a)와 제1b마이크(211b)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는 음성믹싱기 및 제1a마이크(211a)와 제1b마이크(211b)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제2마이크(21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는 음성믹싱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0)는 에코부(25)를 포함하여 에코부(25)에서 음성신호의 반사작용으로 음성신호의 진폭과 시간 차를 가지며 출력되는 에코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음성믹싱모듈(24)은 음성신호와 에코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음원음성믹싱모듈(23)에서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다시 믹싱되어 믹싱아날로그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에코부(25)는 가변저항으로 형성된 조절부(251)를 포함하고 있다. 조절부(251)는 전원공급부(60)에서 에코부(25)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를 변화시키며 에코신호의 출력 시간을 용이하게 조절하며, 출력되는 에코신호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운드출력부(40)는 음원음성믹싱모듈(23)에서 출력되는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입력받아 보다 임장감 있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사운드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원디지털신호를 조정하여 사운드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원아날로그신호 및 믹싱아날로그신호와 동기화 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 상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원디지털신호와 동기화되는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믹싱아날로그신호 가운데 믹싱아날로그신호가 음원디지털신호와 동기화 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영상사운드출력부와 사운드출력부 간 출력신호를 동기화하는 과정에 대한 도면이다.
본체부(20)는 음원디지털신호의 출력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시간튜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튜닝부는 본체부(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간튜닝부를 통해 영상사운드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음원디지털신호(SDS)와 사운드출력부(40)에서 출력되는 음원아날로그신호 또는 믹싱아날로그신호 간 시간 차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음원디지털신호(SDS)가 기준시간(Standard time)보다 앞서 시작된다면, 사용자는 시간튜닝부를 통해 이러한 앞선음원디지털신호(SDS1)를 Δt1시간(tuning time)만큼 지연시켜 믹싱아날로그신호(MAS)와 동기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Standard time)은 음원디지털신호(SDS)와 믹싱아날로그신호(MAS)가 동일한 소리가 출력되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음원디지털신호(SDS)가 기준시간(Standard time)보다 지연되어 시작되면, 사용자는 시간튜닝부를 통해 이러한 지연음원디지털신호(SDS2)를 Δt2시간(tuning time)만큼 앞당겨 믹싱아날로그신호(MAS)화 동기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시간튜닝부를 통해 음원디지털신호(SDS)를 조정하며, 음원디지털신호(SDS)와 믹싱아날로그신호(MAS) 간 발생 된 재생 시간 차를 손쉽게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1)는 음원디지털신호(SDS)와 믹싱아날로그신호(MAS)가 동일한 시점에서 출력되어, 울림 및 잔향 현상 없이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10: 셋톱박스모듈 11: 제1어플리케이션
20: 본체부 21: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
22: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부 23: 음원음성믹싱모듈
24: 음성믹싱모듈 25: 에코부
251: 조절부
210: 마이크부 211: 제1마이크
212: 제2마이크
30: 영상사운드출력부 31: 코드정보
32: 제2어플리케이션
40: 사운드출력부 50: 단말기
60: 전원공급부

Claims (8)

  1.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복수 개의 음원데이터와 코드정보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어플리케이션(11)이 설치된 셋톱박스모듈(10);
    상기 셋톱박스모듈(10)과 적어도 하나의 제1마이크(2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마이크(212)를 포함하여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부(210)와 연결되며,
    직류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셋톱박스모듈(10)에서 상기 음원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음원데이터를 음원아날로그신호로 변화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21)와,
    상기 음원아날로그신호를 음원디지털신호(SDS)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부(22)와,
    상기 다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21)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부(2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부(21)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아날로그신호와 마이크부(21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믹싱아날로그신호(MAS)를 출력하는 음원음성믹싱모듈(23)과,
    상기 제1마이크(211)에서 출력되는 제1음성신호와 상기 제2마이크(212)에서 출력되는 제2음성신호를 믹싱(Mixing)하는 음성믹싱모듈(24)을 포함하여,
    상기 셋톱박스모듈(10)을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마이크부(210)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MAS)를 음원디지털신호(SDS)로 변환하여, 상기 음원디지털신호(SDS)를 시리얼클럭(SCL: Serial Clock)에 맞춰 출력하며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MAS)를 출력하는 본체부(20);
    상기 셋톱박스모듈(10) 및 상기 본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셋톱박스모듈(10)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코드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본체부(20)로부터 상기 음원디지털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영상사운드출력부(30);
    상기 본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출력부(40); 및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영상사운드출력부(30)에 출력된 상기 영상데이터의 코드정보를 읽은 후,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어플리케이션(32)이 설치된 단말기(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영상사운드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원디지털신호(SDS)와 상기 사운드출력부(40)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원아날로그신호 간 시간 차가 발생될 때, 상기 음원디지털신호(SDS)가 기준시간(Standard time)보다 앞서 시작되면 앞선음원디지털신호(SDS1)를 지연시켜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MAS)와 동기화 시키고,
    상기 음원디지털신호(SDS)가 기준시간(Standard time)보다 지연되어 시작되면 지연음원디지털신호(SDS2)를 앞당겨 상기 믹싱아날로그신호(MAS)와 동기화 시켜, 음원디지털신호(SDS)와 믹싱아날로그신호(MAS) 간 동일한 시점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시간튜닝부(2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마이크(211)는,
    상기 본체부(2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마이크(212)는,
    상기 본체부(2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20)는,
    가변저항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간 차를 조절하는 조절부(251)를 포함해 음성신호의 반사작용으로 음성신호의 진폭과 시간 차를 가지며 에코신호를 출력하는 에코부(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믹싱모듈(24)은,
    상기 에코부(25)에서 출력되는 상기 에코신호를 상기 제1음성신호와 상기 제2음성신호와 믹싱하고,
    상기 코드정보는,
    QR(Quick Response)코드가 되며,
    상기 영상데이터는,
    음원데이터의 제목 및 음원데이터의 가수가 되고,
    상기 제2어플리케이션(32)은,
    상기 QR코드를 읽어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11)과 연결되어,
    상기 음원데이터의 제목 및 상기 음원데이터의 가수의 문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문자의 정렬 순서를 변경 가능한,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30178A 2018-03-15 2018-03-15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KR102142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78A KR102142542B1 (ko) 2018-03-15 2018-03-15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PCT/KR2019/002941 WO2019177388A1 (ko) 2018-03-15 2019-03-14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78A KR102142542B1 (ko) 2018-03-15 2018-03-15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58A KR20190108758A (ko) 2019-09-25
KR102142542B1 true KR102142542B1 (ko) 2020-08-07

Family

ID=6790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178A KR102142542B1 (ko) 2018-03-15 2018-03-15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2542B1 (ko)
WO (1) WO2019177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2338A (zh) * 2020-10-28 2021-01-26 重庆百瑞互联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麦克风设备及k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24B1 (ko) * 2005-11-01 2007-05-15 테크온팜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음원 재생기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JP2016102982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エクシング カラオケシステム、プログラム、カラオケ音声再生方法及び音声入力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698Y1 (ko) 2006-03-08 2006-06-02 고리텍 주식회사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KR100756896B1 (ko) * 2006-06-13 2007-09-07 주식회사 엔터기술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KR100917991B1 (ko) * 2009-02-16 2009-09-18 주식회사 빅슨 화상회의 및 노래방 기능을 가진 셋탑박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1986B1 (ko) * 2010-12-30 2012-12-12 주식회사 금영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KR101193129B1 (ko) * 2011-03-02 2012-10-19 남궁성 다자 동시 제어를 허용하는 실시간 원격 360도 전방향 영상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24B1 (ko) * 2005-11-01 2007-05-15 테크온팜 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음원 재생기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JP2016102982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エクシング カラオケシステム、プログラム、カラオケ音声再生方法及び音声入力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388A1 (ko) 2019-09-19
KR20190108758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48083A (ja) 電子機器、音量制御システムおよび音量制御方法
CN108345489A (zh) 一种点唱系统
KR100291890B1 (ko) 대화형 멀티미디어 오락기를 위한 시스템 및 그 장치
KR102142542B1 (ko)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US202102479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d Transmitting Live Media
KR20080065790A (ko) 복수의 모듈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1153333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JP2013024915A (ja) ドングル(dongle)装置および再生システム
JP2007235519A (ja) 映像音声同期方法及び映像音声同期システム
KR100756896B1 (ko)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CN102598703A (zh) 用于控制用于内容项的回放的装置的设置的方法和设备
JP4171687B2 (ja) 音楽再生装置
WO2009002195A2 (en) Integrated television karaoke device
JP2019040167A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10536828U (zh) 一种地面数字机顶盒系统
TWM504326U (zh) 音源處理裝置及音源處理系統
JP4153453B2 (ja) 音楽再生装置
KR100687268B1 (ko) 외부 엠피쓰리데이터 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TW201630417A (zh) 音源處理裝置及音源處理系統
US10264233B2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ing method
KR101555333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시연동작 제어방법
JP657948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動画表示方法、及び、動画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6139125A (ja) 通信カラオケ装置
JP5358033B1 (ja) ラジオ番組配信システム、ラジオ番組連動処理方法及びラジオ番組連動処理プログラム
KR20030006107A (ko) 인터넷 데이터를 텔레비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