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896B1 -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896B1
KR100756896B1 KR1020060052780A KR20060052780A KR100756896B1 KR 100756896 B1 KR100756896 B1 KR 100756896B1 KR 1020060052780 A KR1020060052780 A KR 1020060052780A KR 20060052780 A KR20060052780 A KR 20060052780A KR 100756896 B1 KR100756896 B1 KR 10075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multimedia
sound source
data
accompaniment sound
s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914A (ko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102006005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8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7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1Lyrics displays, e.g. for karaoke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21Mobile ringtone, i.e. generation, transmission, conversion or downloading of ringing tones or other sounds for mobile telephony; Special musical data formats or protocols 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반주용 음원 및 상기 반주용 음원과 동기(sync)를 이루는 자막 데이터를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에 외부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혼합하고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미디 재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노래 반주기가 개시된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노래반주기, 전용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A karaoke system and a singing practice function providing a separated type multimedia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나타낸 노래 반주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 중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미디 재생장치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노래 반주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엠피쓰리(MP3)와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와의 인터페이싱 기능을 갖는 노래 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노래 반주기는 다양한 노래의 반주용 음원 및 이와 동기(sync)를 이루는 자막과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는 많은 곡 중에서 부르고자 하는 노래를 별도로 구비된 리모콘을 이용하거나 노래 반주기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선곡한다. 노래 반주기는 선택된 노래의 반주음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선택된 곡의 자막과 배경 영상을 구비된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로 출력되는 자막을 보면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반주음에 따라 노래를 부르게 된다. 이러한 노래 반주기에서 노래 선곡을 하기 위해서는 노래 곡목(노래 이름)이 기록된 책 또는 다른 방법을 통해 노래 번호를 선택하고, 노래반주기 선곡 단말 장치를 통해서 노래 반주기에 무선으로 입력한다. 또한, 기존의 노래반주기 시스템에서는 신곡이 발표되면, 관리자가 직접 노래 반주기를 조작하여 신곡을 업데이트시켜야 한다. 만일, 관리자가 신속하게 신곡을 업데이트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바로바로 제공할 수 없다. 또한, 노래 반주기마다 저장되어 있는 노래들이 달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찾을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반주용 음원과 자막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와의 인터페이싱(interfacing)을 수행할 수 있는 노래 반주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MP3 플레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노래 연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노래 반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첫 번째 구성의 특징은 A/V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반주용 음원 및 이와 동기를 이루는 자막 및 영상 데이터를 고정형 노래 반주 기능 장치로 전달받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다른 실시에 따른 구성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MP3 데이터를 제공받아, 보이스 캔슬러(canceler)를 이용하여 보이스(voice)를 제거시켜 반주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노래 연습 장치에서 이용하는 구성이다. 또는 노래반주용 반주용 음원을 오디오 파일로 변환시켜 MP3나 기타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 변경한 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노래 연습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구체적 구성의 특징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내장된 반주용 음원 및 상기 반주용 음원과 동기(sync)를 이루는 자막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에 외부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혼합하고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미디 재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다른 구성의 특징은 디지털 형식으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일반 오디오 데이터를 내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음성 신호를 제거하여 반주용 음원으로 변환하고, 내장된 자막 데이터가 상기 반주용 음원에 동기(sync)를 이루도록 제어하고 외부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혼합하고 이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노래반주기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외부 마이크(mic)는 상기 미디 재생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wireless)으로 연결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미디 재생장치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USB 포트를 포함한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상기 미디 재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저장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인터넷을 통해 반주용 음원 및 상기 반주용 음원과 동기(sync)를 이루는 자막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연습 기능 제공방법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멀티 미디어 장치로부터 반주용 음원 및 이에 동기(sync)를 이루는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외부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반주용 음원과 믹싱(mixing)하는 과정과; 믹싱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른 노래 연습 기능 제공방법은 휴대용 멀티 미디어 장치로부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음성신호를 제거하여 반주용 음원을 생성하는 과정과; 외부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반주용 음원과 믹싱(mixing)하는 과정과; 믹싱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연습 기능 제공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내장된 자막 데이터를 읽어 들여 상기 반주용 음원과 동기를 이루도록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 연습 기능 제공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증폭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나타낸 노래 반주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와 미디 재생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혹은 MP3 기능을 갖는 휴대폰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 기능을 갖는 휴대폰 또는 PDA 장치인 경우,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와 미디 재생장치(200)는 전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USB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미디 재생장치(200)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반주용 음원을 이용하여 노래 연습 기능을 구현한다. 이때, 상기 미디 재생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는 전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제어부(141)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반주용 음원은 미디 재생장치(200)에 연결된 유선 또는 무선 외부 마이크(mic)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와 혼합된다. 혼합된 데이터는 증폭되어 미디 재생장치에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데이터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제공되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마이크(mic)는 상기 미디 재생장치(200)와 유선 혹은 무선(wireless)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미디 재생장치(200)에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미디 재생장치(200)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자막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즉, 하나의 중앙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방식과 두 개의 중앙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첫째, 하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방식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중앙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물론 미디 재생장치(200)의 동작을 하나의 프로세서로 운용하는 방식이다. 이때, 두 장치(100, 200)의 사이에는 전용 인터페이싱을 위한 구성이 필요하고, 미디 재생장치(200)의 동작 제어 또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제어장치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둘째, 각 장치의 중앙프로세서를 이용하는 방식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서는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자체 코덱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미디 재생장치(200)에서 이를 이용하여 노래 연습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도 2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특히, 유의할 점은 본 구성 예는 이하에서 설명을 통해 나타나겠지만, 미디 재생 장치(200)에 그래픽 컨트롤러가 없는 것을 가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버튼(111)과,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의 임시 기억장치인 RAM(121)과,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와 이에 동기를 이루는 자막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131)과, 상기 버튼(111)을 통해 제공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그래픽 컨트롤러(141)와, 상기 제어부(141)의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현가능한 신호로 압축/변환하는 비디오 엔코더(161)와, 상기 제어부(141)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하기 위한 형태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LCD)(171)와, 상기 ROM(131)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에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는 오디오 엔코더(181)와, 미디어 재생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각 구성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1)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실시 예로서, 하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로세서로 운용하는 방식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가 A/V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메모리에는 반주용 음원과 상기 반주용 음원과 동기를 이루는 자막 및 동영상 데이터를 구비해야 한다. 미디 재생장치(200)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음원에 마이크를 통해 제공된 음성을 혼합하여 출력하고, 비디오 신호를 외부 모니터로 바이패스(by-pass)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서와 달리, 각 장치의 프로세서를 각각 이용하는 방식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미디 재생장치(200)에 프로세서 및 그래픽 컨트롤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이다. 다시 말해, 제 1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 예에서는 미디 재생장치(200)에 프로세서 및 그래픽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도 5는 미디 재생장치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예시도에는 하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경우(점선으로 표시)와 두 개의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함께 표시하고 있다.
무선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은 무선 수신부를 거쳐 마이크 믹서에 전달된다. 이때, 유선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 또한 상기 마이크 믹서에 전달 가능함은 언급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상기 마이크 믹서에 전달된 사용자의 음성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음원 모듈에 전달된다. 만약, 하나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음원모듈로 반주용 음원이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출력 믹서에 전달된다. 상기 출력 믹서를 거친 오디오 신호는 출력부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증폭장치로 전달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오디오 입력라인을 통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노래 연습을 위해 부른 노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전달되어 디지털 형태로 압축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 라인을 통해 미디 재생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 재생장치(200)의 오디오 코덱을 통해 변환된 오디오 신호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오디오 신호를 혼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기타, USB의 연결 및 비디오(video) 신호의 전달은 도시된 바와 같다.
휴대용 멀티 미디어 장치(100)에서는 디지털 형식으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MP3)를 내장된 코덱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이때,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동작 제어는 자체 프로세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미디 재생장치(200)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음성 신호를 제거하여 반주용 음원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어, 내장된 자막 데이터가 상기 반주용 음원 데이터에 동기(sync)를 이루도록 변환한다. 변환된 자막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컨트롤러와 비디오 엔코더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만 나타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비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미디 재생장치(200)는 비디오 신호를 TV 혹은 모니터로 전달하기 위한 길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 4에서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 및 미디 재 생장치(200) 각각에 프로세서가 구성된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제어는 미디 재생장치(200)에 의해 이루어진다.
PC와의 데이터 교환 등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 및 미디 재생장치(200) 각각에 구성된 USB 포트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다양한 신곡을 포함한 음원 및 동영상 데이터의 제공수단인 확장팩과, 아답터 전원을 통해 제공된 전원은 전원부를 통해 무선 마이크 충전부 및 휴대용장치 충전부에 전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보이스 캔슬러를 이용하여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음성을 제거하여, 무선 혹은 유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혼합하여 증폭하고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 오디오 신호는 다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 전달되어 압축과정을 거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100, 200)에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 확장팩에 저장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노래 반주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MP3 장치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미디 재생장치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노래방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5)

  1. 반주용 음원, 상기 반주용 음원과 동기(sync)를 이루는 자막 데이터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기억장치와,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제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현가능한 신호로 압축 및 변환하는 비디오 엔코더와,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제공된 반주용 음원을 출력에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는 오디오 엔코더와,
    상기 기억장치, 상기 비디오 엔코더, 및 상기 오디오 엔코더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그래픽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반주용 음원, 상기 반주용 음원과 동기(sync)를 이루는 자막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와;
    프로세서를 구비함이 없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음원 및 자막 데이터에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비디오 데이터를 외부 모니터로 바이패스하는 미디 재생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노래 반주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mic)는 상기 미디 재생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wireless)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상기 미디 재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저장하고 이를 이용한 음성 메아리 및 휴대폰 벨소리 서비스로 활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MP3 플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반주용 음원 및 상기 반주용 음원과 동기(sync)를 이루는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된 데이터는 컴퓨터나 인터넷을 통한 업로드(upload)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디지털 형식으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내장하며,
    상기 미디 재생장치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서 음성 신호를 제거하여 반주용 음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반주용음원을 자막 데이터에 동기(sync)시키고, 외부 마이크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상기 미디 재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 반주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60052780A 2006-06-13 2006-06-13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KR100756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780A KR100756896B1 (ko) 2006-06-13 2006-06-13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780A KR100756896B1 (ko) 2006-06-13 2006-06-13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914A KR20060077914A (ko) 2006-07-05
KR100756896B1 true KR100756896B1 (ko) 2007-09-07

Family

ID=3716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780A KR100756896B1 (ko) 2006-06-13 2006-06-13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2271A (zh) * 2015-12-31 2016-06-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播放方法及电子设备
KR102142542B1 (ko) * 2018-03-15 2020-08-07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548A (ko) * 1995-08-23 1997-03-29 김광호 음성 제거 장치
KR200340680Y1 (ko) 2003-11-19 2004-02-05 김정배 엠피쓰리플레이어를 이용한 노래방기기
KR20050018929A (ko) * 2005-02-01 2005-02-28 우종식 하나의 파일로 일반 음악, 반주 음악, 가사 미리불러주기, 코러스 기능, 뮤직비디오 제작이 가능한 음원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장치
KR20050101289A (ko) * 2004-04-17 2005-10-21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무선 송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20060017043A (ko) * 2004-08-19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p3 음악을 이용한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방법
KR20060021785A (ko) * 2004-09-03 2006-03-08 지영제 원터치 벨소리 제작기능이 탑재된 MP3 Player 및 휴대폰단말기
KR100576601B1 (ko) 2004-11-04 2006-05-04 주식회사 엔터기술 휴대용 노래방기기
KR200417698Y1 (ko) 2006-03-08 2006-06-02 고리텍 주식회사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548A (ko) * 1995-08-23 1997-03-29 김광호 음성 제거 장치
KR200340680Y1 (ko) 2003-11-19 2004-02-05 김정배 엠피쓰리플레이어를 이용한 노래방기기
KR20050101289A (ko) * 2004-04-17 2005-10-21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무선 송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20060017043A (ko) * 2004-08-19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p3 음악을 이용한 휴대폰의 벨소리 서비스방법
KR20060021785A (ko) * 2004-09-03 2006-03-08 지영제 원터치 벨소리 제작기능이 탑재된 MP3 Player 및 휴대폰단말기
KR100576601B1 (ko) 2004-11-04 2006-05-04 주식회사 엔터기술 휴대용 노래방기기
KR20050018929A (ko) * 2005-02-01 2005-02-28 우종식 하나의 파일로 일반 음악, 반주 음악, 가사 미리불러주기, 코러스 기능, 뮤직비디오 제작이 가능한 음원생성 및 재생 방법과 그 장치
KR200417698Y1 (ko) 2006-03-08 2006-06-02 고리텍 주식회사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914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8523B (zh) 一种手机实现卡拉ok的方法及具有卡拉ok功能的手机
CN101448009B (zh) 音乐同步播放系统、方法及音乐播放器
KR100921303B1 (ko) 콘텐츠 수신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
US8055361B2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KR100756896B1 (ko)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KR100950911B1 (ko) 디코딩된 멀티미디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공유하는이동통신 단말기
CN201479213U (zh) 具伴唱功能的移动电话
CN217643731U (zh) 双模式无线发声装置或无线耳机或无线音箱智能切换系统
KR100640429B1 (ko) 다기능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42542B1 (ko)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KR200360923Y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JP2008263638A (ja) データ配信方法
KR10060612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오디오신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80032751A (ko) 휴대 단말기의 동영상 생성 방법 및 콘텐츠 제공 방법
KR100695817B1 (ko) 휴대용 무선 가요 반주기
KR102181618B1 (ko) 모바일기기의 노래 동영상콘텐츠의 생성 방법과 애플리케이션 및 그에 적용된 반주기의 운영 방법
KR100692489B1 (ko) 홈 엔터테인먼트 도킹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93586B1 (ko) 노래방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79156B1 (ko) 유·무선 결합형의 복합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
KR100570106B1 (ko) 음악편지 기능을 갖는 휴대용 노래방기기 및 그에 의한 음악편지 전송방법
CN117579965A (zh) 一种投屏音箱
KR200332057Y1 (ko) 음악편지 기능을 갖는 휴대용 노래방기기
KR100696953B1 (ko) 마이크 보관 기능을 갖는 노래방 기기
KR100223590B1 (ko) 다기능 텔레비전
JP2006106286A (ja) 携帯式情報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29

Effective date: 200810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