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155B1 -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155B1
KR102142155B1 KR1020140033655A KR20140033655A KR102142155B1 KR 102142155 B1 KR102142155 B1 KR 102142155B1 KR 1020140033655 A KR1020140033655 A KR 1020140033655A KR 20140033655 A KR20140033655 A KR 20140033655A KR 102142155 B1 KR102142155 B1 KR 10214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mesa
sources
mesa
nonvolatil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964A (ko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155B1/ko
Priority to US14/470,652 priority patent/US9318497B2/en
Priority to TW103129823A priority patent/TWI622160B/zh
Priority to CN201410524481.6A priority patent/CN104934432B/zh
Publication of KR2015011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964A/ko
Priority to US15/069,282 priority patent/US96341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58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lateral devices with structured layout for source or drain region, i.e. the source or drain region having cellular, interdigitated or ring structure or being curved or 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01L29/42328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gate other than the floating gate and the control gate, e.g. program gate, erase gate or select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01L29/42332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with the floating gate formed by two or more non connected parts, e.g. multi-particles fl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01L29/7887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more than two possible different levels of programm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1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sa)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기판 부분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소스(source)들, 및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제1 및 제2소스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들의 트위 셀(twin cell)들이 다수 배열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single layered floating gate and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반도체 메모리(memory)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일층의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를 구비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원공급이 중단되어도 셀(cell)에 저장된 데이터(data)가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중 이이피롬(EEPROM)의 메모리 셀에 대한 다양한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이이피롬(EEPROM)의 단위 메모리 셀 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플로팅게이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시스템 IC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자들이 함께 집적되는 경우, 다른 소자들과 동일한 공정 과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단일층으로 플로팅 게이트를 구현하는 내장형 이이피롬(embedded EEPROM)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이이피롬(single-layered floating gate EEPROM)은 상보형 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의 제조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어, 시스템온칩(SOC)과 같이 다양한 소자들이 함께 구비된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플로팅 게이트의 커플링 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플로팅 게이트의 커플링 비를 증가시키며 2비트(bit) 동작이 가능한 트윈 셀(twin cell) 구조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플로팅 게이트의 커플링 비를 증가시키며 2비트(bit) 동작이 가능한 트윈 셀(twin cell) 구조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관점은, 기판 표면에 돌출된 제1정션 메사(junction mesa); 상기 기판의 상기 제1정션 메사와 이격된 부분에 위치하는 제2정션; 및 상기 제1정션 메사의 측면 상에 중첩되고 상기 제2정션 상에 다다르게 연장된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 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시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관점은,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sa); 사이에 상기 드레인 메사를 두고 이격된 상기 기판 부분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소스(source)들; 및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시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관점은,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sa), 사이에 상기 드레인 메사를 두고 이격된 상기 기판 부분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소스(source)들, 및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들을 포함하여 행렬을 이루며 배치된 다수의 트윈 셀(twin cell)들; 상기 열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들의 상기 제1소스들 및 상기 제2소스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소스 라인들; 및 상기 행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들의 상기 드레인 메사들을 교번적으로 하나 건너 하나씩 공통되게 연결하는 제1 및 제2비트 라인(bit line)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시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관점은,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sa), 사이에 상기 드레인 메사를 두고 이격된 상기 기판 부분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소스(source)들, 및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트윈 셀(twin cell)들;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트윈 셀의 상기 제1소스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트윈 셀의 상기 제2소스 사이를 분리하는 소자분리층;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시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관점은,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as); 사이에 상기 드레인 메사를 두고 이격된 제1 및 제2소스들; 및 상기 드레인 메사의 상면 일부 및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에 각각 다다르게 연장된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이고, 상기 드레인 메사에 공통으로 드레인 전압을 인가하는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에 서로 다른 소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독립적으로 프로그램(program)시키거나 읽기(read) 또는 이레이즈(erase)하는 제 및 제2소스 전극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시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관점은, 기판 표면에 드레인 메사(mesa)를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 각각에 인근하는 상기 기판 표면부에 제1 및 제2소스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관점은, 기판 표면에 드레인 메사(mesa)를 돌출시키는 리세스(recess)부 및 리세스부 바닥 부분에 위치하는 트렌치(trench)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 각각에 인근하는 상기 리세부의 표면부에 제1 및 제2소스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관점은, 기판 표면에 트렌치(trench)들을 나란히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들을 각각 채우는 소자분리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분리층들 사이의 상기 기판의 일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사이에 드레인 메사(drain mesa)가 돌출된 형상으로 잔존시키는 리세스(recess)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 각각에 인근하는 상기 리세부의 바닥부에 제1 및 제2소스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본 출원의 예에 따르면, 드레인 정션(junction) 부분이 기판 보다 높게 올려진 메사(mesa)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드레인 메사를 구비하는 단일층 게이트 EEPROM을 구현할 수 있다. 드레인 메사 형상에 의해서 플로팅 게이트와 커플링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트윈 셀 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2비트 동작(2 bit operation)이 가능하여 메모리 밀도(memory density)를 증가시킬 수 있고, 바이트 이레이즈(byte erase)가 가능하고, 시스템 집적회로(system IC)의 내장형 셀(embedded cell)로 구현할 수 있다. 파울러 노드하임 터널링(FN tunneling)으로 이레이즈 동작이 가능하여 바이트 단위로부터 칩 단위에까지 다양한 이레이즈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셀 크기가 작으며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정션들 상에 플로팅 게이트가 중첩되는 경우에 비해 셀의 동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수의 트윈 셀들이 동일한 웰 내에 위치할 수 있어, 전체 소자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단위 셀(unit cell)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위 셀의 평면 형상을 보여주는 레이아웃(layout)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위 셀에서의 커플링(coupling) 요소들을 보여주기 위해서 제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트윈 셀(twin cell)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트윈 셀의 평면 형상을 보여주는 레이아웃(layout)도이다.
도 6은 도 4의 트윈 셀의 구조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cell array)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셀 어레이에 대응되는 등가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셀 어레이의 동작 전압 조건들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 9 내지 도 2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0 내지 도 3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본 출원의 예의 기재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기재는 부재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부재 자체를 한정하거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부재의 "상"에 위치하거나 "상부", "하부", 또는 "측면"에 위치한다는 기재는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지 그 부재에 직접 접촉하거나 또는 사이 계면에 다른 부재가 더 도입되는 특정한 경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느 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의 기재는, 다른 구성 요소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중간에 다른 별도의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연결 관계 또는 접속 관계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1비트(bit) 단위 셀(unit cell)의 단면 형상 및 평면 레이아웃(layout) 형상을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100) 표면에 돌출된 부분인 제1정션(junction)의 드레인 메사(drain mesa: 200)와, 기판(100)의 드레인 메사(200)와 이격된 부분에 위치하는 제2정션의 소스(source: 300),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201) 및 측면(203) 상에 중첩되고 소스(300) 상에 다다르게 연장된 플로팅 게이트(400), 플로팅 게이트(400)와 기판(100) 및 드레인 메사(200) 사이 계면에 도입된 유전층(500)을 포함하는 1비트 메모리 단위 셀(1bit memory unit cell: 10)을 구비할 수 있다. 단위 셀(10)은 전기적으로 프로그램(program) 및 이레이즈(erase) 동작을 수행하는 이이피롬(EEPROM) 셀로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는 실리콘 기판과 같은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상에 돌출된 형상으로 제1정션 메사를 구비하고,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doping)된 제1불순물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 부분을 이루는 형상 부분 전체에 제1불순물 영역이 겹쳐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제1불순물 영역은 적어도 드레인 메사(200)의 표면부, 예컨대 상면(201) 및 측면(203) 부분의 표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0)에 구비된 웰(well: 101)의 제2도전형과 다른 제1도전형의 제1불순물 영역을 포함하여 드레인 메사(200)가 구비된다. 드레인 메사(200)와 이격된 반도체 기판(100) 표면부에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제2불순물 영역으로 소스(300)가 구비될 수 있다. 동일한 웰(101) 내에 드레인 메사(200)와 소스(300)가 구비하므로, 셀 크기의 축소를 유도할 수 있다. 소스(300)와 드레인 메사(200) 사이의 이격 부분이 채널(channel) 영역(10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에 접촉하는 드레인 전극(250)과 소스(300)에 접촉하는 소스 전극(350)이 접속 단자로 구비될 수 있다.
플로팅 게이트(400)는 단일층 폴리실리콘(polysilicon)층과 같은 단일층 게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에 인가되는 드레인 전압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400)에 커플링(coupling)된 전압이 인가되어 프로그램 또는 읽기(read)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플로팅 게이트(400)가 드레인 메사(200)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플로팅 게이트(400)는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201) 일부에 겹쳐지고, 인접한 측면(203)에 겹쳐지게 연장되고, 채널 영역(103)에 겹쳐지게 연장되고, 또한, 채널 영역(103)에 인접하는 소스(300)의 일부 부분(301) 상에 겹쳐지게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는 소스(300)를 구비한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에 대해 돌출 또는 융기된 형상을 가지므로, 플로팅 게이트(400)와 겹쳐지는 정도가 드레인 메사(200)의 높이가 증가하는 정도에 따라 더 증가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의 높이가 높아지는 정도에 따라 측면(203)이 확장될 수 있으며, 측면(203)을 덮는 플로팅 게이트(400)의 부분 또한 확장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는 반도체 기판(10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플로팅 게이트(400)와 드레인이 중첩되는 폭 또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어, 드레인 메사(200)가 차지하는 반도체 기판(100)의 면적을 제한하면서도, 드레인과 플로팅 게이트(400)와의 중첩되는 폭 또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드레인과 플로팅 게이트(400)와의 커플링 비(coupling ratio)를 증가시킬 수 있다. 드레인이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축소할 수 있어, 비활성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셀(cell)을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도 3은 1비트 단위 셀(1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커플링(coupling) 요소들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201) 부분과 이에 중첩된 플로팅 게이트(400) 부분에 제1커패시터(CA)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레인 메사(200)의 측면(203) 부분과 이에 중첩된 플로팅 게이트(400) 부분에 제2커패시터(CB)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스(300)와 이에 중첩된 플로팅 게이트(400) 부분에 제3커패시터(CB)가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400)가 장방형 평면 형상을 가져 그 폭이 각각의 부분에서 동일하다고 설정할 경우, 각각의 커패시터들의 커패시턴스는 중첩된 길이에 비례할 수 있다. 제1커패시터(CA)의 중첩 길이가 100 nm 이고, 제2커패시터(CB)의 중첩 길이가 1500Å이고, 제3커패시터(CC)의 중첩길이가 20 nm로 단위 셀(10)이 구비될 경우, 플로팅 게이트(400)에 대한 커플링 비(CR)는 (CA + CB)/ (CA + CB + CC)로서 92.6%로 얻어질 수 있다. 제2커패시터(CB)의 중첩 길이가 3500Å로 구비될 경우, 커플링 비는 95.7%로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려된 두 경우 모두 드레인 메사(200) 형상을 도입하지 않고, 동일한 면적에서 평판형 플로팅 게이트를 구비한 경우에 비해 커플링 비를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커패시터(CB)의 중첩 길이에 의존하여 커플링 비의 증가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드레인 메사(200)의 높이를 증가시켜 커플링 비를 보다 유효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드레인 메사(200)의 높이를 증가시켜 드레인과 플로팅 게이트(400)와의 중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커플링 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셀 크기 축소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2비트(bit) 트윈 셀(twin cell)의 단면 형상 및 평면 레이아웃(layout) 형상을 보여준다. 본 출원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도 1의 단위 셀(10) 형상이 우측 셀(11)과 좌측 셀(12)로 각각 구비되고, 우측 셀(11)과 좌측 셀(12)이 사이 가운데에 드레인 메사(200)를 공통으로 공유하여 하나의 트윈 셀(twin cell: 13)을 이룰 수 있다. 도 1의 단위 셀(10)은 예컨대 1비트의 데이터(data)를 메모리할 수 있다면, 도 2의 트윈 셀(13)은 하나의 드레인 메사(200)를 공유하면서 양측의 서로 구분되는 2개의 소스들(310, 320)로 2비트의 데이터를 메모리할 수 있다. 하나의 드레인 메사(200)를 공유하도록 트윈 셀(13: 11, 12)이 구비되므로, 셀의 크기를 보다 작게 축소할 수 있다.
트윈 셀(13)은 반도체 기판(100) 표면에 돌출된 부분인 제1정션 메사인 드레인 메사(200)와, 기판(100)의 드레인 메사(200)와 이격된 부분에 위치하는 제2정션의 제1소스( 310) 및 제2소스(320),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 및 양측 측면들 상에 각각 중첩되고 소스들(310, 320) 상에 다다르게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410, 420), 제1플로팅 게이트(410)와 기판(100) 및 드레인 메사(200) 사이 계면에 도입된 제1유전층(510), 제2플로팅 게이트(420)와 기판(100) 및 드레인 메사(200) 사이 계면에 도입된 제2유전층(520)을 포함하여 2비트 메모리 동작을 할 수 있다. 트윈 셀(13)을 이루는 각각의 단위 셀들(11, 12)은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및 이레이즈 동작을 수행하는 이이피롬(EEPROM) 셀로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는 실리콘 기판과 같은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 상에 돌출된 형상으로,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doping)된 제1불순물 영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 부분을 이루는 형상 부분 전체에 제1불순물 영역이 겹쳐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제1불순물 영역은 적어도 드레인 메사(200)의 표면부, 예컨대 상면 및 측면 부분의 표면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0)에 구비된 웰(101)의 제2도전형과 다른 제1도전형의 제1불순물 영역을 포함하여 드레인 메사(200)가 구비된다. 우측 셀(11)과 좌측 셀(12)은 웰(101)을 공유하도록 구비되며, 웰(101)의 공유에 의해 셀 크기 축소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와 이격된 반도체 기판(100) 표면부에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제2불순물 영역으로 소스들(310, 320)이 구비될 수 있다. 소스(310, 320)와 드레인 메사(200) 사이의 이격 부분들이 각각 제1채널 영역(113) 및 제2채널 영역(1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에 접촉하는 공통 드레인 전극(250)과 제1 및 제2소스들(310, 320)에 각각 접촉하는 구분되는 제1 및 제2소스 전극들(351, 352)이 각각 접속 단자로 구비될 수 있다.
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은 단일층 폴리실리콘층과 같은 단일층 게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에 인가되는 드레인 전압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에 커플링(coupling)된 전압이 인가되고, 제1 및 제2소스들(310, 320)에 각각 다른 소스 전압들이 인가되어, 각각의 단위 셀들(11, 12)에 대한 프로그램 또는 읽기(read)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이 드레인 메사(200)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플로팅 게이트들(410, 420)는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 일부에 각각의 끝단부들이 상호 마주보도록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 일부들에 각각 겹쳐지고, 인접한 측면들에 각각 겹쳐지게 연장되고, 채널 영역들(113, 123)에 각각 겹쳐지게 연장되고, 또한, 채널 영역들(113, 123)에 각각 인접하는 제1 및 제2소스들(310, 330)의 일부 부분들 상에 각각 겹쳐지게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은 상호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드레인 메사(20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제1 및 제2소스들(310, 320)은 상호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드레인 메사(200)는 소스들(310, 320)이 구비된 반도체 기판(100)의 표면에 대해 돌출 또는 융기된 형상을 가지므로, 플로팅 게이트들(410, 420)과 드레인 메사(200)가 겹쳐지는 부분의 크기 정도가 드레인 메사(200)의 높이가 증가하는 정도에 따라 더 증가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의 높이가 높아지는 정도에 따라 측면이 확장될 수 있으며, 측면을 덮는 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의 부분 또한 확장될 수 있다.
드레인 메사(200)는 반도체 기판(10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와 드레인이 중첩되는 폭 또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어, 드레인 메사(200)가 차지하는 반도체 기판(100)의 면적을 제한하면서도, 드레인과 플로팅 게이트(410, 420)와의 중첩되는 폭 또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드레인과 플로팅 게이트(410, 420)와의 커플링 비(coupling ratio)를 증가시킬 수 있다. 드레인이 차지하는 영역의 크기를 실질적으로 축소할 수 있어, 비활성 메모리 소자의 메모리 셀(cell)을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우측 셀(11) 및 좌측 셀(12) 각각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플링 비의 증가를 구현할 수 있어, 메모리 셀의 크기를 축소하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6은 트윈 셀의 구조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cell array)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6의 셀 어레이에 대응되는 등가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기판(100)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200), 사이에 드레인 메사(200)를 두고 이격된 기판 부분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소스들(300), 및 드레인 메사(200)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제1 및 제2소스(300)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400)들을 포함하여 행렬을 이루며 배치된 다수의 트윈 셀들(도 7의 13, 16, 19)의 어레이(array)를 포함한다. 개개의 트윈 셀들은 도 4 및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메사(200)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소스들(도 4의 310, 320)이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도 4의 410, 420)이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개의 트윈 셀(도 7의 13, 16)들은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1소스나 제2소스 중 어느 하나의 소스(300)를 상호 공통으로 공유하며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행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13, 16)들의 드레인 메사(200)들을 교번적으로 하나 건너 하나씩 공통되게 연결하는 BL<1>와 같은 제1비트 라인(bit line)과 BL<0>와 같은 제2비트 라인들(bit line)들이 교번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비트 라인들은 BL<X>, BL<X-1>로 대표되는 두 개의 비트 라인들이 하나의 행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열 배치된 트윈 셀들의 드레인 메사(200)들에 교번적으로 연결되어 비트라인 디코더(B/L decoder)에 각각 연결된다.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 트윈 셀(13, 16)은 사이의 소스(300)를 공유하지만, 각각의 드레인 메사(200)들이 상호 구분되는 서로 다른 제1비트 라인인 BL<1> 및 제2비트 라인인 BL<0>에 접속되므로, 상호 독립적인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
열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들(13, 17)은 제1소스들을 상호 연결하는 SL<0>과 같은 제2소스 라인 및 제2소스들을 상호 연결하는 SL<1>과 같은 제1소스 라인들을 공유하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소스 라인들이 반복 배치되어 소스 라인 디코더(S/L decoder)에 접속된다. 소스 라인 디코더와 비트 라인 디코더는 상호 직교되는 소스 라인들과 비트라인들이 각각 접속되도록 상호 직교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제1행(601)을 이루는 트윈 셀들은 하나의 웰(101)을 공유할 수 있다. 하나의 제1행(601)에 이웃하는 다른 제2행(602)을 이루는 트윈 셀들은 제1행(601)을 이루는 트윈 셀들과 얕은소자분리(STI)와 같은 소자분리층(600)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행(601)에 속하는 트윈 셀의 소스(300)인 제1소스와, 제2행(602)에 속하는 트윈 셀의 소스(300)인 제2소스 사이를 소자분리층(600)이 분리할 수 있으며, 이들 분리된 소스(300)들은 SL<X>와 같은 소스 라인에 공통되어 소스 라인 디코더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300)에 높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 소자분리층(600)은 개개의 트윈 셀들을 분리하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소자분리층(600)은 표면(610)이 실질적으로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201)과 대등한 표면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소자분리층(600)은 제1행(601)을 이루는 트윈 셀들과 제2행(602)를 이루는 트윈 셀들이 서로 분리된 웰(101)들을 각각 공유하도록 웰(101)들을 분리하는 깊이로 반도체 기판(10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과 함께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비휘발성 소자의 트윈 셀(11, 12)은 드레인 메사(200)에 공통으로 드레인 전압을 인가하는 드레인 전극(25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소스들(310, 320)에 서로 다른 소스 전압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을 독립적으로 프로그램(program)시키거나 읽기(read) 또는 이레이즈(erase)하는 제 및 제2소스 전극들(351, 3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트윈 셀들(13, 16, 19)이 배열된 셀 어레이에서 트윈 셀들을 각각 구성하는 단위 셀들(11, 12) 또는 (14, 15) 또는 (17, 18)은, 도 8의 도표에 제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전극(250)과 소스 전극들(351, 352)에 인가되는 전압 조건들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8를 도 7 및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제1트윈 셀(13)의 좌측 단위 셀(12)을 프로그램하는 제1프로그램(PGM1) 동작은, BL<1>의 제1비트 라인을 통해 드레인 전극(250)이 접속된 드레인 메사(200)에 양의 프로그램전압(+Vpp)을 비트라인 전압(VBL) 또는 드레인 전압으로 인가하고, SL<0>의 제2소스 라인으로 제2소스 전극(352)이 접속된 제2소스(320)에 접지 전압 0V의 제2소스라인전압(VSL0)를 인가하고, SL<1>의 제1소스 라인으로 제1소스 전극(351)이 접속된 제1소스(310)을 플로팅(F)하는 제1소스라인전압(VSL1) 조건을 적용하고, 웰(101)에 접지 전압 OV를 인가하는 웰전압(Vwell)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프로그램(PGM1) 전압 조건에 의해서, 핫캐리어인젝션(HCI: Hot Carrier Injection) 방식으로 좌측 단위 셀(12)에 대한 프로그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드레인을 통해 인가된 전압에 의해 커플링된 전압이 플로팅 게이트에 인가되고, 그 때 소스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생된 핫 일렉트론(hot electron)이 플로팅 게이트에 트랩(trap)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드레인 메사(200)에 VBL로 인가된 +Vpp와 제2소스(320)에 VSL0로 접지하면, 커플링에 의해 제2플로팅 게이트(420)에 커플링된 전압이 인가되어 제2소스(320) 및 드레인 메사(200)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고, 제2소스(320)와 드레인 메사(200)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드레인 메사(200) 부근에 고 에너지 전자(hot electron)이 발생되고, 고 에너지 전자가 제2플로팅 게이트(420)로 주입될 수 있다.
제1트윈 셀(13)의 우측 단위 셀(11)을 프로그램하는 제2프로그램(PGM2) 동작은, BL<1>의 제1비트 라인을 통해 드레인 전극(250)이 접속된 드레인 메사(200)에 양의 프로그램전압(+Vpp)를 비트라인 전압(VBL) 또는 드레인 전압으로 인가하고, SL<0>의 제2소스 라인으로 제2소스 전극(352)이 접속된 제2소스(320)에 플로팅(F)하는 제2소스라인전압(VSL0)을 적용하고, SL<1>의 제1소스 라인으로 제1소스 전극(351)이 접속된 제1소스(310)에 접지 전압 0V의 제1소스라인전압(VSL1) 조건을 적용하고, 웰(101)에 접지 전압 OV를 인가하는 웰전압(Vwell)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단위 셀(12, 11)을 이레이즈(erase)하는 동작은 파울러 노드하임 터널링(FN tunneling)으로 수행되며 상호 구분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소스 바이어스(source bias)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와 소스 영역의 정션이 중첩된 영역에 강한 에너지(energy)를 가지게 된 홀(hole)dl 플로팅 게이트의 전압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트윈 셀(13)의 좌측 단위 셀(12)을 이레이즈하는 제1이레이즈 (ERS1) 동작은, VBL로 0V 접지 전압을 인가하고, VSL0로 이레이즈전압(Vpp)를 인가하고, VSL1을 플로팅시키고, 웰(101)에 접지 전압 OV를 인가하는 웰전압(Vwell)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트윈 셀(13)의 우측 단위 셀(11)을 이레이즈하는 제2이레이즈 (ERS1) 동작은, VBL로 0V 접지 전압을 인가하고, VSL0을 플로팅시키고 VSL1에 이레이즈전압(Vpp)를 인가하고, 웰(101)에 접지 전압 OV를 인가하는 웰전압(Vwell)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읽기 동작은 드레인을 통해 인가된 읽기 전압 Vread를 통해 커플링된 전압이 플로팅 게이트에 인가되고, 드레인과 소스의 전압차에 의해 발생된 채널을 통해 읽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좌측 단위 셀(12)에 대한 읽기 동작은, VBL에 읽기 전압 Vread를 인가하여 각각의 플로팅 게이트(420 410)들에 전압을 커플링하여 채널 형성을 유도하고, VSL1을 플로팅하고 VLS0에 소스 전압 Vss를 인가하여 좌측 셀(13)을 선택하여 읽기를 수행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때, Vss는 채널을 유도하기 위한 전압으로 드레인 메사(200)에 인가되는 Vread에 비해 작은 크기의 전압으로 인가될 수 있으며, 읽기 전압 Vread 는 Vpp로 인가될 수도 있다. 우측 단위 셀(11)에 대한 읽기 동작은, VBL에 읽기 전압 Vread를 인가하여 각각의 플로팅 게이트(420 410)들에 전압을 커플링하여 채널 형성을 유도하고, VSL0을 플로팅하고 VLS1에 소스 전압 Vss를 인가하여 우측 셀(11)을 선택하여 읽기를 수행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압 조건들을 적용하여, 하나의 제1트윈 셀(13) 내의 두 단위 셀들(12, 11)을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하여 읽기, 프로그램 및 이레이즈 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비트 라인(B/L<X>)을 선택하고 소스 라인(S/L<X>)을 선택하여 행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트윈 셀(16)과 제1트윈 셀(13)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3트윈 셀(19)과 제1트윈 셀(13)을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판(100) 표면에 드레인 메사(200)를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드레인 메사(200)의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410, 420) 각각에 인근하는 기판(100) 표면부에 제1 및 제2소스들(310, 32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410, 420)은 드레인 메사(200)의 상면 일부분들에 중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410, 420)과 제1 및 제2소스들(310, 320)은 드레인 메사(200)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29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형성하는 과정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반도체 기판(100)의 웰(101) 내에 형성한 제1불순물 영역(209)을 보여주고, 도 10은 도 9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웰(101)의 제2도전형과 다른 제1도전형의 불순물을 반도체 기판(100)에 도핑(doping)하여 제1불순물 영역(209)을 형성한다. 제1불순물 영역(209)은 제1정션으로 작용할 드레인 메사를 위한 영역을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제1불순물 영역(209) 주위의 반도체 기판(100) 부분을 리세스(recess)하여 제1불순물 영역(209)을 제1정션의 드레인 메사(200)로 돌출시킨 형상을 보여준다. 제1불순물 영역(209) 주위의 반도체 기판(100) 부분을 선택적으로 식각 제거하여, 드레인 메사(200)의 측면을 노출하도록 제1리세스부(152)를 형성한다. 선택적 식각 과정을 적용하여 드레인 메사(200) 주위에 제1리세스부(152)를 리세스함으로써, 반도체 기판(100)의 리세스된 표면 상으로 드레인 메사(200)가 돌출된 형상이 유도되는 과정을 설명하지만, 드레인 메사(200)를 에피택셜 성장(epitaxial growth) 과정으로 선택적으로 성장시켜 돌출시킬 수도 있다.
도 13은 드레인 메사(200)의 마주보는 두 측면들에 인접하는 부분에 소자분리를 위한 트렌치(trench: 153)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도 15는 도 13의 Y1-Y1'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도 16은 Y2-Y2'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드레인 메사(200)를 노출하는 제1리세스부(152)의 바닥 일부를 선택적으로 식각 제거하여 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는 트렌치(153)들을 형성한다. 트렌치(153)는 반도체 기판(100)의 웰(101)의 바닥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되어, 웰(101)을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트윈 셀들이 배열된 행들(601, 602)에 각각 속하는 독립된 분리 웰들로 분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트렌치(153)는 드레인 메사(200)의 측면에 인접하는 부분들에 위치하고, 트렌치(153)가 형성되지 않고 잔존하는 리세스부(152)의 바닥 표면부(151)는 소스 및 채널이 형성될 기판 표면부(151)로 설정될 수 있다. 제1리세스부(152)를 식각하고 다시 트렌치(153)를 식각하는 방식의 듀얼 얕은트렌치소자분리(dual STI) 과정을 예시하지만, 트렌치(153)를 먼저 식각하고 제1리세스부를 식각하는 과정으로 듀얼 STI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트렌치(153)는 대략 제1리세스부(152)의 깊이에 비해 대략 2배 정도 또는 그 이상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트렌치(153)을 채우는 절연층(604)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도 19는 도 17의 Y1-Y1'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트렌치(153)를 채우는 절연층(604)을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유전 물질을 증착 또는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때, 절연층(604)은 트렌치(153)와 함께 제1리세스부(152)를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연층(604)의 증착 후 평탄화 과정을 수행하여 드레인 메사(200) 표면이 노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20은 소자분리층(600)을 패터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도 22는 도 20의 Y1-Y1'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도 23은 도 20의 Y2-Y2'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절연층(604)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소스 및 채널이 형성될 기판 표면부(151)를 절연층이 제거된 노출 표면부(155)로 노출하도록 소자분리층(600)을 패터닝한다. 소자분리층(600)들 사이의 반도체 기판의 표면부(155)가 노출되도록 절연층(604)에 제2리세스부를 형성하는 식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으로 소자분리층(600)들 사이에 드레인 메사(200)의 마주보는 양 측면들이 노출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지만, 드레인 메사(200)를 위한 제1불순물 영역(도 10의 209) 양측으로 STI 소자분리층(600)들을 먼저 형성하고, 소자분리층(600)들 사이의 반도체 기판 부분을 선택적으로 식각 제거하여 리세스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드레인 메사(200)가 기판 표면부(155)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도 24는 플로팅 게이트를 위한 층(401)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도 25은 도 24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드레인 메사(200) 및 노출된 표면부(155)를 덮는 플로팅 게이트를 위한 층(401)을 도전층, 예컨대,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플로팅 게이트를 위한 층(401)을 형성하기 이전에 게이트 유전층으로 이용될 유전층(500)을 실리콘 산화물 등과 같은 유전 물질로 형성한다.
도 26은 플로팅 게이트(400)를 패터닝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도 27은 도 26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플로팅 게이트의 층(401)의 일부 부분 및 유전층(500) 부분을 선택적으로 식각 제거하여 플로팅 게이트(400)를 형성한다. 플로팅 게이트(400) 및 유전층(500)은 드레인 전극이 접촉할 부분(207) 및 소스가 형성될 부분(307)을 노출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도 28은 소스(300)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도 29는 도 28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플로팅 게이트(400)에 노출된 드레인 전극이 접촉할 부분(207) 및 소스가 형성될 부분(307)에 정션(junction)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과 같은 불순물 도핑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소스가 형성될 부분(307)에 제2불순물 영역으로 소스(300)가 형성된다. 이후에, 드레인 메사(200)에 접촉하는 드레인 전극(250) 및 정션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된 소스(300)에 접촉하는 소스 전극(350)을 형성하여, 트윈 셀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구현한다.
도 30 내지 도 37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형성하는 과정의 다른 일 예를 보여준다.
도 30은 소자분리를 위한 트렌치(trench: 4153)들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주고, 도 32는 도 30의 Y-Y'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반도체 기판(4100)의 웰(4101)에 도핑된 제2도전형과 다른 제1도전형의 불순물을 반도체 기판(4100)에 도핑(doping)하여 제1불순물 영역(4209)을 형성한다. 제1불순물 영역(4209)은 제1정션으로 작용할 드레인 메사를 위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불순물 영역(4209)의 마주보는 두 측면들에 인접하는 반도체 기판(4200) 부분을 선택적으로 식각 제거하여, 소자분리를 위한 트렌치(4153)들을 형성한다. 두 트렌치(4153)들은 그 사이에 반도체 기판(4100)의 표면부(4151) 및 제1불순물 영역(4209)이 위치하도록 상호 간에 측 방향으로 나란히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4153)의 측면으로 제1불순물 영역(4209)의 측면 부분 및 그 아래의 웰(4101)의 측면 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트렌치(4153)가 형성되지 않고 잔존하는 반도체 기판(4100)의 표면부(4151)은 후속 과정에서 소스 및 채널이 위치할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트렌치(4153)는 반도체 기판(4100)의 웰(4101)의 바닥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되어, 웰(4101)을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트윈 셀들이 배열된 행들(601, 602)에 각각 속하는 독립된 분리된 웰들로 분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33은 트렌치(4153)을 채우는 절연층(4604)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Y-Y'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트렌치(4153)를 채우는 절연층(4604)을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유전 물질을 증착 또는 도포하여 형성한다. 이때, 절연층(4604)이 트렌치(4153)를 채우고 표면부(4151)를 덮도록 연장될 수 있으므로, 절연층(4604)의 증착 후 평탄화 과정, 예컨대,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나 에치 백(etch back) 과정을 수행하여 표면부(4151)와 제1불순물 영역(4209)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 과정으로 절연층(4604)이 트렌치(4153)을 채우는 형상의 소자분리층으로 패터닝된다. 제1불순물 영역(4209)를 형성하는 도핑 과정은 소자분리 절연층(4604)를 형성한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5는 드레인 메사(4200)를 패터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X-X' 절단선을 따르는 단면 형상을 보여준다. 제1불순물 영역(209) 주위의 반도체 기판(4100)의 표면부(도 33의 4151) 부분을 리세스(recess)하여 제1불순물 영역(도 33의 4209)을 제1정션의 드레인 메사(4200)로 돌출시킨다. 제1불순물 영역(4209)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식각 마스크(etch mask: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표면부(4151)를 선택적으로 식각 제거하여 리세스부(4155)를 형성할 수 있다. 두 리세스부(4155)들은 사이에 제1불순물 영역(4209)이 잔존하여 드레인 메사(4200)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4155)는 트렌치(도 32의 4153) 보다 얕은 깊이를 가질 수 있고, 제1불순물 영역(4209)의 다른 측면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4155)의 바닥부(4152)는 채널 및 소스가 형성될 위치를 제공한다. 리세스부(4155)를 형성하는 식각 과정과 트렌치(도 32의 4153)를 형성하는 식각 과정으로 제1불순물 영역(4209)가 리세스부(4155)의 바닥부(4152) 보다 높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드레인 메사(4200)가 설정된다.
도 37은 플로팅 게이트(4400)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드레인 메사(4200) 및 리세스부(4155)의 바닥부(4152)를 덮는 게이트 유전층(4500)을 형성하고, 그 상에 플로팅 게이트(4400)를 위한 층을 형성한다. 플로팅 게이트(4400) 및 유전층(4500)은 드레인 전극이 접촉할 부분 및 제2불순물 영역의 소스(4300)가 형성될 부분을 노출하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도 38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다른 일례를 보여준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제1트윈 셀(2013)과 제2트윈 셀(2015)이 사이에 소자분리층(2600)을 두고 배치된 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제1트윈 셀(2013)은 기판(2100) 표면에 돌출된 제1드레인 메사(2201)와, 이를 사이에 상호 이격된 기판(2100) 부분들에 각각 위치하는 제1소스(2301)와 제2소스(2305), 및 제1드레인 메사(2201)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제1소스 및 제2소스들(2301, 2305)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2401, 240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드레인 메사(2201)에 접속되는 제1드레인 전극(2251)과, 제1소스 및 제2소스들(2301, 2305) 각각에 접속되는 제1 및 제2소스 전극들(2351, 2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트윈 셀(2015)은 기판(2100) 표면에 돌출된 제2드레인 메사(2203)와, 이를 사이에 상호 이격된 기판(2100) 부분들에 각각 위치하는 제3소스(2303)와 제4소스(2307), 및 제2드레인 메사(2201)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제3소스 및 제4소스들(2303, 2307) 상에 다다르는 제3 및 제4플로팅 게이트들(2403, 2407)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드레인 메사(2203)에 접속되는 제2드레인 전극(2253)과, 제3소스 및 제4소스들(2303, 2307) 각각에 접속되는 제3 및 제4소스 전극들(2353, 23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자분리층(2600)은 트윈 셀들(2013, 2015) 사이를 분리하도록 위치하며, 제1트윈 셀(2013)의 제1소스(2301)과 이웃하는 제2트윈 셀((2015)의 제3소스(2303) 사이를 분리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소자분리층(2600)은 웰(2101)들이 각각 제1 및 제2트윈 셀들(2013, 2015)들에 속하는 부분들로 분리되도록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소자분리층(2600)의해 분리된 제1소스(2301)와 제3소스(2303)에 공통되지 않고 상호 독립적으로 소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소스(2301)와 제3소스(2303)가 상호 독립적이므로, 제1드레인 메사(2201)에 접속되는 제1드레인 전극(2251)과 제2드레인 메사(2203)에 접속되는 제2드레인 전극(2253)이 상호 간에 공통되도록 연결되어도, 제1플로팅 게이트(2401)와 제3플로팅 게이트(2403)에 독립적으로 프로그램, 이레이즈 및 읽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비트 라인에 이웃하는 두 개의 트윈 셀들(2013, 2015)가 공통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 형태들을 도면들을 예시하며 설명하지만, 이는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세밀하게 제시된 형상으로 본 출원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를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이 반영되는 한 다양한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반도체 기판, 200: 드레인 메사,
300: 소스, 400: 플로팅 게이트.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sa);
    사이에 상기 드레인 메사를 두고 이격된 상기 기판 부분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소스(source)들; 및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은
    상기 드레인 메사의 상면 일부분들에 중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연장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 사이의 상기 드레인 메사의 상면 부분에 접촉하는 공통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에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소스 전극들을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과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은
    상기 드레인 메사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메사는 상기 양측면 및 상면 부분에 형성된 제1불순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은 각각 상기 기판 표면 부분에 형성된 제2불순물 영역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0.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sa), 사이에 상기 드레인 메사를 두고 이격된 상기 기판 부분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소스(source)들, 및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들을 포함하여 행렬을 이루며 배치된 다수의 트윈 셀(twin cell)들;
    상기 열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들의 상기 제1소스들 및 상기 제2소스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소스 라인들; 및
    상기 행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들의 상기 드레인 메사들을 교번적으로 하나 건너 하나씩 공통되게 연결하는 제1 및 제2비트 라인(bit line)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행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들 중 이웃하는 둘의 트윈 셀들은
    사이의 상기 제1소스 또는 상기 제2소스를 공통으로 공유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스를 공통으로 공유하는 이웃하는 두 트윈 셀들은
    각각 상기 제1비트 라인 및 제2비트 라인에 접속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윈 셀들은
    상호 간에 웰(well)을 공유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행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들과
    이웃하는 다른 행을 이루며 배치된 트윈 셀들 사이를 분리하며
    상기 기판에 형성된 소자분리층을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층은
    상기 분리된 행들을 각각 이루는 트윈 셀들이
    서로 분리된 웰(well)들을 각각 공유하도록 상기 웰을 분리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은
    상기 드레인 메사의 상면 일부분들에 중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연장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 사이의 상기 드레인 메사의 상면 부분에 접촉하는 공통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에 각각 접촉하는 제1 및 제2소스 전극들을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과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은
    상기 드레인 메사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메사는 상기 양측면 및 상면 부분에 형성된 제1불순물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은 각각 상기 기판 표면 부분에 형성된 제2불순물 영역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20.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sa), 사이에 상기 드레인 메사를 두고 이격된 상기 기판 부분들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소스(source)들, 및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 상에 다다르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트윈 셀(twin cell)들;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트윈 셀의 상기 제1소스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트윈 셀의 상기 제2소스 사이를 분리하는 소자분리층;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층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트윈 셀들이 서로 분리된 웰(well)들을 포함하도록 상기 웰들을 분리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22. 기판 표면에 돌출된 드레인 메사(drain meas);
    사이에 상기 드레인 메사를 두고 이격된 제1 및 제2소스들; 및
    상기 드레인 메사의 상면 일부 및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고 상기 제1 및 제2소스에 각각 다다르게 연장된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이고,
    상기 드레인 메사에 공통으로 드레인 전압을 인가하는 드레인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에 서로 다른 소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독립적으로 프로그램(program)시키거나 읽기(read) 또는 이레이즈(erase)하는 제 및 제2소스 전극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23. 기판 표면에 드레인 메사(mesa)를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 각각에 인근하는 상기 기판 표면부에 제1 및 제2소스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은
    상기 드레인 메사의 상면 일부분들에 중첩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과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은
    상기 드레인 메사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메사의 상기 양측면 및 상면 부분에 위치하는 제1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표면 부분에 상기 제1 및 제2소스들을 제공하는 제2불순물 영역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27. 기판 표면에 드레인 메사(mesa)를 돌출시키는 리세스(recess)부 및 리세스부 바닥 부분에 위치하는 트렌치(trench)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소자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 각각에 인근하는 상기 리세스부의 표면부에 제1 및 제2소스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드레인 메사(mesa)로 돌출될 상기 기판 부분에 불순물 영역을 도핑(dop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레인 메사(mesa) 주위의 상기 기판 부분을 선택적으로 식각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드레인 메사(mesa)의 마주보는 두 측면에 인접하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 부분을 선택적으로 식각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31. 기판 표면에 트렌치(trench)들을 나란히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들을 각각 채우는 소자분리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분리층들 사이의 상기 기판의 일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사이에 드레인 메사(drain mesa)가 돌출된 형상으로 잔존시키는 리세스(recess)부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 메사의 양측면들에 각각 중첩되는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플로팅 게이트들 각각에 인근하는 상기 리세스부의 바닥부에 제1 및 제2소스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드레인 메사(mesa)로 돌출될 상기 기판 부분에 불순물 영역을 도핑(dop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KR1020140033655A 2014-03-21 2014-03-21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KR10214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655A KR102142155B1 (ko) 2014-03-21 2014-03-21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US14/470,652 US9318497B2 (en) 2014-03-21 2014-08-27 Non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single-layered floating gates
TW103129823A TWI622160B (zh) 2014-03-21 2014-08-29 具有單層浮動閘極的非揮發性記憶體裝置
CN201410524481.6A CN104934432B (zh) 2014-03-21 2014-10-08 具有单层浮栅的非易失性存储器件
US15/069,282 US9634102B2 (en) 2014-03-21 2016-03-14 Nonvolatile memory devices having single-layered floating g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655A KR102142155B1 (ko) 2014-03-21 2014-03-21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964A KR20150110964A (ko) 2015-10-05
KR102142155B1 true KR102142155B1 (ko) 2020-08-10

Family

ID=5412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655A KR102142155B1 (ko) 2014-03-21 2014-03-21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318497B2 (ko)
KR (1) KR102142155B1 (ko)
CN (1) CN104934432B (ko)
TW (1) TWI6221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2493B2 (en) * 2016-08-08 2018-05-15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low height split gate memory cells
TWI709227B (zh) * 2017-04-10 2020-11-01 聯華電子股份有限公司 非揮發式記憶體裝置與其操作方法
WO2024084438A1 (en) * 2022-10-20 2024-04-25 King Abdullah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a2O3 BASED NONVOLATILE FLASH MEMORY FOR OXIDE ELECTRONICS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953A (en) 1991-06-20 1994-08-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trench memory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221062B1 (ko) 1993-11-08 1999-09-15 마찌다 가쯔히꼬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US6998670B2 (en) 2003-04-25 2006-02-14 Atmel Corporation Twin EEPROM memory transistors with subsurface stepped floating gates
JP2006140518A (ja) 2000-07-03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8212A (en) * 1988-12-12 1991-04-16 Chen Teh Yi J Selective asperity definition technique suitable for use in fabricating floating-gate transistor
JP2630252B2 (ja) * 1994-04-26 1997-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ンネル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425660B (en) * 1997-12-12 2001-03-11 Mosel Vitelic Inc Method of forming uniform dielectric layer between two conductive layers in integrated circuit
KR100494152B1 (ko) 2002-12-30 2005-06-1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고밀도 단일 폴리 이이피롬
KR20060094379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돌출된 소오스/드레인 구조를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KR100780866B1 (ko) * 2006-12-14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방법
JP2011134981A (ja) * 2009-12-25 2011-07-07 Sanyo Electric Co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953A (en) 1991-06-20 1994-08-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trench memory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221062B1 (ko) 1993-11-08 1999-09-15 마찌다 가쯔히꼬 플래시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JP2006140518A (ja) 2000-07-03 2006-06-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6998670B2 (en) 2003-04-25 2006-02-14 Atmel Corporation Twin EEPROM memory transistors with subsurface stepped floating g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97153A1 (en) 2016-07-07
US20150270360A1 (en) 2015-09-24
US9634102B2 (en) 2017-04-25
CN104934432B (zh) 2019-05-07
KR20150110964A (ko) 2015-10-05
TWI622160B (zh) 2018-04-21
TW201537725A (zh) 2015-10-01
US9318497B2 (en) 2016-04-19
CN104934432A (zh)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988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80286B1 (ko) 고집적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21913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033759B (zh) 自对准的分裂栅极闪存
US20170263636A1 (en) Stacke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buried source lin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119335B1 (ko) 감소된 크기의 분리형 게이트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 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6503077B2 (ja) 高密度スプリットゲート型メモリセル
CN106575656A (zh) 通过使用增强的横向控制栅与浮栅耦合而改进缩放的分裂栅闪存单元
KR102142155B1 (ko) 단일층 플로팅 게이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KR101073640B1 (ko) 고집적 수직형 반도체 메모리 셀 스트링, 셀 스트링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45981A (ja) 半導体装置
JP2011054658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697245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3045980A (ja) 半導体装置
JP2011066038A (ja) 半導体記憶装置
CN110021602B (zh) 在专用沟槽中具有浮栅的非易失性存储器单元
TWI784724B (zh) 具有設置在字線閘上方之抹除閘的分離閘2位元非揮發性記憶體單元及其製造方法
KR102075004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JP2021106298A (ja) 半導体メモリの製造方法
US2004007240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11171475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1731199B1 (ko) 트렌치 내에 트래핑 전하 층을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셀 및 어레이와, 그들의 제조 방법
JP2014236015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80079010A (ko) 다중 비트 플래쉬 메모리 셀, 그 구동방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