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942B1 -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942B1
KR102140942B1 KR1020190113891A KR20190113891A KR102140942B1 KR 102140942 B1 KR102140942 B1 KR 102140942B1 KR 1020190113891 A KR1020190113891 A KR 1020190113891A KR 20190113891 A KR20190113891 A KR 20190113891A KR 102140942 B1 KR102140942 B1 KR 102140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film
roll
support
floor car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우
박정우
김재희
황수웅
장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등기업
(주)무등기업평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등기업, (주)무등기업평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등기업
Priority to KR102019011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5Movable supporting means
    • B65H2301/41352Movable supporting means moving on linear path (including linear slot arrangement)
    • B65H2301/413526Movable supporting means moving on linear path (including linear slot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로워 카페트가 안착되는 작업대와, 작업대의 상측에 배치되고, 플로워 카페트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장착되는 필름장착대와, 필름장착대를 작업대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되게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PROTECTING FILM FEEDING APPARATUS FOR FLOOR CARPE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자동 방식에 의해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에 보호필름을 부착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플로워 카페트는 자동차 실내에 탑승하는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함과 더불어 차량 내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내 바닥에 설치된다. 또한, 플로워 카페트는 자동차의 주행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고, 상면에 놓여지는 카매트가 탑승자의 동작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이러한 자동차용 플로워 카페트는 통상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데, 대부분이 1차로 원단을 성형 가공하여 제작한 베이스구조물에, 2차로 발포 성형 공정을 통해 형성된 발포체를 부착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자동차용 플로워 카페트는 그 표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형태로 납품되고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롤 형태로 제작된 보호필름을 당겨서 풀어내며 작업대에 올려진 플로워 카페트에 부착하고, 커터로 절단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때, 작업자는 작업대의 하측이나 가장자리부 외측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끌어당겨 풀어냄과 동시에 상체를 숙이고 팔을 뻗어서 작업대의 중앙부측으로 당겨 플로워 카페트의 중앙부측에 부착한 후, 보호필름이 주름이나 구겨짐 없이 펼쳐지도록 플로워 카페트의 표면을 따라 작업자측으로 쓸어내고, 플로워 카페트의 가장자리부까지 보호필름이 도달, 부착되면 커터로 보호필름을 절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호필름 부착 방식에 의하면, 작업자가 보호필름을 당겨 풀어냄과 동시에 작업대의 중앙부로 밀어내는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보호필름의 점착성으로 인해 어깨, 팔, 허리에 무리가 가게 된다. 또한, 플로워 카페트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부착된 보호필름의 단부를 커터로 절단하게 되므로, 커터로 인해 플로워 카페트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2007183호(2019.07.30 등록, 발명의 명칭: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작업 자세의 불편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플로워 카페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는, 플로워 카페트가 안착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 배치되고, 보호필름이 장착되는 필름장착대; 및 상기 필름장착대를 상기 작업대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되게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대는, 평탄한 상면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며, 상기 롤러부재에 무한궤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로워 카페트가 안착되는 이송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장착대는, 상기 보호필름이 롤 형태로 감긴 보호필름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지지대; 상기 롤지지대가 장착되는 롤장착대; 및 상기 롤장착대 중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방향을 향하는 일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필름롤에서 권출된 상기 보호필름이 점착되어 홀딩되는 필름홀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장착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장착본체부; 및 상기 장착본체부 상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지지대를 측방향에서 삽입하여 상기 장착본체부의 중앙부측으로 하향 안내가능하게 연장되는 축장착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본체부는, 상기 축장착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지지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수직지지대;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의 사이에 상기 보호필름롤을 배치가능한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축장착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지지대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수직지지대; 및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수직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보호필름롤과의 사이에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 경로를 형성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에 설정너비로 설치되고,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수평연장부의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구속하는 처짐방지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장착슬릿부는, 상기 장착본체부의 측단부에서 상기 장착본체부의 중간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진입경사부; 상기 진입경사부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진입경사부와 다른 각도로 하향 연장되는 이탈방지경사부; 및 상기 이탈방지경사부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롤지지대가 걸쳐져 장착되는 롤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홀딩대는, 상기 롤장착대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지지대; 상기 돌출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름점착대; 및 상기 롤장착대와 상기 필름점착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손인입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이동대는, 상하방향으로의 연장길이가 신축가변되고, 하부가 상기 필름장착대와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기 필름장착대가 설정방향을 향해 설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필름장착대설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장착대설치대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필름장착대로 이루어지는 제1필름장착대세트가 설치되는 제1수평지지부; 상기 제1수평지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필름장착대로 이루어지는 제2필름장착대세트가 설치되는 제2수평지지부; 및 상기 제1수평지지부와 상기 제2수평지지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승강이동대와 연결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는, 보호필름이 장착되는 필름장착대가 플로워 카페트가 안착되는 작업대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작업자가 보호필름을 파지한 상태로 본인측으로 끌어당기며 하측으로 누르는 동작을 취한 후, 보호필름을 절단하고 평탄하게 쓸어내며 전면에 걸쳐 부착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취하는 것에 의해, 플로워 카페트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대의 하측이나 가장자리부 외측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끌어당겨 풀어냄과 동시에 상체를 숙이고 팔을 뻗어서 작업대의 중앙부측으로 당겨 플로워 카페트의 중앙부측에 부착한 후, 플로워 카페트의 표면을 따라 작업자측으로 쓸어내고, 플로워 카페트의 가장자리부까지 보호필름이 도달, 부착되면 커터로 보호필름을 절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쳐야 하던 기존의 실시예와 비교해, 작업자가 느끼던 자세의 불편함과 어깨, 팔, 허리에 가해지는 부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장착대에 보호필름을 부착, 홀딩시킨 상태에서 필름장착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커터를 이동시키면서, 보호필름을 플로워 카페트와 이격된 공중에서 일정한 형태로 신뢰성있게 커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호필름을 플로워 카페트에 평탄하게 부착시킨 상태에서 보호필름의 단부를 플로워 카페트측으로 가압하며 커터로 절단하던 기존의 실시예와 비교해, 커터로 보호필름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플로워 카페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필름 커팅 형상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와 필름장착대설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를 이용해 플로워 카페트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와 필름장착대설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2)용 보호필름 공급장치(1)는 작업대(10), 필름장착대(20), 필름장착대설치대(30), 승강이동대(40)를 포함한다.
작업대(10)는 보호필름(4)의 부착 대상이 되는, 즉 작업대상이 되는 플로워 카페트(2)가 안착되는 장치부이다. 작업자는 플로워 카페트(2)를 작업대(10)로 이송하여 안착시킨 상태에서, 필름장착대(20)가 제공하는 보호필름(4)을 플로워 카페트(2)의 상면부에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필름장착대(20)는 플로워 카페트(2)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필름(4)이 장착되는 장치부로, 작업대(10) 상측의 공중에 배치된다. 보호필름(4)은 롤 형태로 감겨진 상태에서 필름장착대(2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롤 형태로 감긴 보호필름(4)을 보호필름롤(3)이라 한다.
필름장착대설치대(30)는 복수개의 필름장착대(20)를 공중에서 지지한다. 복수개의 필름장착대(20)는 그 상부가 필름장착대설치대(30)에 결합, 고정된다. 복수개의 필름장착대(20)는 설정방향을 향한 상태로, 설정간격을 두고 필름장착설치대(30)에 설치된다.
승강이동대(40)는 필름장착대(20)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필름장착대(20)가 설치된 필름장착대설치대(30)를 작업대(10)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되게 승강이동시킨다. 승강이동대(40)로는 상하방향으로의 연장길이가 신축가변되는 실린더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승강이동대(40)로서 실린더부재를 적용하는 경우, 실린더부재의 실린더본체를 설정위치에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실린더본체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의 하부를 필름장착대설치대(30)와 연결함으로써, 복수개의 필름장착대(20)를 동시에 동일한 변위로 승강이동시키는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대(10)는 베이스(11), 롤러부재(12), 이송안착대(13)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평탄한 상면부를 가지는 테이블 구조를 가진다. 플로워 카페트(2)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진다. 롤러부재(12)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롤러 구조를 가지고, 베이스(11)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플로워 카페트(2)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전방(도 1 상의 좌측), 그 반대방향을 후방(도 1 상의 우측)이라 한다.
이송안착대(13)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벨트 구조를 가지고 베이스(11)의 상면부를 커버하며, 전후측 한 쌍의 롤러부재(12)에 무한궤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송안착대(13)의 전단부는 전방측 롤러부재(12)와 접하고, 이송안착대(13)의 후단부는 후방측 롤러부재(12)와 접한 상태로, 롤러부재(12)의 회전에 연동하여, 무한궤도로 회전된다. 이송안착대(13) 중 베이스(11)의 상면부를 커버하는 상부에는 플로워 카페트(2)가 안착된다.
롤러부재(12)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필요 시, 예를 들어 플로워 카페트(2)에 보호필름(4)을 부착하는 작업을 완료 시, 모터를 구동시키는 이송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롤러부재(12)가 회전됨과 동시에 이송안착대(13)의 상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보호필름(4) 부착이 완료된 상태의 플로워 카페트(2)를 작업대(10)의 전방, 외부로 이송하고, 보호필름(4)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다른 플로워 카페트(2)를 다시 안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20)는 롤지지대(21), 롤장착대(22), 필름홀딩대(25)를 포함한다.
롤지지대(21)는 보호필름롤(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부로, 보호필름롤(3)의 중앙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보호필름(4)을 보호필름롤(3)로부터 잡아당기며 풀어내면, 보호필름롤(3)은 롤지지대(2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롤지지대(21)는 상기와 같이 보호필름롤(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공지기술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롤장착대(22)는 롤지지대(21)가 장착되는 장치부로, 보호필름롤(3)의 외부로 연장되는 롤지지대(21)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롤지지대(21)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경우, 롤장착대(22)는 롤지지대(21)가 수평을 이루게 롤지지대(21)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장착대(22)는 장착본체부(23)와 축장착슬릿부(24)를 포함한다.
장착본체부(23)는 롤장착대(22)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패널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본체부(23)는 제1수직지지대(231), 제2수직지지대(232), 수평지지대(233)를 포함한다.
제1수직지지대(231)는 롤지지대(21)의 전방단부를 지지하는 장치부로, 롤지지대(21)의 전방단부가 끼워져 장착되는 축장착슬릿부(24)가 형성된다. 제2수직지지대(232)는 롤지지대(21)의 후방단부를 지지하는 장치부로, 제1수직지지대(231)와의 사이에 보호필름롤(3)을 배치가능한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롤지지대(21)의 후방단부가 끼워져 장착되는 축장착슬릿부(24)가 형성된다.
제1수직지지대(231)와 제2수직지지대(232)는 그 상부가 필름장착대설치대(3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그 하부가 필름장착대설치대(30)의 하측으로 나란하게 하향 연장된다. 수평지지대(233)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고, 제1수직지지대(231)와 제2수직지지대(232)의 하부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대(233)는 제1연결부(234), 제2연결부(235), 수평연장부(236), 처짐방지받침부(237)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234)는 제1수직지지대(231)와 연결되고, 보호필름(4)의 권출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연장된다. 제2연결부(235)는 제2수직지지대(232)와 연결되고, 보호필름(4)의 권출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연장된다. 제1연결부(234)와 제2연결부(235)는 용접 등의 접합 방식에 의해 제1수직지지대(231), 제2수직지지대(232)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다.
수평연장부(236)는 제1연결부(234)와 제2연결부(235)의 돌출단부를 상호 연결한다. 수평연장부(236)에 의해 제1수직지지대(231)와 제2수직지지대(232)의 하부는, 수평연장부(236)의 길이에 해당되는 기설정된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수직지지대(231)와 제2수직지지대(232)에 설치된 보호필름롤(3)과 수평연장부(236)의 사이에는 보호필름(4)이 측방향으로 권출되는 권출 경로가 형성된다.
처짐방지받침부(237)는 보호필름롤(3)로부터 측방향으로 권출된 보호필름(4)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부로, 수평연장부(236)의 상부에 설정너비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연장부(236)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의 상부를 가지며, 처짐방지받침부(237)는 수평연장부(236)보다 확장된 좌우방향 너비를 가지고 수평연장부(236)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보호필름롤(3)로부터 측방향으로 권출된 보호필름(4)의 단부가 필름홀딩대(25)에 점착, 홀딩된 상태에서, 진동 등 임의의 작용력에 의해 보호필름롤(3)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며 보호필름(4)이 더 권출되거나 팽팽한 정도가 느슨해지더라도, 보호필름(4)이 처짐방지받침부(237)에 명확하게 받쳐지거나 걸쳐지면서 수평연장부(236)의 하측으로 처지는 것이 구속된다.
또한, 진동 등 임의의 작용력에 의해 보호필름롤(3)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보호필름(4)의 단부가 보호필름롤(3)측으로 당겨져 필름홀딩대(25)로부터 이탈되더라도, 보호필름롤(3) 측으로 말려들어가는 중인 보호필름(4)의 단부가 처짐방지받침부(237)와 접하여 정위치에 홀딩되므로, 보호필름(4)의 단부가 보호필름롤(3)의 외면부에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필름(4)의 단부를 보호필름롤(3)로부터 떼어내는 번거로움과 작업 지연을 해결할 수 있다.
축장착슬릿부(24)는 롤지지대(21)가 장착되는 장치부로, 장착본체부(23) 상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축장착슬릿부(24)는 롤지지대(21)를 장착본체부(23)의 측단부측에서 삽입하여 장착본체부(23)의 중앙부측으로 하향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장착슬릿부(24)는 진입경사부(241), 이탈방지경사부(242), 롤장착부(243)를 포함한다.
진입경사부(241)는 장착본체부(23)의 측단부에서 장착본체부(23)의 중간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진입경사부(241)는 장착본체부(23)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개방부가 롤지지대(21)의 직경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고, 장착본체부(23)의 측단부에서 중간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롤지지대(21)를 진입경사부(241)로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다.
이탈방지경사부(242)는 진입경사부(241)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진입경사부(241)와 다른 각도로 하향 연장된다. 롤장착부(243)는 이탈방지경사부(242)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롤지지대(21)가 걸쳐져 장착된다. 롤장착부(243)는 장착본체부(23)의 좌우방향 중간부에 위치된다.
롤지지대(21)를 진입경사부(241)에 끼우면, 별도의 이동력을 부여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진입경사부(241)를 따라 자연히 하향 이동되고, 이탈방지경사부(242)를 거쳐 롤장착부(243)에 도달된다. 이때, 롤지지대(21)와 보호필름롤(3)은 장착본체부(23)의 좌우방향 중간부에 위치되고, 장착본체부(23)의 좌우방향 일측에 보호필름롤(3)의 하중, 응력이 편중되게 작용함에 따른 장착본체부(23)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필름홀딩대(25)는 보호필름롤(3)에서 권출된 보호필름(4)이 점착되어 홀딩되는 장치부로, 롤장착대(22) 중 보호필름(4)의 권출방향을 향하는 일측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홀딩대(25)는 돌출지지대(251), 필름점착대(252), 손인입개방부(253)를 포함한다.
돌출지지대(251)는 롤장착대(22)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돌출지지대(251)는 제1수직지지대(231), 제2수직지지대(232)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필름점착대(252)는 보호필름롤(3)에서 권출된 보호필름(4)의 단부가 점착, 홀딩되는 장치부로, 돌출지지대(251)의 돌출단부에 상향 돌출되게 결합된다.
필름점착대(252)는 보호필름(4)의 권출 경로 상에 배치되고, 수평지지대(233)와 이격간격을 두고 마주하여 배치된다. 필름점착대(252)는 전후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패널 형상을 가지고 직립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보호필름(4)을 필름점착대(252)의 상부에 걸쳐 부착, 홀딩하거나, 보호필름(4)을 커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하향력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손인입개방부(253)는 보호필름(4)의 단부를 홀딩하여 잡아당기기 위해 작업자의 손이 전방 및 후방에서 인입될 수 있는 중공의 공간부로, 수평지지대(233)와 돌출지지대(251), 필름점착대(252)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손인입개방부(253)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돌출지지대(251)를 수평지지대(233)보다 더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하고, 돌출지지대(251)의 단부에 필름점착대(252)를 결합함으로써, 수평지지대(233)와 필름점착대(252)의 사이 및 돌출지지대(251)의 상측에 손인입개방부(253)를 형성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인입개방부(253)에 손의 일부를 인입시킨 상태로 보호필름(4)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의 권출력을 안정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설치대(30)는 제1수평지지부(31), 제2수평지지부(32), 연결지지부(33)를 포함한다.
제1수평지지부(31)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측 한 쌍의 필름장착대(20)로 이루어지는 제1필름장착대세트(20A)가 설치되는 장치부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필름장착대세트(20A)는 좌측을 향하여 보호필름(4)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배치된다.
제2수평지지부(32)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측 한 쌍의 필름장착대(20)로 이루어지는 제2필름장착대세트(20B)가 설치되는 장치부로, 제1수평지지부(31)의 우측에 제1수평지지부(3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필름장착대세트(20B)는 우측을 향하여 보호필름(4)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배치된다.
연결지지부(33)는 제1수평지지부(31)와 제2수평지지부(32)를 상호 연결하고, 승강이동대(4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승강이동대(40)를 작동시켜 연결지지부(33)를 승강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1필름장착대세트(20A)와 제2필름장착대세트(20B)를 포함한 복수개의 필름장착대(20)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필름장착대(20)를 동시에 동일한 변위로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장착대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를 이용해 플로워 카페트에 보호필름을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필름장착대(2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호필름(4)의 부착 대상이 되는 플로워 카페트(2)를 작업대(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필름장착대(2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워 카페트(2)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작업대(1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2명의 작업자가 각각, 보호필름(4)이 작업자와 근접하게 위치되는 플로워 카페트(2)의 좌우측 가장자리부까지 도달되게, 보호필름(4)을 홀딩하여 잡아당긴다.
좌측의 작업자는 보호필름(4)이 플로워 카페트(2)의 좌측단부에 도달되게 보호필름(4)의 단부를 좌측으로 잡아당긴 후, 플로워 카페트(2)의 좌측단부에 점착시키고, 필름홀딩대(25)를 따라 커터를 이동시키면서 보호필름(4)을 절단한 후, 플로워 카페트(2)의 가장자리부에서 중간부측으로 보호필름(4)을 쓸어내며, 플로워 카페트(2)에 보호필름(4) 전체를 평탄하게 부착하게 된다. 우측의 작업자 또한 이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작업대(1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2명의 작업자가 각각 후방측 보호필름롤(3)에서 보호필름(4)을 측방향으로 권출시키면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 후,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전방측 보호필름롤(3)에서 보호필름(4)을 동일한 방향으로 권출시키면서 상기와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워 카페트(2) 중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4개소에 보호필름(4)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2)용 보호필름 공급장치(1)에 의하면, 보호필름(4)이 장착되는 필름장착대(20)가 플로워 카페트(2)가 안착되는 작업대(10)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작업자가 보호필름(4)을 파지한 상태로 본인측으로 끌어당기며 하측으로 누르는 동작을 취한 후, 보호필름(4)을 절단하고 평탄하게 쓸어내며 전면에 걸쳐 부착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취하는 것에 의해, 플로워 카페트(2)에 보호필름(4)을 부착하는 작업을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작업대의 하측이나 가장자리부 외측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끌어당겨 풀어냄과 동시에 상체를 숙이고 팔을 뻗어서 작업대의 중앙부측으로 당겨 플로워 카페트의 중앙부측에 부착한 후, 플로워 카페트의 표면을 따라 작업자측으로 쓸어내고, 플로워 카페트의 가장자리부까지 보호필름이 도달, 부착되면 커터로 보호필름을 절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쳐야 하던 기존의 실시예와 비교해, 작업자가 느끼던 자세의 불편함과 어깨, 팔, 허리에 가해지는 부하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장착대(20)의 필름홀딩대(25)에 보호필름(4)을 부착, 홀딩시킨 상태에서 필름홀딩대(2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커터를 이동시키면서, 보호필름(4)을 플로워 카페트와 이격된 공중에서 일정한 형태로 신뢰성있게 커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필름을 플로워 카페트에 평탄하게 부착시킨 상태에서 보호필름의 단부를 플로워 카페트측으로 가압하며 커터로 절단하던 기존의 실시예와 비교해, 커터로 보호필름(4)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플로워 카페트(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호필름(4) 커팅 형상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보호필름 공급장치 2 : 플로워 카페트
3 : 보호필름롤 4 : 보호필름
10 : 작업대 11 : 베이스
12 : 롤러부재 13: 이송안착대
20 : 필름장착대 20A : 제1필름장착대세트
20B : 제2필름장착대세트 21 : 롤지지대
22 : 롤장착대 23 : 장착본체부
24 : 축장착슬릿부 25 : 필름홀딩대
30 : 필름장착대설치대 31 : 제1수평지지부
32 : 제2수평지지부 33 : 연결지지부
40 : 승강이동대 231 : 제1수직지지대
232 : 제2수직지지대 233 : 수평지지대
234 : 제1연결부 235 : 제2연결부
236 : 수평연장부 237 : 처짐방지받침부
241 : 진입경사부 242 : 이탈방지경사부
243 : 롤장착부 251 : 돌출지지대
252 : 필름점착대 253 : 손인입개방부

Claims (11)

  1. 플로워 카페트가 안착되는 작업대; 및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워 카페트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장착되는 필름장착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장착대는,
    상기 보호필름이 롤 형태로 감긴 보호필름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지지대;
    상기 롤지지대가 장착되는 롤장착대; 및
    상기 롤장착대 중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방향을 향하는 일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필름롤에서 권출된 상기 보호필름이 점착되어 홀딩되는 필름홀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평탄한 상면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며, 상기 롤러부재에 무한궤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로워 카페트가 안착되는 이송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장착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장착본체부; 및
    상기 장착본체부 상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지지대를 측방향에서 삽입하여 상기 장착본체부의 중앙부측으로 하향 안내가능하게 연장되는 축장착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본체부는,
    상기 축장착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지지대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수직지지대;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의 사이에 상기 보호필름롤을 배치가능한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축장착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지지대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수직지지대; 및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의 하부를 연결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는,
    상기 제1수직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2수직지지대와 연결되고,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연결하고, 상기 보호필름롤과의 사이에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 경로를 형성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에 설정너비로 설치되고, 상기 보호필름이 상기 수평연장부의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구속하는 처짐방지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장착슬릿부는,
    상기 장착본체부의 측단부에서 상기 장착본체부의 중간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진입경사부;
    상기 진입경사부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진입경사부와 다른 각도로 하향 연장되는 이탈방지경사부; 및
    상기 이탈방지경사부의 하부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롤지지대가 걸쳐져 장착되는 롤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홀딩대는,
    상기 롤장착대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지지대;
    상기 돌출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호필름의 권출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름점착대; 및
    상기 롤장착대와 상기 필름점착대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손인입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9. 플로워 카페트가 안착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워 카페트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장착되는 필름장착대; 및
    상기 필름장착대를 상기 작업대로부터 이격되거나 근접되게 승강이동시키는 승강이동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이동대는,
    상하방향으로의 연장길이가 신축가변되고, 하부가 상기 필름장착대와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필름장착대가 설정방향을 향해 설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필름장착대설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장착대설치대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필름장착대로 이루어지는 제1필름장착대세트가 설치되는 제1수평지지부;
    상기 제1수평지지부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필름장착대로 이루어지는 제2필름장착대세트가 설치되는 제2수평지지부; 및
    상기 제1수평지지부와 상기 제2수평지지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승강이동대와 연결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KR1020190113891A 2019-09-17 2019-09-17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KR102140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91A KR102140942B1 (ko) 2019-09-17 2019-09-17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891A KR102140942B1 (ko) 2019-09-17 2019-09-17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942B1 true KR102140942B1 (ko) 2020-08-05

Family

ID=7204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891A KR102140942B1 (ko) 2019-09-17 2019-09-17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7476A (zh) * 2023-10-11 2023-11-17 辽宁艺朦织旺地毯有限公司 一种汽车地毯热压成型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636A (ko) * 2011-03-25 2012-10-05 (주)동성테크 필름 연속타발장치
KR20130015682A (ko) * 2011-08-04 2013-02-14 주식회사 케이앤씨 수직 라미네이션 장치
KR20150057023A (ko) * 2013-11-18 2015-05-28 오토윈주식회사 필름이동장치
KR101544542B1 (ko) * 2014-05-02 2015-08-21 이건하 필름부착장치
KR20160131643A (ko) * 2015-05-08 2016-11-16 문호평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007183B1 (ko) * 2018-12-17 2019-08-05 안태업 자동차 플로어 카페트용 보호필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636A (ko) * 2011-03-25 2012-10-05 (주)동성테크 필름 연속타발장치
KR20130015682A (ko) * 2011-08-04 2013-02-14 주식회사 케이앤씨 수직 라미네이션 장치
KR20150057023A (ko) * 2013-11-18 2015-05-28 오토윈주식회사 필름이동장치
KR101544542B1 (ko) * 2014-05-02 2015-08-21 이건하 필름부착장치
KR20150126270A (ko) * 2014-05-02 2015-11-11 이건하 필름부착장치
KR20160131643A (ko) * 2015-05-08 2016-11-16 문호평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007183B1 (ko) * 2018-12-17 2019-08-05 안태업 자동차 플로어 카페트용 보호필름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7476A (zh) * 2023-10-11 2023-11-17 辽宁艺朦织旺地毯有限公司 一种汽车地毯热压成型设备
CN117067476B (zh) * 2023-10-11 2023-12-15 辽宁艺朦织旺地毯有限公司 一种汽车地毯热压成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942B1 (ko)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US10334777B2 (en) Electric work vehicle
US20070284046A1 (en) System for the Automatic Application of Self-Adhesive Protective Film to Vehicle Bodies
KR20080078564A (ko)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KR102176112B1 (ko)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용 보호필름 공급장치
JP3582102B2 (ja) シートカバー装着装置
JPH0829880B2 (ja) 車両等への保護フィルム貼付け装置
JPH04283082A (ja) 集積回路などのモジュラー積載作業用システム
US4882818A (en) Carpet shearing apparatus
CN212555043U (zh) 一种汽车扶手骨架自动贴膜设备
US5158639A (en) Roll conveyance and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applying apparatus
KR20180038645A (ko) 커버레이 가접기
JP3657853B2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0717665U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の保持装置
JP3615718B2 (ja) 素材押さえ付け装置
JP2816780B2 (ja) 裁断機における密閉シートの保持装置および方法
JP2016036310A (ja) 田植機
JP2008087549A (ja) エアバッグ製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製造方法
JPH06271173A (ja) 車両の塗膜保護フィルム貼付装置
US11697376B2 (en) Luggage nets in the vehicle roof of road construction machines
CN214060870U (zh) 一种上料装置
CN219195468U (zh) 一种耐磨儿童泳衣加工用布料裁切装置
JP3638760B2 (ja) 自動車の車室内作業台
US20150298638A1 (en) Restraint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CN220333070U (zh) 一种曲面贴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