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341B1 -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341B1
KR102142341B1 KR1020190137491A KR20190137491A KR102142341B1 KR 102142341 B1 KR102142341 B1 KR 102142341B1 KR 1020190137491 A KR1020190137491 A KR 1020190137491A KR 20190137491 A KR20190137491 A KR 20190137491A KR 102142341 B1 KR102142341 B1 KR 102142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polyketone
parts
nano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102019013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341B1/ko
Priority to PCT/KR2020/015103 priority patent/WO2021086144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매 차단성, 연료 차단성, 특히 알코올 함유 용매 또는 연료 차단성, 기체 차단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매 차단성, 알코올 차단성, 연료 차단성, 알코올 함유 연료 차단성, 기체 차단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용기, 필름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나노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A nanocomposite composition with excellent barrier property}
본 발명은 용매 차단성, 연료 차단성, 기체 차단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범용수지는 성형성, 기계적 물성 및 수분차단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가스에 대해서도 우수한 차단성능을 갖고 있으나, 산소차단성이 요구되는 식품포장이나 내화학적 차단성이 요구되는 연료전지, 농약용기, 식품 등의 적용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스차단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및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고분자들은 상용성이 적어 블렌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고분자 수지에 층상점토화합물을 혼합한 나노복합체를 사용하여 기체 차단성, 용매 차단성 및 수분 차단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공성 및 분산성에 여전히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용매 차단성, 연료 차단성, 기체 차단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고분자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최근 탄화수소계 연료에 바이오 알코올 내지 알코올을 5 내지 95%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연료의 경우 내구성 및 내화성성이 우수한 고분자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084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매 차단성, 알코올 차단성, 연료 차단성, 알코올함유 연료 차단성, 기체 차단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용기, 필름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나노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10~60중량부 및 상용화제 1~3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케톤 2~2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 2~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매 차단성, 알코올 차단성, 연료 차단성, 기체 차단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 용기, 필름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나노복합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및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나노복합체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10~60중량부 및 상용화제 1~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복합체 조성물 용매 차단성, 알코올 차단성, 연료 차단성, 기체 차단성, 내열성,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연료전지, 용기, 필름에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케톤 나노복합체는 폴리케톤과 층상점토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층상점토화합물의 함량은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함량에 대하여 1~10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케톤은 (a) 제9족, 제10족 또는 제11족 전이금속 화합물, (b) 제15족의 원소를 가지는 리간드로 이루어지는 유기금속 착체 촉매의 존재 하에, 액상 매체 중에서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및 프로필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삼원 공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액상 매체로서 70~90용량%의 초산과 10~30용량%의 물로 이루어지는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중합시 벤조페논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층상점토화합물은 몬트모릴로나이트(montmorll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카올린나이트(kalinite), 마이카(mica), 헥토라이트(hectorite), 불화헥토라이트(fluorohectorite), 사포나이트(saponite), 베이델라이트(beidelite), 논트로나이트(nontronite), 스티븐사이트(stevens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할로사이트(hallosite), 볼콘스코이트(volkonskoite), 석코나이트(suconite), 마가다이트(magadite) 및 케냐라이트(kenyali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층상점토화합물은 층간 사이에 유기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이 분산성과 가공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유기화합물로는 4차 암모늄(quaternary ammonium), 포스포늄(phosphonium), 말레이에이트(maleate), 석시네이트(succinate), 아크릴레이트(acrylate), 벤질릭 하이드로젠(benzyic hydrogens), 옥사졸린(oxazoline) 등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케톤 나노복합체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6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 차단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고, 6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 및 분산성이 저하된다.
상기 상용화제는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3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혼화성 및 분산성이 저하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내열성 및 차단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내열성과 혼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케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케톤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차단성이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 2~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산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데실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데실메타크릴산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중량비는 10~30:70~90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10:90 미만이면 혼화성이 저하되고, 30:70을 초과하면 차단성이 저하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인 경우 혼화성 및 분산성이 저하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차단성이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올리고머 2~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란 커플링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1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50~80중량% 및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0~50중량%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2-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3-(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3-(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실란 올리고머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10중량부가 사용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차단성과 내열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분자 내에 다수의 수산화기를 포함하고 있어 조성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3-메틸펜탄디올, 헥산디올, 비스옥시메틸시클로헥산 등의 글리콜 성분과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산 성분을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1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차단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산성 및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성물의 차단성 및 내열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 폴리케톤 나노복합체(폴리케톤 98중량% 및 포스포늄으로 유기화된 몬트모릴로나이트 2중량%) 20중량부 및 무수말레인산 변성 그라프트 고밀도 폴리에틸렌 20중량부를 혼합하고 압출하여 나노복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8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8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케톤 수지 10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5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대신에, 폴리아마이드 나노복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무수말레인산 변성 그라프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대신에, 폴리케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조성물을 중공 성형하여 용기를 제조한 후, 액체 차단성 및 기체 차단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용매 차단성)
톨루엔을 1,000㎖ 용기에 채운 후, 40℃의 강제배기환경에서 30일 동안 내용물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알코올 함유 용매 차단성)
톨루엔과 알코올을 중량비 9:1로 섞어 1,000㎖ 용기에 채운 후, 40℃의 강제배기환경에서 30일 동안 내용물의 중량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가스 차단성)
1,000㎖의 용기를 1일 동안 23℃의 온도 및 50%의 상대조건인 습기조건에서 방치한 후, 가스투과율 측정기(Mocon OX-TRAN 2/20,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용매 차단성
중량변화율
(%)
0.2 0.4 0.6 0.3 0.15 0.2 5 2
알코올 함유 용매 차단성 중량 변화율
(%)
0.25 0.5 0.8 0.4 0.25 1.5 5.5 2.5
산소 투과도
(cc/m2 day atm)
285 395 438 214 206 912 1,068 995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의 나노복합체 조성물은 용매 차단성 및 기체 차단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알코올 함유 용매차단성에 있어서, 실시예 1, 4 및 5의 경우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의 경우 용매 차단성은 실시예 1, 4 및 5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나, 알코올 함유 용매 차단성은 현저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 및 3의 조성물은 상기 특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열등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상용화제; 및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폴리케톤 나노복합체는 폴리케톤과 층상점토화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층상점토화합물의 함량은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함량에 대하여 1~10중량% 이고,
    상기 상용화제는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무수말레산 변성 그라프트 폴리에틸렌, 에틸렌-알킬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며,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케톤 나노복합체 10~60중량부, 상용화제 1~30중량부 및 폴리케톤 2~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아크릴산 모노머의 공중합체 2~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조성물.
KR1020190137491A 2019-10-31 2019-10-31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KR102142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491A KR102142341B1 (ko) 2019-10-31 2019-10-31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PCT/KR2020/015103 WO2021086144A1 (ko) 2019-10-31 2020-11-02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491A KR102142341B1 (ko) 2019-10-31 2019-10-31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341B1 true KR102142341B1 (ko) 2020-08-07

Family

ID=7204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491A KR102142341B1 (ko) 2019-10-31 2019-10-31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2341B1 (ko)
WO (1) WO20210861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144A1 (ko) * 2019-10-31 2021-05-06 김명호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5552A (zh) * 2022-12-07 2023-03-14 天津泰达滨海清洁能源集团有限公司 一种输送氢气的聚乙烯管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023A (ja) * 2001-05-30 2003-02-21 Daicel Degussa Ltd 複合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15025A (ja) * 2005-11-09 2009-04-09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熱可塑性エラス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0844B1 (ko) 2009-05-13 2011-12-08 자동차부품연구원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고분자-클레이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120075923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효성 기체 차단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031B1 (ko) * 2006-07-13 2008-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물품
KR101903033B1 (ko) * 2017-06-08 2018-10-0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수용 코팅 조성물
KR102142341B1 (ko) * 2019-10-31 2020-08-07 김명호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023A (ja) * 2001-05-30 2003-02-21 Daicel Degussa Ltd 複合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15025A (ja) * 2005-11-09 2009-04-09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熱可塑性エラス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0844B1 (ko) 2009-05-13 2011-12-08 자동차부품연구원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고분자-클레이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120075923A (ko) *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효성 기체 차단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6144A1 (ko) * 2019-10-31 2021-05-06 김명호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6144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341B1 (ko) 차단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체 조성물
EP1458644B2 (en) Nanocomposite blend composition having super barrier property
US8084536B2 (en) Resin composition and film made of same
US20030130399A1 (en) Ethylene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melt strength
KR101183544B1 (ko) 가스배리어성 코팅액의 제조방법
KR20190038844A (ko)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조성물
KR102004954B1 (ko) 중합체 개질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0780A (ko) 기계 및 배리어 성질이 개선된 폴리올레핀 조성물
JPH0321611A (ja) 成形可能な樹脂混練物
JPH10306180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構造体
WO2006080713A1 (en) Nanocomposite composition having barrier property
CN102773892B (zh) 基于纳米poss掺杂的木材-有机-无机杂化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7326837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フィルム
CN114478931B (zh) 不饱和聚酯树脂组合物及其模制品
RU2340639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нанокомпозит в качестве газового барьера, и изделия из нее
TW202415701A (zh) 烯系不飽和聚酯樹脂組成物
KR10232982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WO2007040060A1 (ja) 酸素吸収性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
JP7356404B2 (ja) 農業用フィルム及びジオメンブレン
JP2011162255A (ja) 多層容器
CN1113931C (zh) 树脂材料以及用它制成的薄膜
JP7143106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および複合成形体
JP7339742B2 (ja) 多層フィルム
JP3324880B2 (ja) 多層パイプおよびその用途
KR102321774B1 (ko)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유기막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