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698Y1 -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698Y1
KR200417698Y1 KR2020060006280U KR20060006280U KR200417698Y1 KR 200417698 Y1 KR200417698 Y1 KR 200417698Y1 KR 2020060006280 U KR2020060006280 U KR 2020060006280U KR 20060006280 U KR20060006280 U KR 20060006280U KR 200417698 Y1 KR200417698 Y1 KR 200417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interface module
data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고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6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6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1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icrophones, i.e. control of musical parameters either directly from microphone signals or by physically associated peripherals, e.g. karaoke control switches or rhythm sensing accelerometer within the microphone ca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11Files or data streams containing coded musical information, e.g. for transmission
    • G10H2240/046File format, i.e. specific or non-standard musical file format used in or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 wavetables
    • G10H2240/061MP3, i.e. 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lossy audio compre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85USB, i.e. either using a USB plug as power supply or using the USB protocol to exchange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가 제공된다. 제공된 노래반주기는 전원부, 제어부, 저장부, 표시부, 메모리부, 영상/음향처리부, 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제어부에 선곡을 비롯한 선택사양들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소정부에 마련된 키패드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성된 마이크로 구성되며, 상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모듈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각종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모듈를 본체에 구비하여 미디음악 데이터 및 배경 영상데이터는 물론 MP3데이터와 DivX데이터 및 각종 그림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실행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모든 자료를 수정, 보완, 추가할 수 있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 선곡할 수 있음은 물론 플레이 도중에 배경 영상을 바꿀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Mini Multi Karaok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래반주기 100 : 본체
110 : 전원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표시부
150 : 메모리부 160 : 영상/음향처리부
170 : 출력부 200 : 키패드
300 : 마이크 400 : 인터페이스모듈
500 : 외부 장치
본 고안은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는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때 반주를 지원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노래반주기는 반주음을 재생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예컨대 TV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노래가사표시 및 영상을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노래 가사를 보면서 노래를 부를 수 있다.
기존의 노래반주기는 반주음을 재생하는 장치와 그에 따른 노래 가사 및 영상이 출력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성됨에 따라 그 설치가 번거롭고 휴대하기가 불가능하여 노래방업소를 중심으로 보급되어 왔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들이 점차 개선되어 DVD플레이어 형태의 가정용 노래반주기 또는 마이크 일체형 휴대용 노래반주기가 개발/보급되면서 누구든지 가정이나 차량, 야외에서도 노래반주에 맞춰 노래를 즐길 수 있다. 특히, 마이크 일체형 휴대용 노래반주기는 마이크 몸체 내에 영상, 자막, 반주신호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시킴으로써 따로 분리된 영상/자막출력장치와 반주장치 없이 TV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에 영상 및 자막을 표시함과 아울러, 스피커를 통해 반주음을 출력할 수 있고, 이어폰을 통하여 오디오 음의 출력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마이크 일체형 휴대용 노래반주기는 노래반주기업체에서 제공하는 미디음악 데이터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시 말하면, 기존의 가정용/휴대용 노래반주기는 미디음악 데이터에 의한 반주음만 감상할 수 있고 디지털 음악파일인 MP3파일 등은 감상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가정용/휴대용 노래반주기는 배경 영상 또한 노래반주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영상에 한정되고, 배경 영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편집저장하는 별도의 작업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휴대용 노래반주기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여 미디음악 데이터 및 배경 영상데이터는 물론 MP3데이터와 DivX데이터 및 각종 그림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실행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모든 자료를 수정, 보완, 추가할 수 있는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 선곡할 수 있음은 물론 플레이 도중에 배경 영상을 바꿀 수 있는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원부와, 제어부와, 저장부와, 표시부와, 메모리부와, 영상/음향처리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어부에 선곡을 비롯한 선택사양들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소정부에 마련된 키패드; 및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성된 마이크;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부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USB인터페이스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응하는 통신포트가 마련된 PC를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응하는 통신포트가 마련된 메모리카드를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응하는 통신포트가 마련된 MP3플레이어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노래반주기(1)는 본체(100)에 인터페이스모듈(400)이 더 포함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본체(100)는 디지털로 압축된 오디오파일을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데이터 기록재생기능과,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과, 오디오, 반주데이터와 텍스트파일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 및 오디오,비디오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에는 휴대가 가능한 크기를 갖되, 전원부(110)와, 제어부(120)와, 저장부(130)와, 표시부(140)와, 메모리부(150)와, 영상/음향신호처리부(160)와, 출력부(170)가 구비됨과 아울러, 키패드(200)와 마이크(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10)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외부전원 연결 잭을 통하여 외부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20)는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상기 키패드(200)는 복수의 기능선택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키패드(20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120)에 선곡을 비롯한 선택사양들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LCD모니터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및 데이터의 신호를 영상 및 문자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부(150)는 롬(ROM)과 램(RAM)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롬에 저장된 루틴에 따라 전체동작을 수행하고, 연주되는 곡의 주기와 데이터는 상기 램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130)는 소정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의미하고, 상기 영상/음향처리부(160)는 크게 음원파트와, 오디오파트 및 비디오파트로 구성되어 배경 영상데이터, 미디음악 데이터, 가사데이터 및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출력부(170)는 상기 영상/음향처리부를 거친 영상/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오디오 잭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체(100)에 외부 장치(500)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모듈(400)이 포함되는데,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모듈(400)은 USB인터페이스모듈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인터페이스모듈(400)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500)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400)과 상응하는 통신포트가 마련된 PC, 메모리카드, MP3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및 디지털캠코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노래반주기(1)는 일반적인 노래기능을 위해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키패드(200)의 기능선택버튼을 조작하여 선곡하면, 그 명령이 제어부(120)에 입력되어 노래반주기능을 위한 프로그램과 시스템이 동작한다. 즉, 제어부(120)는 키패드(200)의 설정명령에 의해 배경 영상데이터, 미디음악 데이터, 노래가사데이터를 인출하여 영상/음향처리부(160)에 보내고, 영상/음향처리부(160)에서는 입력된 음악과 반주데이터를 변환함과 동시에 마이크(30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합성하여 출력부(170)로 보내며, 이와 아울러 배경 영상데이터와 노래가 사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부(170)로 출력한다. 이에, 출력부(170)와 연결된 오디오 및 비디오수신장치(예컨대, TV모니터 등)를 통해 반주음과 배경 영상 및 노래 가사가 동시에 출력되면, 사용자는 반주에 마쳐 배경 영상과 노래 가사를 보면서 마이크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새로운 미디음악 데이터 또는 새로운 배경화면 데이터를 원할 경우, 인터페이스모듈(400), 즉 USB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해당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외부 장치(500)와 연결한 상태에서 데이터자료를 수정, 보완, 추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터페이스모듈(400)을 통해 본 고안의 노래반주기(1) 본체(100)에 PC를 연결한 경우, PC에 저장되어 있는 새로운 미디음악 데이터 또는 배경 영상데이터 및 그 밖의 데이터(MP3데이터와 DivX데이터 및 각종 그림데이터)를 본체(100)내의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스틱과 같은 메모리카드를 연결한 경우 다양한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르게는, 노래반주기 본체에 외부 디바이스(PC 또는 자체제작)를 연결한 상태에서 선곡한 후 노래반주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 있으며, MP3를 연결하여 디지털 음악파일을 감상함과 아울러 키패드의 조작을 통해 배경화면, 즉 새롭게 수정/ 보완/ 추가한 배경화면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의 노래반주기(1)는 기존의 반주기능 이외에도 인터페이스모듈(400)을 통해 MP3, DVD, 하드디스크 등을 장착하여 언제 어느 곳에서도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는 각종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모듈를 본체에 구비하여 미디음악 데이터 및 배경 영상데이터는 물론 MP3데이터와 DivX데이터 및 각종 그림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실행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모든 자료를 수정, 보완, 추가할 수 있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장치와 연결하여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 선곡할 수 있음은 물론 플레이 도중에 배경 영상을 바꿀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원부와, 제어부와, 저장부와, 표시부와, 메모리부와, 영상/음향처리부, 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어부에 선곡을 비롯한 선택사양들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소정부에 마련된 키패드; 및
    상기 본체와 일체로 구성된 마이크;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부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모듈은 USB인터페이스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응하는 통신포트가 마련된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응하는 통신포트가 마련된 메모리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응하는 통신포트가 마련된 MP3플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KR2020060006280U 2006-03-08 2006-03-08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KR200417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80U KR200417698Y1 (ko) 2006-03-08 2006-03-08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80U KR200417698Y1 (ko) 2006-03-08 2006-03-08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698Y1 true KR200417698Y1 (ko) 2006-06-02

Family

ID=41767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280U KR200417698Y1 (ko) 2006-03-08 2006-03-08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6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385B1 (ko) 2007-01-15 2007-08-10 주식회사 텔레칩스 이동형 저장매체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56896B1 (ko) 2006-06-13 2007-09-07 주식회사 엔터기술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KR100898125B1 (ko) 2007-11-23 2009-05-18 주식회사 금영 휴대용 노래 반주기
KR20190108758A (ko)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896B1 (ko) 2006-06-13 2007-09-07 주식회사 엔터기술 분리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노래 반주 기능을 위한 장치를 갖는 노래 반주기
KR100748385B1 (ko) 2007-01-15 2007-08-10 주식회사 텔레칩스 이동형 저장매체를 이용한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98125B1 (ko) 2007-11-23 2009-05-18 주식회사 금영 휴대용 노래 반주기
KR20190108758A (ko)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8523B (zh) 一种手机实现卡拉ok的方法及具有卡拉ok功能的手机
US20010029192A1 (en) Cellular phone having an audio player
KR19990045974A (ko) 엠피3파일재생용시스템및그구동방법
JP2011100156A (ja) アコースティック/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の自動演奏及び録音装置
KR200417698Y1 (ko) 휴대용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노래반주기
JP4500730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電子早見本装置
KR20130095389A (ko) 실시간 영상합성 시스템
JP2006209079A (ja) 音楽ファイル編集機能を持つ携帯用端末機及びこれを利用した音楽ファイル編集方法
US6525251B1 (en) Method of displaying the title and words of songs on a digital music player
KR101082260B1 (ko) 휴대용 디지털 기기의 캐릭터 표시방법
KR20080058042A (ko) 음악 재생 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200360923Y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KR1006751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파일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KR20070103328A (ko) 뮤직비디오 재생 기능을 가지는 마이크형 노래반주기
KR20080015138A (ko) 뮤직비디오 및 학습컨텐츠 재생기능을 가지는 마이크형노래반주기
WO2009002195A2 (en) Integrated television karaoke device
KR200467620Y1 (ko) 해상도 조절이 가능한 노래반주기
KR100974052B1 (ko)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1019199U (zh) 一种语音智能多媒体播放器
JPH10319977A (ja) カラオケ演奏装置およびカラオケ用携帯型試聴端末
KR100561315B1 (ko) 노래반주기의 장르별 최적음역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KR100898125B1 (ko) 휴대용 노래 반주기
KR20090109448A (ko) 학습기능을 갖는 멀티 플레이어
KR20080110247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용 리모컨이 부착된 이어폰과 그이어폰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525777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배경음원과 외부 입력오디오신호의 믹싱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